KR20020086875A - 합성 원료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합성 원료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6875A
KR20020086875A KR1020027008290A KR20027008290A KR20020086875A KR 20020086875 A KR20020086875 A KR 20020086875A KR 1020027008290 A KR1020027008290 A KR 1020027008290A KR 20027008290 A KR20027008290 A KR 20027008290A KR 20020086875 A KR20020086875 A KR 20020086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worm
extruder
pipe
processo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6071B1 (ko
Inventor
게롤트 바르트
만프레트 도베르스베르게르
귄테르 크로이스
Original Assignee
게롤트 바르트
만프레트 도베르스베르게르
귄테르 크로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롤트 바르트, 만프레트 도베르스베르게르, 귄테르 크로이스 filed Critical 게롤트 바르트
Publication of KR20020086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33Feed means of ram or pushe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5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knives spaced axially and circumferentially on the periphery of a cylindrical roto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plastics, e.g. cinematographic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3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of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pellet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75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 B29C48/38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using two or more serially arranged screws in the same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50Details of extruders
    • B29C48/501Extruder feed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특히 열가소성의 합성원료를 위한 프로세서(processor) 장치는 분쇄장치 및/또는 앞의 분쇄장치를 가진 콘베이어(conveyor) 장치와 직접 연결된 압출기 장치로 이루어지고 압출기 장치에서 분쇄/콘베이어(conveyor) 장치는 나이프(knife)를 운반하는 프로세서 드럼(processor drum)/콘베이어 웜(conveyor worm)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합성 원료 처리 장치{PROCESSING DEVICE FOR SYNTHETIC MATERIAL}
잘게 부수기 위한 제분기 및 채굴하기 위한 사일로(silo)에서 상기가 사용되는 것이 관례적이다. 사일로(silo)로부터 미리 잘게 부서진 합성 상품은 충전장치를 통해 압출기로 운반된다.
상기 형성은 사일로(silo)가 원료 발생에 있어 흔들림을 조정하기 위한 저장능력을 형성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때 상기 배열의 좋지 않은 열효율이 불리한 반면, 제분기 내에서 마찰열의 형태로 합성 원료에 전달된 잘게 부수는 에너지가 계속되는 임시저장에 따라서 저장 사일로(silo)내에서 다시 그 주변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분출공정을 위해 사라진다. 이러한 배열은 여전히 소요면적이 중요시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처리될 수 있는 합성 원료가 위쪽에서부터 창고로 떨어지고, 그 바닥에 나이프의 조각이 회전하고 원료가 상기 나이프의 조각으로 잘게 부서지고 저장벽에 설치된 구멍에 의해 눌려지고 합성 원료가 압출기 웜에 의해 넘겨지고 가동되는 장치가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배열의 장점은, 분출공정 중 마찰열의 형태로 가공될 수 있는 원료로 전환된 잘게 부수는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러나 매우 중요한 단점에 의해서 원료부 크기의 한계는 그와 같은 것으로 이러한 배열을 채울 수 있다는 것과 그렇지 않으면 드라이빙 모터(driving motor)의 과중한 적재와 원료준비 및 원료용량의 방해가 빠르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일련의 생산편차 및 큰 덩어리로 압축된 또는 게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해된 합성 원료의 형성을 가진 항상 동일하게 요구되는 처리문제이다.
상기가 수공의 또는 자동으로 분리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잘게 부서진 원료의 필수적인 분리는 조각의 크기에 따라 가장 많은 경우 특히, 압축된 합성 원료 또는 커다란 단단한 부분에서 소비적이고 복잡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현저한 작업력의 소모 내지 추가의 중요한 투자소비가 거칠게 가는 분쇄기의 형태로 필수적이다.
또 하나에서 계속하여 합성 원료 및 즉, 예를 들면 톱밥 같은 속재료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된 바 있다. 여전히 젖은 원료는 미리 건조되어 압출기로 운반되어야만 한다.
이때 나타나는 단점은 원료가 중력에 의해 처리 깔때기에 이르게 되고 모터의 과중한 적재를 위하여 커다란 원료 조각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한 원료크기가 처리를 위해 제한된다.
합성 원료를 처리하기 위한 또 다른 설비에서 나이프가 설치된 프로세서 드럼(processor drum)의 처리장치가 우선 정리되고, 원료 축적 또는 지지될 수 있는 콘베이어 웜의 컨베이어(conveyor) 날개가 잘게 부서진 원료를 프로세서 드럼의 운송관중 하나를 통해 압출기의 웜으로 운송한다. 압출기의 운행중 원료가 유연하게 되고 낟알 모양으로 된다.
상기 배열에서, 압출기와 프로세서 드럼이 별도로 운행되기 때문에, 동력소비가 중요하다. 게다가 프로세서 드럼 및 압출기 웜의 운반된 부분간 거리가 가능한 한 작아야만 하고, 따라서 소비적인 구조를 요구하는 양도가 언제나 분명하게 보장된다.
결국 프로세서 드럼의 운반구간의 끝에서, 구조적 조치를 통해 특히, 창고와 그 밀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축소되어야만 하는 중요한 저항력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처리장치를 가진 절단장치와 압출기 웜으로 이루어진 특히, 열가소성의 합성 원료를 잘게 자르기, 채굴하기, 유연하게 하기 그리고 낟알 모양으로 만들기 또는 덩어리지게 하기 위한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처리 장치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2는 제 1도에 따른 처리 장치의 횡단면도;
도 3은 콘베이어 웜을 가진 처리 장치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제 3도에 따른 콘베이어 웜을 가진 처리 장치를 측면에서 본 단면도;
* 부호설명 *
1; 기계 틀
2; 처리장치
3; 프로세서 드럼(processor drum)
4; 프로세서 드럼(3)의 나이프(knife)
5; 내장된 반대 나이프
6; 콘베이어(conveyor) 파이프
7; 바닥 플레이트(plate)
8; 압출기 웜(worm)
9; 콘베이어 날개
10; 콘베이어 파이프(6)의 아울렛(outlet)
11; 콘베이어 파이프(6)의 공급구멍
12; 공급 까때기
13; 기계 케이스(case)
14; 공급 깔때기(12)의 공급 샤프트
15; 공급 깔때기(12)의 앞벽
16; 공급 깔때기(12)의 옆벽
17; 프로세서 드럼(3) 또는 콘베이어 웜(9)의 종축
18; 프로세서 드럼(3) 또는 콘베이어 웜(9)의 기어쪽 베어링
19; 프로세서 드럼(3) 또는 콘베이어 웜(9)의 압출기쪽 베어링
20; 압출기 웜(8)의 종축
21; 콘베이어 파이프(6)와 웜 파이프(22) 사이의 이동 파이프
22; 압출기 웜(8)의 웜 파이프
23; 웜 파이프(22)의 인렛(inlet)
24; 콘베이어 파이프(6)의 내부벽
25; 프로세서 드럼(3) 또는 콘베이어 웜(9)의 회전방향
26; 공급 구멍(11)의 구멍 모서리
27; 빗장(30)의 기압식 에너지 실린더
28; 수송방향
30; 처리장치(2)의 빗장
31; 프로세서 드럼(3) 또는 콘베이어 웜(9) 그리고 압출기 웜(8)용 기어
32; 압출기쪽 베어링(19)의 베어링체
33; 베어링체(32)의 내부 베어링 부
34; 처리 장치의 드라이빙 모터(driving motor)
35; 프로세서 드럼(3)의 구동 파장
36; 베어링체(32)의 외부 운반 링
37; 베어링체(32)의 결합조각
38; 콘베이어 웜(9)의 웜 통
39; 베어링 공기 세척을 위한 도관
40; 베어링 공기 세척을 위한 유도관
41; 프로세서 드럼(3)을 위한 여과기 조각
42; 프로세서 드럼(3)의 독립된 기어
43; 프로세서 드럼(3)의 독립된 드라이빙 모터
44; 공기와 같은, 세척가스용 통풍 노즐
45; 베어링쪽 원추형체
46; 압출기쪽 원추형체
47; 압출기의 웜 파장(22)용 고정나사
48; 원추형 콘베이어 틈
49; 원추형체(45, 46)의 이등분된 콘베이어 날개
50; 이동 파이프(22) 내 배달테
51; 배달테(50)의 반대 플레이트(plate)
52; 기압식 빗장(30)의 파이프 덮개
53; 콘베이어 파이프(6)의 파이프 조각
54; 제거용 나이프(knife)
55; 나이프(4)용 나이프 손잡이
56; 나이프 손잡이(55)용 수용부
57; 콘베이어 웜(9)의 실린더형 콘베이어 캔(can)
58; 원 파이프(22)의 마우스 피스(mouth piece)
59; 이동 파이프(21)의 플랜지 묶음
60; 여과기- 및/또는 분쇄장치
본 발명의 과제는 서두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공지된 처리 장치의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처리중 원료의 크기 및 형태뿐만 아니라 깔때기 내에 들어 있는 양에 좌우되지 않고 처리 진행을 조정하고 분쇄된 합성 원료를 방해 없이 운반할 수 있도록 해야하고 이때, 간단한 제작과 특히 간단한 동력장치가 제작되어만 하고 계속하여 분쇄에너지의 실용화가 갖는 장점을 포괄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그 외에 간단하게 제조된, 조금 방해받기 쉬운, 상이한 처리양이 차이 없는 처리 장치를 제작한다.
이러한 과제는 청구범위 제 1항의 장점에 따른 처리 장치에서 해소된다. 종속항은 특히 본 발명의 장점에 관계되고 청구항 제 1항과 함께 본 발명의 명세서의일부분을 형성한다.
프로세서 드럼을 가진 압출기 웜의 일직선상의 배열을 통해 직선으로 관통하는 운반구간이 획득되고, 운반구간을 위해 개별 동력모터와 개별 전동장치가 구비된다.
이때 실시예는 적절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는, 구조상 매우 간단한 형태를 도시하는 반면, 프로세서 드럼 또는 콘베이어 웜의 형성은 특히 짧은 실시예에서, 응집하기에 적합한 것처럼, 제작시 특히 간단하고 압출기 웜 및 프로세서 드럼의 풀릴 수 있는 결합이 간소화된 점검 및 수선 그리고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압출기의 운반 파이프와 웜 파이프의 결합은 이동 파이프에 의해 적응처치를 회전하는 그리고 고정된 부분 사이에서 같은 방식으로 가능하게 한다.
운반 파이프와 웜 파이프의 풀릴 수 있는 결합이 함께 또는 이동 파이프의 중간 스위치 없이 사용성을 계속하여 개선시킨다.
미리 설치된 프로세서 드럼과 콘베이어 웜의 결합은 분쇄된 합성 원료를 걸러내어 융해- 및 농축덩어리와 포장 방식으로 밀폐된 폴리 원료를 가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넓혀준다.
콘베이어 웜의 상부에서 미리 설치된 프로세서 드럼의 사용시 합성 원료가 꽉 조여질 수 있는 여과기조각을 통해 운송되고, 여과기조각은 수송 파이프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그 하부 영역에서 콘베이어 웜의 연결된 웜 통의 통벽으로부터 프로세서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적어도 수송관 둘레의 4분의 1이상에 이른다.
콘베이어 웜은 웜 통에 뻗어있고 압출기쪽 단부영역에서 실린더의 파이프조각에 받쳐지면서 안내되고 이를 통해 콘베이어 웜의 단부에 직접 및 이것과 함께 풀릴 수 있는, 기계적으로 결합된 압출기 웜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힘이 유리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유도된다.
압출기 웜과 프로세서 드럼의 동력은 개별 모터와 개별 기어로 실행되고 이를 통해 특히 결합이 간단한 처리 장치에서 수행된다.
미리 설치된 프로세서 드럼의 동력은 기어에 의해서 콘베이어 웜과 압출기를 위해 유도되거나 실행시 별도의 동력으로부터 크게 요구된 모터와 기어로 구성된다.
통로파이프의 설치는 가장 간단하게 압출기의 웜 파이프와 수송 파이프 내지 기계 케이스에 플랜지를 연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분쇄된 합성 원료의 투입을 개선하기 위하여 웜 파이프에 씌워진 마우스 피스(mouth piece)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마우스 피스(mouth piece)와 함께 압출기 웜의 직경에서 콘베이어 웜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계속하여 좁다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마개 저항이 줄어들고 합성 상품의 수송상태가 개선되어, 막거나 융해되어 수송될 때 어떠한 차단도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수송방향으로 방해받지 않은 혹은 대개 적게 방해받는 합성 원료의 흐름을 위해 프로세서 드럼의 압출기쪽 베어링을 위한 베어링체가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때, 밖과 내부의 저장부분 사이에서 공기저항을 가능한 한 적게 받는 버팀목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창고의 잦은 고장을 줄이기 위하여 화물부분을 정화하기 위한 공기세척기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고, 저장여과기의 버팀목위로 끌어대고 내는 것을 유지한다.
압출기 웜과 프로세서 드럼 사이의 풀릴 수 있는 결합의 제작은 이에 대해 상용화된 체결부로 인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간단하게 너트(nut)- 및 쐐기형 스프링 결합으로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부로부터 추가된 나사의 연접부는 쉽게 제어될 수 있는 안정적인 결합을 형성한다.
이동 파이프 내에 설치된 원추형체를 사용하여 점차적으로 이동하는 수송상품을 프로세서 드럼의 커다란 직경에서 압출기 웜 파이프의 작은 직경 결합하고, 압출기는 유연하게 하는 것에 적합하고 이를 통해 작업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원추형체의 이등분된 형성에 의해 압출기 부분은 프로세서 드럼의 압출기쪽 창고의 베어링마개에서 조여지고 압출기 웜의 좌우 측면에서 받쳐지고, 저장부분이 프로세서 드럼의 압출기쪽 창고의 베어링마개에 고정되고 특별히 간단한 방법으로 광석을 떼어 내는 반면, 적은 노력으로 풀릴 수 있는 동력결합이 조립- 및 정비작업으로 쉽게 형성된다.
그러나 원추형체의 두 부분은 역시 서로서로 조여질 수 있다.
이동 파이프의 원추형 형성시 상기 원추형체 사이에서 중공의 원추형 수송틈이 원추형체에 의해 점차적인 결합을 이루고 수송상품을 미리 밀폐하는 것이 프로세서 드럼의 커다란 직경에서부터 압출기의 웜 파이프의 작은 직경으로 출입구에서 실행되고, 이를 통해 합성 원료의 더 작은 수송저항과 특히 방해가 적은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각각 직경의 관계, 원료의 특성 그리고 가공방식에 따라 작은 각도 특히 10°도에서 90°도 그리고 특히 약 60°도의 수송틈의 구멍각이 유연하게 하는 것을 위한 설치시 사용될 수 있다.
원추형 수송틈은, 방해되는 막힘 없이 압출기의 웜 파이프의 더 작은 직경에 설치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합성 원료를 위하여, 우선 그 영역에서 변함없이 형성될 수 있거나 밀폐정도가 변할 때 수송 틈의 영역에서 올라가거나 줄어든 영역과 함께 뻗어 나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응집시 대개 동일한 파이프 직경 때문에 원추형 이동 파이프는 필요가 없거나 구멍각은 그리고 나서 0°아래로 되기 때문에 수송 파이프와 압출기 파이프 역시 직접적으로 서로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합성 원료를 수송방향으로 수송하기 위하여 유효한 마개를 위하여 압출기의 웜 파이프의 출입구에서, 특히, 콘베이어 날개가 그 방향으로 수송되면서 웜 파이프에 세워질 때, 개별 콘베이어 날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원추형 수송틈을 덧칠하기 위하여 수송날개의 두 부분이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도록 요구되지 않고 이등분된 원추형체의 두 부분에 알맞은 형성이 가장 간단하고 유리하다.
콘베이어 작용을 조정하기 위하여 콘베이어 날개의 영역에서 배달테를 사용하는 것은 간단하고 매우 유효한 처치이고, 이러한 콘베이어 날개 사이의 틈이 배달테와 함께 일차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배달테를 이동 파이프의 구멍을 통해 삽입하는 것은 계속 조정을 쉽게 한다.
이동 파이프에 조여진 반대의 플레이트(plate)를 수송하는 것과 콘베이어 날개로 배달을 조정하는 것은 당김- 및 압력조임을 나사못으로 조임으로써 확실히 간단하게 형성된다.
배달테와 콘베이어 날개 사이의 갈라진 틈을 조정하는 것은 특히 유효하고 간단하게 슬립의 영향을 결정하고 그리하여 합성 원료의 수송행동을 결정한다.
콘베이어 작용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위한 더 많은 통풍노즐의 설비는 수송 파이프의 제일 깊은 위치에서 그리고 수송방향으로 이루어지고 그와 같은 장점으로부터 합성 원료가 콘베이어 파이프의 출구 방향으로 지지된다.
특별히 간단한 해결은 방해를 제거하고 점검하기 위하여 우선 내벽의 가장 깊은 위치에서 나와, 전체 길이 이상으로 그리고 적어도 그 둘레의 4분의 1 이상 회전방향에 이르는 돌려서 열 수 있는 파이프 부분을 가진 콘ㅂ이어 파이프의 형성을 설명한다.
프로세서 드럼상의 나이프는 일렬로 서로로부터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회전방향으로 천천히 옮겨져 설치되고 내장된, 그러나 나이프에 의해 조치가 취해지는 반대의 나이프와 함께 작동되고 이때, 개방된 단면이 조절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더 적은 단면저항과 초고 부하 시각의 축소가 달성된다.
두 번째, 매트를 사용하는 반대의 나이프는 나이프를 가진 프로세서 드럼 배달 구멍의 두 번째 길이의 가장자리에서 합성 원료가 수송영역으로 역수송 되는 것을 피하게된다.
프로세서 드럼의 원료보급은 간단한 건축방식의 급송장치로 인해 하나의 또는 두 개의 나란히 놓여진, 특히 작은 건축물크기에서 있어 실린더형의, 각각 하나의 기압식 또는 수력의 에너지 실린더를 가진 빗장 중에서 발생하고, 에너지 실린더는 파이프 덮개에서 받쳐지고, 또는 프로세서 드럼에 대해 전기 동력에 의해 발생되고 합성 원료는 나이프의 파악영역으로 이동된다.
더 큰 건축물 크기에서 또는 이미 존재하는 설치 때문에 수력 에너지 실린더 또는 전동식 구동장치 사용이 발견될 수 있고 개별 상자모양의 빗장이 바닥 플레이트(plate) 너머로 충분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합성 원료의 적절한 공급을 위해 공급구멍이 유리하게 프로세서 드럼 둘레의 4분의 1 이상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뻗어 나와 설치되고 그 전체 길이에 이른다. 이때 비스듬히 기울어진 바닥 플레이트를 가진 공급통로는 에너지 보급을 위해 그 빗장으로 특히 유리하게 이동된다.
빗장의 제어는 자동 제어된 압력설비에서 자동적으로 발생하고, 압력설비로 인해 함께 압력에너지는 그 실행에 의존하여 그리고 특히 드라이빙 모터(driving motor)의 전류수용에서, 똑같은 움직임과 적재를 달성하기 위해 통제된다.
콘베이어 웜을 사용할 때 기술된 창고 대신에 콘베이어 웜의 실린더형 부분의 끝에서 운전 캔(can)이 준비되어 기계 케이스에서 지지가 일어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 드럼 또는 콘베이어 웜의 기술된 저장 대신에 압출기쪽 웜의 단부쪽 저장이 실행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아래를 향해 상품배달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은 압출기에서 응집을 위하여 유리하다.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의해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기계의 틀에 콘베이어 파이프(6)가 설치되고, 콘베이어 파이프 안에서 동력파동(35)으로 기계 틀(13)에 플랜지로 연결된 기어쪽 창고(18) 안에서 그리고 파동 볼트를 가진 압출기쪽 베어링(19)내에 위치된 프로세서 드럼(3)이 돌려져서 회전한다.
프로세서 드럼(3)의 종축(17)과 함께 프로세서 드럼(3)과 함께 풀릴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된, 압출기 웜(8)의 종축(20)이 일직선상으로 정렬되고, 그 자유 단부에 여과기와 분쇄기(60)가 설치된 압출기의 웜 파이프(22) 내에서 회전한다.
상기 배치는 기어(31) 위 드라이빙 모터(34)에 의해서 추진된다.
프로세서 드럼(3)이 나이프(4)로 설치되고, 나이프는 그 둘레에서 3열로 자리를 바꿔 분할되어 나사로 고정되고 나이프 손잡이(55)를 가진 공급 구멍(11)에서 나이프(4)의 도착면의 구멍 모서리(26)에 내장된 반대 나이프(5)와 함께 접수부(56)에 고정된다.
반대로 놓여진 공급 구멍(11)의 세로 모서리에 내장된 제거용 나이프(54)가 설치된다.
콘베이어 파이프(6)는 콘베이어 파이프(6)의 아울렛(10)에 그리고 웜파이프(22)의 인렛(23)에 플랜지로 연결되어 콘베이어 파이프(6)와 프로세서 드럼(3) 사이 직경의 차이를 극복하는, 원추형 이동 파이프(21)를 관통하여 웜 파이프(2)와 결합한다.
압출기쪽 베어링(19)의 설치를 위하여 프로세서 드럼(3)의 콘베이어 파이프(5)에 연결되고, 기계 케이스(13)에 베어링(19)을 위한 내부 베어링부(33)와 운반용 링(36)으로 구성된, 이러한 이동 파이프(21) 사이의 베어링 여과기(32)가 플랜지로 연결되고 이때, 두 부분은 더 많은 결합 받침대(37)와 결합되고, 결합 받침대는 합성 원료의 수송 방향(28)으로 공기 저항을 가능한 적게 받는 형태를 사용하고 윤활유 주유 도관과 도관(39) 뿐만 아니라 저장 영역의 정화를 위해 사용되는 저장 공기 세척을 위한 유도관(40)이 뻗어 있다.
프로세서 드럼(3)과 압출기 웜(8)의 기계적 결합은 한편으로는 너트(nut)-쐐기형 스프링 결합에 의해 프로세서 드럼(3)의 압출기쪽 베어링 마개 내에서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등분된 베어링체(45, 46)에 의해 형성되고, 그 중 창고쪽 원추형체(45)는 너트(nut)- 및 쐐기형 스프링 결합으로 프로세서 드럼(3)의 베어링마개에 고정되고 압출기쪽 원추형체(46)는 압출기 웜(8)에 자리하여 프로세서 드럼(3)의 베어링마개로 조여주는 것과 같이 측면에서 지지된다.
이동 파이프(21)와 이등분된 원추형체(45, 46) 사이에서 60°도의 구멍각을 가지는 합성 원료의 수송을 위해 동일한 원추형 콘베이어 틈(48)이 남아있다.
상기 콘베이어 틈(48)에서, 이등분으로 형성되어 각 한 부분이 두 원추형체(45, 46)에 고정되고 압출기의 인렛(23)을 위해 수송방향(28)으로 수송되어 틀어지는 콘베이어 날개(49)가 회전한다.
웜 파이프(22)의 인렛(23)에 플랜지 묶음(59)에 의해 마우스 피스(58)가 고정되어 설치되고 웜 파이프(22)의 인렛(23)의 그 내부 직영은 입출기 웜(8)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크고 외부 직영은 그 위에서 점차 줄어들고 둘레에서 간격을 두고 분할 설치된 테가 압출기 웜의 외부 직경을 가진다.
압출기 웜(8)은 기어(31)로부터 나와 구동파장(35)의 보링과 프로세서 드럼(3)을 관통해 운반되는 고정나사(47)로 조여진다.
합성 원료의 운반을 조정하기 위해 콘베이어 날개(49) 반대편 배달테(50)가 이동 파이프(21)로 삽입되고, 배달테는 운전되어 이동 파이프(21)에 조여진 반대 플레이트(51)로 수송되고 당김- 및 압박 나사로 이루어진 나사못 연접부 틈 위에서부터 합성 원료의 슬립이 조정되기까지 배달테(50)와 콘베이어 날개(49) 사이에서 배달될 수 있게 설치된다.
콘베이어 파이프(6)의 내부벽(24)에서 수송방향(28)으로 그리고 이러한 작용으로 영향받는 두 개의 통풍노즐(44)이 압력공기를 위해 가장 깊은 위치에 설치된다.
합성 원료는 처리장치(2)에 의해 처리되고, 상기 처리장치는 두 개의 나란히 놓여 있는 빗장(30)에 의해 형성되고, 빗장은 공급 구멍(11)의 모서리구멍(26)을 향해 아래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바닥 플레이트(7)에서 각각, 파이프 덮개(51)에서 받쳐지는, 기압식 에너지 실린더(27)에 의해 위치가 바뀐다.
합성 원료는 운송 샤프트(14) 위에서 비스듬한 앞벽(15)과 공급 구멍(11)으로 차단된 옆벽(16)과 함께 처리장치(2)에 수송된다.
콘베이어 파이프(6)는 떼어낼 수 있게 플랜지로 연결된, 가장 깊은 위치로부터 콘베이어 파이프(6) 둘레의 4분의 1 이상 회전방향(25)에 미치는, 파이프 조각(53)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처리장치의 변화에 있어, 압출기 웜이 그와 종축으로 기계적으로 결합된 콘베이어 웜(9)의 종축(17)에 대해 일직선상으로 설치되고 마찬가지 기어(31)의 한 측면으로부터 나와 고정나사(47)로 조여진다.
콘베이어 웜(9)은, 위를 향해 프로세서 드럼(3)의 콘베이어 파이프(6)쪽으로 개방되는, 웜 통(38)에 설치된다.
콘베이어 웜(9)의 자유 단부는 원추형체(45)를 형성하고 웜 파이프(22)의 임렛(23)에 미치게, 에워싸인 이동 파이프(21)에 원추형체 콘베이어 틈(48)을 준다.
콘베이어 웜(9)은 웜 통(38)에 연결된 실린더형 콘베이어 캔(57)의 압출기쪽 단부 영역의 기계틀(13)에서 받쳐지면서 운반된다.
콘베이어 웜(9) 위로 거리를 두고 프로세서 드럼(3)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별개의 기어(42)에 의해 별개의 드라이빙 모터(43) 위로 추진되면서 위치되고, 풀어서 열릴 수 있게 플랜지에 연결된 여과기조각(41)을 가진 수송파이프(6) 내에서 운행되고, 콘베이어 웜(9)의 웜통(38)의 통벽에서부터 프로세서 드럼(3)의 운행 방향(25)으로 콘베이어 웜(6) 둘레의 4분의 1 이상에 이른다.
분쇄된 합성 원료는 여과기조각(41)을 통과해 웜통(38)으로 떨어지고 콘베이어 웜(9)에 의해 압출기 웜(8)으로 운송된다.
배달테(50)는 본 발명의 첫 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 파이프(21)에 배치되고 콘베이어 웜(9)의 원추형으로 형성된 단부에 반대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다.
그밖에 건축요소는 본 발명의 처음 기술된 배열로부터 얻을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특히 처리장치(2)의 배열과 구성은 동일하다.

Claims (22)

  1. 처리장치 특히, 열가소성의 합성 원료를 위한 것으로서, 분쇄와 수송을 위한 분쇄 장치 또는 앞에 놓인 분쇄장치를 가진 특히, 움직일 수 있는 처리장치(2)를 가진 콘베이어 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연하게 하거나 또는 낟알 모양으로 하기 위하여 그리고 특히 응집 시키기 위하여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압출기 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압출기 장치에서 분쇄장치는 개별의 나이프를 이동시키는 프로세서 드럼(3)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콘베이어 장치는 콘베이어 웜(9) 또는 조합 두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콘베이어 장치는 원래 수평으로 배열된 콘베이어 파이프(6)에서 추진되면서 운행되고, 콘베이어 파이프는 위를 향해 위치된 공급 구멍(11)과 분쇄된 합성 원료를 위해 축을 향한 아울렛(10)을 갖추고 있고 프로세서 드럼(3) 또는 콘베이어 웜(9)은 압출기 웜(8)의 종축(20)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배열된 종축(17)과 그리고 프로세서 드럼(3) 또는 콘베이어 웜(9)은 압출기 웜(8)과 풀릴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서로서로 결합되어 있고 두 개는 기어(31)와 드라이빙 모터(34)와 공동으로 추진되고 콘베이어 파이프(6)의 아울렛(10)과 웜 파이프(22)의 인렛(23) 압출기 웜(8)의 축으로 차례차례 배열되어 이동파이프(21)를 지나 서로서로 결합하고, 이동파이프는 콘베이어 파이프(6)의 아울렛(10)의 한 측면에서 분쇄- 및/또는 콘베이어장치의 기계케이스(13)에 그리고 웜 압출기의 웜 파이프(22)의 인렛(23)의 한 측면에서는 이러한 것에 플랜지로 연결되는 처리장치로서, 이동파이프(21)와 기계케이스(13) 사이에서 축받이체(19)가 프로세서 드럼(3)의 압출기쪽 축받이(19)를위해 중간 연결되고, 그 내부의 축받이 부분(33)은 원래 프로세서 드럼(3)의 직경을 가지고 그 외부의 운반링(36)은 직경을 가지고, 운반링은 원래 콘베이어 파이프(6)의 내부직경에 상응하고 이때, 내부 축받이 부분(33)과 외부 운반링(36)은 더 많이 공기 저항을 가능한 한 더 적게 받도록 형성된 결합 버팀목(37)에 의해 지지되어 결합되거나 압출기쪽 단부영역의 콘베이어 웜(9)이 실린더형 운전캔(57)에서 지지되어 운전되고, 운전캔은 웜통(38)에 연결되어 배열되고/또는 압출기 웜(8)이 추가의 또는 압출기쪽 축받이(19) 대신에 프로세서 드럼(3)이 상기에 의해 변화된 단부에서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2. 상기 청구항에 있어, 도관(39)과 유도관(40)이 베어링의 공기세척과 윤활유 주유 도관을 위해 결합 버팀목(37)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3.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한편으로는 프로세서 드럼(3) 및/또는 콘베이어 장치(9) 사이에서 결합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풀릴 수 있는 결합에 의해 특히, 너트 및 쐐기형 스프링 결합으로 압출기 웜(8)이 생산되고, 이로 인해 압출기 웜(8)이 프로세서 드럼(3)의 압출기쪽 베어링(19)의 베어링 마개 내에 고정되고, 구동파장(35)에 의해 보링을 관통해서 안내되어 압출기 웜(8)으로 조여지는 고정 나사(47)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4.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한편으로는 프로세서 드럼(3) 및/또는콘베이어 장치(9) 사이에서 결합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풀릴 수 있는 결합에 의해 특히, 톱니바퀴 연결로 압출기 웜(8)이 생산되고, 이로 인해 압출기 웜(8)이 프로세서 드럼(3)의 압출기쪽 베어링(19)의 단부에서 베어링 보링내에 고정되고, 구동파장(35)에 의해 보링을 관통해서 안내되어 압출기 웜(8)으로 조여지는 또는 프로세서 드럼(3)과 압출기 웜(8)의 축을 향한 오른쪽 각에 삽입된 끼워 맞춤식 나사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 나사(47)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5.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이동 파이프(21)에, 프로세서 드럼(3)의 압출기쪽 베어링 마개와 풀릴 수 있게 결합되고 압출기 웜(8)의 측면에서 지지되는 원추형체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6.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이동 파이프(21)에 이등분된 원추형체가 배열되고, 그 베어링 쪽 원추형체(45)가 프로세서 드럼(3)의 압출기쪽 베어링 마개에서 특히, 너트 및 쐐기형 스프링 결합으로 고정되고 그 압출기쪽 원추형체(46)가 압출기 웜(8)에 자리하여 프로세서 드럼(3)의 압출기쪽 베어링 마개로 또는 콘베이어 웜(9)의 원추형체로, 또는 특히 베어링쪽 원추형체(45)와 함께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7.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원추형체 또는 이등분된 원추형체(45, 46)와 이동 파이프(21) 사이에서, 변함없는 너비 특히, 콘베이어 방향(28)으로 낮거나 또는 높아지는 너비를 가진, 그 안에서 적어도 콘베이어 날개(49)가 압출기의 웜 파이프(22)의 인렛(23)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추형의 콘베이어 틈(4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8.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원추의 콘베이어 틈(48)이 몇몇 도에서 90°도에 이르기까지 특히 20°도와 45°도 사이의 구멍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9.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적어도 하나의 콘베이어 날개(49)가 특히, 이등분되어 형성되어 원추형체의 두 부분(45, 46)에 설치된 두 개의 원추형체 중의 하나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10.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콘베이어 날개(49)에 특히, 그와 같은 두 부분에 반대로 놓인 배달테(50)가 이동 파이프(21)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11.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콘베이어 날개(49) 사이에서 특히, 그와 같은 두 부분과 배달테(50) 사이에서 약 0에 달하는 틈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12.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배달테(50)가 이동 파이프(21)에 고정된 반대 플레이트(51)에서 운전되어 특히, 이동 파이프(21)의 구멍을 통과해 배달될 수 있게 안내되어 고정되고 조여짐으로 특히 당김- 및 압박나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13.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압출기의 웜 파이프(22)의 인렛(23)에서 마우스 피스(58)가 십입되고, 그 내부 직경은 압출기 웜(8)의 외부직경보다 크고 콘베이어 방향(28)으로 압출기 웜(8)의 외부직경에까지 줄어들고 이때, 더 많은 테가 내부둘레 위에 분할되고, 원래 압출기 웜(8)의 외부직경을 마우스 피스의 길이 위로 자유롭게 미치고 특히 마우스 피스(58)의 시작에서 경사면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14.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프로세서 드럼(3)의 콘베이어 파이프(6)의 내부 벽(24)에 특히, 가장 깊은 위치에서 콘베이어의 축 방향(28)으로 작용하고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는 더 많은 통풍 노즐(44)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15.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프로세서 드럼(3)이 압출기 웜(8)과 일직선 상으로 결합된 콘베이어 웜(9)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특히, 콘베이어 웜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콘베이어 웜(9)을 향해 아래로 풀릴 수 있도록 배치된 여과기 조각(41)으로 덮혀지고, 여과기 조각은 프로세서 드럼(3)의 4분의 1이하를 에워싸고 특히, 프로세서 드럼(3)의 콘베이어 파이프(6)을 향해 개방되는 웜 통(38)의 통벽에 의해 프로세서 드럼(3)의 회전방향(25)으로 꽂혀지고, 프로세서 드럼(3)이 별개의 기어(42)에 의해 특히 톱니벨트전동에 의해 그리고 무엇보다도 별개의 드라이빙 모터(43)에 의해 추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16.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프로세서 드럼(3)의 콘베이어 파이프(6)가 떼어낼 수 있게 조여진, 적어도 둘레의 4분의 1 이상에 달하는 특히, 콘베이어 파이프(6)의 가장 깊은 위치에서부터 프로세서 드럼(3)의 회전방향(25)에 달하는 파이프 조각(53)으로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17.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프로세서 드럼(3) 상에 나이프(4)가 더 많은 특히, 3개의, 열로 분할되어 그리고 축 방향(20)으로 아래로 나란히 그 둘레에서 위치를 바꾸면서 배열되어 조여지고 적어도 하나의 내장된 반대 나이프(5)와 함께, 프로세서 드럼(3)의 콘베이어 파이프(6)의 공급 구멍(11)의 구멍 모서리(26)에 배열되는 이러한 것들이 함께 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18.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프로세서 드럼(3)의 처리장치(2)가 적어도 하나의 특히, 두 개의 나란히 놓여진, 각각이 파이프 덮개(52)에서 받쳐지거나 전기 동력으로 기압의 또는 수력 에너지 실린더(27) 빗장(30)중의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19.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프로세서 드럼(3)의 공급 구멍(11)이 적어도 콘베이어 파이프(6)의 약 4분의 1 이상, 위에서부터 그 중앙에까지 아래로 덮는 그리고 축 방향(20)으로, 원래, 이동된 처리장치(2)의 빗장(30)이 합성원료를 배달하는 프로세서 드럼(3)의 길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20.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콘베이어 파이프(6)의 공급 구멍(11)에, 공급 구멍(11)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프로세서 드럼(3)의 회전방향(25)으로 뒤에 배열된 구멍 모서리(26)에서 공급 구멍(11)의 전체 길이에 까지 미치는 바닥 플레이트(7)로 잠겨지는, 배달 샤프트(14)가 미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21.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각각, 기압식 또는 수력 에너지 실린더(27) 또는 전기 동력 특히, 기압식 전기 또는 수력 전기로 제어되는 압력설비 위로 이동되는, 빗장(30)이 조절될 수 있는 프레스 에너지를 공급된 합성 원료에 사용하고 이때, 빗장(30)의 프레스 에너지는 수용능력에 따라 특히, 압출기 웜(8)과 프로세서 드럼(3) 및/또는 콘베이어 웜(9)의 드라이빙 모터(34)의 전류수용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22. 상기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프로세서 드럼(3)의 회전수가 합성 원료의 온도에 좌우되어 콘베이어 파이프(6) 또는 콘베이어 통(38)의 아울렛(10)에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KR20027008290A 1999-12-27 2000-12-27 합성 원료의 처리 장치 KR100836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2193/99 1999-12-27
AT0219399A AT413354B (de) 1999-12-27 1999-12-27 Aufbereitungsvorrichtung für kunststoff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875A true KR20020086875A (ko) 2002-11-20
KR100836071B1 KR100836071B1 (ko) 2008-06-09

Family

ID=352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7008290A KR100836071B1 (ko) 1999-12-27 2000-12-27 합성 원료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877685B2 (ko)
EP (1) EP1263558B1 (ko)
JP (1) JP5069835B2 (ko)
KR (1) KR100836071B1 (ko)
AT (2) AT413354B (ko)
AU (1) AU2843601A (ko)
DE (1) DE50009243D1 (ko)
ES (1) ES2233500T3 (ko)
TR (1) TR200201671T2 (ko)
WO (1) WO2001047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7344B2 (en) 2002-03-12 2006-07-18 Starlinger & Co. Gesellschaft M.B.H. Device for the comminution of materials
AT411662B (de) * 2002-03-12 2004-04-26 Starlinger & Co Gmbh Vorrichtung zur zerkleinerung von materialien
JP4064308B2 (ja) * 2002-07-17 2008-03-19 鈴鹿エンヂニヤリング株式会社 ゴム練り機
AT413512B (de) * 2003-06-05 2006-03-15 Helmut Bacher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kunststoffmaterial zu recyclingzwecken
AT413511B (de) * 2003-06-05 2006-03-15 Bacher Helmut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kunststoffmaterial zu recyclingzwecken
JP4928814B2 (ja) * 2006-03-30 2012-05-09 萩原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材料のスクリュー押出機
US7832666B2 (en) * 2007-04-26 2010-11-16 Chudy Group, LLC Article-de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rticle destruction
SE532784C2 (sv) * 2008-07-09 2010-04-06 Rapid Granulator Ab Kvarnhus samt förfarande för montering och demontering av en kniv i detta.
DE202008016119U1 (de) 2008-12-04 2009-03-12 Jordan, Joachim, Dipl.-Ing.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Formlingen aus einem formbaren Material, insbesondere Biomassen
AT507971B1 (de) * 2009-02-03 2010-11-15 Starlinger & Co Gmbh Kunststoff-extruder
CN103396584B (zh) * 2013-07-29 2016-06-22 江苏中宏环保科技有限公司 废旧橡胶脱硫塑化装置
AT517756B1 (de) * 2015-09-22 2017-11-15 Next Generation Recyclingmaschin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mit einer Blasvorrichtung für eine Transportschnecke
AT517755A1 (de) * 2015-09-22 2017-04-15 Next Generation Recyclingmaschine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erarbeitung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mit einer verbesserten Zerkleinerungs-/Transportvorrichtung
CN108284537B (zh) * 2018-03-28 2023-11-07 南京杰恩特机电有限公司 水下切粒机的气动调节刀杆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71973B (de) * 1962-12-20 1968-07-04 Barmag Barmer Maschf Kontinuierlich arbeitende Schneckenpresse fuer thermoplastische Kunststoffe von extrem geringem Schuettgewicht
US3288443A (en) * 1964-07-27 1966-11-29 Marco Dev Co Inc Device for mixing and feeding
US3938783A (en) * 1970-10-30 1976-02-17 The Upjohn Company Method for continuous mixing of foam materials
DE2112306A1 (de) 1971-03-15 1972-09-21 Alpine Ag Einzugszone eines Kurzschnecken-Extruders
US3843100A (en) * 1972-07-13 1974-10-22 Owens Corning Fiberglas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solids and liquids
DE2240689B2 (de) * 1972-08-18 1978-07-06 7988 Wangen Vorrichtung zum Zerkleinern und Weiterfördern von in kompakter Form zugeführten Massen wie Filterkuchen
DE2351328A1 (de) 1973-10-12 1975-04-24 Ver Foerderung Inst Kunststoff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verarbeiten von zuvor unzerkleinerte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abfaellen (altmaterial) in einschnecken-extrudern
JPS5348232B2 (ko) * 1974-11-15 1978-12-27
US4058298A (en) * 1977-01-05 1977-11-15 Midland-Ross Corporation Screw extruder with an enlarged feed section
DE2842162A1 (de) * 1978-09-28 1980-04-17 Anton Kolb Maschinenbau Aufbereitungsvorrichtung fuer abfaelle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FR2469956A1 (fr) * 1979-11-22 1981-05-29 Iozzelli Adriano Machine de fragmentation a deux etages pour viande congelee
JPS6310253Y2 (ko) * 1985-09-02 1988-03-28
AT387747B (de) * 1986-10-10 1989-03-10 Erema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kunststoffgut
JPH0628244Y2 (ja) * 1990-02-09 1994-08-03 駿河精機株式会社 発泡プラスチックの減容機
US5289978A (en) * 1991-07-08 1994-03-01 Lundquist Lynn C Apparatus for continuous container label removal
AT396900B (de) * 1992-03-19 1993-12-27 Erema Vorrichtung zum vorbehandel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5783225A (en) * 1993-12-21 1998-07-21 Bacher; Helmut Apparatus for processing thermoplastic synthetic plastics material
US5462238A (en) * 1994-03-17 1995-10-31 Guaranteed Baffle C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hredding insulation
AT407234B (de) * 1996-10-14 2001-01-25 Gerold Ing Barth Aufbereitungsvorrichtung zum zerkleinern und förder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material
US6126100A (en) * 1996-10-14 2000-10-03 Barth; Gerold Processing device for crushing, conveying and plastifying thermoplastic synthetic material
WO1999061213A1 (fr) * 1998-05-25 1999-12-02 Sato Iron Works Co., Ltd. Dispositif de petrissage du type faible friction
CN2409411Y (zh) * 2000-02-13 2000-12-06 夺霸有限公司 提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47678A1 (de) 2001-07-05
JP2003518448A (ja) 2003-06-10
ATE286803T1 (de) 2005-01-15
JP5069835B2 (ja) 2012-11-07
US20030015612A1 (en) 2003-01-23
EP1263558A1 (de) 2002-12-11
ES2233500T3 (es) 2005-06-16
US6877685B2 (en) 2005-04-12
KR100836071B1 (ko) 2008-06-09
AU2843601A (en) 2001-07-09
TR200201671T2 (tr) 2002-10-21
AT413354B (de) 2006-02-15
EP1263558B1 (de) 2005-01-12
DE50009243D1 (de) 2005-02-17
ATA219399A (de) 200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6875A (ko) 합성 원료 처리 장치
CN100421896C (zh) 用于处理热塑性合成塑料材料的装置
US5299888A (e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discharging bulk materials
US6527206B1 (en) Method for processing mixed waste, processing plant and buffer silos therefor
CN1086335C (zh) 对热塑性塑料材料粉碎,输送和塑化加工的加工装置
US20130119575A1 (en) Plastic Waste Recycling Apparatus and System
KR20170035034A (ko)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폐기물 처리시스템
US20060292259A1 (en) Device for preparation of plastic materials for recycling purposes
KR101272172B1 (ko) 알피에프 제조 시스템
CN209758439U (zh) 供料管及自动供料设备
CN105856455A (zh) 流速控制多转鼓式薄膜类废旧塑料回收再利用系统
KR101897497B1 (ko) 롤 베일용 조사료 파쇄유닛이 구비된 스크류컨베이어
CN210700544U (zh) 一种用于农产品加工的快速粉碎装置
KR101797087B1 (ko) 고춧가루 뭉침 방지구조를 갖는 이단 고추 분쇄장치
CN208103410U (zh) 一种避免堵塞的进料装置
CN205659764U (zh) 工程物料破碎输送混合配比系统
CN206139633U (zh) 一种将餐厨垃圾用于昆虫饲养的垃圾预处理系统
CN214682004U (zh) 一种保温材料加工废料回收装置
CN219636170U (zh) 一种塑料颗粒螺旋上料装置
KR101819428B1 (ko) 일체형 파분쇄기 장치의 양축방식 분쇄기 장치
CN212702283U (zh) 一种粉碎上料装置
KR20080002648A (ko) 벌크 물질 파쇄기
CN217774328U (zh) 沥青卷材废料处理装置
CN218878463U (zh) 一种防堵型石膏原料输送用提升装置
CN109331982A (zh) 一种坚果粉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