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446Y1 - 스테플러 - Google Patents

스테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446Y1
KR200304446Y1 KR20-2002-0033492U KR20020033492U KR200304446Y1 KR 200304446 Y1 KR200304446 Y1 KR 200304446Y1 KR 20020033492 U KR20020033492 U KR 20020033492U KR 200304446 Y1 KR200304446 Y1 KR 2003044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ase
coupled
hooks
ro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무
Original Assignee
김학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무 filed Critical 김학무
Priority to KR20-2002-0033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4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4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4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5/00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 B25C5/02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Hand-held power-operated stapling tools; Staple feeding devic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B25C5/0221Stapling tools of the table model type, i.e. tools supported by a table or the work dur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크a, b(30, 34)가 하강할 때 2개의 클립(52)이 클립뭉치(16)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면서 용지(39)에 결합되게 하므로써, 묶음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도록 하면서 사용상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수납케이스(2)와, 상기 수납케이스(2) 후미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힌지핀(24)과, 상기 수납케이스(2) 상부에 위치하면서 힌지핀(24)에 결합되는 헤드(26)와, 상기 수납케이스(2) 하부에 위치하면서 힌지핀(24)에 결합되는 테이블(40)과, 상기 수납케이스(2) 바닥면(8)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봉(14)과, 상기 봉(14)에 결합되는 스프링(22)과, 상기 스프링(22) 선단부에 위치하면서 봉(14)에 슬립되게 결합되는 매스(18)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헤드(26) 내부에 후크a, b(30, 34)가 간격을 두면서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크a, b(30, 34)가 하강하는 위치선에 투출구a, b(4, 6)가 수납케이스(2) 바닥면(8)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a, b(30, 34)가 하강하는 위치선에 홈a, b(44, 46)가 테이블(40)상에 형성되는 스테플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테플러{Stapler}
본 고안은 스테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크가 하강할 때 2개의 클립이 클립뭉치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면서 용지에 결합되게 하므로써, 묶음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도록 하면서 사용상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게 한 스테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플러는 낱개로 이루어진 여러장의 용지를 하나로 묶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같은 분류로 된 문서를 하나의 묶음으로 된 파일로 만들때 사용하는 데,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스테플러는 클립뭉치로부터 분리되는 클립이 용지에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면서, 용지가 파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최근에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기술은 대체적으로 클립뭉치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된 수납케이스가 가이드역할을 하는 투출구를 선단부에 형성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 내부에는 종 방향으로 봉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봉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 선단부에는 수납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클립뭉치 후단부를 밀어주는 매스가 위치하면서 상기 봉에 슬립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케이스 후단부에는 힌지핀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결합되고, 상기 힌지핀에 헤드가 후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면서 수납케이스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헤드 선단부 내측에는 투출구가 하강하는 위치선에 후크가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힌지핀에 테이블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수납케이스 하부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테이블 선단부에는 후크가 하강하는 위치선에 배치한 홈을 형성한 홀더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낱장으로 된 여러장의 용지를 정렬하여 테이블과 수납케이스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헤드를 가압하면, 상기 헤드 하단부가 수납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면서 클립뭉치 상단부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클립뭉치로부터 클립 하나가 분리되면서 투출구를 통하여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강하는 클립은 용지를 관통하면서 홀더에 형성된 홈에 도달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클립 하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끝단부가 용지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 상부는 용지 상부에 밀착하여 있게 되고, 중간부는 용지를 관통하면서 결합되며, 하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용지에 밀착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클립은 전체적으로 용지를 묶어 고정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작업이 종료되면 후크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매스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봉을 따라 전진하면서 클립뭉치를 밀어 수납케이스 전면에 밀착시켜 최초와 같은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후크가 하강할 때 하나의 클립만이 클립뭉치로부터 분리되어 용지에 결합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용지를 결합하고자 할 경우에는 재차 클립을 용지에 결합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또한 용지에 하나의 클립만이 결합될 경우에는, 묶음 바깥에 위치한 용지가반복적으로 넘겨지게 되면 클립에 결합된 부분이 손상되면서 단락되어, 상기 용지가 종종 분실되는 결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고자 사용자는 스테플러를 2번 작동시켜 2개의 클립을 각각 용지에 결합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후크가 하강할 때 2개의 클립이 클립뭉치로부터 동시에 분리되면서 용지에 결합되게 하므로써, 묶음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도록 하면서 사용상 편리함이 제공될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을 형성하는 스테플러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인 후크가 헤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인 투출구와 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이 용지에 결합된 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인 테이블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수납케이스 4:투출구a 6:투출구b 8:바닥면
10,12:브래킷 14:봉 16:클립뭉치 18:매스
20:노브 22:스프링 24:힌지핀 26:헤드
28,50:스프링판 30:후크a 32:결합공 34:후크b
36:프레스 38:로드 39:용지 40:테이블
42:고정판 44,56:홈a 46,58:홈b 48,54:홀더
52:클립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된 수납케이스(2)와, 상기 수납케이스(2) 후미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힌지핀(24)과, 상기 수납케이스(2) 상부에 위치하면서 힌지핀(24)에 결합되는 헤드(26)와, 상기 수납케이스(2) 하부에 위치하면서 힌지핀(24)에 결합되는 테이블(40)과, 상기 수납케이스(2) 바닥면(8)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봉(14)과, 상기 봉(14)에 결합되는 스프링(22)과, 상기 스프링(22) 선단부에 위치하면서 봉(14)에 슬립되게 결합되는 매스(18)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헤드(26) 내부에 후크a, b(30, 34)가 간격을 두면서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크a, b(30, 34)가 하강하는 위치선에 투출구a, b(4, 6)가 수납케이스(2) 바닥면(8)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a, b(30, 34)가 하강하는 위치선에 홈a, b(44, 46)가 테이블(40)상에 형성되는 스테플러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함 형상의 수납케이스(2)(도1참조)가 직사각형 모양을 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2) 앞측에는 2개의 투출구a, b(4, 6)가 종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면서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케이스(2)의 바닥면(8) 앞, 뒤측에 브래킷(10, 12)이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브래킷(10, 12)에는 봉(14)이 종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결합되며, 상기 봉(14)에는 수납케이스(2) 내부에 장착되는 클립뭉치(16) 후단부를 밀어주는 매스(18)가 상단부에 노브(20)를 형성하면서 슬립 결합되고, 상기 매스 (18) 후단부에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2)이 위치하면서 봉(14)에 결합된다.
이와 함께 상기 수납케이스(2) 후단부에는 힌지핀(24)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결합되고, 상기 힌지핀(24)에는 헤드(26)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수납케이스(2) 상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26)(도2참조) 내부에는 스프링판(28)이 고정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스프링판(28) 선단부에는 후크a(30)와 결합공(32)을 형성한 후크b(34)가 각각 종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직사각형 모양으로 수직 절곡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후크a, b(30, 34)의 위치는 상기 투출구a, b(4, 6)(도1참조)가 위치하는 선상에 배치 된다.
상기 스프링판(28) 후단부에는 "ㄷ"자로 절곡되면서 직사각형 모양을 한 프레스(36)(도2참조)가 상기 후크b(34)의 결합공(32)에 선단부를 결합하며 설치되고, 후단부는 상기 힌지핀(24)(도1참조)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헤드(26) 내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스(36)와 수납케이스(2) 사이에 판 형상으로 된 로드(38)가 설치되는데, 상기 로드(38) 선단부는 매스(18)의 노브(20)에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프레스(3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수납케이스(2) 하부에는 용지(39)(도5참조)를 바쳐주는 테이블 (40)(도1참조)이 후단부를 힌지핀(24)에 결합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40) 상부에는 고정판(42)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고정판(42) 선단부에는 종방향으로 홈a, b(44, 46)를 형성한 홀더(48)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42) 후단부에는 스프링판(50)이 수납케이스(2) 저면부를 바쳐주면서 설치된다.
이때 종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홈a, b(44, 46)는, 상기 후크a, b(30, 34)가 하강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거나 형성되는 후크a,b(30,34)와 투출구a,b(4,6), 그리고 홈a,b(44,46)는 종방향으로 다수개 설치하거나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는 클립(52)이 낙하하면서 외측으로 벌려지도록 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인 홀더(54)가 구성되는데, 상기 홀더(54)에는 홈c,d(56,58)가 종 방향으로 간격을 두면서 형성된다.
이때 홈c,d(56,58)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홈 간격은, 전술한 홈c,d (44,46) 각각에 형성되는 한 쌍의 홈 간격 보다는 거리를 크게 두어 클립(52)이 외측으로 벌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미 설명 부호는 52:클립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납케이스(2)(도1참조) 내부에 클립뭉치(16)를 장착하고 테이블 (40)상에 용지(39)(도5참조)를 위치시킨 다음 헤드(26)(도1참조)를 가압하면 프레스(36)와 함께 힌지핀(2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로드(38) 선단부는 노브(20)로부터 이탈하면서 수납케이스(2) 앞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로드(38) 후단부는 프레스(36)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하게 되며, 이와 함께 상기 프레스 (36)는 하강하여 클립뭉치(16)상에 위치하게 된다.
계속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26)가 하강하면 프레스(36)는 스프링판(28)을 누르면서 클립뭉치(16)상에 밀착하게 되고, 동시에 수납케이스(2) 는 힌지핀(24)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스프링판(50)을 가압하며 저부가 테이블(40) 상에 위치한 용지(39)(도5참조) 위에 밀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a, b(30, 34)(도1참조)는 클립뭉치(16) 상단부 일부를 가압하여 클립(52)(도5참조)을 분리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분리되는 클립(52)은 투출구a, b(4, 6)(도1참조)를 통하여 동시에 하강하면서 테이블(40)상에 위치한 용지(39)에 도 5와 같이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립(52) 상단부는 용지(39)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중간부는 용지(39)를 관통하면서 결합되여 고정되는 상태가 되며, 하단부는 상기 용지(39)를 관통하여 홀더(48)(도1참조)에 형성된 홀a, b(44, 46)로 각각 유입되는 동시에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용지(39)(도5참조)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립뭉치(16)(도1참조)로부터 분리된 2개의 클립(52)은 용지 (39)(도5참조)를 관통하면서 결합되어 상기 용지(39)가 묶음을 이루게 한다.
한편 상기 헤드(26)(도1참조)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면 테이블(40)에 설치된 스프링판(50)이 반발하면서 수납케이스(2)를 힌지핀(24) 중심으로 회동시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동시에 헤드(26)에 설치된 스프링판(28)이 반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반발하는 스프링판(28)은 프레스(36) 상부를 가압하여 클립뭉치 (16)상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헤드(26)를 수납케이스(2)로부터 이격시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헤드(26)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면 후크a, b(30, 34)가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상기 후크a, b(30, 34)는 홈a, b(44, 46)와 투출구a, b(4, 6) 그리고 클립뭉치(1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헤드(26)와 함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a, b(30, 34)가 자리한 클립뭉치(16)에는 공간이 형성되지만 매스(18)가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봉(14)을 따라 전진하여 클립뭉치(16) 후미를 밀게 되므로, 상기 후크a, b(30, 34)가 위치한 자리를 다른 클립(52)이 채우게 되어 최초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는 달리 후크a, b(30, 34) 여러개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후크a, b(30, 34) 여러개가 동일하게 하강하면서 클립뭉치(16)로부터 클립 (52) 여러개를 동시에 분리시켜 여러개의 투출구a,b(4,6)를 통과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홈a,b(44,46)를 종방향으로 여러개 형성한 홀더(48)에 상기 클립(52) 여러개가 동시에 낙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절곡되면서 용지(39)를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후크a,b(30,34)가 하강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클립(52)을 홀더(54)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홈c,d(56,58)로 낙하시키면, 상기 클립(52) 2개가 동시에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용지(39)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2개의 후크a, b가 설치되어 있어서 2개의 클립을 용지에 동시 결합하여 고정시키게 되므로 묶음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되는 장점이 있고, 또한 사용상 편리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된 수납케이스(2)와, 상기 수납케이스(2) 후미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는 힌지핀(24)과, 상기 수납케이스(2) 상부에 위치하면서 힌지핀(24)에 결합되는 헤드(26)와, 상기 수납케이스(2) 하부에 위치하면서 힌지핀(24)에 결합되는 테이블(40)과, 상기 수납케이스(2) 바닥면(8)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봉(14)과, 상기 봉(14)에 결합되는 스프링(22)과, 상기 스프링(22) 선단부에 위치하면서 봉(14)에 슬립되게 결합되는 매스(18)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헤드(26) 내부에 후크a, b(30, 34)가 간격을 두면서 각각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크a, b(30, 34)가 하강하는 위치선에 투출구a, b(4, 6)가 수납케이스(2) 바닥면(8)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a, b(30, 34)가 하강하는 위치선에 홈a, b(44, 46)가 테이블(40)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테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a, b(30, 34)가 하강하면 클립뭉치(16)로부터 클립(52) 2개가 동시에 분리되면서 투출구a, b(4, 6)를 통하여 홈a, b(44, 46)로 낙하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테플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26) 내부에 후크a,b(30,34) 여러개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면서각각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후크a,b(30,34)가 하강하는 위치선에 투출구a,b (4,6) 여러개가 수납케이스(2) 바닥면(8)에 종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a,b(30,34) 여러개가 하강하는 위치선에 홈a,b(44,46) 여러개가 테이블(40)상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스테플러.
KR20-2002-0033492U 2002-11-08 2002-11-08 스테플러 KR2003044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492U KR200304446Y1 (ko) 2002-11-08 2002-11-08 스테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492U KR200304446Y1 (ko) 2002-11-08 2002-11-08 스테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446Y1 true KR200304446Y1 (ko) 2003-02-15

Family

ID=49400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492U KR200304446Y1 (ko) 2002-11-08 2002-11-08 스테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4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4868B1 (en) Detachable pan handle structure
US7108165B2 (en) Stapler capable of cutting staple legs one after another
US5931365A (en) Stapler having two magazines using staples with different sizes
US6209772B1 (en) Structure of the stapler
US5683218A (en) Jig for perforating paper sheets and binding those on a ring binder
US7305741B2 (en) Binder clip
KR200304446Y1 (ko) 스테플러
KR930003072Y1 (ko) 클립 드라이버
KR200347477Y1 (ko) 스테플러
US6981626B1 (en) Stapler with a leg-cutting device
KR100907211B1 (ko) 천공거리조절용 받침대를 구비한 펀치
KR101037799B1 (ko) 펀치
KR200388594Y1 (ko) 날클립 디스펜서가 설치된 호치키스
KR200250274Y1 (ko) 사무용 펀치
KR200367738Y1 (ko) 스테플러를 이용한 제본기
KR100891207B1 (ko) 스테플러
JP3718217B1 (ja) 差込口の上方にパンチを設けたクリップ装着器
RU73817U1 (ru) Скобкосшиватель
KR20000046780A (ko) 외과용 봉합기
JP3107691U (ja) ステープル引抜き器
KR101575074B1 (ko) 스테이플러
JP4028585B1 (ja) パンチ器具
KR200336484Y1 (ko) 서류클립
US6971569B1 (en) Staple extractor structure
JP2007203518A (ja) 綴じ具及びそれを備えたファイリング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