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271Y1 -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4271Y1 KR200304271Y1 KR20-2002-0033435U KR20020033435U KR200304271Y1 KR 200304271 Y1 KR200304271 Y1 KR 200304271Y1 KR 20020033435 U KR20020033435 U KR 20020033435U KR 200304271 Y1 KR200304271 Y1 KR 2003042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umidity
- humidifier
- dehumidifier
- electronic controll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1 dehum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수기에 실내 공기중의 습기를 흡수하는 제습기와 실내의 공기 중에 습기를 제공하는 가습기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습기와 가습기의 온/오프제어스위치가 전자제어기에 연결되어 제어되며, 상기 전자제어기에는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제어센서가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정수기와 제습기 사이에 물저장탱크가 설치되고, 이 물저장탱크에 수도공급관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전자제어기를 통해 실내의 원하는 습도를 세팅시키면, 습도감지센서가 실내습도를 감지하여 제습기와 가습기를 선택적으로 가동시켜 실내의 습도가 항상 일정치를 유지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실내의 공기 중에 함유된 습기를 포집하여 정수한 다음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가습기 또는 음료용을 배출할 수 있게 된 것으로서, 전자제어기에 세팅된 습도치에 따라 제습기와 가습기의 가동이 선택적으로 제어되어지게 함으로써 항상 실내의 습도를 정수된 물의 가습에 의해 일정수준으로 유지시켜 줄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기의 정수기능을 사용하여 실내의 공기 중에 함유된 습기를 포집한 다음, 정수하여 가습 또는 음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연의 오염으로 인해 지하수나 수돗물을 자연그대로의 상태로 마실 수가 없는 상태가 되자, 지하수나 수돗물 등을 정수하여 마시고 있는 바, 이에 따라 간이정수기가 가정이나 공공의 장소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통상의 정수기는 대개 수도관과 직접 연결시켜 수돗물을 항상 공급받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수콕을 개방시키면 정수된 물이 배출되게 되게 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정수기는 원래 단순히 수돗물 등을 여과 처리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능만을 갖추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상의 제한을 받는 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기존의 일반적인 정수기에 냉온수처리기능을 부가하여 정수된 물을 즉각적으로 차가운 냉수 또는 고온의 온수로 인출할 수 있게 한 정수기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냉온수 정수기에 가습기능을 추가하여 냉온수기에서 사용하는 전원으로 가습기를 작동시킴으로써 실내를 가습시켜 줄 수 있게 한 정수기도 제안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습기능을 갖춘 정수기는 단순히 가습기능만을 갖출 뿐이므로, 실내의 습도를 제어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수분을 실내의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기능만 있을 뿐이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 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여름과 같은 날씨의 경우에는 실내의 습도가 높아 가습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무용지물이 되는 현상이 있다.
한편, 여름철의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하는 에어컨을 가동시키면, 실내의 공기가 순환할 때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응축수를 가습기의 물공급원으로 사용하게 하는 한편,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물이 정수기를 통하여 정화된 다음 가습기로 공급되어지게 한 "가습겸용 공기조화기"라는 장치가 특허공고 제 1995 - 8736 호로 제안된 것이 있다.
그런데, 상기 발명의 장치는 에어컨의 일부분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면서 에어컨의 기능을 확대시키기는 하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가습을 하기 위해서는 많은 전력을 소요하는 에어컨을 작동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통상 에어컨을 사용하는 여름철에는 습도가 높기 때문에 가습기를 사용할 필요가 거의 없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
기타 다른 발명으로서 공기건조기(에어 드라이어)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정수기의 물공급원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등의 장치가 있었으나, 이들 장치들은 모두 실내의 공기습도를 적극적으로 제어하여 원하는 바의 습도를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갖추기 못할 뿐만 아니라, 특히 정수기에 제습 및 가습기능이 함께 설치되어 실내의 습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은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가정이나 공공건물에 사용하는 간이식 정수기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실내의 습도를 원하는 바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면서 정수기의 기능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치는, 본 고안은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수기에 실내 공기중의 습기를 흡수하는 제습기와 실내의 공기 중에 습기를 제공하는 가습기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습기와 가습기의 온/오프제어스위치가 전자제어기에 연결되어 제어되며, 상기 전자제어기에는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제어센서가 연결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정수기와 제습기 사이에 물저장탱크가 설치되고, 이 물저장탱크에 수도공급관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전자제어기를 통해 실내의 원하는 습도를 세팅시키면, 습도감지센서가 실내습도를 감지하여 제습기와 가습기를 선택적으로 가동시켜 실내의 습도가 항상 일정치를 유지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실내의 공기 중에 함유된 습기를 포집하여 정수한 다음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가습기 또는 음료용을 배출할 수 있게 된 것으로서, 전자제어기에 세팅된 습도치에 따라 제습기와 가습기의 가동이 선택적을 제어되어지게 함으로써 항상 실내의 습도를 정수된 물의 가습에 의해 일정수준으로 유지시켜 줄 수가 있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라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정수기 3 - 제습기
5 - 가습기 7 - 제어스위치
9 - 제어스위치 11 - 전자제어기
13 - 습도감지센서 15 - 물저장탱크
17 - 수도공급관 19 - 수증기배출관
21 - 공기청정기 23 - 음이온 발생기
25 - 배수관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정수기(1)에 실내 공기중의 습기를 흡수하는 제습기(3)와 실내의 공기 중에 습기를 제공하는 가습기(5)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습기(3)의 제어스위치(7)와 가습기(5)의 제어스위치(9)가 전자제어기(11)에 연결되어 제어되며, 상기 전자제어기(11)에는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제어센서(13)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정수기(1)와 제습기(3) 사이에 물저장탱크(15)를 설치할 수가 있는 바, 상기 물저장탱크(15)는 제습기(3)가 가동될 때 발생한 물을 저장하여 정수기(1)에서 물이 필요할 때 공급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물저장탱크(15)에 외부의 물을 주입하는 수도공급관(17)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바, 상기 제습기(3)에서 제습된 물이 가습기(5)와 정수기(1)에서 소요되는 물의 양보다 적은 경우에 상기 수도공급관(17)을 통하여 외부에서 물을 보충하여 주입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 전자제어기(11)에 습도세팅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실내의 공기습도를 원하는 상태로 세팅시켜 줄 수가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전자제어기(11)에 구비된 습도세팅수단을 통하여 원하는 바의 습도를 세팅시켜 주면, 습도감지센서(13)가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여 부합하는 전기신호를 전자제어기(11)에 인가하고, 그 인가된 신호값이 세팅된 값보다 적을 경우에는 제습기(3)의 가동은 중지시키는 한편 가습기(5)를 가동시킨다.
이때, 가습기(5)에 필요한 물은 물저장탱크(15)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정수기(1)를 통과하면서 여과 정수되어진 후 공급되어지게 되므로, 가습기(5)에서 배출되는 수증기에 인체에 유해한 세균 등이 함유되지 않게 할 수가 있어 위생 및 건강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한편, 상기 가습기(5)의 수증기배출관(19)에 공기청정기(21)와 음이온 발생기(23) 등을 부가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기구들을 부가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가습기(5)에서 배출되는 수증기의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가 있다.
상기의 경우와는 반대로, 센서(13)에 의해 감지되는 습도값이 전자제어기(11)에 세팅된 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가습기(5)의 가동을 중지시키고, 제습기(3)만을 가동시켜 실내의 공기 중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하여 응축한 후 물저장탱크(15)에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가습기(5)와 제습기(3)가 필요에 따라 온/오프되면서 실내의 공기 중에 수증기를 공급하거나 흡수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양의 수분이 유지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겨울철이나 여름철과 같이 공기중의 습도가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제습기(3) 또는 가습기(5)가 지속적으로 작동하면서 실내의 공기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 줄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제습기(3)가 가동하지 않고 가습기(5)만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제습기능을 통하여 얻어지는 물이 없으므로, 상기 물저장탱크(15)에는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가습기(5)에는 계속하여 물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배수관(25)을 통하여 여과 정수된 물을 인출하여 먹거나 사용하는 경우에도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부와 연결된 수도공급관(17)을 통하여 외부에서 물을 추가로 공급받아 가습기(5)에 필요한 물을 공급해 줄뿐만 아니라 배수관(25)을 통하여 물을 인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가습기(5)에 비해 제습기(3)가 더 많이 가동하게 되는 경우에는 물저장탱크(15)에 많은 양의 물이 저장되어 있게 되는 바, 상기 수도공급관(17)을 통하여 외부의 물을 공급받지 않고서도 배수관(25)을 통하여 물을 인출할 수가 있게 된다.
물론, 상기의 설명으로 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습기와 가습기를 동시에 가동시켜 공기중에 함유된 불순물을 정수기의 필터로 여과한 후 다시 가습시킴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는 정수기에 제습기와 가습기가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제습기와 가습기가 습도를 세팅시킬 수 있는 전자제어기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어지게 되어 있으므로, 항상 실내의 습도를 원하는 바의 상태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에서 여과된 물을 가습기에 공급하게 되어있으므로, 깨끗한 물로 가습할 수가 있어 위생상의문제를 야기하지 않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가정이나 공공건물 등에 설치되는 소형 정수기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면서, 제습기를 통해 습득된 물을 정수기에서 정수한 후 다시 가습기에 사용하거나 음용할 수도 있어 편리함을 도모할 수가 있고, 정수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 정수기(1)에 실내 공기중의 습기를 흡수하는 제습기(3)와 실내의 공기 중에 습기를 제공하는 가습기(5)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습기(3)의 제어스위치(7)와 가습기(5)의 제어스위치(9)가 전자제어기(11)에 연결되어 제어되며, 상기 전자제어기(11)에는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제어센서(13)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1)와 제습기(3) 사이에 물저장탱크(1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탱크(15)에 외부의 물을 주입하는 수도공급관(17)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5)의 수증기배출관(19)에 공기청정기(21)와 음이온 발생기(23)가 선택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3435U KR200304271Y1 (ko) | 2002-11-08 | 2002-11-08 |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33435U KR200304271Y1 (ko) | 2002-11-08 | 2002-11-08 |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4271Y1 true KR200304271Y1 (ko) | 2003-02-15 |
Family
ID=4940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33435U KR200304271Y1 (ko) | 2002-11-08 | 2002-11-08 |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4271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32635A1 (en) * | 2005-09-12 | 2007-03-22 | Seong Won Jo | Water purifier that have a dehumidifier |
KR100824416B1 (ko) * | 2005-09-12 | 2008-04-23 | 조성원 | 제습기를 구비한 정수기 |
KR101130814B1 (ko) * | 2009-04-01 | 2012-03-28 | 김성엽 | 냉온수 정수 기능과 항습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 공조기 |
KR101676727B1 (ko) * | 2015-05-06 | 2016-11-16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기여과 겸용 냉온 정수장치 |
-
2002
- 2002-11-08 KR KR20-2002-0033435U patent/KR20030427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7032635A1 (en) * | 2005-09-12 | 2007-03-22 | Seong Won Jo | Water purifier that have a dehumidifier |
KR100824416B1 (ko) * | 2005-09-12 | 2008-04-23 | 조성원 | 제습기를 구비한 정수기 |
KR101130814B1 (ko) * | 2009-04-01 | 2012-03-28 | 김성엽 | 냉온수 정수 기능과 항습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 공조기 |
KR101676727B1 (ko) * | 2015-05-06 | 2016-11-16 |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 공기여과 겸용 냉온 정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001249A1 (en) | Methods Apparatuses Assemblies Devices and Systems for Conditioning and Purifying Air | |
CN109751677A (zh) | 一种具有空气净化、保湿功能的空调及其控制方法 | |
KR20130013576A (ko) | 히트펌프 냉난방기를 이용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 |
KR20120009533A (ko) | 에너지 절약형 공조기의 제어방법 | |
JPS62172119A (ja) | ガス又は室内空気を浄化、加湿、除湿、冷却又は加温する方法及び装置 | |
JP4954018B2 (ja) | 空気調和装置 | |
JP2009168281A (ja) | 空気調和機の加湿装置 | |
KR200304271Y1 (ko) | 항습기능을 갖춘 정수장치 | |
CN206514391U (zh) | 除湿加湿净化杀菌一体机 | |
CN106801949B (zh) | 一种节能新风处理设备 | |
JP2004347297A (ja) | 加湿装置 | |
JP2005106358A (ja) | 空気清浄機 | |
CN106801969B (zh) | 一种节能新风系统 | |
KR20120117238A (ko) |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공조기 장치 | |
CN106765823B (zh) | 一种节能空气处理设备 | |
KR20110115193A (ko) | 복합 기능 축열식 환기 장치 | |
KR100787543B1 (ko) |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조화기 | |
KR20180035275A (ko) | 대류와 복사의 선택 제어가 가능한 항온항습기 시스템 | |
KR102599051B1 (ko) | 수분 공급 수조의 온도 측정을 통해 예열 모드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예열 모드 수행 방법 | |
JP2005331174A (ja) | 加湿及び空気清浄機能付き電気ヒータ | |
KR101719327B1 (ko) | 응축수 처리장치 | |
KR100271381B1 (ko) | 실내공기 정화장치 | |
KR20060084023A (ko) | 기화식 가습장치 | |
JP5627308B2 (ja) | 細霧式除加湿調温送風装置 | |
KR20020073311A (ko) |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20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