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096Y1 - 포장용 상자 접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접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096Y1
KR200304096Y1 KR20-2002-0032227U KR20020032227U KR200304096Y1 KR 200304096 Y1 KR200304096 Y1 KR 200304096Y1 KR 20020032227 U KR20020032227 U KR 20020032227U KR 200304096 Y1 KR200304096 Y1 KR 200304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oller
shaft
paper feed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Priority to KR20-2002-0032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4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31B50/64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using sealing jaws or seal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의 전개된 원지의 접합부를 접합하여 접합완료된 포장용 상자를 만드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지롤러중에서 일차급지롤러의 상부급지롤러는 전후로 나란히 설치되는 두개의 상부급지롤러가 일체로 상하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급지되는 원지를 정확하게 압지하여 정교한 상자접합이 가능하며, 압착롤러를 통롤러로 형성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원지를 틀어짐 없이 눌러서 외부부착형 상자도 틀어짐 없이 정교하게 접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포장용 상자 접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 접합기{An uniting machine of packing box}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의 전개된 원지의 접합부를 접합하여 접합완료된 포장용 상자를 만드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급지롤러중에서 일차급지롤러의 상부급지롤러는 전후로 나란히 설치되는 두개의 상부급지롤러가 일체로 상하 승강하도록 설치되어 급지되는 원지를 정확하게 압지하여 정교한 상자접합이 가능하며, 압착롤러를 통롤러로 형성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원지를 틀어짐 없이 눌러서 외부부착형 상자도 틀어짐 없이 정교하게 접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포장용 상자 접합기에 관한 것이다.
상품의 안전한 운반과 보관 및 상품가치를 더욱 돋보이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상품이 수납되는 포장용 상자의 구조와 품격이 뒷받침 되어져야 하며, 이러한 이유로 근래에 포장용 상자의 질적 향상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유럽이나 미국등에 수출하는 경우는 상품의 긁힘등의 방지를 위하여 철핀에 의한 접합이 아닌, 접착제의 도포에 의해 접합된 상자가 요구되고 있으며, 엄격한 품질보장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간의 국내 포장용 상자는 열악한 환경하에서 수작업 또는 반자동의 기계에 의해 제작되다 보니, 생산능률이나 품질면에서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 본 출원인에 의해 국내특허출원 제2002-1453호로 포장용 상자 접합기가 출원된 바 있다.
상기의 장치는 그 전에 있었던 장치의 문제점을 많이 보완하여, 제조된 상자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었으나, 다소의 문제점이 내제하고 있다.
그것은 급지롤러가 전후방(각각 상하롤로로 구성)의 2개로 구성되며, 급지되는 원지의 선단부를 정확한 위치로 정렬시키기 위한 스토퍼의 위치가 상기 전후방 급지롤러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토퍼에 의해 정렬된 원지는 전방급지롤러와 후방급지롤러에 의해 압지 및 이송되면서 접착제가 도포되어 후방으로 이송되어 압지롤러에 의해 압압되어 접착제가 응고(건조)되면서 접합이 완료되게 된다.
그러나 전방급지롤러가 일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급지롤러와의 압지시 약간의 틀어짐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기며, 또한 이합접합시 구획치구의 셋팅위치에 따른 원지의 꺾이는 부분이 약간의 경사각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눌려지면서 평편하게 되는 도중에 약간의 슬립과 비틀어짐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압착롤러가 각각의 원지의 크기 및 규격에 따른 접합부에 위치하도록 다수의 롤러로 구성되지만 이러한 롤러는 원지의 종류에 따라 셋팅을 변경하여야 하며, 또한 후방으로 배출되는 접합된 원지를 전체적으로 눌러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용 상자 접합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급지되는 원지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접합품질을 향상시키고, 이합접합시의 약간의 틀어짐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급지롤러를 전후 2개가 함께 상하로 움직이는 일차급지롤러와 그 후방의 이차급지롤러로 구성하여 급지시의 완벽한 지지가 보장되는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개략 평면도
도4a,도4b,도4c는 본 고안의 1차급지롤러의 구성도
도5a 및 도5b는 본 고안의 이동몸체의 구성상태도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의 하부 급지안내몸체의 정면도 및 측면상태도
도6c 및 도6d는 본 고안에 따른 스토퍼의 정면상태도 및 측면상태도
도7a는 바깥쪽으로 접합부가 형성된 일합식 포장용 상자의 셋팅구조도이며 도7b,도7c 및 도7d는 원지의 접혀진 상태 측면도와 전개된 평면도 및 완성된 상태의 구조단면도
도8a는 안쪽으로 접합부가 형성된 일합식 포장용 상자의 셋팅구조도이며 도8b,도8c 및 도8d는 원지의 접혀진 상태 측면도와 전개된 평면도 및 완성된 상태의 구조단면도
도9a,도9b 및 도9c는 바깥쪽에 접합부가 형성된 좁을폭을 갖는 일합식 포장용 상자의 원지의 접혀진 상태 측면도와 전개된 평면도 및 완성된 상태의 구조단면도
도10a,도10b 및 도10c는 안쪽에 접합부가 형성된 좁을폭을 갖는 일합식 포장용 상자의 원지의 접혀진 상태 측면도와 전개된 평면도 및 완성된 상태의 구조단면도
도11a는 안쪽으로 접합부가 형성된 이합식 포장용 상자의 셋팅구조도이며, 도11b,도11c 및 도11d는 원지의 접혀진 상태 측면도와 전개된 평면도 및 완성된 상태의 구조단면도
도12a는 바깥쪽으로 접합부가 형성된 이합식 포장용 상자의 셋팅구조도이며, 도12b,도12c 및 도12d는 원지의 접혀진 상태 측면도와 전개된 평면도 및 완성된 상태의 구조단면도
도13a는 좁은 폭을 갖고 바깥쪽으로 접합부가 형성된 이합식 포장용 상자의 셋팅구조도이며, 도13b,도13c 및 도13d는 원지의 접혀진 상태 측면도와 전개된 평면도 및 완성된 상태의 구조단면도
도14a는 좁은 폭을 갖는 이합식 포장용 상자의 셋팅구조도이며, 도14b,도14c 및 도14d는 원지의 접혀진 상태 측면도와 전개된 평면도 및 완성된 상태의 구조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몸체프레임 2: 압착롤러
10: 전방상부급지롤러 11: 후방상부급지롤러
12: 전방상부급지롤러축 13: 후방상부급지롤러축
15: 연결구 16: 회전축
17: 작동바 18: 상하작동실린더
21: 하부이송축 22: 하부급지 안내몸체
23: 하부급지 구획안내구 25: 작동실린더
26: 스토퍼회전축 27: 스토퍼
28: 스트류축 29: 만입안내부
30: 돌출안내부 40: 이동몸체
41: 접착제분사노즐 42: 상부급지 구획안내구
44: 도포수단안내축 45: 수평이송축
46: 클러치 47: 스크류축
도1, 도2 및 도3은 본 고안의 정면도, 측면도 및 개략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지를 급지하는 급지롤러와, 접착제 도포수단과, 접착제가 도포된 상자의 접착부분을 눌러주는 압착롤러(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에 있어서:
상기 급지롤러는 일차급지롤러와 상기 일차급지롤러의 후방에 설치되는 이차급지롤러(60)로 구성되며, 상기 일차급지롤러는 상부급지롤러와 하부급지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급지롤러는 전후로 이격되어 병렬로 설치되는 전방급지롤러(20)와 후방급지롤러(21)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급지롤러는 상기 하부급지롤러에 대응하는 상방향에 설치되는 전방상부급지롤러(10)와 후방상부급지롤러(11)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상부급지롤러와 후방상부급지롤러는 서로 일체로 고정되어 함께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 급지롤러와 압착롤러는 그 지지축이 몸체프레임(1)에 폭방향으로 지지되어 설치되며, 또한 상기 몸체프레임(1)의 앞쪽에는 공급되는 원지를 적치하여 제공할 수 있는 리프트(4)가 모터 및 체인등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리프트구동수단(5)에 의해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압착롤러(2)는 이동하는 원지의 전체 폭을 일체로 눌러줄 수 있도록 롤러축의 직경을 확장하여 형성한 통롤러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전후로 2개 이상을 병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은 도5a 및 도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착제분사노즐(41)과 상부 급지구획안내구(42)가 부착된 이동몸체(40)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몸체는 폭방향으로 횡설되는 도포수단안내축(44)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몸체를 수평으로 이송시켜주는 수평이송축(45)이 관통하여 설치되되 상기 수평이송축(45)은 반쪽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클러치(46)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상기 수평이송축(45)은 상기 클러치를 중심으로 좌우가 그 스크류방향이 반대인 스크류축(47)으로 형성되어, 수평이송축(45)의 회전에 의해 이동몸체가 자동으로 수평이송되어 원하는 위치에 셋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접착제 도포수단은 급지구획수단과 결합되어 구성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급지 구획안내구(42)는 그 안쪽으로는 만입안내부(53)를 갖고 그 바깥쪽은 돌출안내부(59)로 형성되어 상자의 바깥부의 외부접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급지롤러는 도4a 내지 도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상부급지롤러(10)가 설치된 전방상부급지롤러축(12)과 후방상부급지롤러(11)가 설치된 후방상부급지롤러축(13)의 양단부가 동일한 연결구(15)에 함께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15)는 상기 전방상부급지롤러축(12)과 후방상부급지롤러축(1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15)는 연결구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로 승강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구 승강수단은 회전축(16)에 의해 시이소식으로 회전가능하며 그 일단에는 상기 연결구의 상단부가 연결된 작동바(17)와, 상기 작동바의 상기 연결구가 연결된 반대쪽 단부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는 상하작동실린더(18)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작동실린더(18)가 작동하여 신장되게 되면, 이에 연결된 작동바(17)가 위로 들어올려지게 되며, 작동바(17)의 다른 쪽은 회전축(16)에 의해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작동바(17)의 일단부에 연결된 연결구(15)가 연이어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결구에 설치된 전방상부급지롤러축(12)과 후방상부급지롤러축(13)이 하강하게 되며, 상기 전방상부급지롤러축과 후방상부급지롤러축에 끼워져 설치된 전방상부급지롤러(10)와 전방상부급지롤러축(11)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상부급지롤러와 후방상부급지롤러의 상승은 상하작동실린더(18)가 축소되면서 상기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상기 전방상부급지롤러축(12)과 후방상부급지롤러축(13)의 승강에도 원할하게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전방상부급지롤러축과 후방상부급지롤러축을 유니버셜조인트(14)로 구동수단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차급지롤러와 이차급지롤러(60) 사이에는 도6a 내지 도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하부이송축(21)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이송축(21)에는 하부 급지구획안내구(23)가 장착되는 하부 급지안내몸체(22)가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급지안내몸체의 하부에는 작동실린더(25)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하는 스토퍼회전축(26)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회전축(26)에 스토퍼(27)가 고정되어 스토퍼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27)가 와립(臥立)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토퍼의 작동을 스토퍼회전축에 의한 회전식 작동으로 구현하여기계적 구성을 더욱 간편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급지안내몸체(22)에는 스크류축(28)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축(28)의 회전에 의해 하부 급지안내몸체(22)가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스크류축이 삽입되는 급지안내몸체의 관통구멍에는 상기 스크류축과 교합될 수 있는 나선홈이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하부 급지구획안내구(23)는 그 안쪽으로는 만입안내부(29)를 갖고 그 바깥쪽은 돌출안내부(30)로 형성되어, 상자의 바깥부의 외부접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급지안내몸체(22)에도 접착제 분사노즐로 형성되는 접착제도포수단이 설치될 수 있음은 종래의 장치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통한 본 고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프트(2)에 적치된 포장용 상자의 전개된 원지를 후방으로 투입하게 되면 스토퍼(27)에 의해서 걸려서 정위치에 정렬되게 된다.
급지되는 원지가 스토퍼에 의해서 정렬되게 되면 상하작동실린더(18)가 작동하여 작동바(17)를 회전시키며, 상기 작동바는 회전축에 의해 시이소식으로 회전하여 연결구(15)를 하강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구(15)의 하강에 따라 상기 연결구에 지지되어 설치되는 전방상부급지롤러축(12)과 후방상부급지롤러축(13)이 함께 하강하게 되며, 상기 전방상부급지롤러축에 설치된 전방상부급지롤러(10)와 상기 후방상부급지롤러축(13)에 설치된 후방상부급지롤러(11)가 함께 하강하여 정렬된 원지를 눌러서 그 하부의 하부급지롤러(20,21)와 함께 원지를 상하로 압압하여 안정되게 잡아주게 된다.
이후 스토퍼(27)가 역순으로 작동하여 눕혀지면 상기 상부급지롤러와 하부급지롤러로 구성된 일차급지롤러가 회전하여 원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과정에서 일차급지롤러와 그 후방의 이차급지롤러 사이에 설치된 상기의 도포수단에 의하여 접착제가 원지의 접착부에 도포되며, 후방으로 이동하여 이차급지롤러를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원지는 항상 전후의 일차급지롤러가 동시에 압지하거나 또는 일차급지롤러와 이차급지롤러가 동시에 압지하는 상태를 취하게 되어 항상 전후의 두개 이상의 압지부분이 생기게 되어, 원지를 틀어짐 없이 정교하게 이동 및 접착시킬 수 있게된다.
이차급지롤러를 통과한 부착되어 접혀진 포장용 상자는 후방의 압착롤러에의해 전체적으로 압압되면서 틀어짐 없이 접착제의 건조와 함께 후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압착롤러는 전체가 긴 통롤러의 형태를 취고 있기 때문에 접혀진 포장용 상자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압하여 최종단계까지 상자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7a,도7b,도7c,도7d는 본 고안에 따른 일합식 포장용 상자 접합을 위한 셋팅의 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면에 따른 예는 바깥쪽으로 접합부(70)가 형성되는 일합식 포장용 상자의 접합을 위한 장치의 셋팅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8a,도8b,도8c,도8d는 본 고안에 따른 일합식 포장용 상자 접합을 위한 셋팅의 다른 예를 보여주며, 본 예는 안쪽으로 접합부(70)가 형성된 일합식 포장용 상자의 접합을 위한 예이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원리로 도9a,도9b,도9c 및 도10a,도10b,도10c와 같은 좁은 폭을 갖는 포장용 상자의 접합이 가능하다.
도11a,11b,11c,11d 및 도12a,12b,12c,12d는 이합식(두곳의 접합부를 갖는) 포장용 상자의 접합의 경우의 셋팅상태 및 접합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13a,13b,13c,13d는 특히 좁은 폭을 갖는 이합식 포장용 상자의 접합의 경우를 보여주는 원리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은 좁은 폭을 갖는 이합식 포장용 상자는 접합부가 위치하는 폭부분이 좁고 바깥쪽으로 접착부(70)가 형성된 포장용 상자의 경우로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좁의 폭의 복원반발력으로 인하여 접착제에 의한 기계식 접합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조에 의하여 틀어짐 없이 접합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상부급지 구획안내구(42)의 만입안내부(53)와 돌출안내부(59) 및 하부급지 구획안내구(23)의 만입안내부(29)와 돌출안내부(30)에 의해서 정확하게 구획되며 지지되어 정위치에 접착제가 도포되게 되며, 또한 전후의 롤러로 구성된 일차급지롤러와 이차급지롤러 및 압착롤러에 의해서 틀어짐 없이 접착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14a 내지 도14d에서와 같은 좁은 폭을 갖는 상자의 이합접합도 역시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일합식 상자 및 이합식 상자의 접합을 더욱 정교하게 수행하여 우수한 품질의 포장용 종이상자를 제공할 수 있게되며, 또한 작은 폭을 갖고 바깥쪽에 접합부가 형성되는 이합식 포장용 상자의 접합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원지를 급지하는 급지롤러와, 접착제 도포수단과, 접착제가 도포된 상자의 접착부분을 눌러주는 압착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에 있어서:
    상기 급지롤러는 일차급지롤러와 상기 일차급지롤러의 후방에 설치되는 이차급지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일차급지롤러는 상부급지롤러와 하부급지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급지롤러는 전후로 이격되어 병렬로 설치되는 전방급지롤러와 후방급지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급지롤러는 상기 하부급지롤러에 대응하는 상방향에 설치되는 전방상부급지롤러와 후방상부급지롤러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상부급지롤러와 후방상부급지롤러는 서로 일체로 고정되어 함께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급지롤러는 전방상부급지롤러가 설치된 전방상부급지롤러축과 후방상부급지롤러가 설치된 후방상부급지롤러축의 양단부가 동일한 연결구에 함께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전방상부급지롤러축과 후방상부급지롤러축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는 연결구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로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 승강수단은 회전축에 의해 시이소식으로 회전가능하며 그 일단에는 상기 연결구의 상단부가 연결된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의 상기 연결구가 연결된 반대쪽 단부에 그 상단부가 연결되는 상하작동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롤러는 이동하는 원지의 전체 폭을 일체로 눌러줄 수 있도록 롤러축의 직경을 확장하여 형성한 통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차급지롤러와 이차급지롤러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하부이송축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이송축에는 하부 급지구획안내구가 장착되는 하부 급지안내몸체가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하부 급지안내몸체의 하부에는 작동실린더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하는 스토퍼회전축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회전축에 스토퍼가 고정되어 스토퍼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스토퍼가 와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급지안내몸체에는 스크류축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하부 급지안내몸체가 자동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급지구획안내구는 그 안쪽으로는 만입안내부를 갖고 그 바깥쪽은 돌출안내부로 형성되어 상자의 바깥부의 외부접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은 접착제분사노즐과 상부 급지구획안내구가 부착된 이동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이동몸체는 폭방향으로 횡설되는 도포수단안내축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몸체를 수평으로 이송시켜주는 수평이송축이 관통하여 설치되되 상기 수평이송축은 반쪽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클러치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이송축은 상기 클러치를 중심으로 좌우가 그 스크류방향이 반대인 스크류축으로 형성되어, 수평이송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몸체가 자동으로 수평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급지 구획안내구는 그 안쪽으로는 만입안내부를 갖고 그 바깥쪽은돌출안내부로 형성되어 상자의 바깥부의 외부접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접합기.
KR20-2002-0032227U 2002-10-29 2002-10-29 포장용 상자 접합기 KR200304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27U KR200304096Y1 (ko) 2002-10-29 2002-10-29 포장용 상자 접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27U KR200304096Y1 (ko) 2002-10-29 2002-10-29 포장용 상자 접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096Y1 true KR200304096Y1 (ko) 2003-02-14

Family

ID=4933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227U KR200304096Y1 (ko) 2002-10-29 2002-10-29 포장용 상자 접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0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447B1 (ko) 시이트 재료로 제조된 다각형 단면을 갖는 상자들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 및 기계
KR101044667B1 (ko) 포장박스 자동 제조장치
CN112172244B (zh) 一种纸盒生产系统
KR20170049860A (ko) 오픈형 골판지 박스 덮개 제조장치
WO2001045925A1 (fr) Procede et dispositif d'assemblage de boites en carton
KR200304096Y1 (ko) 포장용 상자 접합기
KR200426474Y1 (ko) 제함기
CN209479075U (zh) 一种全自动粘盒机
CN214083077U (zh) 一种内盒的天地盖组装装置
CN207860707U (zh) 一种自动装盒机的说明书的输送装置
KR101991915B1 (ko) 작업성 개선된 종이박스 제작용 압착지그
CN211545074U (zh) 一种自动翻转收盒机
CN109703111B (zh) 纸张拼接滚痕工艺
JP2007099352A (ja) 箱類の合わせ目封止装置
CN106217338A (zh) 一种集成型钢储料装置
CN109693415A (zh) 自动贴胶机
US4534753A (en) Method of forming intermediate folded blanks for center special slotted containers
KR100369740B1 (ko) 포장용 상자 접합기
KR100769083B1 (ko) 상부 개방박스 제조장치
KR200247260Y1 (ko) 포장용 종이앵글의 연속 성형장치
KR200325887Y1 (ko) 골판지의 자동급지 및 경사이송장치
KR102659454B1 (ko) 합지기 및 이를 이용한 종이 패키지 제조방법
CN117416095B (zh) 一种盒套成型设备及成型方法
JP3205831B2 (ja) 段ボール箱素材の折り曲げ罫線の隣接部形成装置
CN109514920A (zh) 纸板的整理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