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963Y1 - 장식용 판 - Google Patents

장식용 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963Y1
KR200303963Y1 KR20-2002-0034055U KR20020034055U KR200303963Y1 KR 200303963 Y1 KR200303963 Y1 KR 200303963Y1 KR 20020034055 U KR20020034055 U KR 20020034055U KR 200303963 Y1 KR200303963 Y1 KR 200303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late
concave
case
op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준
Original Assignee
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준 filed Critical 어준
Priority to KR20-2002-0034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9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9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B44C1/14Metallic leaves or foils, e.g. gold lea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8Applying ornamental structures, e.g. shaped bodies consisting of plastic material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판의 배면에 각종 무늬를 오목하게 형성시키고 이에 금속분을 도포하는 요철부와, 이러한 요철부의 배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금속판을 배치시킴으로써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빛의 반사 및 굴절에 의해 상기 요철부 및 금속판이 입체 조각품으로 착시현상을 일으켜 입체적이고 화려한 미관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판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전면으로 개구부(11)를 갖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개구부(11)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각각 고정되는 상하측 프레임(20, 30); 상기 상하측 프레임(20, 30)의 사이에 고정되며 반사면을 갖는 금속판(50); 및 상기 금속판(50)의 전면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요철부(41)를 갖으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드러나는 장식판(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식용 판{ORNAMENTAL PLATE}
본 고안은 장식용 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판의 배면에 각종 무늬를 오목하게 형성시키고 이에 금속분을 도포하는 요철부와, 이러한 요철부의 배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금속판을 배치시킴으로써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 다양한 빛의 반사 및 굴절에 의해 상기 요철부 및 금속판이 입체 조각품으로 착시현상을일으켜 입체적이고 화려한 미관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식용 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의 빈공간을 장식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액자나 장식판 등이 이용되고 있는데, 초기에는 단순히 회화 작품을 끼워 보존 및 전시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의 목제틀에 그림을 삽입시키고 벽에 걸어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였으나, 최근에는 회화 자체 뿐만 아니라 소묘 수채화 판화 등 다양한 형식의 미술작품이나 각종 사진, 디자인, 나무공예, 금속공예 작품 들이 변형되어서 현대적인 벽의 특성에 조화되게 구성되어 벽을 장식하고 있다.
이러한 액자나 장식판은 사람이 생활하는 주거 공간의 빈공간을 아름답게 장식하기 위한 목적에서 벗어나 이제는 각종 사무실, 작업실, 서비스업소 등의 비지니스 공간이나 공공 화장실, 도서관, 휴게실 등의 공공장소에 이르기까지 대단히 넓게 그 활용 범위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액자 및 장식판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장식성에 있어서 단순히 평면적인 미감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그러한 장식의 미감에 둔감하게 되고 쉽게 식상하게 되어 이러한 액자 및 장식판을 자주 교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식성에만 치중한 나머지 단순히 벽의 빈공간을 치장하는 벽걸이로서의 효과만을 발휘할 뿐 여타의 부가적인 기능성을 갖추지 못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전면이 소정공간 개구된 케이스의 내부에 각종 무늬를 배면으로 요철 형상화 시키고 금속분을 도포시킨 장식판의 전면이 케이스 외부로 드러나도록 배치시키고 이러한 장식판의 배면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금속판을 위치시킴으로써 빛의 반사 및 굴절에 따라 아름다운 입체감을 드러낼 수 있는 장식용 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의 하측으로 장식용구나 생활용구를 걸수 있는 걸이구를 구비함으로써 장식의 기능 뿐만 아니라 실용성을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장식용 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식용 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장식용 판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식용 판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개구부
12 : 걸이구 13 : 벽고정구
20 : 상측 프레임 30 : 하측 프레임
40 : 장식판 41 : 요철부
50 : 금속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장식용 판은 전면으로 개구부(11)를 갖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개구부(11)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각각 고정되는 상하측 프레임(20, 30); 상기 상하측 프레임(20, 30)의 사이에 고정되며 반사면을 갖는 금속판(50); 및 상기 금속판(50)의 전면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요철부(41)를 갖으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드러나는 장식판(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0)의 외면에는 케이스(10)가 벽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측면에 형성되는 벽고정구(13) 및 상기 개구부(11)의 하측으로는 물체를 걸 수 있도록 돌출된 걸이구(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식판(40)에서 배면의 요철부(41)에는 금속분말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판(50)은 금속광택의 코팅면으로 이루어지며상기 장식판(40)의 요철부(41)에 대하여 오목하게 호형상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은 금속분이 도포된 요철부를 갖는 장식판의 배면에 상기 요철부가 입체적 형상을 나타낼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금속판을 구비시키고 이러한 장식판 및 금속판을 수용하는 케이스의 하단에 각종 물체를 걸 수 있는 걸이구를 구비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화려한 입체적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실용성을 획득할 수 있는 장식용 판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식용 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장식용 판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식용 판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된 장식용 판은 전면의 소정 부위가 개구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요철무늬가 형성된 장식판(40) 및 이러한 장식판(40)의 요철무늬가 입체감을 가지도록 하는 금속판(50)이 상하측 프레임(20, 30)의 사이에서 고정되며, 케이스(10)에서 이러한 장식판(40)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개구부(11)의 하측으로 설치된 걸이구(12)가 부착되어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판에 대해 좀더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는 종이 등과 같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고 정육면체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측면에는 상기 케이스(10)가 벽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벽고정구(13)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벽에 걸리는 경우 정면으로 드러나게 되는 전면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서 상기 개구부(11)의 하측으로는 물체를 걸 수 있도록 돌출된 핀형의 걸이구(12)가 소정 개수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걸이구(12)에는 각종 장식용구가 걸려 장식성을 보다 풍부하게 하거나 일반 생활용구가 걸려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측 프레임(2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개구부(11)의 상측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측 프레임(30)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개구부(11)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고정되는데, 이러한 하측 프레임(30)은 핀형의 상기 걸이구(12)가 상기 케이스(10)의 외면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이러한 상기 상하측 프레임(20, 30)은 가벼운 재질의 합성목재나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10)의 형태가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장식판(40)은 소정 두께를 가진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케이스(10)의 개구부(11)를 통해 외부로 드러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부착되며, 이러한 장식판(40)의 배면에는 각종 무늬를 오목하게 형성시킨 요철부(41)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요철부(41)의 오목면에는 금속분말이 도포되어 상기 요철부(41)의 무늬를 요철부(41)가 형성되지 않은 장식판(40)의 다른 부위와 확연히 구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장식판(40)의 재질인 투명 플라스틱은 일반적인 투명 아크릴 소재를 성형하여 사용하거나, 투명성을 가지며 성형성이 양호한 비닐중합계 범용수지인 PS(폴리 스틸렌), PP(폴리프로필렌)나 ABS 수지, AS수지 등의 소재를 성형 사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41)에 도포되는 금속분말은 금, 은, 동 등의 금속성 광택을 나타내는 재료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판(50)은 금속재질의 얇은 포일(foil)로서, 상기 장식판(40)에 형성된 요철부(41)의 배면에 고정되는데, 이때 이러한 금속판(50)은 상기 요철부(41)와 면하는 측이 오목하게 호형으로 굽어진 상태로 상기 금속판(5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요철부(41)가 금속재질의 상기 금속판(50)에 비치게 되고 외부에서 보게 되면, 빛의 난반사로 인하여 상기 요철부(41)의 형상이 상기 금속판(50)과 더불어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입체적인 조각의 형태를 드러내게 된다.
이때, 상기 금속판(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요철부(41)를 향하여 오목하게 호형으로 고정될 수 있으나, 단순히 상기 요철부(4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이러한 금속판(50)의 재질은 상기 요철부(41)에 도포된 금속분말과 같은 광택의 금속재질을 가지며, 좀더 선명하고 입체적인 느낌을 주기 위하여 요철부(41)의 금속분말과 다른 광택의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장식용 판은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벽에 걸어 사용되는 장식판으로서 기재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원리는 벽에 걸려 장식되는 장식판 뿐만 아니라 각종 앨범의 표지를 장식하거나 상패 등에 채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장식용 판은 빛에 의해 투명 플라스틱 장식판의 요철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이미지가 금속광택의 금속판과 함께 난반사 함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 화려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고 금속광택의 입체 조각품이 플라스틱 속에 들어 있는 듯한 착시현상을 일으켜 사용자로 하여금 고품격의 화려한 장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개구부 하측으로 물건을 걸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걸이구가 구비되어 각종 장식용구나 생활용구를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식성과 함께 실용성을 획득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면으로 개구부(11)를 갖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개구부(11)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각각 고정되는 상하측 프레임(20, 30);
    상기 상하측 프레임(20, 30)의 사이에 고정되며 반사면을 갖는 금속판(50); 및
    상기 금속판(50)의 전면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배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요철부(41)를 갖으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드러나는 장식판(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외면에는 케이스(10)가 벽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측면에 형성되는 벽고정구(13) 및 상기 개구부(11)의 하측으로는 물체를 걸 수 있도록 돌출된 걸이구(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40)에서 배면의 요철부(41)에는 금속분말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50)은 금속광택의 코팅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식판(40)의 요철부(41)에 대하여 오목하게 호형상으로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판.
KR20-2002-0034055U 2002-11-14 2002-11-14 장식용 판 KR200303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55U KR200303963Y1 (ko) 2002-11-14 2002-11-14 장식용 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55U KR200303963Y1 (ko) 2002-11-14 2002-11-14 장식용 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963Y1 true KR200303963Y1 (ko) 2003-02-11

Family

ID=4933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055U KR200303963Y1 (ko) 2002-11-14 2002-11-14 장식용 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9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35B1 (ko) 2012-06-26 2013-11-04 (주)아루미존 거울 효과를 이용한 공공 시설용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US10188232B2 (en) 2015-10-16 2019-01-29 Hee Kyung LEE Decorative article with receiving mem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35B1 (ko) 2012-06-26 2013-11-04 (주)아루미존 거울 효과를 이용한 공공 시설용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US10188232B2 (en) 2015-10-16 2019-01-29 Hee Kyung LEE Decorative article with receiving me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651B2 (en) Decorative picture mirror
KR200303963Y1 (ko) 장식용 판
JPH0664131A (ja) 化粧シート
US7631451B1 (en) Contoured artwork
KR200442457Y1 (ko) 인조보석장식판
KR200420652Y1 (ko) 문양 장신구
KR100819204B1 (ko) 신혼부부를 위한 장식용 액자
KR200453463Y1 (ko)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
US20060164923A1 (en) Novelty wall hanging
KR200317742Y1 (ko) 시계 또는 액자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프레임
KR100887586B1 (ko) 자개 패턴이 형성된 장식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289752Y1 (ko) 장식용 판재
JP7229602B1 (ja) 加飾成型品
JP2019025856A (ja) 加飾成形品
JPS6337969Y2 (ko)
KR200208623Y1 (ko) 영가등
KR100524633B1 (ko)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제조된 도화 액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261508Y1 (ko) 사진틀
JP3139813U (ja) 本型展示物
KR19980066910U (ko) 반사용 장식물
JP3203537U (ja) 壁掛け式洋風神棚
TW448098B (en) Method for producing concave three-dimensional human image
KR100789010B1 (ko) 장식용 액자
KR960006287Y1 (ko) 도자기 카드
JP3150923U (ja) 立体額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