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010B1 - 장식용 액자 - Google Patents

장식용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9010B1
KR100789010B1 KR1020060072457A KR20060072457A KR100789010B1 KR 100789010 B1 KR100789010 B1 KR 100789010B1 KR 1020060072457 A KR1020060072457 A KR 1020060072457A KR 20060072457 A KR20060072457 A KR 20060072457A KR 100789010 B1 KR100789010 B1 KR 10078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inge
rear frame
frames
hin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지순
Original Assignee
선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지순 filed Critical 선지순
Priority to KR1020060072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달 등과 같은 각종 장식물의 보관 및 수납 등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식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식품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진 후면프레임; 투명체를 구비하고, 상기 후면프레임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의 상호 인접하는 단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힌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의 상호 인접하는 부분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결합체; 및 각 일측단은 어느 일측의 결합체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각 타측단은 타측의 결합체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힌지체;를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힌지체는 각 타측단이 제1 및 제2 결합체의 내경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프레임의 분리 및 결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장식품의 수납 내지는 분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식품의 손질 및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액자, 장식, 프레임, 힌지, 결합, 가이드

Description

장식용 액자{DECORATIVE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액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식용 액자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도 3의 힌지유닛이 힌지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유닛의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액자가 스탠드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20, 10)을 포함한다.
10 : 후면프레임 20 : 전면프레임
30 : 힌지유닛 100 : 장식품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달 등과 같은 각종 장식 물의 보관 및 수납 등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식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액자는 회화작품, 메달 등과 같은 각종 장식품을 수납하여 보존 내지는 전시(展示)함과 더불어 그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식용 틀의 일종으로, 회화작품으로는 유화·소묘·수채화·판화 등이 있고, 메달로는 상패, 기념장ㆍ훈장 등이 있다.
이러한 액자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니고 있다. 그 명칭도 다양하여 영국이나 미국에서는 프레임(frame), 프랑스에서는 카드르(cadre), 독일에서는 타펠(Tafel), 이탈리아에서는 코르니체(cornice), 에스파냐에서는 마르코(marco)라고 부른다.
이탈리아 르네상스로부터 프랑스의 루이왕조에 걸쳐 가장 많이 발달하여, 루이왕조에 이르러서는 루이 13세식(式), 루이 14세식, 루이 15세식, 루이 16세식으로 변천하면서 각각 특징 있는 양식을 만들었다. 나폴레옹의 제정시대에는 앙피르 양식을 만들었고, 이들 양식은 실내장식이나 가구 등에도 영향을 끼쳤다.
루이식은 다시 에스파냐로 건너가 에스파냐풍의 요소가 가미되었고, 독일·네덜란드 등지에서도 독자적인 풍조가 가미된 형태의 액자를 만들었다. 루이왕조시대에 만든 액자는 목조(木彫) 위에 금박을 칠한 일종의 미술공예품이었으나, 그후 목조 대신에 목제로 된 소재(素材) 위에 석고(石膏)로 성형한 부조(浮彫)를 붙이고 거기에 각종 금속분을 칠하여 고상한 기풍을 나타내게 한 것이 많아졌다.
그밖에 삼나무·자단(紫檀)·흑단 따위의 목제틀과, 거기에 옻칠을 한 것 등 여러 가지를 만들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회화 자체뿐만 아니라 건축 벽면(壁 面)과의 조형적·감각적 면에서도 재래의 액자는 조화성을 잃게 되어, 그 장식적 조각을 제거한 단순한 디자인의 액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재료도 목재뿐만 아니라 경금속이나 유리·플라스틱을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액자 표면에 유리를 끼우게 되었으나, 그것은 수채화·판화·소묘화 등에 국한되고 유화는 유리를 끼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이러한 액자들은 동양 각국에도 전래되어 서양화의 경우는 서양 각국과 조금도 다름없는 액자가 사용되고 있으나 동양화 또는 서예 등의 경우는 그 만듦새를 달리한다. 원래 서양의 액자는 벽화와 구별하기 위하여 또는 벽에 거는 그림이 그 벽면에서 뚜렷하게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발달한 것인 데 대하여, 동양식 액자는 널빤지에 직접 그림 또는 글씨를 쓰거나 새기는 편액(扁額)에서 시작되었다. 편액은 성문(城門)이나 사문(寺門) 등 큰 문에 거는 문액(門額), 전당(殿堂)·누각(樓閣) 또는 별당 등에 거는 당액(堂額)에서부터 조그마한 암자나 개인의 객실 등에도 그에 맞는 아호(雅號)를 새겼던 것이다. 한편 집 안에도 기둥마다 주련(柱聯)을 걸고 방에는 족자(簇子)를 걸어 아취(雅趣)를 돋구어왔다.
이 편액이 실내의 장식으로는 어울리지 않음에 따라 차차 방안의 정취를 살리는 액자가 발달하여 지금의 동양화 액자가 이루어졌다. 가느스름하고 아담한 나무틀에 글씨나 그림을 중앙에 넣고 그 주위를 차분한 색상의 종이나 헝겊으로 꾸미는 표구술이 발달하였고, 근래에는 유리를 끼는 액자가 많아졌다.
한편, 메달은 어떤 일을 기념하거나 사람의 공적을 칭송하기 위하여 원형의 금속 소품에 부조(浮彫)가 새겨진 장식물의 일종으로, 상패 ·기념장(記念章) ·훈 장 등이 있다.
이러한 메달의 재료로는 구리, 납, 금 및 은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메달의 부조는 고대 및 중세에는 주물(鑄物)로 만들었으나 16세기경부터 뷔랭[彫刻凹版]에 의해 직접 조각되었고, 1900년경부터 종래의 뷔랭 조각에서 소상원형(塑像原型)에 의한 조각적이고도 크기를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공작상의 일대 변혁을 가져왔으며 압인메달 위에 유리 및 칠보 등을 장식한 것도 생겨났다. 오늘날에는 상이나 기념 목적을 떠난 예술적 내지는 장식적인 메달도 많아졌고, 이에 따라 메달의 장식성을 위하여 메달의 수납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액자가 널리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의 메달 또는 회화작품 등과 같은 장식품이 수납되는 액자들은 전면 프레임 또는 후면 프레임을 체결구 등을 통해 분리한 후에 장식품을 개별적으로 수납한 후에 다시 전면 또는 후면 프레임을 결합시켜야 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극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회화작품 또는 메달 등과 같은 장식품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색 내지는 파손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장식품을 손질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액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식품의 수납 내지는 분리가 용이하지 못함에 따라 장식품의 장식성 내지는 상징성 등이 극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프레임의 분리 및 결 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장식품의 수납 내지는 분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식품의 손질 및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식용 액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자를 벽면에 걸어 두거나 장식대 또는 테이블 상에 스탠드형으로 보관하여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그 사용범위가 매우 확장된 장식용 액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장식품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진 후면프레임;
투명체를 구비하고, 상기 후면프레임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의 상호 인접하는 단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힌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의 상호 인접하는 부분에 삽입되는 제1 및 제2 결합체; 및
각 일측단은 어느 일측의 결합체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각 타측단은 타측의 결합체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힌지체;를 가진다.
상기 제1 및 제2 힌지체는 각 타측단이 제1 및 제2 결합체의 내경면에 형성 된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프레임의 타단 및 이 타단에 분리가능하게 접촉되는 전면프레임의 타단 사이에는 걸림돌기 및 걸림홈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 및 걸림홈은 자석 및 금속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후면프레임의 수납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장식품은 그 일측에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은 폐쇄된 상태에서 받침대측에 분리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식용 액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식용 액자는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전면프레임 및 후면프레임(20, 10)을 포함한다.
후면프레임(10)은 각형의 테두리부(11)를 포함하고, 이 테두리부(11) 내에는 수납판(12)이 구비되며, 이 수납판(12)은 메달 또는 그외의 각종 장식품(100)들이 수납되도록 지지하고, 수납판(12)의 배면에는 수납판(12)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판(13, 14)들이 적층될 수도 있다.
전면프레임(20)은 각형 테두리부(21)를 포함하고, 이 테두리부(21) 내에는 투명체(22)가 구비되며, 이 투명체(22)는 수납판(12)에 수납되는 장식품(100)들을 외부로 노출시키며, 투명체(22) 및 수납판(12) 사이에는 장식품(100)들이 충분히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25)이 형성된다.
전면 및 후면 프레임(20, 10)은 상호 인접하는 일단에서 힌지유닛(30)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전면 및 후면 프레임(20, 10)의 타단에는 걸림돌기(41) 및 걸림홈(42)이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고, 이 걸림돌기(41) 및 걸림홈(42)에 의해 전면 및 후면 프레임(20, 10)은 폐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힌지유닛(30)은 전면프레임(20)의 테두리부(21)와 후면프레임(10)의 테두리부(11)가 상호 인접하는 부분에 설치됨으로써, 전면프레임(20) 및 후면프레임(10)의 회동작동시에 필요 없는 유격을 방지하여 전면프레임(20) 및 후면프레임(10)의 기밀한 폐쇄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힌지유닛(30)은 전면프레임(20) 및 후면프레임(10)측에 개별적으로 고정설치되는 제1 및 제2 결합체(31, 32), 일측단부(33a)가 제1결합체(31)에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타측단부(33b)는 제2결합체(32)의 내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1힌지체(33), 일측단부(34a)가 제2결합체(32)측에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타측단부(34b)는 제1결합체(31)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2힌지체(34)를 포함한다.
제1결합체(31)는 후면프레임(10)의 테두리부(11) 일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1결합체(31)는 그 내부에 중공부(31a)가 형성되며, 이 중공부(31a)에는 가이드홈(31b) 및 절취부(31c)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결합체(31)의 외주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38)이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체(31)가 후면프레임(10)의 테두리부(11)에 삽입된 후에 제1결합체(31)를 테두리부(11)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 사 등과 같은 체결구가 고정홈(38) 내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2결합체(32)는 전면프레임(20)의 테두리부(21) 일측면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2결합체(32)는 그 내부에 중공부(32a)가 형성되고, 이 중공부(32a)에는 가이드홈(32b) 및 절취부(32c)가 구비된다. 이 제2결합체(32)의 외주면에도 상술한 제1결합체(31)와 마찬가지로 고정홈(39)이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결합체(31, 32)는 도 1 내지 도 7에서 원기둥형상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외 다양한 형상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제1힌지체(33)는 그 일측단부가 제1결합체(31)의 절취부(31c)측에 힌지핀(33a)을 매개로 힌지결합되고, 그 타측단부에는 가이드돌기(33b)가 구비되며, 이 가이드돌기(33b)는 제2결합체(32)의 가이드홈(32b)을 따라 안내된다.
제2힌지체(34)는 그 일측단부가 제2결합체(32)의 절취부(32c)측에 힌지핀(34a)을 매개로 힌지결합되고, 그 타측단부에는 가이드돌기(34b)가 구비되며, 이 가이드돌기(34b)는 제1결합체(31)의 가이드홈(31b)을 따라 안내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힌지체(33, 34)는 그 중앙부분에서 힌지핀(35)을 매개로 힌지결합되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힌지체(33, 3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교차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결합체(31, 32)의 가이드홈(31b, 32b)은 도 3 및 도 4에서 직선형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2 힌지체(33, 34)의 원활한 힌지작동을 충족시키다면 곡선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힌지유닛(30)은 제1 및 제2 힌지체(33, 34) 각각의 일측단부가 힌지핀(33a, 34a)을 통해 회동되고, 각각의 타측단부는 가이드돌기(33b, 34b) 및 가이드홈(31b, 32b)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전면 및 후면 프레임(20, 10)의 상대적인 회동작동이 원활해지도록 유도 내지는 안내하는 작동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액자에 수납되는 장식품(100)은 도 1에서 메달 형태를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장식품(100)은 그 상단에 걸이부(120)를 구비할 수 있고, 이 걸이부(120)와 장식품(100) 사이에는 연결끈(125)이 구비된다. 이 걸이부(120)의 일측면에는 자석(130)이 구비될 수 있고, 이 자석(130)은 후면프레임(10)의 수납부(12)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그 자력에 의해 간편하게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메달 등과 같은 장식품(100)을 액자 내에 수납하고자 할 경우, 전면 프레임(20)을 후면프레임(10)으로부터 잡아당기면, 힌지유닛(30)의 제1 및 제2 힌지체(33, 34)의 회동 유도작동에 의해 전면프레임(20) 및 후면프레임(10)은 힌지유닛(30)에 의해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동되어 후면프레임(10)의 수납부(12)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전면 및 후면 프레임(20, 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장식품(100)을 수납하고, 그런 다음에 전면프레임(20)을 후면프레임(10)으로 밀어붙이면, 힌지유닛(30)의 회동 유도작동에 의해 전면프레임(20) 및 후면프레임(10)은 힌지유닛(30)에 의해 힌지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동되어 후면프레임(10)의 수납부(12)는 전면프레임(2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액자는 후면 프레임(10)의 배면에 걸이구를 구비하여 벽면 등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및 후면 프레임(20, 10)이 폐쇄된 상태에서 받침대(70)측에 분리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다.
받침대(70)는 그 상부면에 본 발명의 액자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용턱(71, 7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프레임의 분리 및 결합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장식품의 수납 내지는 분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식품의 손질 및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자를 벽면에 걸어 두거나 장식대 또는 테이블 상에 스탠드형으로 보관하여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그 사용범위가 매우 확장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장식품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가진 후면프레임;
    투명체를 구비하고, 상기 후면프레임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전면프레임; 및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의 상호 인접하는 단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힌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유닛은,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의 상호 인접하는 부분에 삽입되고, 내경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및 제2 결합체; 및
    각 일측단은 어느 일측의 결합체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각 타측단은 타측의 결합체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가능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힌지체;를 구비하며,
    상기 후면프레임의 수납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장식품은 그 일측에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액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은 폐쇄된 상태에서 받침대측에 분리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받침대는 그 상부면에 전면 및 후면 프레임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액자.
KR1020060072457A 2006-08-01 2006-08-01 장식용 액자 KR10078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457A KR100789010B1 (ko) 2006-08-01 2006-08-01 장식용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457A KR100789010B1 (ko) 2006-08-01 2006-08-01 장식용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010B1 true KR100789010B1 (ko) 2007-12-26

Family

ID=3914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457A KR100789010B1 (ko) 2006-08-01 2006-08-01 장식용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774A (en) * 1998-04-03 1999-09-07 Ramsey; Edward Hidden door hinge
KR200342264Y1 (ko) 2003-10-20 2004-02-18 이한익 액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774A (en) * 1998-04-03 1999-09-07 Ramsey; Edward Hidden door hinge
KR200342264Y1 (ko) 2003-10-20 2004-02-18 이한익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wbery et al. Italian Renaissance Frames
KR100789010B1 (ko) 장식용 액자
Adlin Vanities: Art of the dressing table
JP3193315U (ja) 納骨壇用扉、納骨壇及びそれを用いた納骨壇列
KR200480596Y1 (ko) 입체내장체가 수용 가능한 액자
KR102147309B1 (ko) 접이식 받침대가 구비된 액자
KR200233441Y1 (ko) 탁상용 기념액자
CN206841055U (zh) 一种工艺品及版画书
Wilton-Ely Pompeian and Etruscan Tastes in the Neo-Classical Country-House Interior
KR200317742Y1 (ko) 시계 또는 액자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프레임
KR200416668Y1 (ko) 조명장치가 부착된 병풍
CN212489334U (zh) 一种饰品展览装置
KR200483441Y1 (ko) 스크래치 방지 리세스를 구비한 액자
WO2021038947A1 (ja) 祭壇
KR100360369B1 (ko) 조립식 가구
KR200185080Y1 (ko) 탁상용 회전식 입체형 액자
KR200303963Y1 (ko) 장식용 판
JP2001299565A (ja) 仏壇および仏具
Roberts Nineteenth century English picture frames: II: The Victorian high renaissance
Gonzalez-Palacios A GRAND-DUCAL TABLE
KR200206228Y1 (ko) 장식무늬의 교체가 자유로운 문짝
JP2004313507A (ja) 額縁
KR200259226Y1 (ko) 위패 받침대
KR200220841Y1 (ko) 서양화용 액자틀
Breck The New Galleries of Mediaeval and Renaissance 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