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463Y1 -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 - Google Patents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463Y1
KR200453463Y1 KR2020110000793U KR20110000793U KR200453463Y1 KR 200453463 Y1 KR200453463 Y1 KR 200453463Y1 KR 2020110000793 U KR2020110000793 U KR 2020110000793U KR 20110000793 U KR20110000793 U KR 20110000793U KR 200453463 Y1 KR200453463 Y1 KR 2004534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glass plate
dimensional
plate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7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오
Original Assignee
김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오 filed Critical 김일오
Priority to KR20201100007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4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4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4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두께를 가지며, 배면에 제1문양이 형성된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배면에 밀착 결합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며, 전면 측에 입체적인 제2문양이 형성된 문양판과; 상기 문양판의 배면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문양판을 지지하고 상기 입체문양의 바탕색을 형성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GLASS PLATE ASSEMBLY TO EXPRESS SOLID PATTERN}
본 고안은 유리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판은 일상생활에 다양하고 폭넓게 사용되는 재료이다. 유리판은 창문, 가구, 책상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유리판은 단순히 건축자재의 용도 또는 지지판의 용도를 떠나 인테리어적인 요소가 증가하여 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유리판은 입체적인 형상 또는 다양한 인쇄무늬 등을 추가하고 있다.
그런데, 유리판 자체를 입체적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조과정과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고, 유리판 자체에 무늬를 인쇄할 경우 2차원적인 무늬만 인쇄되므로 표현되는 무늬가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체적인 형상을 유리판 자체에 제작하지 않고 배면에 결합된 문양판의 무늬를 통해 입체무늬를 표현할 수 있는 유리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은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유리판조립체는,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로서, 일정 두께를 가지며, 배면에 제1문양이 형성된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배면에 밀착 결합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며, 전면 측에 입체적인 제2문양이 형성된 문양판과; 상기 문양판의 배면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문양판을 지지하고 상기 입체문양의 바탕색을 형성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문양은 판면 상이나 판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3차원적인 입체형상으로 구비되거나, 3차원 홀로그램문양이 판면에 인쇄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문양은 상기 제1문양과 결합되어 시각적으로 입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추상적 문양 또는 사실적 문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문양은 상기 제2문양의 입체적인 형상을 구체화하거나 또는 구획화하거나 또는 장식화하는 문양으로 상기 유리판의 배면에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문양은 프레임 영역에 형성된 액자형상의 프레임문양과, 상기 프레임문양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리판 배면의 테두리영역에 접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문양판이 상기 유리판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리판조립체는 유리판의 배면에 결합된 문양판에 형성된 3차원적인 입체문양 또는 홀로그램문양에 의해 유리판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시각적으로 입체형상을 표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리판 자체를 입체적으로 제작하지 않고도 시각적으로 입체형상을 표현할 수 있어 미적인 아름다움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제조단가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리에 비해 합성수지인 아크릴에 입체적인 형상을 제작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므로 디자인과 형상의 제한 없이 다양한 입체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판조립체의 조립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판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판조립체의 입체문양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판조립체의 유리판의 정면구성과 배면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판조립체의 실제형상을 예시한 사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판조립체(100)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판조립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리판조립체(100)는 유리판(110)과, 문양판(120) 및 지지판(130)이 서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유리판(110)은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110)의 전면(110a)은 투명한 상태로 구비되고, 유리판(110)의 배면(110b)에는 제1문양(113)이 구비된다.
제1문양(113)은 바람직하게, 유리판(110)의 전 영역에 걸쳐 고르게 형성된다. 제1문양(113)은 문양판(120)에 형성되는 제2문양(121)과 결합되어 제2문양(121)의 입체문양을 강조하거나 미려화한다. 물론, 제1문양(113)은 유리판(110)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외곽부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문양(113)은 제2문양(121)의 입체적인 형상을 구체화하거나, 입체적인 형상을 구획화하거나, 또는 장식화하는 문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문양(113)은 사각형, 원형, 꽈배기 형상 등 윤곽을 나타내는 선형태의 무늬로 구비되어 그 내부에 제2문양(121)이 채워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문양(121)의 형상이 보다 구체화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화될 수 있다. 또한, 제2문양(121)과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서로 다른 질감으로 제1문양(113)이 형성되어 제2문양(121)을 장식하는 요소로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문양(113)은 제2문양(121)과 독립적으로 물방울, 꽃, 동물, 구름 등과 같이 사물의 형상을 나타내는 무늬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사진과 같이 실제 사물의 이미지가 이용될 수도 있다.
제1문양(113)은 실크스크린 또는 UV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해 유리판(110)의 배면(110b)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문양(113)은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유리판(110)의 배면에는 외곽부를 따라 프레임문양(1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문양(111)은 유리판조립체(100)가 욕실도어로 사용될 때와 같이 형상을 보다 강조할 때 제1문양(113)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문양(111)은 유리판(110)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유리판(110)이 액자에 끼워진 형태로 보이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프레임문양(111)은 유리판(110)의 배면 테두리영역을 따라 일정면적으로 구비된다. 프레임문양(111)은 인쇄 또는 코팅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문양(111)은 실크스크린 또는 UV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해 유리판(110)의 배면(110b)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문양(111)은 다양한 컬러와 형태로 구비되어 전면에서 보았을 때 실제 액자가 끼워져 있는 것과 같은 느낌과 질감이 들도록 형성된다.
유리판(110)의 배면에는 접착부재(115)가 구비된다. 접착부재(115)는 유리판(110)에 문양판(120)이 고정되도록 접착력을 제공한다. 접착부재(115)는 접착제 또는 테잎과 같은 접착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110)의 배면(110b)의 프레임문양(111) 상에 접착부재(115)가 구비되건, 프레임문양(111)이 없는 경우 배면(110b)의 테두리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프레임문양(111)의 배면상에 접착부재(115)가 구비되므로 유리판(110)의 전면에서는 프레임문양(111)에 의해 접착부재(115)가 은폐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유리판조립체(100)의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될 수 있다.
문양판(120)은 유리판(110)의 배면에 밀착 결합되며 입체문양을 형성하는 제2문양(121)을 제공한다. 문양판(120)은 아크릴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 아크릴판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배면에 배치되는 지지판(130)의 바탕색이 투영된다. 문양판(120)의 전면 측에는 제2문양(121)이 형성된다.
제2문양(121)은 유리판(110)을 통해 투시될 때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문양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2문양(121)은 판면 상이나 판 내부에 3차원적인 입체형상이 일체로 제작되어 형성되거나, 3차원적인 형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홀로그램문양으로 인쇄되어 구비될 수 있다.
3차원적인 입체형상의 제2문양(121)이 문양판(120)에 일체로 제작될 경우, 그것은 판 내부에 요철되는 입체문양을 형성한 후 입체문양의 공간부에 접착제를 충진하여 고형화시키거나, 입체형상에 대응되는 요철이 형성된 사출몰드에 아크릴수지를 그대로 사출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아크릴수지의 국소영역에 열변형 등을 가하여 입체형상을 제작할 수도 있다. 홀로그램문양은 이미지를 문양판(120)의 표면에 인쇄하거나, 홀로그램 스티커를 접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문양판(120)에 제2문양(121)이 3차원적으로 형성될 경우, 전면의 유리판(110)을 통해 사용자가 볼 때 유리판(110)의 두께가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여 제2문양(121)이 더욱 도드라지게 보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판(110) 자체를 입체적으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입체문양을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제2문양(121)은 2차원적인 이미지를 인쇄하여 제1문양(113)과 결합되어 시각적으로 입체형상이 표현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문양판(120)에 구비되는 제2문양(121)은 복수개의 추상적인 무늬가 그룹을 형성하여 원근감 또는 입체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거나, 독립적인 사물의 형태로 입체감이 드러나는 문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문양(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무늬가 가운데 영역에서 외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작아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1문양(113)은 개별 제2문양(121)의 테두리영역을 형성하여 제1문양(113)과 제2문양(121)이 결합되어 유리판(110)을 통해 입체무늬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유리판(110)과 문양판(120) 각각의 두께가 있으므로 제1문양(113)과 제2문양(121)도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유리판(110)을 통해 투영되는 제2문양(121)은 유리판(110)의 두께감과 제1문양(113)이 더해져 시각적으로 입체감이 향상되어 보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제1문양(113)과 제2문양(121)이 적용된 실제 제품의 사진을 보면, 유리판(110)을 통해 입체문양의 형상이 도드라져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제2문양(121)의 원형무늬가 3차원적으로 문양판(120)에 볼륨감 있게 형성되어 유리판(110)을 통해 입체형상이 더욱 강조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문양(113)은 꽃의 이미지를 입체감 있게 표현한 무늬로 구비되고, 제2문양(121)은 물방울 또는 빗물의 형상을 입체감 있게 표현한 2차원적인 무늬로 구비되어 제1문양(113)과 제2문양(121)이 결합되어 시각적으로 입체무늬를 표현할 수도 있다.
제2문양(121)은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는 한 색상과 디자인의 제한 없이 2차원 형상 또는 3차원 형상이 상호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지지판(130)은 문양판(120)의 배면에 밀착 결합되어 바탕색을 형성하고, 유리판(110)과 문양판(120)을 지지한다. 지지판(130)은 전면이 제1문양(113) 또는 제2문양(121)의 바탕색을 형성하는 색상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110)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배면에 은은하게 바탕색이 비쳐지므로 표출되는 입체감이 향상될 수 있다.
지지판(130)은 유리판(110)과 문양판(120)을 지지할 수 있는 적정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일정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판(130)은 문양판(120)의 배면에 별도의 테두리 결합부재 등을 이용한 물리적인 결합 또는 접착부재 결합 또는 열융착 등의 공지된 결합방법에 의해 적절히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리판조립체는 유리판의 배면에 결합된 문양판에 형성된 3차원적인 입체문양 또는 홀로그램문양에 의해 유리판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시각적으로 입체형상을 표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리판 자체를 입체적으로 제작하지 않고도 시각적으로 입체형상을 표현할 수 있어 미적인 아름다움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제조단가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리에 비해 합성수지인 아크릴에 입체적인 형상을 제작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므로 디자인과 형상의 제한 없이 다양한 입체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유리판조립체는 건물 내 파티션, 가구의 문, 탁자 상판, 별도의 장식물, 욕실 수납장 도어, 욕실 샤워부스 도어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유리판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유리판조립체 110 : 유리판
111 : 프레임무늬 113 : 제1문양
115 : 접착부재 120 : 문양판
121 : 제2문양 130 : 지지판

Claims (6)

  1.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로서,
    일정 두께를 가지며, 배면에 제1문양이 형성된 유리판과;
    상기 유리판의 배면에 밀착 결합되며 일정 두께를 갖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비되며, 전면 측에 입체적인 제2문양이 형성된 문양판과;
    상기 문양판의 배면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문양판을 지지하고 상기 입체문양의 바탕색을 형성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문양은 상기 제2문양의 입체적인 형상을 구체화하거나 또는 구획화하거나 또는 장식화하는 문양으로 상기 유리판의 배면에 인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문양은 프레임 영역에 형성된 액자형상의 프레임문양과, 상기 프레임문양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문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문양은 판면 상이나 판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3차원적인 입체형상으로 구비되거나, 3차원 홀로그램문양이 판면에 인쇄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문양은 상기 제1문양과 결합되어 시각적으로 입체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추상적 문양 또는 사실적 문양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 배면의 테두리영역에 접착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문양판이 상기 유리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판 조립체.
KR2020110000793U 2011-01-27 2011-01-27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 KR2004534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793U KR200453463Y1 (ko) 2011-01-27 2011-01-27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793U KR200453463Y1 (ko) 2011-01-27 2011-01-27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463Y1 true KR200453463Y1 (ko) 2011-05-06

Family

ID=4447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793U KR200453463Y1 (ko) 2011-01-27 2011-01-27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4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06B1 (ko) 2013-09-24 2015-05-04 온재민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KR101868351B1 (ko) * 2011-11-30 2018-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식용 글래스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752Y1 (ko) * 2002-06-25 2002-09-16 어준 장식용 판재
KR20020089752A (ko) * 2001-05-24 2002-11-30 김인수 천연방부제 제조방법 및 그 천연방부제를 이용한 제품
KR20040001444A (ko) * 2002-06-28 2004-01-07 어준 장식용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13843A (ko) * 2002-08-08 2004-02-14 어준 장식용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752A (ko) * 2001-05-24 2002-11-30 김인수 천연방부제 제조방법 및 그 천연방부제를 이용한 제품
KR200289752Y1 (ko) * 2002-06-25 2002-09-16 어준 장식용 판재
KR20040001444A (ko) * 2002-06-28 2004-01-07 어준 장식용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13843A (ko) * 2002-08-08 2004-02-14 어준 장식용 판재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51B1 (ko) * 2011-11-30 2018-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식용 글래스 패널의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글래스 패널
KR101517006B1 (ko) 2013-09-24 2015-05-04 온재민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463Y1 (ko)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
CN204236123U (zh) 一种3d光栅相框摆台
US7631451B1 (en) Contoured artwork
CN101016019A (zh) 浮雕羽毛画及其制作方法
KR200487057Y1 (ko) 한지 상패
CN210444633U (zh) 装饰壳及具有该装饰壳的电子设备
CN210454284U (zh) 一种装饰品
CN202507838U (zh) 一种3d 光栅艺术微框画
USD1012581S1 (en) Model display
CN215956860U (zh) 移动终端保护套及移动终端组件
CN202188325U (zh) 一种显示三维效果的立体灯饰
JP2018008506A (ja) 装飾素材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装飾素材を使用した装飾物
KR100934240B1 (ko) 장식부의 기능이 향상된 장식장
CN208510662U (zh) 烹饪器具
KR101548641B1 (ko) 큐브 액자형 장식물 구조체
CN200987540Y (zh) 具有三维的多维观感图像的图片展示装置
CN207877589U (zh) 玻璃盖板
KR200398621Y1 (ko) 액자
TWM331341U (en) Multi-layered artistic frame structure
KR200402074Y1 (ko)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KR200383392Y1 (ko) 장식품
KR20170024677A (ko) 탁상용 기념패 디자인 몰딩
CN103317938A (zh) 一种3d光栅艺术微框画
CN200954205Y (zh) 带有立体天空造型构件的骨灰盒
CN202908340U (zh) 简易成型多变化展示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