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7006B1 -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7006B1
KR101517006B1 KR1020130113079A KR20130113079A KR101517006B1 KR 101517006 B1 KR101517006 B1 KR 101517006B1 KR 1020130113079 A KR1020130113079 A KR 1020130113079A KR 20130113079 A KR20130113079 A KR 20130113079A KR 101517006 B1 KR101517006 B1 KR 101517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rame
door
shee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280A (ko
Inventor
온재민
Original Assignee
온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재민 filed Critical 온재민
Priority to KR102013011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006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와, 판상의 제 1 유리 및 제 2 유리를 재단, 가공 및 강화하는 단계와, 제 1 유리 및 제 2 유리의 외측면에 상기 공간부와 대등되도록 시트지를 부착하는 단계와, 제 1 유리 및 제 2 유리를 도정하는 단계와, 제 1 유리 및 제 2 유리를 건조하는 단계와, 제 1 유리 및 제 2 유리의 시트지를 제거하는 단계와, 제 1 유리 및 제 2 유리와 상기 프레임을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중으로 형성된 유리도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도어의 제작방법{Method of producing glass door}
본 발명은 현관중문, 발코니문 미닫이 및 여닫이 등에 사용되는 유리 도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중앙에 조형물이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사용자 또는 장소에 따라 조형물을 달리 장식함으로써,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유리도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유리도어는 베란다, 현관, 주방 등에 구비되며 두 장의 유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주위를 접착제로 접합해서 밀폐하고 그 중간에 완전 건조 공기 봉입한 유리로, 단열, 차음, 결로 방지 등의 효과가 있으며 페어 글라스(복층유리)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베란다 및 현관에 사용되는 유리도어는 프레임의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며 이중(복층)의 유리가 홈에 끼워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중유리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될 수 있는 조형물이 한계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2-0017202호(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이하 선행문헌1)의 복층유리는 대형 건축물의 유리창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필요시에는 건축물 내외벽에 부착 설치하여 전술한 효과에 더하여 유리 특유의 정결함과 장식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선행문헌1은 제 1 판유리와 제 2 판유리 사이에 위치하며 각 판유리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장식 무늬판과, 상기 장식무늬판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조형물, 및 상기 조형물을 장식무늬판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조형물과 장식무늬판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졌다. 선행문헌1은 상기 제 1 판유리와 상기 제 2판유리의 사이에 장식무늬판의 테두리를 따라 간봉이 형성됨에 따라 종래의 장식판의 빈 공간에 있는 습기가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해 판유리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으나, 선행기술1은 건축물의 내외벽에 사용되는 유리창에 해당하는 것으로, 선행문헌 1은 현관중문, 여닫이 및 미닫이, 발코니문 등(중문)에 적용이 어려우며, 종래의 일반적인 복층(이중) 유리 도어는 단열과 같은 기능적인 면만을 고려하여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구매자들이 기능적인 면과 미적인 면을 모두 갖춘 제품을 선호함에 따라 기능적인 부분과 미적인 부분을 만족하는 제품이 개발되어야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2-0017202호(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2012.02.2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 전면과 후면을 유리가 덮는 구조로 형성하여 종래와 대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조형물이 설치될 수 있어 사용자 및 장소에 따라 유리도어가 디자인되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유리도어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이중의 유리 사이에 틀이 개재되어 형성되는 유리도어 제작방법에 있어서, S1) 중앙에 조형물(300)이 설치되는 공간부(110)를 포함하는 프레임(100)을 제작하는 단계; S2) 상기 프레임(10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판상의 제 1 유리(201) 및 제 2 유리(202)를 재단, 가공 및 강화하는 단계; S3) 상기 프레임(100)과 접합되지 않는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외측면에 상기 공간부의 위치와 대등되도록 시트지를 부착하는 단계; S4) 상기 외측면의 시트지 부착면을 제외한 가공면(201a,202a)을 도장하는 단계; S5) S4)단계에서 도장한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를 건조하는 단계; S6)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에 부착된 시트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7)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사이에 조형물(300)이 설치된 상기 프레임(100)을 개재하여 부착하되,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가공면(201a,202a)이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외측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나무, 알루미늄, PVC, 발포수지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3)단계와 상기 S4)단계 사이에 상기 프레임(100)과 접하지 않은 상기 제 1 유리(201)의 전면 및 상기 제 2 유리의 후면을 샌드블라스트처리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도장하는 방법은 스프레이 방법 또는 실크 스크린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5)단계에서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건조하는 방법은 자연건조 또는 30℃에서 180℃사이로 열처리 건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중(복층)으로 형성되는 유리도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리도어를 사용함으로써, 유리도어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여, 디자인에 따라 시각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도어는 프레임 내측 테두리 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이중으로 형성된 유리가 끼워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조형물의 크기가 한정적이거나 조형물의 설치가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유리도어의 경우 프레임 내부 중앙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유리가 부착됨에 따라 조형물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부가 충분히 확보되어 다양한 조형물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중도어
도 2는 종래의 이중도어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도어의 제조방법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도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도어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현관중문, 여닫이 및 미닫이, 발코니문에 사용되는 이중도어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이중도어는 두 장의 유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주위를 접착제로 접합해서 제작된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로, 건축물의 내외벽에 부착되는 복층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이중도어는 단열 등과 같은 기능적인 면만을 고려하여 제작되거나, 이중(복층)유리와 같이 미적인 면을 고려하여 제작된 복층유리의 경우도, 이중유리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될 수 있는 조형물이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이나 유리도어가 설치되는 장소에 맞추어 유리도어의 디자인 설계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유리도어는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유리가 형성되어 프레임 중앙의 공간부에 다양한 조형물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장소에 맞게 분위기 연출이 가능한 유리도어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도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리도어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6은 본 발명 따른 유리도어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S1)프레임 제작단계, S2)제 1 유리(201) 및 제 2 유리(202)를 재단, 가공 및 강화하는 단계, S3)시트지 부착단계, S4)도장단계, S5)건조단계, S6)시트지 제거단계, S7)프레임과 제 1 유리(201) 및 제 2 유리(202)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하 본 발명의 제작방법 및 각 부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며,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제 1 유리가 부착되는 방향을 전면이라 하고, 제 2 유리가 부착되는 방향을 후면으로 설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S1)단계의 프레임 제작단계는 기본 프레임을 제작하는 단계로,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는 조형물(300)이 장착되는 공간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일반적인 베란다, 부엌, 현관에서 사용되는 중문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나, 일반적인 중문은 프레임 내부에 유리가 끼워지는 구조로, 실리콘과 같은 고정물질로 고정되어 제작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프레임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다각형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도 6 참조)에 유리가 붙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은 나무, 알루미늄, PVC, 발포수지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하며,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조형물(300)은 생화, 조화, 아크릴, 금속, 자개, PVC, MDF, LE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조형물(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 하면으로 생화 및 LED와 같은 조형물(300)을 장착을 위한 복수개의 중공(100a)을 포함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조형물(300) 외에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칭함.)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에 형성될 수 있는 또 다른 예로는, 블라인드가 있으며, 블라인드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됨에 따라 베란다, 현관(중문)에 별도로 커튼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커튼으로 인해 발생하는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는 블라인드 외에 방열필름과 같은 방열재 및 열차단재가 설치될 수 있어 에너지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상기 S2) 단계의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를 재단, 가공 및 강화하는 단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가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프레임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재단하고,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모서리 부분 또는 불균일한 면을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를 강화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S3)단계에서 시트지 부착단계는 도 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유리(201)의 전면과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후면에 시트지를 부착하는 단계로, 상기 프레임의 공간부와 대응되는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위치에 시트지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도 6의 제 2 유리 가공면(202a)은 프레임과 마주보는 면(제 2 유리의 전면)에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면과 상세한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나타낸 것으로, 실제 제 2 유리 가공면(202a)은 프레임과 마주보지 않는 면 즉, 제 2 유리의 후면에 표시된다.
상기 S4)에서 도장단계는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를 도장하는 단계로, 도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S3)단계에서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시트지 부착면을 제외한 가공면(201a 및 202a)에 스프레이 방법 또는 실크 스크린 방법을 통하여 도장하는 단계이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도장을 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상기의 도장 방법 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S3)단계와 S4)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표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처리의 일 실시예로는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처리가 있다. 상기 샌드 블라스트 처리는 표면을 깨끗하게 마무리 손질을 하기 위해 모래를 압축공기로 뿜어대는 공법으로, 샌드 블라스트 처리를 거친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는 샌드 블라스트 처리를 하지 않은 유리와 비교하여 도장이 잘 벗겨지지 않으며, 흠집의 생성을 억제한다.
상기 S5)에서 건조단계는 S4)단계에서 도장한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를 건조하는 단계로, 자연건조 또는 열처리건조가 가능하며, 열처리 건조 시 30℃ 에서 180℃사이로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30℃이하의 저온 열처리는 자연건조를 통한 건조와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유리는 비결정성의 물질로, 온도 상승과 더불어 점성이 감소하여 용융되기 때문에 30℃ 에서 180℃사이에서 열처리 건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열처리 온도는 페인트의 종류 및 작업 상황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S6)단계에서 시트지를 제거하는 단계는 S3)단계에서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에 부착한 시트지를 제거하는 단계로, 상기 S6)단계는 상기 S5)단계 이전에 실시되어도 무관하다.
상기 S7)단계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상기 제 1 유리(201)를 배치하며, 상기 제 2 유리(202)를 후면에 배치하여 부착하되, 상기 제 1 유리 및 상기 제 2 유리의 가공면(201a,202a)이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다.(제 1 유리의 가공면(201a)이 전면을 향하고, 제 2 유리의 가공면(202a)이 후면을 향하여 배치됨)
상기 유리도어의 유리는 일례로 3mm, 4mm, 5mm, 6mm의 두께로 선택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리의 두께는 문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문자체의 중량이 큰 경우 얇은 두께의 유리를 선택하고, 문이 얇거나 약하게 제작된 경우 두께가 큰 유리를 선택하여 유리도어를 제작하지만 이는 일실시예로써,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S1) 내지 상기 S7)단계를 거쳐 제작된 유리도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문고리(400) 또는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이동수단을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제작방법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유리 도어는 유리도어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디자인의 설계가 가능하므로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유리도어
100 : 프레임
100a : 중공
201 : 제 1 유리
201a : 제 1 유리 가공면
202 ; 제 2 유리
202a : 제 2 유리 가공면
300 : 조형물
400 : 문고리

Claims (5)

  1. 이중의 유리 사이에 틀이 개재되어 형성되는 유리도어 제작방법에 있어서,
    S1) 블라인드가 구비되는 공간부(110)를 포함하는 프레임(100)을 제작하는 단계;
    S2) 상기 프레임(10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판상의 제 1 유리(201) 및 제 2 유리(202)를 재단, 가공 및 강화하는 단계;
    S3) 상기 프레임(100)과 접합되지 않는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외측면에 상기 공간부의 위치와 대등되도록 시트지를 부착하는 단계;
    S4) 상기 외측면의 시트지 부착면을 제외한 가공면(201a,202a)을 도장하는 단계;
    S5) S4)단계에서 도장한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를 건조하는 단계;
    S6)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에 부착된 시트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7)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사이에 블라인드가 설치된 상기 프레임(100)을 개재하여 부착하되,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가공면(201a,202a)이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외측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부착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중으로 형성된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나무, 알루미늄, PVC, 발포수지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형성된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3)단계와 상기 S4)단계 사이에
    상기 프레임(100)과 접하지 않은 상기 제 1 유리(201)의 전면 및 상기 제 2 유리의 후면을
    샌드블라스트처리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형성된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4)단계에서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도장하는 방법은
    스프레이 방법 또는 실크 스크린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형성된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5)단계에서 상기 제 1 유리(201) 및 상기 제 2 유리(202)의 건조하는 방법은
    자연건조 또는 30℃ 에서 180℃사이로 열처리 건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으로 형성된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KR1020130113079A 2013-09-24 2013-09-24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KR101517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079A KR101517006B1 (ko) 2013-09-24 2013-09-24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079A KR101517006B1 (ko) 2013-09-24 2013-09-24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280A KR20150033280A (ko) 2015-04-01
KR101517006B1 true KR101517006B1 (ko) 2015-05-04

Family

ID=5303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079A KR101517006B1 (ko) 2013-09-24 2013-09-24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0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29B1 (ko) * 2007-10-04 2009-03-16 김영임 착색 판유리의 제조방법
KR200453463Y1 (ko) 2011-01-27 2011-05-06 김일오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
KR101163541B1 (ko) 2011-12-22 2012-07-06 주식회사 씨쓰리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KR101189813B1 (ko) * 2010-06-23 2012-10-10 주식회사 씨쓰리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229B1 (ko) * 2007-10-04 2009-03-16 김영임 착색 판유리의 제조방법
KR101189813B1 (ko) * 2010-06-23 2012-10-10 주식회사 씨쓰리 조립형 장식무늬판이 구비된 복층유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53463Y1 (ko) 2011-01-27 2011-05-06 김일오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
KR101163541B1 (ko) 2011-12-22 2012-07-06 주식회사 씨쓰리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280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8433A (en) Insulated glass unit window assembly including decorative thermoplastic sheet and method for forming
US20140215964A1 (en) Structured-core laminate panel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10968683B2 (en) Doors comprising glazed uni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517006B1 (ko) 유리도어의 제작방법
US8499508B2 (en) Panel element comprising a frame with a panel unit
US20060291200A1 (en) Method of making composite laminated product
KR101204271B1 (ko) 패턴을 형성하는 장식조각이 구비된 창호 및 이의 제조방법
US826685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led insulated glass unit and such a unit
KR101210446B1 (ko) 장식무늬판 및 조형물이 구비된 복층유리
KR101163541B1 (ko) 다양한 소재의 장식물 배치가 자유로운 장식 복층유리
JP5299955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ATE538684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asbeschichteten platten wie türen, läden, fenster o. ä. und mit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glasbeschichtete platte
EP3363334A1 (en) Mirror furniture do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1358503A (zh) 窗户单元及其窗户结构及预铸墙板
RU79134U1 (ru) Витраж и панель ограждения
KR100896420B1 (ko) 내부에 조형물이 설치된 교체형 장식틀을 가지는 격리문
CN219344488U (zh) 一种复合型夹层彩釉钢化中空玻璃
CN208594665U (zh) 一种gmp洁净车间专用自洁净轻质高强度吊顶板
RU2369712C1 (ru) Стеклянная перегородка
CN202319159U (zh) 一种有双面装饰效果的玻璃型材
KR101680860B1 (ko) 창호용 페어 글래스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0175108Y1 (ko) 고무재로 마감처리된 복층유리
KR200418497Y1 (ko) 내부에 조형물이 설치된 교체형 장식틀을 가지는 격리문
JPH03110285A (ja) アルミニウム製複合建材
KR200455056Y1 (ko) 다중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