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074Y1 -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 Google Patents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074Y1
KR200402074Y1 KR20-2005-0025268U KR20050025268U KR200402074Y1 KR 200402074 Y1 KR200402074 Y1 KR 200402074Y1 KR 20050025268 U KR20050025268 U KR 20050025268U KR 200402074 Y1 KR200402074 Y1 KR 200402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layer
transparent glass
lenticular sheet
layer
lenti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섭
Original Assignee
김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섭 filed Critical 김상섭
Priority to KR20-2005-0025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0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0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 1 유리층과 제 2 유리층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렌티큘러 시트를 삽입하여 바닥재를 쳐다보는 사람에게 다양한 움직이는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시트를 이용한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에 위치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상부 투명 유리층과; 하부면에 위치하는 투명 유리층과; 상기 상부 투명 유리층 과 하부 투명 유리층 사이에 위치하고 소정의 문양이나 그림등이 인쇄되어 상부 투명 유리층 및 하부 투명 유리층 바깥으로 입체감을 출력하는 렌티큘러 시트층과; 상기 상부 투명 유리층과 하부 투명 유리층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어 그 내부에 렌티큘러 시트층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며;
2중의 투명유리층 내부에 렌티큘러 시트를 부가 설치하여 입체감을 맞볼 수 있으며, 특히 기존의 바닥면에 광고를 개제할 경우 광고를 어필하기에 너무 단조로운 느낌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렌티큘러의 입체효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느낌을 심어줄 수가 있어 광고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어린이들에게 즐거운 놀이공간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어 교육적 측면에서 다양한 상상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A Floor Sheet Using Lenticular Sheet}
본 고안은 렌티큘러 시트를 이용한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1 유리층과 제 2 유리층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렌티큘러 시트를 삽입하여 바닥재를 쳐다보는 사람에게 다양한 움직이는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 시트를 이용한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렌티큘러시트(lenticular sheet)는 미소한 반원주형(半圓柱形)의 렌즈를 다수 평행하게 줄지어서 판상(板狀)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입체사진, 인쇄입체영상 표시 등에 사용되는 것이며, 그 재료는 보통 염화비닐, 아크릴수지, PP, PE 등의 박판이며, 금형(金型)으로 성형해서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렌티큘러시트는 그 자체가 비교적 얇고 시트를 이루는 재료의 성질상 구부리면 쉽게 꺾어져 버리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보통 렌티큘러시트의 배면에 고무판 등을 융착하여 매트로서 가정, 사무실, 영업장 등의 탁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마우스 패드 등으로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성질을 갖는 렌티큘러시트를 두개의 투명유리층 사이에 삽입하여 바닥재에 적용하여 그 사용범위를 다양하게 확대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상부면에 위치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상부 투명 유리층과;
하부면에 위치하는 투명 유리층과; 상기 상부 투명 유리층 과 하부 투명 유리층 사이에 위치하고 소정의 문양이나 그림등이 인쇄되어 상부 투명 유리층 및 하부 투명 유리층 바깥으로 입체감을 출력하는 렌티큘러 시트층과; 상기 상부 투명 유리층과 하부 투명 유리층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어 그 내부에 렌티큘러 시트층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렌티큘러 시트를 적용한 바닥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렌티큘러 시트를 적용한 바닥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을 이용한 바닥재의 예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닥재(100)는 총 3개층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면에 위치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상부 투명 유리층(10)과, 하부면에 위치하는 투명 유리층(20) 및, 상기 상부 투명 유리층(10)과 하부 투명 유리층(20) 사이에 위치하며 소정의 문양이나 그림등이 인쇄된 렌티큘러 시트층(3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 투명 유리층(10)과 하부 투명 유리층(20)은 접착제층(40)에 의하여 부착되어 그 내부에 렌티큘러 시트층(3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에서 접착제층(40)을 구성하는 접착제는 렌티큘러 시트층(30)에 흘러들어가지 않토록 주의해야 하는바, 이는 접착제가 렌트큘러 시트층(30)의 상부에 묻게 되면 빛의 반사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여 렌티큘러 시트층(30)에 새겨진 문양(31)의 반사율이 떨어지게 되어 원하는 입체감을 생성시키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렌티큘러 시트층(30)에 새겨진 문양이 입체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보는 시각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 형상을 제공하여 바닥재를 걸어다니면서 환상적인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어린이집과 같이 어린이 및 유아들이 이용하는 장소에 본 고안의 타일을 깔게 되면 걸어다니면서 환상적인 기분을 만끽할 수 있어 마치 동화나라에 온듯한 착각을 불러 일으킬 수 있어 다양한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용 문안이나 도안을 형성하게 되면 바닥재(100)를 걸어다니면서 이를 인식시키기 용이하여 보다 광고 수요자에게 심미감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며, 광고 제공자에 있어서도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상부 투명 유리층(10)과 하부 투명 유리층(20)은 필요에 따라서 아크릴과 같은 투명재질의 재료를 치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바닥재(100)의 하부면에 형광등이나 백열등과 같은 광출력매체를 부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닥재에 적용되는 렌티큘러 시트에 있어서, 렌티큘러의 원리를 설명하면, 인간은 입체감이나 원근감은 좌, 우 양쪽 눈으로써 가능하게 되며, 사람의 눈과 눈사이의 간격은 평균 6.3cm정도로 어느 물체나 풍경을 볼 경우 좌우의 눈은 각각 다른 각도에서 같은 것을 보게 된다.
따라서, 보는 각도가 다른 만큼 오른쪽 눈으로 본 상과 왼쪽 눈으로 본 상은 다르게 되는데, 각각은 뇌의 움직임에 따라 하나로 결합되어 깊이 있는 상으로써 인식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응용하여 인간이 좌, 우의 눈으로 본 것과 같이 복수의 화상을 만들어 인쇄하고, 오른쪽 눈으로 인식되기 위한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연구 개발해서 나온 것이 상기 렌티큘러 시트 (lenticular sheet) 이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렌티큘러 시트(lenticular sheet)는 투명 플라스틱재로 아랫부분은 평평하고, 표면은 간격 0.4mm정도로 파형의 렌즈를 형성하고, 두께는 0.3~1.3mm로 형성된다. 상기 렌즈를 통해서 위의 교착된 이미지를 보게 되면 실제로는 평면이며, 정적인 이미지 상에서 입체, 동영상, 혹은 다른 효과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상부 투명 유리층과 하부 투명 유리층은 각각 0.5 - 2cm 내외의 적당한 두께를 갖도록 하면 된다. 이는 통상 바닥재로 활용할 경우 그 크기는 한정되어 있고 이들을 조립하여 이용하게 되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 투명 유리층이 0.5cm 미만으로 너무 얇으면 유리의 파손과 더불어 렌티큘러 시트의 파손 우려가 있고, 만약에 상부 및 하부 투명 유리층이 2cm 이상 너무 두꺼우면 외부 빛 반사 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렌티큘러 시트의 크기가 매우 넓은 면적을 소유하고 있으면 이에 따라 상부 투명 유리층과 하부 투명 유리층의 두께도 상기 범위를 벗어나 훨씬 두꺼워질 수도 있으며, 바닥재를 벽면에 부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면 0.5cm 이하로 설치하더라도 무방하다.
결국, 본 고안은 두개의 투명 유리층 사이에 일정한 문양이나 그림이 새겨진 렌티큘러 시트를 삽입 후 고정하여 바닥재로 활용함으로서 바닥재 위를 걸어가는 사람에게 다양한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고, 벽면등에 설치되면 벽면을 바라보며 이동하면서 다양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2중의 투명유리층 내부에 렌티큘러 시트를 부가 설치하여 걷는 동작에 의해 움직이면서 다양한 입체감을 맞볼 수 있으며, 특히 기존의 바닥면에 광고를 개제할 경우 광고를 어필하기에 너무 단조로운 느낌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렌티큘러의 입체효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느낌을 심어줄 수가 있어 광고효과가 매우 뛰어나고, 어린이들에게 즐거운 놀이공간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어 교육적 측면에서 다양한 상상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렌티큘러 시트를 적용한 바닥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렌티큘러 시트를 적용한 바닥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이용한 바닥재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부 투명 유리층 20: 하부 투명 유리층
30: 렌티큘러 시트층 31: 렌티큘러 문양
40: 접착제층 100: 타일

Claims (1)

  1. 상부면에 위치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상부 투명 유리층(10)과;
    하부면에 위치하는 투명 유리층(20)과;
    상기 상부 투명 유리층(10)과 하부 투명 유리층(20) 사이에 위치하고 소정의 문양이나 그림등이 인쇄되어 상부 투명 유리층 및 하부 투명 유리층 바깥으로 입체감을 출력하는 렌티큘러 시트층(30)과;
    상기 상부 투명 유리층과 하부 투명 유리층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어 그 내부에 렌티큘러 시트층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접착제층(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KR20-2005-0025268U 2005-09-01 2005-09-01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KR2004020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268U KR200402074Y1 (ko) 2005-09-01 2005-09-01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268U KR200402074Y1 (ko) 2005-09-01 2005-09-01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265A Division KR20070025276A (ko) 2005-09-01 2005-09-01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074Y1 true KR200402074Y1 (ko) 2005-11-24

Family

ID=43703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268U KR200402074Y1 (ko) 2005-09-01 2005-09-01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0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902241U (zh) 装饰膜、电子设备外壳及电子设备
CN205902240U (zh) 装饰件、电子设备外壳以及电子设备
US7621651B2 (en) Decorative picture mirror
KR200402074Y1 (ko)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CN208027021U (zh) 一种立体展示屏
KR20070025276A (ko) 렌티큘러시트를 이용한 바닥재
JP2011020403A (ja) 装飾部材
KR200453463Y1 (ko) 입체문양이 표현되는 유리판조립체
KR100829520B1 (ko) 장식재, 이를 포함하는 장식 패널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201107473Y (zh) 眼镜
DE60213440D1 (de) Glasfliese mit veränderlichem erscheinungsbild
JP2005074719A (ja) 3次元効果のある装飾板および当該装飾板を用いた立体的な装飾体
KR200359561Y1 (ko) 렌티큘러시트를 포함하는 입체광고패드
KR101081185B1 (ko) 입체 인쇄방법 및 입체 인쇄물
CN205915865U (zh) 裸眼3d装饰画
JP3216299U (ja) 立体ライトボックス
CN1963570A (zh) 一种光栅板的结构
CN201641262U (zh) 装饰框
KR101213113B1 (ko) 입체 표현이 가능한 간판 어셈블리
CN202188325U (zh) 一种显示三维效果的立体灯饰
CN210129885U (zh) 光学成像装饰膜及电子产品盖板
JP3154778U (ja) 表示装置
JP2006243683A (ja) サインボード
KR200339442Y1 (ko) 광고대
JP2006163189A (ja) 3d表示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