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704Y1 -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 - Google Patents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704Y1
KR200303704Y1 KR20-2002-0030849U KR20020030849U KR200303704Y1 KR 200303704 Y1 KR200303704 Y1 KR 200303704Y1 KR 20020030849 U KR20020030849 U KR 20020030849U KR 200303704 Y1 KR200303704 Y1 KR 200303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paper
grinding
identification number
product identification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희진
Original Assignee
남수통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수통상 (주) filed Critical 남수통상 (주)
Priority to KR20-2002-0030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7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00Wheels or drums supporting in exchangeable arrangement a layer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 e.g. sand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flexible abrasive materials; Speci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such materials
    • B24D11/02Backings, e.g. foils, webs, mesh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에 관한 것으로, 상면은 연삭사포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제품식별번호가 표시된 부직포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사포면으로 구성되어 사포휠 하면의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연삭기의 연삭사포에 있어서, 연삭사포의 부직포면을 제품식별번호에 따라서 각각 구별되는 식별칼라로 구성시켜 사용시 먼지와 그을음으로 더러워져도 부직포면의 식별칼라만으로도 손쉽게 연삭사포의 제품식별번호를 알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sandpaper having identification color for grinder}
본 고안은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삭사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그을음 등에 의해 제품식별번호의 숫자가 식별되지 않더라도 식별칼라로 손쉽게 원하는 제품식별번호의 연삭사포를 선택할 수 있는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삭기(硏削機, grinder)는 고속도로 회전하는 연삭 숫돌을 사용해서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작기계로, 그라인더라고도 한다. 숫돌은 매우 미세한 절삭날을 가지고 있는 커터라고 볼 수 있다. 다듬질면의 거칠기는 보통의 바이트로 절삭한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의 정밀도이며 한국산업규격(KS)의 0.4 s 정도의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베드와 테이블과 숫돌대의 3가지 주요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테이블은 왕복운동을 하고 숫돌대는 숫돌차를 유지하여 고속도회전으로 정밀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연삭기에 의한 다듬질 치수는 정밀하고, 다듬질면도 아름다우며, 담금질강(鋼)과 같은 매우 단단한 면도 쉽게 다듬을 수가 있다.
연삭기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일반 연삭용으로 축(軸) 등을 다듬질하는 원통연삭기, 내면을 연삭하는 내면연삭기, 평면을 비롯하여 내면 ·테이퍼면도 다듬질할 수 있는 평면연삭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원통의 외주(外周), 구멍의 내면을 연삭하는 만능연삭기 등이 대표적이며, 그 밖에 특수작용으로서 기어 연삭기 ·캠 연삭기 ·크랭크핀 연삭기 ·센터리스 연삭기 등이 있다. 또한 커터용으로서는 공구연삭기 ·드릴 연삭기 등이 있다.
이런 연삭기는 연삭숫돌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공작물을 가공하는 바, 연삭기로 다듬질을 하면 치수가 정밀하고, 다듬질면이 아름다우며, 담금질강(鋼)과 같은 매우 단단한 면도 쉽게 다듬을 수가 있다.
연삭기에 장착된 연삭숫돌은 굳기가 큰 지립(砥粒)을 적당한 접착제로 접착 성형한 것이다. 지립은 천연산과 인조가 있는데, 대부분 인조지립을 사용한다. 천연지립의 재료로 다이아몬드·에머리·스피넬 등이 있고, 1875년경부터 사용된 인조지립의 재료로는 용융알루미나와 탄화규소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새롭게 등축정계질화붕소(cubicboronnitride:CBN)가 등장하면서 용도가 많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CBN이 용융알루미나보다 두 배 정도 더 굳기가 강하고, 인성(靭性)과 열안정성이 다이아몬드보다 뛰어나기 때문이다. 접착제는 숫돌입자를 유지하는 구실을 하는데, 실리케이트·라바·셸락 등 종류는 여러 가지이나 비트리파이드숫돌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연삭사포가 장착된 연삭기의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연삭사포가 장착된 사포휠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연삭사포가 사포휠과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다.
연삭기(140)의 연삭숫돌로는 금강사(金剛砂)나 유리분말을 점결제(粘結劑)로 종이나 천에 도포한 사포(砂布, sand paper)를 사용하기도 하는바, 평면을 연삭하는데 사용되는 연삭사포(100)는, 상면은 부직포면(110)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사포면(120)으로 구성되며, 부직포면(110)의 일측에는 세계공업표준규격으로 통일된 연삭사포(100)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제품식별번호(112)가 표시된다.
연삭기(140)가 연삭사포(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면에 벨크로테이프(13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에 주축(134)이 돌출된 둥근원판 형태인 사포휠(130)을 연삭기(140)의 회동부에 축고정시킨 후, 연삭사포(100) 상면의 부직포면(110)을 사포휠(130) 하면의 벨크로테이프(132)에 완강히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사포휠(130)에 부착되는 연삭사포(100) 부직포면(110)의 제품식별번호(112)는 문자와 숫자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대상 제품을 거칠게 연삭하고자 할때에는 낮은 숫자의 제품식별번호(112)를 사용하고, 반대로 세밀한 연삭을 원할 경우에는 높은 숫자의 제품식별번호(112)를 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이런 문자와 숫자로 구별되는 종래 연삭사포(100)의 제품식별번호(112)는 사용자의 연삭기(140) 사용과정에서 먼지나 그을음 등이 접착되어 숫자를 구별할 수 없게됨에 따라 사용자는 연삭사포(100) 하면의 사포면(120)의 모래입자를 얼추 짐작하여 사용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입자로 정확하게 연삭할 수 없어 연삭상태가 불량한 불량품을 양산시키게 되는 제품가공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삭사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그을음 등에 의해 제품식별번호의 숫자가식별되지 않더라도 식별칼라로 손쉽게 원하는 제품식별번호의 연삭사포를 선택할 수 있는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면은 연삭사포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제품식별번호가 표시된 부직포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사포면으로 구성되어 사포휠 하면의 벨크로테이프에 부착되는 연삭기의 연삭사포에 있어서;
연삭사포의 부직포면을 제품식별번호에 따라서 각각 구별되는 식별칼라로 구성시켜 사용시 먼지와 그을음으로 더러워져도 부직포면의 식별칼라만으로도 손쉽게 연삭사포의 제품식별번호를 알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연삭사포가 장착된 연삭기의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삭사포가 장착된 사포휠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연삭사포가 사포휠과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연마사포의 식별칼라가 도포된 부직포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 : 연삭사포 11,110 : 부직포면
12 : 식별칼라 112 : 제품식별번호
120 : 사포면 130 : 사포휠
132 : 벨크로테이프 134 : 주축
140 : 연삭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연마사포의 식별칼라가 도포된 부직포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 본 고안의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10)는 연삭사포(10)의 부직포면(11)을 제품식별번호(112)에 따라서 각각 구별되는 식별칼라(12)로 구성시켜서 이루어진다.
이에 연삭사포(10)의 사용시 먼지와 그을음으로 부직포면(11)의 제품식별번호(112)가 가늠하기 어렵게 더러워져도 설정된 부직포면(11)의 식별칼라(12)만으로도 사용자는 손쉽게 연삭사포(10)의 제품식별번호(112)를 미루어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연삭사포(10)의 부직포면(11)을 P240은 분홍색, P400은 연두색등으로 각 제품식별번호(112)마다 각각 구별되는 식별칼라(12)로 전체를 도포하여 표시하면 된다.
이렇게 한눈에 식별되는 식별칼라(12)로 인해서 여러 장의 연삭사포(10) 중에서 손쉽게 원하는 제품식별번호(112)를 갖는 연삭사포(10)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식별칼라(12)로 인해 손쉽게 선택할 수 있게 되는 연삭사포(10)는 제품식별번호(112)를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준비시간 없이, 바로 연삭작업을 위한 연삭기(140) 사포휠(130) 하면의 벨크로테이프(132)에 연삭사포(10) 상면의 부직포면(11)을 부착 고정시킨 후, 사용자는 연삭기(140)로 사포휠(130)을 회동시켜 연삭사포(10) 하단의 사포면(120)으로 물품의 연삭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연삭작업이 수행된 후에 연삭기(140)의 사포휠(130) 하단의 벨크로테이프(132)에서 연삭사포(10)의 부직포면(11)을 분리시킨 다음에도, 부직포면(11)의 식별칼라(12)는 연삭작업시의 먼지나 그을음에 의해 변색되지 않고 그 식별칼라(12) 고유의 색상을 유지하게되고, 그을음에 의해 변색된 부분은 극히 일부분으로 부직포면(11)의 식별칼라(12)를 식별하는데 전혀 지장을 줄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연삭사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그을음 등에 의해 제품식별번호의 숫자가 식별되지 않더라도 구별되는 식별칼라로 손쉽게 원하는 제품식별번호의 연삭사포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상면은 연삭사포(100)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제품식별번호(112)가 표시된 부직포면(110)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사포면(120)으로 구성되어 사포휠(130) 하면의 벨크로테이프(132)에 부착되는 연삭기의 연삭사포에 있어서;
    연삭사포(10)의 부직포면(11)을 제품식별번호(112)에 따라서 각각 구별되는 식별칼라(12)로 구성시켜 사용시 먼지와 그을음으로 더러워져도 부직포면(11)의 식별칼라(12)만으로도 손쉽게 연삭사포(10)의 제품식별번호(112)를 알 수 있는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
KR20-2002-0030849U 2002-10-16 2002-10-16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 KR200303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49U KR200303704Y1 (ko) 2002-10-16 2002-10-16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49U KR200303704Y1 (ko) 2002-10-16 2002-10-16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704Y1 true KR200303704Y1 (ko) 2003-02-11

Family

ID=4933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849U KR200303704Y1 (ko) 2002-10-16 2002-10-16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7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54674A1 (ja) 砥石車
JP6408600B2 (ja) セラミックブレードおよび金属ブレードのための電動研ぎ器
US5993295A (en) Polishing of optical surface of an ophthalmic lens
KR200303704Y1 (ko) 식별칼라를 갖는 연삭기의 연삭사포
JP2004517740A (ja) 研削システム用のバックアッププレートアセンブリ
JP2001300856A (ja) 超砥粒工具
Dake The Art of Gem Cutting-Including Cabochons, Faceting, Spheres, Tumbling and Special Techniques
JP2008110420A (ja) 内面研削装置用砥石および内面研削方法
JPS62292367A (ja) ダイヤモンド被覆弾性粒研磨シ−ト
JP2003291069A (ja) 研削盤用の砥石及びこの砥石を使用する研削方法
US2155037A (en) Flexible grinder
JPS6362336B2 (ko)
KR200229950Y1 (ko) 핸드 그라인더용 연마헤드
JP3072671U (ja) 研削工具
JPH01264771A (ja) といし車の形直しおよび目直し用工具並びにそれの使用方法
CN113524054B (zh) 磨头刀具
JPH03131478A (ja) 石材研磨用ダイヤモンド砥石
KR200400193Y1 (ko) 다이아몬드입자를 이용한 그라인더의 연마포
JP2014217934A (ja) 研削ホイール
JP2000190199A (ja) 定盤平面修正方法
US20230136260A1 (en) Polishing tool
JPS5830111B2 (ja) フオ−ミングドレツサ−
KR200383788Y1 (ko) 다용도 패드
Howard Revised lapidary handbook
JPS61297082A (ja) 研摩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