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669Y1 -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669Y1
KR200303669Y1 KR20-2002-0035045U KR20020035045U KR200303669Y1 KR 200303669 Y1 KR200303669 Y1 KR 200303669Y1 KR 20020035045 U KR20020035045 U KR 20020035045U KR 200303669 Y1 KR200303669 Y1 KR 200303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s
ray
unit
image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석
김태우
정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20-2002-0035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6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구강내 엑스레이 촬영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설치및 조작이 용이하며,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의 요지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엑스선에 의한 영상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증폭하고,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부;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와 전압 및, 조사시간을 조절하여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기기; 다수의 기능키를 가지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무선 키신호를 발생시켜 무선송신하는 원격조정기; 및, 상기 영상처리기와 엑스선기기, 원격조정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기와 엑스선기기를 초기화시키며, 등록된 고객의 경우 기 저장된 값에 의해 엑스선을 발생시키거나 사용자의 조정에 의해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등록되지 않은 고객의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을 한 다음 등록된 값이나 사용자의 조정에 의해 엑스선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엑스선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컴퓨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엑스선을 이용한 구강내의 촬영에 이용된다.

Description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Apparatus for photographing X-ray image of inside mouth}
본 고안은 구강내 엑스선 영상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 및 운용이 손쉬운 구강내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내의 치아 상태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엑스선기기와 엑스선기기의 동작에 따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센서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디지털변환 및 랩탑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센서인터페이스로 구성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영상촬영장치에 의해 형성된 영상은 센서인터페이스(Sensor Interface)를 통해 랩탑컴퓨터로 전달된다. 그런데, 랩탑컴퓨터는 영상을 모니터로 출력하기 위한 변환을 수행하는 영상캡쳐보드(Frame Grabber)의 구비가 필수적인데, 이러한 보드는 개당 80~100만원정도로 고가여서 경제적인 부담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영상정보를 컴퓨터로 전달하는 방법으로 미국특허등록제6,134,298호에 개시된 기술로 USB 1.1이 선을 보여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센서인터페이스와 랩탑컴퓨터 사이의 영상정보 전달을 위해 USB를 사용할 경우 영상캡춰보드(Frame Grabber)가 필요 없지만, 센서인터페이스와 랩탑컴퓨터와의 거리가 멀게되면 신호전송에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USB는 단거리 통신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케이블의 길이가 4M를 초과하게 되면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의 연장을 위해서는 중간중간 유에스비허브를 설치하여야 하며 최대 연장은 20M까지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영상촬영장치를 보면 엑스선 발생장치와 센서는 촬영실에 위치하고, 랩탑컴퓨터는 여타의 다른 곳에 위치하여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장치를 조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촬영된 하나의 영상파일 크기가 1메가가 넘기 때문에 플로피디스크의 사용이 곤란하여 정보의 이동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구강내의 영상촬영이 손쉽고, 정보의 이동이 용이하며, 설치 및 조작이 손쉬운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강내 엑스선 영상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엑스선 영상촬영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 영상처리기 20, 21 : 엑스선기기
30 : 제어컴퓨터 31, 32 : 컴퓨터
40 : 서버 50 : 원격조정기
110 : 센서부 120 : 증폭부
130 : 옵셋조정부 131 :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
160 : 저장부 170 : 영상변환부
180 : 제1무선송수신부 100 : 촬영제어부
200 : 엑스선제어부 210 : 엑스선발생부
220 : 고전압제어부 230 : 제2무선송수신부
240 : 사용자인터페이스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강내의 엑스선 영상촬영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엑스선에 의한 영상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변환시켜 증폭하고,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부;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와 전압 및, 조사시간을 조절하여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기기; 다수의 기능키를 가지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무선 키신호를 발생시켜 무선송신하는 원격조정기; 및, 상기 영상처리기와 엑스선기기, 원격조정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기와 엑스선기기를 초기화시키며, 등록된 고객의 경우 기 저장된 값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고 엑스선을 발생시키거나 사용자의 조정에 의해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등록되지 않은 고객의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을 한 다음 등록된 값이나 사용자의 조정에 의해 엑스선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엑스선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컴퓨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강내 엑스선 영상촬영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기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엑스선 영상촬영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는 영상처리기(100)와 엑스선기기(20), 원격조정기(50), 제어컴퓨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처리기(10)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엑스선에 의한 영상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증폭하고,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무선 송수신부를 통해 영상데이터를 무선 송신한다.
엑스선기기(20)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와 전압 및, 조사시간을 조절하여 엑스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원격조정기(50)는 다수의 기능키를 가지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무선 키신호를 발생시켜 제어컴퓨터(30)로 무선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원격조정기(50)는 영상촬영장치의 전원온오프키와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IRDA나 RF를 이용한 무선송신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제어컴퓨터(30)는 영상처리기(10)와 엑스선기기(20), 원격조정기(5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기(10)와 엑스선기기(20)를 초기화시키며, 등록된 고객의 경우 기 저장된 값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어 엑스선을 발생시키거나 사용자의 조정에 의해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등록되지 않은 고객의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을 한 다음 등록된 값이나 사용자의 조정에 의해 엑스선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제어컴퓨터(30)는 키입력을 위한 키보드와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표시부로는 일반적인 CRT모니터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될 수 있다.
제1 및 제2컴퓨터(31, 32)는 제어컴퓨터(30)와 무선랜과 같은 방법으로 연결된 컴퓨터를 말하며, 일반 랜 환경에서와 같이 데이터의 억세스가 가능하여 제어컴퓨터(30)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서버(40)는 제어컴퓨터(30)에 임시 저장되는 영상정보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 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영상처리기(11)와 엑스선기기(21)를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2 는 본 고안에 따른 영상처리기(10)의 상세도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촬영제어부(100)는 영상처리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 요구에 따른 원격조정기(5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센서(110)를 동작시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정보를 제1무선송수신부(180)를 통해 제어컴퓨터(30)로 전송한다.
센서부(110)는 엑스선기기(20)로부터 조사된 엑스선에 의해 구강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조사된 엑스선 영상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증폭부(120)는 센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 출력된 신호는 옵셋조정부(130)와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131)로 출력된다.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131)는 증폭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디지털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옵셋조정부(130)는 엑스레이 센서부(110)의 아날로그 데어터 변환 시 센서부(110)에 기준전압을 조절하고, 좌/우측 센서를 위해 각각 하나씩의 기준전압을 출력한다. 기준전압의 조정은 딥스위치 밑 제어컴퓨터(30)로 조정이 가능하다.
영상변환부(170)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받아서 무선송수신부에 요구하는타이밍 및 프로토콜에 맞도록 입력되는 영상정보를 변환하여 제1무선송수신부(180)로 출력한다.
제1무선송수신부(180)는 제어컴퓨터(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특정 제어신호를 촬영제어부(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1무선송수신부(180)는 촬영한 영상정보를 제어컴퓨터(30)로 무선전송한다.
저장부(160)는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RAM(Random Access Memory)이나 하드디스크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엑스선기기(20)의 상세 블록구성도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무선송수신부(230)는 제어컴퓨터(3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엑스선제어부(200)로 전송한다.
엑스선제어부(200)는 제2무선송수신부(230)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엑스선 발생을 위한 전압과 전류 및 조사시간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사용자인터페이스부(240) 조작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고전압제어부(HVC : High Voltage Controller : 220)는 엑스선제어부(2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엑스선 발생을 위한 고전압제어신호를 발생시키며, 엑스선 발생부(210)는 고전압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240)는 표시부와 키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엑스선기기(20)의 일반적인 점검이나 동작 상태 확인 등에 사용되어 진다.
이하 도 1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600단계에서 사용자가 원격조정기(50)나 제어컴퓨터(30)의 키보드를 통해 전원 온키를 누르면 제어컴퓨터(30)는 수신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영상처리기(10)와 엑스선기기(20)로 출력한다. 이때, 촬영제어부(100)와 엑스선제어부(200)는 각부에 전원을 온시켜 초기화 상태에 들어다도록 한다. 이후 제어컴퓨터(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고객의 정보가 제어컴퓨터(30)의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검사한다. 데이터베이스에 고객의 정보가 존재하면 6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30 단계로 진행하여 고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제어컴퓨터(30)에 존재할 수도 있고, 서버(40)에 존재할 수도 있다.
640 단계에서 제어컴퓨터(30)는 등록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고객정보에 따라 엑스선 발생을 위한 설정값을 자동 설정한다. 즉, 등록된 고객의 연령과 치료중인 치아 정보에 따라 엑스선발생을 위한 전압 및 전류, 조사시간을 자동 설정한다.
650 단계에서 제어컴퓨터(30)는 설정을 유지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물어본다. 이 단계에서 제어컴퓨터(3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컴퓨터(30)가 구비하고 있는 표시부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원격조정기(50)의 표시부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한다.
기본설정값을 유지 거부를 위한 키입력이 제어컴퓨터(30)가 구비한 입력장치나 원격조정기(50)를 통해 발생되면 651 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엑스선발생을 위한 전압과 전류, 조사시간을 설정한다.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컴퓨터(30)는 해당설정에 따른 제어신호를 엑스선기기(20)와 영상처리기(10)에 전송한다.
촬영준비가 완료되면 엑스선기기(20)와 영상처리기(10)가 완료메시지를 제어컴퓨터(30)로 전송하고, 촬영준비완료 메시지를 제어컴퓨터(30)가 구비하고 있는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거나, 원격조정기(50)의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
이후, 660 단계에서 사용자가 원격조정기(50)나 제어컴퓨터(30)의 촬영버튼을 누름에 의해 촬영키신호가 제어컴퓨터(30)에 입력되면, 이를 영상처리기(10)와 엑스선기기(20)로 전송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엑스선기기(20)의 엑스선제어부(200)는 고전압제어부(220)를 통해 엑스선발생부(210)가 엑스선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영상처리기(10)의 촬영제어부(100)는 센서부(110)를 동작시켜 영상을 획득한 다음, 제1무선송수신부(180)를 통해 영상정보를 제어컴퓨터(30)로 무선전송한다. 전송된 영상정보는 서버(40)나 제어컴퓨터(3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정보는 제1 및 제2컴퓨터(31, 32)를 통해 다른 사용자가 억세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영상처리기(10), 엑스선기기(20), 제어컴퓨터(30) 및 원격조정기(50)를 무선으로 연결함으로써, 구강내의 영상촬영이 손쉽고, 정보의 이동이 용이하며, 설치 및 조작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구강내의 엑스선 영상촬영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엑스선에 의한 영상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증폭하고, 무선송수신에 적합한 타이밍 및 프로토콜에 맞도록 변환한 다음 이를 무선송신하는 영상처리기;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류와 전압 및, 조사시간을 조절하여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기기;
    다수의 기능키를 가지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무선 키신호를 발생시켜 무선송신하는 원격조정기; 및,
    상기 영상처리기와 엑스선기기, 원격조정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영상처리기와 엑스선기기를 초기화시키며, 등록된 고객의 경우 기 저장된 값에 의해 자동설정 되며 엑스선을 발생시키거나 사용자의 조정에 의해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등록되지 않은 고객의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을 한 다음 등록된 값이나 사용자의 조정에 의해 엑스선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엑스선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컴퓨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처리기는,
    조사된 엑스선 영상정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의 출력값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부;
    상기 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
    상기 센서의 출력값에 의해 상기 센서의 옵셋을 조정하기 위한 옵셋조정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로부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받아서 무선송수신에 적합한 타이밍 및 프로토콜에 맞도록 변환하는 영상변환부;
    상기 영상변환부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며 상기 제어컴퓨터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1무선송수신부;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센서부를 동작시켜 촬영된 영상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제1무선송수신부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촬영제어부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기기는,
    상기 제어컴퓨터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무선송수신부;
    상기 제2무선송수신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엑스선 발생을 위한 전압과 전류및 조사시간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엑스선제어부;
    상기 엑스선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엑스선 발생을 위한 고전압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고전압제어부;
    상기 고전압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엑스선을 발생시키는 엑스선 발생부; 및,
    표시부와 키입력부를 구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KR20-2002-0035045U 2002-11-23 2002-11-23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KR200303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045U KR200303669Y1 (ko) 2002-11-23 2002-11-23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045U KR200303669Y1 (ko) 2002-11-23 2002-11-23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669Y1 true KR200303669Y1 (ko) 2003-02-11

Family

ID=4933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045U KR200303669Y1 (ko) 2002-11-23 2002-11-23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6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1792A2 (ko) * 2009-08-19 2011-02-24 주식회사 디알젬 엑스선 제너레이터 시스템
KR101217113B1 (ko) * 2007-07-06 2013-01-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선 접속 포인트를 이용한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113B1 (ko) * 2007-07-06 2013-01-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무선 접속 포인트를 이용한 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및방법
WO2011021792A2 (ko) * 2009-08-19 2011-02-24 주식회사 디알젬 엑스선 제너레이터 시스템
WO2011021792A3 (ko) * 2009-08-19 2011-06-03 주식회사 디알젬 엑스선 제너레이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25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transfer
WO2004032481B1 (en) Intraoral image sensor
JP6164876B2 (ja) X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2004018464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aging
JP2006247102A (ja) X線撮影装置
JP6706136B2 (ja)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システム、放射線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120953A (ja) 測定データ処理システム
CN105686840A (zh) 放射线摄像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6064115A1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and device thereof
JP2000014638A (ja) 歯科診断システム
KR200303669Y1 (ko)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US20140254765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0780848B1 (ko) 무선 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수행하는 x선 촬영시스템
US7236186B2 (en) Portable terminal, shop-front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7092022B1 (en) Download of images from an image capturing device to a television
KR100707792B1 (ko)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
KR200303668Y1 (ko) 유에스비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JP2005176973A (ja) 放射線画像処理装置、放射線画像処理システ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2002237981A (ja) 撮像システム
JP2003199736A (ja) X線撮影装置、モバイルx線撮影装置、x線撮影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CN110602459A (zh) 一种医用无线视像发射电路、接收电路和装置
JP2000261834A (ja) 診断調整システム、診断調整装置、撮像装置、被写体ボックス
KR100863299B1 (ko) 디지털 엑스선 촬영장치의 평판형 엑스선 검출기
JP2024077850A (ja)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4109880B2 (ja) 撮像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