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792B1 -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7792B1
KR100707792B1 KR1020050080782A KR20050080782A KR100707792B1 KR 100707792 B1 KR100707792 B1 KR 100707792B1 KR 1020050080782 A KR1020050080782 A KR 1020050080782A KR 20050080782 A KR20050080782 A KR 20050080782A KR 100707792 B1 KR100707792 B1 KR 100707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ray irradiation
signal
trigger sign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5043A (ko
Inventor
박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102005008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779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5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5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7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에 따라 X선을 조사하며, 트리거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X선 조사 수단 촬영 대상을 투과하는 X선을 수집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무선 송신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싱 수단에 전압 및 클럭을 공급하며,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후 상기 센싱 수단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리드아웃수단을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엑스선 조사 시점을 정확히 판별하여 그 시점에 센서에 전압, 게인 및 오프셋 등을 인가함으로써 센서 수명을 증가시키고, 촬영 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엑스선, 치아, 센서, RF, 트리거 신호, 엑스선 파워, 게인, 오프셋

Description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METHOD AND SYSTEM FOR X-RAY PHOTOGRAPHING,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GAE PHOTOGRAPHED BY X-RAY}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X선 촬영 과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과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X선을 조사하는 시점을 정확히 판단하여 X선 촬영 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X선은 고속전자의 흐름을 물질에 충돌시켰을 때 발생하는 파장이 짧은 전자기파로서 강한 투과력을 가지고 있어 의료용으로 환자의 건강 상태 진단을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X선은 치과에서 환자의 치아 상태를 스캔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X선 촬영 시스템은 X선 조사 장치(100), 센서(104), 리드아웃보드(ReadOut Board: 컨트롤 박스)(108) 및 사용자 컴퓨터(110)를 포함한다.
X선 조사 장치(100)는 고전압으로 전자를 가속하여 X선을 조사하는 장치이며, 소정 영역에 X선 조사 스위치(102)를 소정 영역에 구비하고 있다.
센서(104)는 입안에 삽입되며, 촬영할 치아를 중심으로 X선 조사 장치(100)와 대향 배치되어 치아에 관한 영상 신호를 수집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픽셀을 포함하는 CCD(Charged-Coupled Device) 센서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센서(104)의 일면에는 증감지가 부착되는데, 이는 X선 조사 장치(100)에서 조사된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며, 변환된 가시광선은 CCD 센서(104)에 배치된 각 픽셀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다.
각 픽셀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된 치아에 관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는 케이블(106)을 통해 리드아웃보드(108)로 출력한다.
리드아웃보드(108)는 사용자 컴퓨터(110)와 USB 케이블로 연결되어 사용자 컴퓨터(1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센서(104)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리드아웃보드(108)는 상기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사용자 컴퓨터(110)로 출력하며, 사용자 컴퓨터(110)는 소정의 표시부에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치아에 관한 영상을 표시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X선 촬영 과정의 순서도로서, 도 2는 X선 조사 전후의 리드아웃보드(108)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X선 촬영을 위해 X선 촬영 시스템 조작자(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110)를 통해 촬영 준비 신호를 입력하면, 리드아웃보드(108)는 사용자 컴퓨터(110)로부터 촬영 준비 커맨드를 수신한다(S200).
리드아웃보드(108)는 촬영 준비 커맨드를 수신한 후, 센서(104)에 전압을 인가하며, 아울러 센서(104)가 수집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클럭을 분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02).
한편, 종래의 CCD 센서(104)는 포토 다이오드(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는데, 포토 다이오드는 X선 조사 장치(100)에서 조사된 X선을 수신하는 경우, 리드아웃보드(108)로 X선 조사 시작을 알리는 트리거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리드아웃보드(108)는 상기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S204), 센서(104)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S206),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08).
리드아웃보드(108)는 디지털로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컴퓨터(110)로 출력하며(S210), 조작자는 사용자 컴퓨터(110)를 통해 환자의 치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치아 촬영을 위한 X선 촬영 시스템에서 센서(104) 및 리드아웃보드(108)는 수명 증가를 위해 X선 조사 시간 동안에만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사용 시간에 따라 감도가 크게 변화하는 센서(104)의 수명 증가를 위해, X선 조사 시점을 정확히 판별하여 그 시점부터 센서(104)가 동작하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기술에 따르면, 리드아웃보드(108)는 사용자 컴퓨터(110)로부터 촬영 준비 커맨드를 수신한 직후부터 센서(104)에 전압을 인가한다.
즉, 리드아웃보드(108)는 실제 X선 조사가 이루어지는 트리거 신호 수신 시가 아니라 그 이전부터 센서(104)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센서(104)가 아직 X선이 조사되기 이전부터 전압을 인가 받기 때문에 불필요한 센서 동작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센서(104)로의 전압 공급에 따라 센서의 온도가 높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센서(104) 자체의 오프셋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센서(104)에서 0 내지 100(상대적인 출력 전압 차이)까지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고, 리드아웃보드(108)에서 0 내지 120까지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 센서로의 전압 인가에 따른 온도 상승으로 센서의 오프셋이 증가되어 센서가 50 내지 150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리드아웃보드(108)는 120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지 못해 치아에 관한 영상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포토 다이오드의 반응 시간 이 모든 센서에 대해 균일하지 못하기 때문에 취득한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센서(104)에 구비된 포토 다이오드에서 X선 조사 시점을 판별하고, 이때 트리거 신호를 리드아웃보드(108)로 전송하였으나, X선의 파워가 약해 포토 다이오드가 X선 조사 여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트리거 신호가 발생하지 않아 리드아웃보드(108)에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센서(104)가 특정 X선 파워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게인 및 오프셋이 미리 설정되었기 때문에 만일 조사되는 X선 파워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센서 및 리드아웃보드가 오작동하거나 양호한 품질의 영상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X선 조사 시점을 정확히 판별하여 그 시점 이후부터 센서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확한 X선 조사 시점에 센서가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품질이 높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의 특성값을 X선 파워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상이한 X선 조사 장치에서도 X선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에 따라 X선을 조사하며, 트리거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X선 조사 수단 촬영 대상을 투과하는 X선을 수집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무선 송신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싱 수단에 전압 및 클럭을 공급하며,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후 상기 센싱 수단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리드아웃수단을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X선 조사 수단은 소정 회로를 통해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발생부 상기 트리거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RF 송신부 엑스선 조사 시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 시 상기 RF 송신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RF 송신부는 상기 전압 인가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드아웃수단은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및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을 위한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X선 조사 수단은 상기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 시 X선 파워 정보를 무선 송신하며, 상기 리드아웃수단은 상기 X선 파워 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수단의 게인 또는 오프셋을 조정하는 센서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싱 수단은 환자의 입안에 배치되는 인트라 오랄(Intra-Oral) CCD 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에 따라 X선을 조사하는 X선 조사 수단 상기 X선 조사 수단에 사용자의 상기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를 원격으로 전송하며, 상기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 시 트리거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촬영 대상을 투과하는 X선을 수집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수단 및 상기 무선 송신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싱 수단에 전압 및 클럭을 공급하며,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후 상기 센싱 수단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리드아웃수단을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X선 조사 장치에서 조사되는 X선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 시 상기 X선 조사 장치가 무선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을 위한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 공 급부 및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따르면, X선 조사 장치에서 조사되는 X선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조사 장치에 원격으로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무선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인가부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을 위한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 공급부 및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컴퓨터, 사용자의 입안에 배치되는 센서 및 엑스선 조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엑스선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촬영 준비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 시 상기 X선 조사 장치가 무선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에 전압 및 클럭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X선 촬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X선 촬영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중 X선 조사 장치(300) 및 리드아웃보드(312)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X선 조사 장치(300)는 X선 발생부(302), RF 송신부(304), 전압 인가부(306)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08)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8)는 조작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X선 조사 장치(300)의 각 구성 부분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X선 조사 버튼일 수 있으며, 이에 도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때문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터치스크린 형식의 조작키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환자의 치아 촬영을 위해, 조작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08)를 통해 X선 조사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308)는 X선 조사 시작 신호를 전압 인가부(306)로 출력하게 된다.
전압 인가부(306)는 X선 발생부(302) 및 RF 송신부(304)에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스위치 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 인가부(306)에는 X선 발생부(302) 및 RF 송신부(304)가 연결되는데, 전압 인가부(306)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08)로부터 X선 조사 시작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X선 발생부(302)는 전자를 가속하여 X선을 발생시킨다.
X선 발생부(302)에서 발생한 X선은 튜브(309)를 통해 외부로 방사되며 방사된 X선을 이용하여 치아에 관한 촬영 과정이 시작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X선 조사 장치는 RF 송신부(304)를 포함하는데, RF 송신부(304)는 X선 조사가 시작되는 경우, 전압 인가부(306)로부터 전압을 인가 받아 트리거 신호를 리드아웃보드(312)로 무선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F 송신부(304)는 대역 선택 필터(Band select filter), 중간 주파수 발진기(Intermediate Frequency Oscillator), 고주파수 발진기(Radio Frequency Oscillator), 증폭기, 혼합기(mixer) 및 위상고정루프(Phase Locked Loop)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베이스 밴드 신호(예를 들어, 트리거 신호)를 리드아웃보드(312)로 무선 송신한다.
여기서, 트리거 신호는 X선 조사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리거 신호가 단순히 조사 시작 정보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X선 조사 장치(300)에 대해 미리 설정된 X선 파워 정보(X선 전압 및 전류 정보)및 조사 시간 정보와 같은 촬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드아웃보드(312)는 RF 수신부(314), 센서 인터페이스(316), 전압 인가부(318), 클럭 공급부(320), 영상 처리부(322), 센서 조정부(324) 및 제어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RF 수신부(314)는 RF 송신부(304)에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며, 트리거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전압 인가부(318)는 센서(310)에 전압을 인가하며, 클럭 공급부(320)는 센서(310)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을 위한 클럭을 공급한다.
종래에는 조작자가 사용자 컴퓨터를 통해 X선 촬영 준비 신호를 입력하면 리드아웃보드는 트리거 신호 수신전에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촬영 준비 커맨드를 수신하여 센서에 전압을 인가하고, 클럭을 공급하는 과정을 수행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자가 X선 촬영 준비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리드아웃보드(312)는 내부 데이터의 초기화 과정만 수행하며, 센서(310)로의 전압 인가 및 클럭 공급은 RF 수신부(314)에서 무선으로 트리거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에서 센서(310)는 정확하게 X선이 조사되는 시점에 동작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아 좋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 인터페이스(316)는 센서(310)에 연결되어 리드아웃보드(312)가 공급하는 전압 및 클럭을 센서에 전달하는 한편, 센서의 CCD 픽셀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 치아에 관한 아날로그영상 신호를 영상 처리부(322)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22)는 A/D 컨버터를 포함하고 있어, 센서(310)에서 검출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센서 조정부(324)는 센서의 게인 또는 오프셋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만일 X선 조사 장치(300)의 RF 송신부(304)에서 X선 전압 및 전류 정보의 송신이 있는 경우, 이를 통해 센서의 게인 및 오프셋을 조정하게 된다.
제어부(326)는 전반적인 제어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각 구성 요소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한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과정의 순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리드아웃보드(312)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을 중심으로 X선 촬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드아웃보드(312)는 사용자 컴퓨터(328)로부터 촬영 준비 커맨드를 수신하며(S400), 초기화와 같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 수신을 위한 준비 과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자가 X선 조사 시작 버튼을 누르는 등의 행위를 하는 경우, RF 송신부(304)는 X선 조사 시작을 알리는 트리거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게 된다.
이에, 리드아웃보드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며(S402), 트리거 신호와 함께 다른 X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4).
만일, X선 조사 장치로부터 무선 송신된 신호에 X선 파워에 대한 전압 및 전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센서(310)의 게인 또는 오프셋을 조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406).
센서(310)의 특성 값을 조정한 후 센서에 전압을 인가하며(S408),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S410)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S412).
한편, 상기 단계(S404)에서 트리거 신호만이 전송되는 경우에는 센서의 게인 또는 오프셋 조정 없이 바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리드아웃보드(312)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이 완료된 영상 정보를 사 용자 컴퓨터(328)로 전송한다(S414).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X선 촬영 방법은 트리거 신호를 종래와 같이, 센서에서 수신하여 리드아웃보드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X선 조사 장치에서 바로 리드아웃보드로 전송하기 때문에 X선 조사 시점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드아웃보드가 센서에 X선 조사 시간 동안에만 전압을 인가하기 때문에 센서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X선 조사 시작 전에 센서에 전압이 인가되어 발생하는 온도상승으로 인한 오프셋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 촬영 영상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X선 조사 장치가 아니라 X선 조사 장치에 원격으로 X선 조사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는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에서 트리거 신호를 리드아웃보드(312)로 무선 송신하는 것에 대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X선 촬영 시스템은 X선 조사 장치(500), 센서(310), 리드아웃보드(312) 및 사용자 컴퓨터(328)를 포함할 수 있으며, X선 조사 장치(500)는 리모트 컨트롤러(502)로 조작된다.
X선 조사 장치(500)의 원격 조정을 위해, X선 조사 장치(500)에는 수광 다이오드(504)가 포함되며, 리모트 컨트롤러(502)에는 발광 다이오드(506), 키패드부(508) 및 RF 송신부(510)가 포함될 수 있다.
수광 다이오드(504) 및 발광 다이오드(506)는 X선 조사 시작 신호의 송수신 을 위한 것으로서, 조작자가 키패드부(508)를 통해 X선 조사를 선택하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506)가 적외선을 수광 다이오드(504)로 송신하며, 이에 따라 X선 조사 장치(500)가 X선을 센서(310) 측으로 조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502)에는 RF 송신부(51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RF 송신부(510)는 키패드부(508)로부터 X선 조사 시작 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트리거 신호 및 X선 정보를 리드아웃보드(312)로 무선 송신한다.
트리거 신호 전송 이후의 센서(310), 리드아웃보드(312) 및 사용자 컴퓨터(328)의 동작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에 따르면, 리드아웃보드가 X선 조사 장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X선 조사 시점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X선 조사 시점, 즉, 트리거 신호 수신 시점에 리드 아웃보드가 센서에 전압을 인가하기 때문에 센서로의 전압 인가 시간이 감소되어 센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리드아웃보드가 X선 조사 장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X선 전류 및 전압 정보를 수신하여 센서의 게인 또는 오프셋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X선 조사 장치가 달라지더라도 센서 및 리드아웃보드를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에 따라 X선을 조사하며, 트리거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X선 조사 수단;
    촬영 대상을 투과하는 X선을 수집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무선 송신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싱 수단에 전압 및 클럭을 공급하며,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후 상기 센싱 수단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리드아웃수단을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조사 수단은,
    전자를 가속하여 X선을 발생시키는 X선 발생부,
    상기 트리거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RF 송신부,
    엑스선 조사 시작을 선택할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 시 상기 RF 송신부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를 포함하며,
    상기 RF 송신부는 상기 전압 인가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트리거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엑스선 촬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아웃수단은,
    상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및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을 위한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공급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조사 수단은 상기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 시 X선 파워 정보를 무선 송신하며,
    상기 리드아웃수단은 상기 X선 파워 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수단의 게인 또는 오프셋을 조정하는 센서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수단은 환자의 입안에 배치되는 인트라 오랄(Intra-Oral) CCD 센서인 엑스선 촬영 시스템.
  6.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에 따라 X선을 조사하는 X선 조사 수단;
    상기 X선 조사 수단에 사용자의 상기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를 원격으로 전송하며, 상기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 시 트리거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촬영 대상을 투과하는 X선을 수집하여 상기 촬영 대상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센싱 수단; 및
    상기 무선 송신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센싱 수단에 전압 및 클럭을 공급하며,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후 상기 센싱 수단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리드아웃수단을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시스템.
  7. X선 조사 장치에서 조사되는 X선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 시 상기 X선 조사 장치가 무선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을 위한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공급부; 및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조사 장치는 상기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 시 X선 파워 정보를 무선 송신하며,
    상기 X선 파워 정보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센싱 수단의 게인 또는 오프셋을 조정하는 센서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
  9. X선 조사 장치에서 조사되는 X선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에 대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조사 장치에 원격으로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를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무선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 시 상기 센싱 수단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 출력을 위한 클럭을 공급하는 클럭공급부; 및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
  10. 사용자 컴퓨터, 사용자의 입안에 배치되는 센서 및 엑스선 조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엑스선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촬영 준비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의 엑스선 조사 시작 신호 입력 시 상기 X선 조사 장치가 무선 송신하는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트리거 신호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에 전압 및 클럭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에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방법.
KR1020050080782A 2005-08-31 2005-08-31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 KR10070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782A KR100707792B1 (ko) 2005-08-31 2005-08-31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782A KR100707792B1 (ko) 2005-08-31 2005-08-31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043A KR20070025043A (ko) 2007-03-08
KR100707792B1 true KR100707792B1 (ko) 2007-04-13

Family

ID=3809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782A KR100707792B1 (ko) 2005-08-31 2005-08-31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7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158A (ko) * 2009-08-19 2011-02-25 (주)디알젬 엑스선 제너레이터 시스템
KR102433702B1 (ko) * 2015-06-09 2022-08-19 주식회사 바텍 치아 우식증 검출 방법, 치아 우식증 검출 프로그램 및 엑스선 영상 촬영장치
KR102054783B1 (ko) * 2017-09-29 2019-12-11 주식회사 레이언스 구강내 센서를 사용한 x선 촬영 시스템
KR102003197B1 (ko) * 2017-10-17 2019-07-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단일 방사선 영상의 산란선 교정 시스템 및 방법
CN113827266A (zh) * 2021-10-13 2021-12-24 上海奕瑞光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口内成像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275A (ja) 2001-06-28 2003-01-15 Kawasaki Heavy Ind Ltd クレーンの免震構造
JP2005270655A (ja) 2004-03-22 2005-10-06 General Electric Co <Ge> 熱及び電源管理を備えたデジタル放射線検出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275A (ja) 2001-06-28 2003-01-15 Kawasaki Heavy Ind Ltd クレーンの免震構造
JP2005270655A (ja) 2004-03-22 2005-10-06 General Electric Co <Ge> 熱及び電源管理を備えたデジタル放射線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5043A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7792B1 (ko) 엑스선 촬영 방법, 시스템 및 엑스선 촬영 영상 처리 장치
JP6164876B2 (ja) X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5927321B2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放射線撮影方法
WO2004032481B1 (en) Intraoral image sensor
JP2009532154A (ja) 移動式放射線設備の位置決め調整
FI117818B (fi) Säteilytyksen säätö röntgenkuvauslaitteessa, jota käytetään intraoraalisovellutukseen
KR101126582B1 (ko) X선 영상촬영장치 및 그 구동방법
EP1378201A1 (en) Dental radiographic image acquisition and display unit
US20130195251A1 (en) X-ray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H11155847A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駆動方法
JP4155921B2 (ja) X線画像診断装置
JP6706136B2 (ja) 放射線撮像装置、放射線撮像システム、放射線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73307B1 (ko) 치과용 방사선 장치에서 x-선 방출의 지속기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50105688A1 (en) X-ray apparatus with a component controllable from the x-ray detector
US10674988B2 (en) Charging cradle for providing real-time information, and portable radiography device including same
JP2010071659A (ja) 放射線固体検出器
KR101708115B1 (ko) 휴대용 엑스선 영상획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엑스선 영상 획득 방법
JP2003024317A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発生装置及びこれらを有するシステム
JP2011115368A (ja) 放射線撮影装置
US20140254765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5601209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2016097088A (ja) X線撮影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6494261B2 (ja) 放射線撮像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制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4129187A1 (en) Radiation imaging system, imaging control device, radiation imaging device, radiation imaging method, and program
JP2017108854A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