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946Y1 - 자동 대문 - Google Patents

자동 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946Y1
KR200302946Y1 KR20-2002-0031768U KR20020031768U KR200302946Y1 KR 200302946 Y1 KR200302946 Y1 KR 200302946Y1 KR 20020031768 U KR20020031768 U KR 20020031768U KR 200302946 Y1 KR200302946 Y1 KR 200302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door
geared motor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근 석 장
Original Assignee
근 석 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 석 장 filed Critical 근 석 장
Priority to KR20-2002-0031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wireless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G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형 건물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대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동시에 안정적인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대문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상하로 통풍구를 갖고 벽과 벽 사이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대문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양측의 벽과 상기 출입구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된 벽에 각각 기둥이 구비되고, 상기 대문의 내외측을 파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기둥의 내측 상부로 한 쌍의 지지롤러가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대문의 하부로 다수의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가 걸리어 끼움되도록 그 하면으로 레일이 지면에 매립되어 구비되는 이동부와; 상기 대문의 하부 내측으로 지지대가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면으로 래크가 부착되며, 상기 래크에 결합되는 피니언을 갖는 기어드모터가 지면상으로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기어드모터의 전원을 단속하고 개폐스위치를 갖는 컨트롤러가 상기 벽의 외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대문의 내측 지면으로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대문의 내측에 부착되는 돌기와 탈착되어 상기 기어드모터의 구동을 제한하는 두 개의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자동 대문을 제공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개폐조작이 손쉬우며 반복적인 개폐에도 견고성이 보장되고 대문의 개폐가 빠르게 일어나며 인력으로 대문을 개폐함으로 인한 불편함이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 대문{An automatic gate}
본 고안은 대형 건물 등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대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이면서 동시에 안정적인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대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이나 창고 등의 대문은 차량이나 거대한 물품 등이 출입되는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건물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대문은 미닫이나 여닫이 등으로 설치되되 인력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인력으로 개폐함으로써, 개폐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차량이나 물품의 출입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대문에 차량이 출입할 때는 운전자가 하차하여 대문을 개폐해야함으로 작업의 효율성이 상실되면서 보다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대문은 멀리 떨어진 곳에서 원격으로 조정하지 못함으로 인력으로 대문의 개폐를 조작하는 관리자가 항상 대문의 근처에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관리자가 대문의 근처에서 대기하기란 상당히 어려움으로 대문의 개폐 조작이 소홀해지고, 그에 따라 관리자에 의해 출입자가 적절히 제한되지 못하여 건물이나 창고 등에 물품의 도난이나 분실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이면서 동시에 안정적인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대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래크를 다소 높게 설치하여 대문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자동 대문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문의 개폐가 원격 조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 대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하로 통풍구를 갖고 벽과 벽 사이의 출입구에 구비되는 대문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양측의 벽과 상기 출입구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된 벽에 각각 기둥이 구비되고, 상기 대문의 내외측을 파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기둥의 내측 상부로 한 쌍의 지지롤러가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대문의 하부로 다수의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가 걸리어 끼움되도록 그 하면으로 레일이 지면에 매립되어 구비되는 이동부와; 상기 대문의 하부 내측으로 지지대가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의 하면으로 래크가 부착되며, 상기 래크에 결합되는 피니언을 갖는 기어드모터가 지면상으로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기어드모터의 전원을 단속하고 개폐스위치를 갖는 컨트롤러가 상기 벽의 외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대문의 내측 지면으로 상기 컨트롤러에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대문의 내측에 부착되는 돌기와 탈착되어 상기 기어드모터의 구동을 제한하는 두 개의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래크와 피니언이 지면보다 다소 높게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기어드모터의 하부로 모터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의 상부로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으로 상기 컨트롤러가 위치하는 모니터가 구비되며, 상기 벽의 상부로 전등이 설치되고, 상기 전등을 점멸하는 점멸스위치가 상기 모니터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대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대문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대문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대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4a는 대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4b는 대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대문
11 : 통풍구 12 : 돌기
20 : 지지부
21 : 기둥 22 : 지지롤러
30 : 이동부
31 : 바퀴 32 : 레일
40 : 구동부
41 : 지지대 42 : 래크 43 : 기어드모터
44 : 피니언 45 : 모터받침대
50 : 제어부
51 : 컨트롤러 52 : 개폐스위치 53 : 리미트스위치
54 : 카메라 55 : 모니터
2 : 벽 3 : 출입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대문의 사시도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자동 대문은 대형 건물의 출입구(3)에 상하로 통풍구(11)를 가지고 금속재로된 판형의 대문(10)이 구비되고, 상기 대문(10)을 벽(2)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20)가 구비되며, 상기 대문(1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3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4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5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한 구성으로, 상기 지지부(20)는 출입구(3) 양측의 벽(2)과 상기 출입구(3)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된 벽(2)에 각각 구비되는 기둥(21)과, 대문(10)의 내외측을 파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기둥(21)의 내측 상부로 구비되는 한 쌍의 지지롤러(22)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부(30)는 대문(10)의 하부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바퀴(31)와, 상기 바퀴(31)의 하면으로 걸리어 끼워지면서 지면에 매립되어 구비되는 레일(32)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40)는 대문(10)의 내측으로 부착되는 지지대(41)와, 상기 지지대(41)의 하면으로 부착되는 래크(42)와, 상기 래크(42)에 결합되는 피니언(44)을 갖는 기어드모터(43)와, 상기 기어드모터(43)의 하면으로 구비되는 모터받침대(45)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기어드모터(43)의 전원을 단속하도록 개폐스위치(52)를 갖고 벽(2)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컨트롤러(51)와, 대문(10)의 내측 지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51)와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기어드모터(43)의 구동을 제한하는 두 개의 리미트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대문(10)은 출입구(3)의 너비를 1로 볼 때 상기 출입구(3)보다 3분의 1정도 더 큰 너비로 구비되어 기둥(21)과 지지롤러(22)에 의해 벽(2)에 보다 견고히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둥(21)은 벽(2)에 설치되어 지지롤러(22)가 견고히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지지롤러(22)는 대문(10)을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견고히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바퀴(31)는 레일(32)을 따라 구르면서 전체적으로 대문(10)이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레일(32)은 상기 바퀴(31)가 적절히 회전하도록 형성되면서 동시에 상기 바퀴(31)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바퀴(31)의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홈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퀴(31)의 외주면 홈과 레일(32)은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32)은 지면에 적절히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바퀴(31)가 상기 레일(32)에 적절히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41)는 래크(42)가 견고히 부착되도록 하면서 그 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기어드모터(43)는 그 구동으로 피니언(44)을 회전시켜 상기 래크(42)가 이동되도록 함으로 전체적으로 대문(10)이 레일(32)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모터받침대(45)는 지면으로부터 기어드모터(43)를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기어드모터(43)에 구비되는 피니언(44)과 지지대(41) 및 래크(42)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어드모터(43)는적은 구동력으로 대문(10)을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모터받침대(45)는 대문(10)의 높이를 1로 볼 때 지면으로부터 4분의 1정도의 높이에 래크(42)가 설치되도록 기어드모터(43)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51)는 벽(2)의 외측에 설치되고 기어드모터(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개폐스위치(52) 조작에 의해 상기 기어드모터(43)를 정회전이나 역회전시켜 대문(10)을 개폐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미도시)는 대문(10)의 이동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컨트롤러(51)에 보내어 상기 컨트롤러(51)가 적절하게 기어드모터(43)의 전원을 단속하게 함으로써, 상기 대문(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대문의 개략적인 종단면도를 살펴보면,
자동 대문은 외측 벽(2)으로 컨트롤러(51)가 설치되고, 상기 벽(2)의 내측으로 지지롤러(22)에 의해 파지되는 대문(10)이 구비되며, 상기 대문(10)의 하부로 바퀴(31)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31)의 하부로 지면에 매립되는 레일(32)이 구비되며, 상기 대문(10)의 내측으로 래크(42)가 구비되고, 상기 래크(42)와 피니언(44)으로 결합되는 기어드모터(43)가 상기 대문(10)의 내측으로 지면에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래크(42)와 피니언(44)이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기어드모터(43)의 하부로 모터받침대(45)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롤러(22)는 대문(10)이 기우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상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대문(10)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잡아줌으로써, 레일(32)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일(32)은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삼각형의 홈을 갖는 바퀴(31)가 적절히 끼워지도록 하면서 동시에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대문의 조작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개폐스위치(52)를 누르면 컨트롤러(51)가 상기 개폐스위치(52)의 신호를 받아 기어드모터(43)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대문이 개폐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리미트스위치(53)는 대문에 부착된 돌기에 이탈되어 컨트롤러(51)에 전원인가의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가 계속되다가 두 개의 상기 리미트스위치(53) 중에 어느 하나가 대문에 부착된 돌기에 맞닿으면 전원단락의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51)로 보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리미트스위치(53)으로부터 전원단락의 신호를 받은 컨트롤러(51)는 기어드모터(43)의 전원을 단락함으로써, 상기 기어드모터(43)가 정지하여 대문의 이동이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컨트롤러(51)는 개폐스위치(52)와 리미트스위치(53)의 신호를 받아 기어드모터(43)의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대문이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거나 정지하여 그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대문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로서,
도 4a는 대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4b는 대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상기 도 4로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도 4a에 도시한 것처럼, 벽(2)에 설치되는 대문(10)이 출입구(3)를 막아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폐스위치(52)를 누르면, 상기 개폐스위치(52)의 신호를 받은 컨트롤러(51)가 기어드모터(43)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어 상기 기어드모터(43)가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기어드모터(43)가 구동함으로써, 피니언(44)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피니언(44)에 결합된 래크(42)가 이동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대문(10)이 레일(32)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어드모터(43)의 양측 지면으로 구비되는 두 개의 리미트스위치(53)는 대문(10에 부착된 돌기(12)와 이탈하게 되어 전원인가의 신호를 컨트롤러(51)에 보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대문(10)은 계속하여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대문(10)의 이동이 계속되다가, 상기 도 4b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대문(10)이 기어드모터(43)의 좌측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53)를 지나면서 돌기(12)가 상기 리미트스위치(53)에 맞닿게 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53)의 레버가 절곡되면서 컨트롤러(51)로 전원단락의 신호를 보내어 상기 기어드모터(43)가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기어드모터(43)의 정지에 의해 대문(10)이 정지하게 되면 상기 대문(10)은 출입구(3)를 개방한 상태 즉, 열린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대문(10)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기어드모터(43)가 역회전되도록 사용자가 개폐스위치(52)를 누르면 상기 개폐스위치(52)의 신호를 받은 컨트롤러(51)가 상기 기어드모터(43)에 전원을 인가하여 대문(10)이 레일(32)을 따라 반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대문(10)이 반대로 계속 이동하다가, 상기 도 4a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대문(10)이 기어드모터(43)의 우측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53)를 지나면서 돌기(12)가 상기 리미트스위치(53)에 맞닿게 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53)의 레버가 절곡되면서 컨트롤러(51)에 전원단락의 신호를 보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기어드모터(43)가 정지하여 대문(10)이 정지함으로써 상기 대문(10)의 닫힌 상태가 마무리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살펴보면,
자동 대문은 벽(2)에 다수의 기둥(21)이 구비되고, 상기 기둥(21)에 구비되는 지지롤러(22)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대문(10)이 구비되며, 상기 대문(10)의 내측으로 래크(42)가 구비되고, 상기 래크(42)와 결합되는 피니언(44)을 갖는 기어드모터(43)가 구비되어, 상기 기어드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상기 대문(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바퀴(31)가 레일(3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개폐작동이일어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벽(2)의 상부로 대문(10)의 전면의 출입구(3)를 촬영하도록 카메라(54)가 구비되고, 상기 대문(10)과 멀리 떨어진 곳에 상기 카메라(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모니터(55)가 구비되며, 상기 모니터(55)의 일측으로 컨트롤러(51)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벽(2)의 상부로 전등(56)이 설치되고, 상기 전등(56)을 점멸하는 점멸스위치(57)가 모니터(55)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54)는 출입구(3)로 진입하는 차량이나 사람 등을 촬영하여 모니터(55)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모니터(55)는 상기 카메라(54)에 의해 촬영된 모습을 관리자가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등(56)은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점멸스위치(56)를 온오프함으로써 점멸되어, 야간에 출입구로 진입하는 차량이나 사람 등을 관리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자동 대문의 관리자는 멀리 떨어진 곳에서 카메라(54)에 촬영된 모습을 모니터(55)로 인지한 후에 컨트롤러(51)를 조작하여 대문(10)의 개폐작동을 선택적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자동 대문은 관리자가 원격으로 대문(10)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개폐조작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출입의 제한과 허용이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이면서 동시에 안정적인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개폐조작이 손쉬우며 반복적인 개폐에도 견고성이 보장되고 대문의 개폐가 빠르게 일어나며 인력으로 대문을 개폐함으로 인한 불편함이 해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래크를 다소 높게 설치하여 대문의 개폐를 위한 구동력이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작은 구동력으로 안정적인 개폐가 이루어지고 모터의 부하발생이 극소화되며 고장에 따른 수리 및 보수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대문의 개폐가 원격 조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간편성이 보장되고 차량 등의 출입에 따른 운전자의 개폐조작의 불편함이 해소되며 사용자에 의해 출입의 제한 및 허용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상하로 통풍구(11)를 갖고 벽(2)과 벽(2) 사이의 출입구(3)에 구비되는 대문(10)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3) 양측의 벽(2)과 상기 출입구(3)에서 일정 거리로 이격된 벽(2)에 각각 기둥(21)이 구비되고, 상기 대문(10)의 내외측을 파지하도록 각각의 상기 기둥(21)의 내측 상부로 한 쌍의 지지롤러(22)가 구비되는 지지부(20)와;
    상기 대문(10)의 하부로 다수의 바퀴(31)가 구비되고, 상기 바퀴(31)가 걸리어 끼움되도록 그 하면으로 레일(32)이 지면에 매립되어 구비되는 이동부(30)와;
    상기 대문(10)의 하부 내측으로 지지대(41)가 부착되고, 상기 지지대(41)의 하면으로 래크(42)가 부착되며, 상기 래크(42)에 결합되는 피니언(44)을 갖는 기어드모터(43)가 지면상으로 구비되는 구동부(40)와;
    상기 기어드모터(43)의 전원을 단속하고 개폐스위치(52)를 갖는 컨트롤러(51)가 상기 벽(2)의 외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대문(10)의 내측 지면으로 상기 컨트롤러(51)에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대문(10)의 내측에 부착되는 돌기(12)와 탈착되어 상기 기어드모터(43)의 구동을 제한하는 두 개의 리미트스위치(53)가 구비되는 제어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대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42)와 피니언(44)이 지면보다 다소 높게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기어드모터(43)의 하부로 모터받침대(4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대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벽(2)의 상부로 카메라(54)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측으로 상기 컨트롤러(51)가 위치하는 모니터(55)가 구비되며, 상기 벽(2)의 상부로 전등(56)이 설치되고, 상기 전등(56)을 점멸하는 점멸스위치(57)가 상기 모니터(55)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대문.
KR20-2002-0031768U 2002-10-24 2002-10-24 자동 대문 KR200302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68U KR200302946Y1 (ko) 2002-10-24 2002-10-24 자동 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768U KR200302946Y1 (ko) 2002-10-24 2002-10-24 자동 대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946Y1 true KR200302946Y1 (ko) 2003-02-05

Family

ID=4940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768U KR200302946Y1 (ko) 2002-10-24 2002-10-24 자동 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9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95B1 (ko) 2009-06-10 2009-12-29 김광희 자동 접철방식의 대형 대문
KR200457154Y1 (ko) * 2009-06-26 2011-12-07 곽병철 건물의 출입문 개폐장치
KR102587950B1 (ko) * 2023-05-16 2023-10-11 주식회사한결이엔지 거푸집 일체형 전동 게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95B1 (ko) 2009-06-10 2009-12-29 김광희 자동 접철방식의 대형 대문
KR200457154Y1 (ko) * 2009-06-26 2011-12-07 곽병철 건물의 출입문 개폐장치
KR102587950B1 (ko) * 2023-05-16 2023-10-11 주식회사한결이엔지 거푸집 일체형 전동 게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006B1 (ko) 개방 폭 조절이 가능한 자동문
KR100704451B1 (ko) 문 자동개폐장치
US20130067817A1 (en) Door control system
KR200302946Y1 (ko) 자동 대문
KR100667347B1 (ko)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KR101075734B1 (ko) 자동문 개폐장치
KR100538412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CN205706110U (zh) 一种自动天窗及使用该天窗的车辆
TWI576501B (zh) Double garage door side door moving structure
KR100873175B1 (ko) 주차장치
KR200378596Y1 (ko) 출입문 자동개폐장치
JP2562272B2 (ja) ガレージの安全管理制御装置
KR200321450Y1 (ko) 전동식 프로젝트 창호
JPH0771125A6 (ja) ガレージの安全管理制御装置
KR200187044Y1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CN219990871U (zh) 一种施工电梯液压驱动防护翻板装置
KR200279548Y1 (ko) 창의 승강 장치
JPH0797885A (ja) 門 扉
JP3012228U (ja) パネル駆動装置
KR101202285B1 (ko) 지하철 차고지용 자동 절첩식 폴드-슬라이딩 도어
KR200310630Y1 (ko) 미닫이 창호
KR102320233B1 (ko) 붙박이장의 자동 미닫이 도어
JP3033783U (ja) 電動引戸式門扉
JP2013044188A (ja) 開閉制御装置
KR200322820Y1 (ko) 대문을 활용한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