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665Y1 -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665Y1
KR200302665Y1 KR2019980027997U KR19980027997U KR200302665Y1 KR 200302665 Y1 KR200302665 Y1 KR 200302665Y1 KR 2019980027997 U KR2019980027997 U KR 2019980027997U KR 19980027997 U KR19980027997 U KR 19980027997U KR 200302665 Y1 KR200302665 Y1 KR 2003026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car
signal
wir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4672U (ko
Inventor
이만구
문영식
황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27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66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4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6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6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6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B61C11/02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tractive effort applied to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텐션웨이트에 관한 것으로, 텐션카(132)에 압축스프링(11)의 탄성력으로 수평이동하면서 스토퍼(12)를 통해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후면으로 지지턱(13)이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하우징(10)이 내장설치되되, 스토퍼하우징(10)의 내벽에 텐션카(132)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텐션와이어(134)와 연결된 샤프트(20)가 설치되며, 지지턱(13)의 내벽에 텐션와이어가 절손된 경우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압착부재(30)가 장착되고, 스토퍼하우징(10)의 내벽에 압착부재(30)와의 접촉신호가 작동신호로 출력되는 터치부재(41)를 구비한 로드센서(40)가 보울트결합되며, 텐션카(132)의 하부면 전후에 샤프트(20)와 연결된 텐션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50)가 장착되며, 텐션카(132)의 전후면에 압착부재(30)와 터치부재(41)의 접촉신호를 입력받아 텐션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실린더(60)가 설치되고, 장력조절실린더(60)에 로드센서(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초로하여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접점(92)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웨이트박스가 추락하는 설비사고와 텐션카와 구동모우터가 충돌하는 충돌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뿐만 아니라 벨트컨베이어의 장력조절제어능력이 향상되므로 이송물의 운송작업 효율이 향상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 (Device for stopping the tension weight of belt-conveyor)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텐션웨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텐션웨이트의 와이어로프가 절손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된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자동화공정의 일환으로 광석이나 원료탄 또는 코크스 등과 같은 중량물을 또다른 작업개소로 안정되게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이송되는 중량물 운송장치이다.
따라서, 벨트컨베이어에는 수송물이 탑재되는 벨트면과, 벨트면을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시키는 다수대의 구동풀리와, 벨트면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력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즉, 종래의 벨트컨베이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컨베이어(100)는 수송물이 탑재되어 이송되도록 주행밸트와 리턴벨트를 구비한 유연한재질의 벨트면(110)과, 벨트면(110)을 무한궤도식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구동풀리를 구비한 구동장치(120)와, 벨트면(11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구동장치를 일방향으로 당겨주는 장력조절장치(1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력조절장치(130)는 안내레일(131)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벨트면(1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텐션카(132)와, 텐션카(132)에 연결된 상태에서 그 일단부가 일정하중을 갖는 웨이트박스(133)와 연결된 텐션와이어(134)와, 벨트면(110)이 무한궤도식으로 회전되도록 구동풀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우터(135)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장치(120)를 이루는 다수개의 구동풀리에 의해 무한궤도식으로 회전되는 벨트면(110)이 장력조절장치(130)에 의해, 예컨대, 안내레일(131)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텐션카(132)에 의해 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수송물을 안정되게 이송시키게 된다.
그런데, 벨트면(110)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와이어(134)가 절손된 경우, 텐션와이어(134)에 연결된 웨이트박스(133)가 낙하되면서 텐션타워(136)의 바닥면으로 추락하여 주변기기를 손상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텐션카(132)가 구동모우터(135)와 충돌하면서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벨트면(110)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와이어(134)의 길이편차를 제어할만한 마땅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예컨대, 텐션와이어(134)가 헤어지거나 느슨해지는 경우 제어능력이 떨어지면서 이송물을 운송하기 위한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벨트면의 장력을 조정하는 텐션와이어가 절손된 경우 텐션카를 구속할 뿐만 아니라 텐션와이어가 느슨해진 경우 장력을 조절시킬 수 있도록 된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에 텐션웨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텐션웨이트 정지장치의 센서부를 도시한 단면도와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가 작동되기 전후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토퍼하우징 11 : 압축스프링
12 : 스토퍼 13 : 지지턱
20 : 샤프트 30 : 압착부재
40 : 로드센서 41 : 터치부재
50 : 안내롤러 60 : 장력조절실린더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텐션웨이트 정지장치의 센서부를 도시한 단면도와 사시도이고, 도 4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가 작동되기 전후의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로서, 수송물이 이송되는 벨트면(110)의 장력이 안내레일(131)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텐션카(132)와, 텐션카(132)를 일방향으로 인장하는 텐션와이어(134)에 의해 조절되도록 된 벨트컨베이어의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텐션카(132)에 압축스프링(11)의 탄성력으로 수평이동하면서 스토퍼(12)를 통해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후면으로 지지턱(13)이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하우징(10)이 내장설치되되, 스토퍼하우징(10)의 내벽에 텐션카(132)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텐션와이어(134)와 연결된 샤프트(20)가 설치되며, 지지턱(13)의 내벽에 텐션와이어가 절손된 경우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압착부재(30)가 장착되고, 스토퍼하우징(10)의 내벽에 압착부재(30)와의 접촉신호가 작동신호로 출력되는 터치부재(41)를 구비한 로드센서(40)가 보울트결합되며, 텐션카(132)의 하부면 전후에 샤프트(20)와 연결된 텐션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50)가 장착되며, 텐션카(132)의 전후면에 압착부재(30)와 터치부재(41)의 접촉신호를 입력받아 텐션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실린더(6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텐션카(132)의 내부에 스토퍼하우징(10)이 장착되되, 스토퍼하우징(10)에는 전면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10a)과, 수용홈의 선단부를 이루면서 그 단부가 절곡된 스토퍼(12)와, 후방을 이루는 지지턱(13)이 구비되어 있다.
물론, 스토퍼하우징(10)은 텐션카(132)의 내벽에 스토퍼(12)를 통해 밀착된 상태에서 수용홈(10a)으로 스토퍼하우징몸체를 탄력이동시키는 압축스프링(11)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홈(10a)의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샤프트(20)가 장착되되, 샤프트(20)의 몸체가 텐션카(132)의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된 나선홈으로 관통하여 너트(21)로 체결되며, 샤프트(20)의 선단부에 텐션와이어(134)를 연결하기 위한 고정홀(22a)이 형성된 브래킷(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텐션카(132)의 내벽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절곡부가 형성된 로드센서(40)가 결합되되, 로드센서(40)에 형성된 절곡부의 후면으로 터치부재(41)가 부착되어 있다. 물론, 터치부재(41)는 지지턱(13)의 내벽에 부착된 유연한재질의 압착부재(30)와 접촉되는 경우 이루에 설명하게 되는 장력조절실린더(60)로 작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텐션카(132)의 전면과 후면 양측에 플레이트형상의 지지베이스(61)가 장착되되, 지지베이스(61)의 하부면에 로드센서(40)의 신호로 작동되는 장력조절실린더(6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장력조절실린더(60)의 로드에 일정크기의 채널홈을 형성하는 실린더브래킷(62)을 통해 쉐이브(63)가 장착되되, 쉐이브(63)에 텐션와이어(134)가 감겨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텐션카(132)의 하부면 전후 양측에 고정브래킷(51)을 통해 안내롤러(50)가 장착되되, 안내롤러(50)를 따라 텐션와이어(134)가 미끄럼이동하는 것이다.
물론, 텐션와이어(134)는 일단부가 텐션카(132)의 하부면 양측으로 장착되는 장착브래킷(70)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텐션카(132)로부터 소정위치에 장착된 종단브래킷(80)에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장력조절실린더(60)에 전기케이블(91)을 통해 로드센서(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온/오프시키는 전기접점(9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접점(92)에 로드센서(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물론, 텐션와이어(134)는 샤프트(20)의 브래킷(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안내롤러(50)와 쉐이브(63)에 감겨진 상태로 장착브래킷(70)과 종단브래킷(80)에 고정된 상태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카(132)가 안내레일(131)을 따라 왕복이동하면 서 벨트면(110)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경우에는, 텐션와이어(134)가 정상적으로 구동장치(120)를 당기고 있는 상태이다.
즉, 텐션와이어(134)는 일측단부가 장착브래킷(7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종단브래킷(8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일정하게 장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물론, 텐션와이어(134)의 장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된 경우에는, 압착부재(30)와 터치부재(41)가 상호 접촉된 상태이므로, 어떠한 신호를 발생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만일, 텐션와이어(134)가 절손되면서 벨트면(110)의 장력이 비정상적으로 유지되는 경우, 샤프트(20)가 압축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스토퍼하우징(10)에 내장된 압착부재(30)와 로드센서(40)의 터치부재(41)가 상호 떨어지게 된다.
이어서, 압착부재(30)와 터치부재(41)의 비접촉신호 장력조절실린더(60)로 인가되면서, 동시에 장력조절실린더(60)의 로드가 수축되므로 쉐이브(63)가 상승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장력조절실린더(60)의 쉐이브(63)가 상승되면서 텐션와이어(134)를 상향시키게 되므로, 구동장치(120)의 텐션풀리를 통해 감겨진 텐션와이어(134)의 위치이동이 구속된다.
한편, 텐션와이어(134)의 수리가 완료되어 벨트면(110)의 장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된 경우에는, 샤프트(20)가 압축스프링(11)의 탄성력을 이기고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압착된다.
이어서, 스토퍼하우징(10)의 몸체가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로드센서(40)의 터치부재(41)와 압착부재(30)가 상호 접촉된다.
그리고, 터치부재(41)와 압착부재(30)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되어, 장력조절실린더(60)의 로드가 원상복귀된다.
물론, 장력조절실린더(60)의 쉐이브(63)가 하강되면서 텐션와이어(134)를 하향시키게 되므로, 구동장치(120)의 텐션풀리에 감겨진 텐션와이어(134)의 위치이동하면서 벨트면(110)의 장력을 원활하게 조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 장치에 의하면,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와이어가 절손되는 경우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텐션와이어를 구속하므로, 웨이트박스가 추락하는 설비사고와 텐션카와 구동모우터가 충돌하는 충돌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뿐만 아니라 벨트컨베이어의 장력조절제어능력이 향상되므로 이송물의 운송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송물이 이송되는 벨트면(110)의 장력이 안내레일(131)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텐션카(132)와, 텐션카(132)를 일방향으로 인장하는 텐션와이어(134)에 의해 조절되도록 된 벨트컨베이어의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텐션카(132)에 압축스프링(11)의 탄성력으로 수평이동하면서 스토퍼(12)를 통해 이동이 제한됨과 동시에 후면으로 지지턱(13)이 일체로 형성된 스토퍼하우징(10)이 내장설치되되, 스토퍼하우징(10)의 내벽에 텐션카(132)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텐션와이어(134)와 연결된 샤프트(20)가 설치되며, 지지턱(13)의 내벽에 텐션와이어가 절손된 경우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압착부재(30)가 장착되고, 스토퍼하우징(10)의 내벽에 압착부재(30)와의 접촉신호가 작동신호로 출력되는 터치부재(41)를 구비한 로드센서(40)가 보울트결합되며, 텐션카(132)의 하부면 전후에 샤프트(20)와 연결된 텐션와이어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롤러(50)가 장착되며, 텐션카(132)의 전후면에 압착부재(30)와 터치부재(41)의 접촉신호를 입력받아 텐션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실린더(60)가 설치되고, 장력조절실린더(60)에 로드센서(4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기초로하여 온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접점(92)이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 장치.
KR2019980027997U 1998-12-30 1998-12-30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 KR2003026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997U KR200302665Y1 (ko) 1998-12-30 1998-12-30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997U KR200302665Y1 (ko) 1998-12-30 1998-12-30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672U KR20000014672U (ko) 2000-07-25
KR200302665Y1 true KR200302665Y1 (ko) 2003-03-19

Family

ID=4933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997U KR200302665Y1 (ko) 1998-12-30 1998-12-30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66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029B1 (ko) 2003-10-31 2010-08-30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와프 불출 운송물의 과적방지장치
KR101044820B1 (ko) 2009-07-31 2011-06-3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완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959B1 (ko) * 2002-11-06 2009-02-26 주식회사 포스코 과불출로 인한 벨트컨베이어의 오버로드 방지장치
KR101231218B1 (ko) * 2011-08-29 2013-02-28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살포용 컨베이어의 장력 조절장치
KR101424445B1 (ko) * 2012-11-28 2014-08-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용 텐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029B1 (ko) 2003-10-31 2010-08-30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와프 불출 운송물의 과적방지장치
KR101044820B1 (ko) 2009-07-31 2011-06-30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텐션 완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672U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7988B2 (en) Positive displacement sorter
US10071862B1 (en) Automated tensioning system for cable or chain conveyor
US7028618B2 (en) Rail system for suspension crane and profile for such rail system
US9950868B1 (en) Drive systems for extendible conveyors
KR200302665Y1 (ko) 벨트컨베이어의 텐션웨이트 정지장치
KR100511175B1 (ko) 화물이송장치용컨베이어
EP13528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mechanical energy onboard of a train of carriages of a sorting machine
KR20050054430A (ko) 무단형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물품이송시스템
JPH0761570A (ja) リニアモータを用いた貨物仕分け装置
US4759438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chain conveyors and the like to accommodate for elongation or contraction thereof resulting from variations in load, wear, resiliency, tension and similar factors
JPH0672539A (ja) 荷搬送装置
JP5316933B2 (ja) ベルトコンベヤ
SE470403B (sv) Lyftanordning för kontrollerad förflyttning i vertikalled av föremål, såsom ljuskronor
KR200172638Y1 (ko) 엘리베이터용 전동도어 기계장치
RU2181685C2 (ru) Крутонаклон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KR20190000466U (ko) 사다리차 운반카의 전원공급장치
CN218808549U (zh) 一种输送带自动调整跑偏装置
KR19990029226U (ko) 코크스 이송 설비의 배출기 방향 전환 장치
KR101008029B1 (ko) 셔틀 컨베이어의 벨트지지장치
US3179242A (en) Transfer pulley mounting for conveyors
US3365053A (en) Apparatus for handling loose material
KR20040049573A (ko) 오버헤드타입 이송장치
KR100758450B1 (ko) 언로더 트롤리의 스토퍼 충돌방지장치
KR20030048591A (ko) 벨트 컨베이어 웨이트의 추락 방지장치
US20070017747A1 (en) Lifting station in a surface treatment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