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624Y1 - 건축물 외벽 조립판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벽 조립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624Y1
KR200302624Y1 KR20-2002-0032362U KR20020032362U KR200302624Y1 KR 200302624 Y1 KR200302624 Y1 KR 200302624Y1 KR 20020032362 U KR20020032362 U KR 20020032362U KR 200302624 Y1 KR200302624 Y1 KR 200302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wall
steel panel
building exterior
assembl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흥
박근수
Original Assignee
박정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흥 filed Critical 박정흥
Priority to KR20-2002-0032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외벽 조립판 구조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스티로폴 단열재가 철재 패널에 삽입되고, 상기 철재 패널 상면에 건축물 외장재가 인입되어 결합된 건축물 외벽 조립판을 건축물 벽면에 부착 할 수 있어 건축물의 외형으로 인한 외벽 시공의 어려움 해결과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건축물 벽면에 부착되며 일정한 홈이 형성된 스티로폴 단열재와, 상기 스티로폴 단열재 개구부에 절곡되어 결합되는 철재 패널과, 상기 철재 패널에 인입되어 결합되는 건축물 외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외벽 조립판 {Assembling Board for Outer Wall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 외벽 조립판 구조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스티로폴 단열재가 철재 패널에 삽입되고, 상기 철재 패널 상면에 건축물 외장재가 인입되어 결합된 건축물 외벽 조립판을 건축물 벽면에 부착 할 수 있어 건축물의 외형으로 인한 외벽 시공의 어려움 해결과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벽 시공은 거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가 철근과 결합되어 벽체가 형성되면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벽을 단열처리하기 위하여 건축물 벽체가 형성된 외벽에 단열재를 설치한 후 다시 도장처리하고 벽돌을 쌓아 외벽을 마감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열 처리된 건축물 벽을 시공 할 경우 두께가 너무 크게되어 건설현장에서 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외벽을 쌓아 올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 외벽을 단열처리하기 위하여 내벽에 스티로폴(1) 등과 같은 단열재를 형성시킨 후 벽돌을 쌓아 외벽을 형성시킨다.
상기 벽돌 쌓는 작업은 벽의 맨 하부에 몰타르를 깔고 그 상부에 벽돌을 쌓고 다시 벽돌의 상면에 몰타르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건축물 외벽을 단열처리 할 경우엔 작업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 형상이 직선이 아닌 곡면형상을 이룰 경우 벽돌을 쌓는데 어려움이 많고, 단열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엔 건축물 벽에 습기나 곰팡이가 생겨 건축물의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물 벽을 단열처리 함과 동시에 건축물 외장재를 인입하여 결합 형성시킬 수 있는 철재 패널을 형성시켜 벽 시공시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이고, 건축물 형상에 따른 제약 없이 벽을 쉽게 쌓을 수 있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벽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건축물 벽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철재 패널에 형성된 홈 형상을 나타낸 도.
도 4는 본 고안의 건축물 외벽 조립판의 형성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단열재(스티로폴) 2: 철재 패널
1a, 2a: 홈 3: 건축물 외장재
4: 줄눈 5: 접착제
6: 걸림돌기 7: 오일 페인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해결 수단은 건축물 벽면에 부착되며 일정한 홈이 형성된 스티로폴 단열재와, 상기 스티로폴 단열재 개구부에 절곡 되어 결합되는 철재 패널과, 상기 철재 패널에 인입되어 결합되는 건축물 외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건축물 외벽 조립판에 따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외벽 조립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 벽을 단열처리 할 수 있는 스티로폴 단열재(1)가 일정한 틀 형상을 갖는 철재 패널(2)에 삽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철재 패널에는 건축물 외장재(3)가 인입되어 결합 형성된다.
상기 단열재인 스티로폴에는 일정한 홈(1a)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위치는 철재 패널에 형성된 홈(2a)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사각 틀 형상을 갖는 철재 패널에는 상기 스티로폴에 형성된 홈(1a)보다 더 적은 홈(2a)이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절곡된 줄눈(4)이 형성되어 건축물 외장재(3)와 결합된다.
상기 철재 패널에 형성된 줄눈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 외장재와 철재 패널의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주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상기 철재 패널에 형성된 홈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홈(2a)은 도 3과 같이 각 모서리부가 일정부분 절개되어 형성 될 수 있고, 다르게는 홈의 각변에 쐐기 모양의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각 모서리부가 일정부분 절개되어 형성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건축물 외장재가 상기 철재 패널의 홈에 인입되어 결합 될 때, 상기 철재 패널에 형성된 홈이 보다 잘 절곡이 되어 단열재인 스티로폴과 일체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건축물 외벽 조립판의 형성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 외장재(3)는 철재 패널(2)과 스티로폴(1)에 형성된 홈에 인입되어 접착제(5)로 접착되어 결합이 된다.
상기 건축물 외장재의 재질은 석재, 인조석, 벽돌 등으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는 걸림돌기(6)가 형성되어 진다.
다음은 본 고안의 건축물 외벽 조립판 형성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먼저 사각틀 형상을 갖고, 일정한 홈이 형성된 철재 패널(2)에 접착제를 바르고 상기 틀에 단열재인 스티로폴(1)을 삽입시켜 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5)가 굳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철재 패널에 건축물 외장재를 프레스로 일정 압력을 가하면 스티로폴, 철재 패널, 외장재 순으로 결합되어 조립판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건축물 외벽 조립판에 대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재 패널에 형성된 줄눈에 오일페인트(7)를 형성시켜 마감처리 한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는 철재 패널과 스티로폴을 접착시킴과 동시에 철재 패널의 홈과 스티로폴 홈의 공간을 가득 메워 접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건축물 외벽 조립판은 건축물 시공 현장으로 옮겨져 건축물 외벽면을 형성시키며, 하중이 가벼워 고층건물 시공에 적당하고, 건축물의 형상이 직선형이 아닌 곡면을 갖는 경우에도 단 시간내에 벽시공과 함께 단열 처리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건축물 벽을 단열처리 함과 동시에 건축물 외장재를 인입하여 결합 형성시킬 수 있는 철재 패널을 형성시켜 석재로 벽 시공시 단열처리의 어려운 점을 해결하고, 벽 시공시 소요되는 작업시간과 제조 원가를 줄이며 건축물 형상에 따른 제약 없이 벽을 쉽게 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건축물 벽면에 부착되며 일정한 홈이 형성된 스티로폴 단열재와, 상기 스티로폴 단열재 개구부에 절곡되어 결합되는 철재 패널과, 상기 철재 패널에 인입되어 결합되는 건축물 외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재 패널은 틀 형상을 갖으며 스티로폴 단열재에 형성된 홈의 크기보다 더 적은 일정 홈이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줄눈이 절곡되어 건축물 외장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는 각 변에 쐐기 모양이 홈이 형성되고, 각 모서리부가 일정부분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재 패널에 인입되어 결합된 건축물 외장재는 접착제로 접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
  5.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외장재는 석재, 인조석, 벽돌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
KR20-2002-0032362U 2002-10-30 2002-10-30 건축물 외벽 조립판 KR200302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62U KR200302624Y1 (ko) 2002-10-30 2002-10-30 건축물 외벽 조립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362U KR200302624Y1 (ko) 2002-10-30 2002-10-30 건축물 외벽 조립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624Y1 true KR200302624Y1 (ko) 2003-02-05

Family

ID=49399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362U KR200302624Y1 (ko) 2002-10-30 2002-10-30 건축물 외벽 조립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6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1569B2 (en) Building blocks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00901079B1 (ko) 조립식 건축물 판넬
JP369612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外断熱構造物
KR200302624Y1 (ko) 건축물 외벽 조립판
KR200265927Y1 (ko) 조립식 단열벽돌
CN214364369U (zh) 建筑用组合砖
JP3965644B2 (ja) 造成コンクリート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195968B1 (ko) 건축용 인조석 판재의 성형방법
KR200273410Y1 (ko) 조립식콘크리트단열블록
CN2213770Y (zh) 装配式带饰面墙体砌块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US5881512A (en) Precasted wall/column module
KR200265956Y1 (ko) 외장용벽돌
KR100240827B1 (ko) 조립식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314387Y1 (ko) 건축물 외벽 조립판
JP2004225461A (ja) 基礎上の空隙構造
JPH0320540B2 (ko)
TWI839187B (zh) 木鋁模板連接器及其模板總成
KR200265957Y1 (ko) 벽돌
CN215368111U (zh) 一种可固定成整体的装配式楼板
EP4332318A2 (en) Stone veneered building block
JPH0547701B2 (ko)
KR20010059641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KR100321909B1 (ko) 스틸스터드에부착되는타일부착용단열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