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387Y1 - 건축물 외벽 조립판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벽 조립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387Y1
KR200314387Y1 KR20-2003-0007182U KR20030007182U KR200314387Y1 KR 200314387 Y1 KR200314387 Y1 KR 200314387Y1 KR 20030007182 U KR20030007182 U KR 20030007182U KR 200314387 Y1 KR200314387 Y1 KR 2003143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steel panel
building exterior
groov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흥
박근수
Original Assignee
박정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흥 filed Critical 박정흥
Priority to KR20-2003-0007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3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3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외벽 조립판 구조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일정 형상을 갖는 철재 패널 상면에 건축물 외장재가 인입되어 결합되도록 우레탄 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된 외벽 조립판을 건축물 외벽 형상에 관계없이 쉽게 부착 할 수 있어 외벽 시공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건축물 외벽을 형성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에 있어서, 일정한 홈이 형성된 철재 패널과, 상기 철재 패널의 홈에 인입되어 결합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된 건축물 외장재와, 상기 철재 패널과 건축물 외장재에 우레탄 수지를 발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외벽 조립판 { Assembling Board for Outer Wall of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물 외벽 조립판 구조로써, 더욱 자세하게는 일정 형상을 갖는 철재 패널 상면에 건축물 외장재가 인입되어 결합되도록 우레탄 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된 외벽 조립판을 건축물 외벽 형상에 관계없이 쉽게 부착 할 수 있어 외벽 시공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벽 시공은 거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콘크리트가 철근과 결합되어 벽체가 형성되면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축물 벽을 단열처리하기 위하여 건축물 벽체가 형성된 외벽에 단열재를 설치한 후 다시 도장처리하고 벽돌을 쌓아 외벽을 마감 처리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열 처리된 건축물 벽을 시공 할 경우 두께가 너무 크게되어 건설현장에서 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외벽을 쌓아 올린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 외벽을 단열처리하기 위하여 내벽에 스티로폴 등과 같은 단열재를 형성시킨 후 벽돌을 쌓아 외벽을 형성시킨다.
상기 벽돌 쌓는 작업은 벽의 맨 하부에 몰타르를 깔고 그 상부에 벽돌을 쌓고 다시 벽돌의 상면에 몰타르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건축물 벽을 단열처리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물질은 대부분 유독가스를 내포하는 인화성 재료로 이루어져 화재시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건축물 외벽은 작업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건축물 형상이 직선이 아닌 곡면형상을 이룰 경우 벽돌을 쌓는데 어려움이 많고, 단열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엔 건축물 벽에 습기나 곰팡이가 생겨 건축물의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물 벽을 단열처리 함과 동시에 화재시에도 잘 타지 않도록 불연재를 사용하고, 외장재, 철재 패널, 불연재판 순서로 조립된 외벽 조립판에 우레탄 수지를 발포하여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벽 시공시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이고, 건축물 형상에 따른 제약 없이 벽을 쉽게 쌓을 수 있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벽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외벽 조립판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철재 패널에 형성된 요홈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외장재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외벽 조립판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건축물 외벽 조립판 20: 철재 패널
30: 건축물 외장재 40: 우레탄 수지
50: 불연재 판 20a: 요홈
20b: 줄눈 20c: 장홈
20d: 오일 페인트 30a: 끼움돌기
30a': 원형 홈 30a": 각 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해결 수단은 건축물 외벽을 형성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에 있어서, 일정한 홈이 형성된 철재 패널과, 상기 철재 패널의 홈에 인입되어 결합되도록 끼움돌기가 형성된 건축물 외장재와, 상기 철재 패널과 건축물 외장재에 우레탄 수지를 발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축물 조립판 하면에 불연재 판이 삽입되어 우레탄 수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건축물 외벽 조립판에 따른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외벽 조립판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 외벽 조립판(10) 소정의 요홈(20a)이 형성된 철재 패널(20)과, 상기 요홈(20a)에 인입되어 결합되도록 끼움돌기(30a)가 형성된 건축물 외장재(30)로 구성되고, 상기 철재 패널(20)과 건축물 외장재(30)는 우레탄 수지(40)에 의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철재 패널(20)은 틀 형상을 갖고, 상기 건축물 외장재(30)와 철재 패널(20)의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주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철재 패널 면에 일정 간격으로 절곡된 줄눈(20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철재 패널 면의 요홈(20a) 상, 하부에는 상기 철재 패널(20)과 건축물 외장재(30)가 우레탄 수지(40)에 의해 유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일정 길이만큼 절취되어 장홈(20c)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축물 외벽 조립판(10)이 화재로 인하여 쉽게 연소되지 않도록 상기 철재 패널(20) 하부에 불연재 판(50)을 삽입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건축물 외장재(30), 철재 패널(20), 불연재 판(50) 순으로 조립된 외벽 조립판(10) 내부에 졸(Sol)상태의 우레탄 수지(40)를 발포하면 상기 우레탄 수지(40)는 겔(Gel)화 되면서 상기 건축물 외장재(30), 철재 패널(20), 불연재 판(50)을 결합시켜 건축물 외벽 조립판(10)을 형성시킨다.
도 3은 철재 패널(20)에 형성된 요홈(20a) 형상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건축물 외장재(30)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이다.
상기 철재 패널(20)에 형성된 요홈(20a)은 도 3과 같이 각 모서리부가 일정부분 절개되어 형성되고, 다르게는 요홈(20a)의 각변에 쐐기 모양의 홈(20a')이 형성됨과 동시에 각 모서리부가 일정부분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 다르게는 상기 요홈(20a)의 각변에 쐐기 모양의 홈(20a')이 형성됨과 동시에 각 모서리부를 타원형으로 절취한 탄원형 홈(20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건축물 외장재(30)가 상기 철재 패널의 요홈(20a)에 인입되어 결합 될 때, 상기 철재 패널에 형성된 요홈(20a)을 보다 더 잘 절곡시켜 상기 건축물 외장재(30)와 철재패널(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건축물 외장재(30)는 상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재 패널(20)에 인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끼움돌기(30a)가 외장재(30) 일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끼움돌기(30a)는 철재 패널(20)과 더욱 잘 결합될 수 있도록 중앙 내부가 원형 홈(30a')을 이루며 상기 끼움돌기(30a)의 사각 변에는 각홈(30a")이 형성되어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건축물 외장재(30)의 재질은 석재, 인조석, 벽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건축물 외벽 조립판(10)에 대하여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을 갖고, 일정한 요홈(20a)이 형성된 철재 패널(20)에 건축물 외장재(3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후, 액상의 우레탄 수지(40)를 발포하여 상기 철재 패널(20)과 건축물 외장재(30)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준비한 불연재 판(50)을 상기 발포된 우레탄 수지(40) 상면에 부착시키면 상기 우레탄 수지(40)는 고체상태로 결정화 되면서 상기 건축물 외장재(30), 철재 패널(20), 불연재 판(50)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끝나면 철재 패널(20)에 형성된 줄눈(20b)에 오일페인트(20d)를 형성시켜 조립 공정을 마감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건축물 외벽 조립판은 건축물 시공 현장으로 옮겨져 건축물 외벽면을 형성시키며, 하중이 가벼워 고층건물 시공에 적당하고, 건축물의 형상이 직선형이 아닌 곡면을 갖는 경우에도 단 시간내에 벽시공과 함께 단열처리 뿐만 아니라 벽면이 불연재판으로 이루어져 화재시에 쉽게 연소되지 않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건축물 벽을 단열처리 함과 동시에 화재시에도 잘 타지 않도록 불연재를 사용하고, 외장재, 철재 패널, 불연재판 순서로 조립된 외벽 조립판에 우레탄 수지를 발포하여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벽 시공시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이고, 건축물 형상에 따른 제약 없이 벽을 쉽게 쌓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건축물 외벽을 형성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10)에 있어서,
    일정한 요홈(20a)이 형성된 철재 패널(20)과, 상기 철재 패널의 요홈(20a)에 인입되어 결합되도록 끼움돌기(30a)가 형성된 건축물 외장재(30)와, 상기 철재 패널(20)과 건축물 외장재(30)에 우레탄 수지(40)를 발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재 패널(20)은 틀 형상을 갖고, 상기 철재 패널의 요홈(20a) 일 측면에는 쐐기형 홈(20a')이 형성되며, 상기 요홈(20a)의 각 모서리부가 일정 부분만큼 타원형 홈(2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조립판(10) 하면에 불연재 판(50)이 삽입되어 우레탄 수지(40)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외장재(10)는 석재, 인조석, 벽돌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장재(30)의 끼움돌기(30a) 중앙 내부는 빈 공간의 원형 홈(30a')을 이루며, 상기 끼움돌기(30a)의 각 측면에는 각홈(3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벽 조립판.
KR20-2003-0007182U 2003-03-11 2003-03-11 건축물 외벽 조립판 KR200314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182U KR200314387Y1 (ko) 2003-03-11 2003-03-11 건축물 외벽 조립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182U KR200314387Y1 (ko) 2003-03-11 2003-03-11 건축물 외벽 조립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387Y1 true KR200314387Y1 (ko) 2003-05-27

Family

ID=4933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182U KR200314387Y1 (ko) 2003-03-11 2003-03-11 건축물 외벽 조립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3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236B1 (ko) 2008-11-11 2011-05-20 류대형 건축 외장재용 복합 판넬
KR20200106714A (ko) * 2019-03-05 2020-09-15 세라코 주식회사 배면에 결착홈이 형성된 박벽돌을 양각 테두리 돌출띠가 성형된 바탕쉬트의 걸림턱에 결합시켜서 제작된 단위 프리패브 유닛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지프레임 외벽마감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236B1 (ko) 2008-11-11 2011-05-20 류대형 건축 외장재용 복합 판넬
KR20200106714A (ko) * 2019-03-05 2020-09-15 세라코 주식회사 배면에 결착홈이 형성된 박벽돌을 양각 테두리 돌출띠가 성형된 바탕쉬트의 걸림턱에 결합시켜서 제작된 단위 프리패브 유닛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지프레임 외벽마감공법
KR102271453B1 (ko) * 2019-03-05 2021-07-01 세라코(주) 배면에 결착홈이 형성된 박벽돌을 양각 테두리 돌출띠가 성형된 바탕쉬트의 걸림턱에 결합시켜서 제작된 단위 프리패브 유닛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지프레임 외벽마감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520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s
CA2902628C (en) Building block system
KR20010023206A (ko) 건물의 벽체 축조용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CA2315638A1 (en) Insulated concrete form
EP1941109B1 (en) Building block
US20050204663A1 (en) Web offset lug dry-stack system
KR200314387Y1 (ko) 건축물 외벽 조립판
KR20060042051A (ko) 다중경량 단열방음공간벽돌
CN101089307A (zh) 现浇轻质复合墙体
EP3112548B1 (en) Wall erected with insulation blocks
KR100701497B1 (ko) 건축용 무모르타르 블럭
KR100751045B1 (ko) 조적용 벽돌
KR200265927Y1 (ko) 조립식 단열벽돌
US8590242B1 (en) Insulated concrete wall
US20050000178A1 (en) Poured-in-place concrete construction components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KR200223802Y1 (ko) 건축용 무기질 경량패널
KR100944524B1 (ko) 경량패널 제조장치
KR102154717B1 (ko) 건축용 복합 단열 석재
JPH0227048Y2 (ko)
KR200302624Y1 (ko) 건축물 외벽 조립판
JPH11310991A (ja) 発泡セラミック複合ボード
CN2439480Y (zh) 装配式轻质防火隔墙板
KR200292675Y1 (ko) 건축용 판넬
RU56427U1 (ru) Стеновая моду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аводск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