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524B1 - 경량패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경량패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524B1
KR100944524B1 KR1020070100212A KR20070100212A KR100944524B1 KR 100944524 B1 KR100944524 B1 KR 100944524B1 KR 1020070100212 A KR1020070100212 A KR 1020070100212A KR 20070100212 A KR20070100212 A KR 20070100212A KR 100944524 B1 KR100944524 B1 KR 10094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bottom plate
members
lightweight panel
sid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5122A (ko
Inventor
고수
유재천
황의민
Original Assignee
(주)콘솔베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콘솔베르 filed Critical (주)콘솔베르
Priority to KR1020070100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5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35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B28B1/0873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the mould being placed on vibrating or jolting supports, e.g. mou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B28B7/263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for making plates, panels or similar sheet- or disc-shape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경량패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폭과 길이의 가변이 용이하며 자체에 진동발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짐타설이 가능한 경량패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경량패널 제조용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1,2,3,4 측면부재들과, 상기 측면부재들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패널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경량패널, 제조장치, 진동발생수단, 측면부재, 바닥판

Description

경량패널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lightweight panel}
본 발명은 경량패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경량패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폭과 길이의 가변이 용이하며 자체에 진동발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짐타설이 가능한 경량패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조적 등의 습식 벽체 구조에 비해 중량을 낮추고 시공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각종 건식벽체 구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식벽체는 주로 외벽보다는 내벽, 내력벽보다는 비내력벽에 이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강성과 방수성능 등을 향상시킨 재료의 개발로 외벽이나 내력벽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경량벽체구조에서 많이 사용되어 오던 스티로폴(발포폴리스티렌) 등의 심재가 가지고 있는 내화의 문제나 제작시 첨가되는 접착제가 배출하는 실내환경오염물질 등의 문제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무기질계 경량벽체의 사용이 점차 일반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성능과 더불어 차음이나 단열성능 등 제반성능이 우수한 경량벽체의 개발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종래에 상업용 또는 업무용 건축물에만 사용되어오던 건식경량벽체를 주거용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향후 경량벽체 시스템은 기존의 중량벽체의 장점 대부분을 수용하는 우수한 시스템으로 발전하여 점차 건축물의 벽체시스템을 대체하는 주요한 요소기술로 발전될 전망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경량패널을 제조할 수 있도록 폭과 길이의 가변이 용이하며 자체에 진동발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짐타설이 가능한 경량패널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경량패널 제조용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1,2,3,4 측면부재들과, 상기 측면부재들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패널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재들 중 바닥판의 장변에 설치되는 제1,2측면부재들에 고정되는 복수의 받침부재들과, 상기 받침부재들에 의해 지지되는 간격유지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측면부재들 중 일부는 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들 중 제1측면부재는 상기 바닥판에 고정되어 프레임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들 중 제2측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재의 재축에 대해 평행하면서도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측면부재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들 중 제3측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재의 재축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측면부재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는 일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부재들 중 제4측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재의 재축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측면부재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는 타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판의 상면에는 양중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폭과 길이의 가변이 용이하며 자체에 진동발생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다짐타설이 가능한 경량패널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패널 제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패널 제조장치에 있어서 바닥판과 4개의 측면부재들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패널 제조장치를 이용해 경량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량패널 제조장치는, 바닥판(100)과, 4개의 측면부재 들(210,220,230,240)과, 상부판(300)과, 진동발생수단(400)으로 구성된다.
바닥판(100)은 측면부재들(210,220,230,240)과 함께 경량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10)을 수용하는 일종의 거푸집을 구성하게 된다.
측면부재들은 바닥판(100)의 상면에 장착되어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바닥판(100)과 함께 경량패널 제조를 위한 혼합물(10)이 투입되는 거푸집을 형성한다. 측면부재들(210,220,230,240)은 L형강으로 구성되며 그 일측 다리부를 이용하여 바닥판(100)의 상면에 안착되고 타측 다리부는 거푸집의 범위를 한정한다.
측면부재들 중 제1측면부재(210)는 예컨데 용접으로 바닥판(10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외 다른 측면부재들(220,230,240)은 제1측면부재(210)에 대해 적어도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측면부재들 중 제2측면부재(220)는 제1측면부재(210)의 맞은편에 이격되어 위치하며 제1측면부재(210)의 재축(길이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또한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판(100)에 안착되는 제2측면부재(220)의 다리부에는 원형공들(220a)이 형성되며 이 원형공들(220a)은 바닥판(100)에 형성된 원형공들(110a)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2측면부재(220)는 볼팅으로 바닥판(10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2측면부재(220)의 다리부에 형성된 원형공들(220a)과 볼트(600) 몸체(610)의 유격에 의해 제2측면부재(220)는 제1측면부재(210)에 대해 수직으로뿐만 아니라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다.
측면부재들 중 제3측면부재(230)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2측면부 재(210,220)의 일측면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제1측면부재(210)의 재축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3측면부재(230)는 바닥판 상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다리부를 이용하여 제1측면부재(210)의 선단면에 안착되며 제2측면부재(220)의 바닥판 상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다리부에 그 선단면이 안착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3측면부재(230)을 제1측면부재(210)의 재축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제3측면부재(230)의 바닥판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다리부가 제1측면부재(210)의 선단면을 따라 이동된다.
제3측면부재(230)를 바닥판(100) 상에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한 제2측면부재(220)의 고정방법과 유사하다. 대신에 제2측면부재(220)의 바닥판 상에 평행하게 위치하는 다리부에 형성되는 원형공 대신에 장공(230a)이 형성되며 이 장공(230a)에 의해 제3측면부재(230)의 가능한 이동량이 정해진다.
측면부재들 중 제4측면부재(240)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2측면부재(210,220)의 타측면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제1측면부재(210)의 재축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4측면부재(240)는 제1,2측면부재(210,220)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며 제3측면부재(230)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때, 제4측면부재(240)는 바닥판 상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다리부를 이용하여 제2측면부재(220)의 선단면에 안착되며 제1측면부재(210)의 바닥판 상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다리부에 그 선단면이 안착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제4측면부재(240)를 제1측면부재(210)의 재축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제1측면부재(210)의 바닥판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다리부에 그 선단면이 접촉되면서 이동된다.
제4측면부재(240)는 제2,3측면부재(220,230)와 유사한 방법으로 바닥판(100) 상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제4측면부재(240)의 바닥판 상에 안착되는 다리부에는 장공(240a)이 형성되며, 이 장공(240a)은 제4측면부재(240)의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1측면부재(210)에 대해 제4측면부재(240)가 이동가능한 이동량이 정해진다.
측면부재들(210,220,230,240)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의 폭과 길이를 변경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폭은 제1측면부재(2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3측면부재(230)를 이동시킴으로써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측면부재(230) 이외에 제2측면부재(220)도 역시 이동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제2측면부재(220)는 바닥판(100) 상에 수직으로 위치하는 다리부를 이용하여 제3측면부재(230)에 있어 제1측면부재(210)의 반대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 선단면이 안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길이는 제4측면부재(240)를 이동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4측면부재(240)와 함께 항시 폐쇄된 프레임을 보장하기 위해 제2측면부재(220)도 역시 이동시켜야 한다.
측면부재들(210,220,230,240)의 상면에는 상부판(300)이 안착된다. 이 상부판(300)은 바닥판(100) 및 측면부재들(210,220,230,240)에 형성된 거푸집의 상면을 폐쇄함과 동시에 거푸집 내에 타설된 경량패널 제조를 위한 혼합물(10)이 거푸집 내에 고르게 퍼지도록 자체의 자중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상부판(300)의 상면에는 기중기의 리프팅 장치나 지게차의 포크와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고리(310,320)를 설치한다.
상부판(300)의 상면에는 진동발생수단(400)이 장착된다. 이 진동발생수단(400)은 거푸집 내에 타설된 경량패널 제조를 위한 혼합물(10)이 잘 혼합되어 밀실하게 될 수 있도록 진동을 가한다.
한편, 진동다짐시 요구되는 두께를 확보할 목적으로 간격유지틀(500)이 사용될 수 있다. 간격유지틀(500)은 측면부재들(210,220,230,240)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사각틀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부재들(210,220,230,240) 중 바닥판(100)의 장변에 설치되는 제1,2측면부재들(210,220)에 고정되는 복수의 받침부재들(250)에 의해 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경량패널 제조장치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조될 경량패널의 크기를 고려하여 이동가능한 측면부재들(220,230,240)을 이동시키면서 바닥판(100) 상에 고정하고 간격유지틀(50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바닥판(100)과 측면부재들(210,220,230,240)로 구성된 주형의 내부에 경량패널 제조를 위한 혼합물(10)을 타설한다. 필요에 따라 혼합물(10)의 상부에는 섬유망(20)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판(300)을 주형 상부에 위치시켜 혼합물을 가압하면서 진동발생수단(400)으로 진동다짐한다.
마지막으로 양생하고 측면부재들(210,220,230,240)을 이동시켜 패널을 탈형 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패널 제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량패널 제조장치에 있어서 바닥판과 4개의 측면부재들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량패널 제조장치를 이용해 경량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8)

  1.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에 설치되어 경량패널 제조용 혼합물을 수용하도록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1,2,3,4 측면부재들(210,220,230,240)과,
    상기 측면부재들(210,220,230,24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판(300)과,
    상기 상부판(300)의 상면에 고정되는 진동발생수단(400)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부재들(210,220,230,240) 중 제1측면부재(210)는 상기 바닥판(100)에 고정되어 프레임의 일측면을 형성하고, 제2측면부재(220)는 상기 제1측면부재(210)의 재축에 대해 평행하면서도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측면부재(210)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측면을 형성하며, 제3측면부재(230)는 상기 제1측면부재(210)의 재축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측면부재(210)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는 일측면을 형성하고, 제4측면부재(240)는 상기 제1측면부재(210)의 재축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측면부재(210)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는 타측면을 형성하며,
    이때, 상기 제2측면부재(220)에는 그 재축방향을 따라 복수의 원형공(22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4측면부재(230)(240)에는 재축방향을 따라 각각 그 이동방향을 안내하고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복수의 장공(230a)(24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패널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들(210,220,230,240) 중 바닥판(100)의 장변에 설치되는 제1,2측면부재들(210,220)에 고정되는 복수의 받침부재들(250)과,
    상기 받침부재들(250)에 의해 지지되는 간격유지틀(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패널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300)의 상면에는 양중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수단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패널의 제조장치.
KR1020070100212A 2007-10-05 2007-10-05 경량패널 제조장치 KR100944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12A KR100944524B1 (ko) 2007-10-05 2007-10-05 경량패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212A KR100944524B1 (ko) 2007-10-05 2007-10-05 경량패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122A KR20090035122A (ko) 2009-04-09
KR100944524B1 true KR100944524B1 (ko) 2010-03-10

Family

ID=4076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212A KR100944524B1 (ko) 2007-10-05 2007-10-05 경량패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510B1 (ko) * 2017-08-28 2019-08-2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직물 거푸집, 이를 이용한 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및 그 제조방법
CN113547613A (zh) * 2021-07-28 2021-10-26 江苏华伟佳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制板机内槽板及其组装、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611A (ko) * 1993-06-04 1995-01-03 박원배 타일이 부착된 판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14005A (ko) * 2002-08-09 2004-02-14 조선내화 주식회사 내화 프리케스트 블럭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04425A (ko) * 2003-07-02 2005-01-12 오부영 콘크리트 제품의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611A (ko) * 1993-06-04 1995-01-03 박원배 타일이 부착된 판넬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14005A (ko) * 2002-08-09 2004-02-14 조선내화 주식회사 내화 프리케스트 블럭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04425A (ko) * 2003-07-02 2005-01-12 오부영 콘크리트 제품의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122A (ko)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72727B (zh)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建筑
KR100757688B1 (ko) 건축물의 내장용 패널
WO2007070848A3 (en) Adobe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101630744B1 (ko)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철골구조 시공방법
KR100944524B1 (ko) 경량패널 제조장치
RU2009144768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яжелого модульного элемента и модульный элемент, изготовленный в соответствии с данным способом
US3999341A (en) Composite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089315B1 (ko) 건식벽체 차음용 스틸스터드 구조
EP3204563B1 (en) A process for making a building structure and a building structure obtained by means of such process using a light conglomerate comprising a granular inert material, vegetable fibres and hydraulic lime
CN201103180Y (zh) Pcm现浇钢筋砼双向空心内模
KR20080041977A (ko) 거푸집형 블럭
KR100485585B1 (ko) 조립식 구조물 및 이를 위한 형강
KR20220157159A (ko) 조립식 무근 슈퍼콘크리트 주택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JP2010059630A (ja) 打ち込み型枠と仮設材を使用しない連結方法
CN220285224U (zh) 一种装配建筑墙板
KR101140665B1 (ko) 벽체용 마감패널
KR20200125356A (ko) 슬라브 거푸집
KR102537682B1 (ko) 내외단열 겸용 갱폼 어셈블리
KR10047413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음·방진공법
CN219710636U (zh) 墙体构件
KR960005313B1 (ko) 조립식 건축구조물용 벽체패널
KR20050079383A (ko)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KR200410116Y1 (ko)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KR100504350B1 (ko)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0314387Y1 (ko) 건축물 외벽 조립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