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116Y1 -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 Google Patents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116Y1
KR200410116Y1 KR2020050036042U KR20050036042U KR200410116Y1 KR 200410116 Y1 KR200410116 Y1 KR 200410116Y1 KR 2020050036042 U KR2020050036042 U KR 2020050036042U KR 20050036042 U KR20050036042 U KR 20050036042U KR 200410116 Y1 KR200410116 Y1 KR 2004101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plate
lower plate
present
truss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한
Original Assignee
안승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한 filed Critical 안승한
Priority to KR2020050036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1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1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1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8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 E04B1/90Insulating elements for both heat and sound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8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assembled of block-shaped elements, e.g. hollow 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나 층간의 슬라브를 구축하는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판, 하판 및 4개의 측판을 가지는 직육면체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더가 내설된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벽체나 슬라브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로 구축된 다층 건축물을 제공한다. 상기 중공부에는 단열/흡음재와, 난방 등을 위한 배관라인이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벽체 간 그리고 층간의 소음이나 진동이 중공부에 의해 소진(消盡)되어 우수한 방음성(防音性) 및 방진성(防振性)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체 자체에 난방설비가 설치된 상태로 보급됨에 따라 시공현장에서의 난방 설치 작업이 배제되어 공기 및 공임을 현저히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콘크리트, 다층, 건축물, 소음, 진동

Description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HOLLOW CONCRETE DEVICE AND MULTI-LAYER STRUCTUR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트러스 거더의 다양한 구현예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사용 상태도로서, 상호 조립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사용 상태도로서 상호간 조립되는 모습을 보인 조립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에 보인 콘크리트 구조체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조립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상판 12a : 삽입공
12b : 완충패드 14 : 하판
16 : 측판 20 : 중공부
30 : 트러스 거더 32 : 메인바
34 : 지지바 40 : 조립수단
42 : 끼움홈 44 : 끼움돌기
46 : 조립인서트 50 : 단열/흡음재
60 : 배관라인 72 : 구멍
74 : 충격완충부재 80 : 매입돌기
93 : 체결부재 95 : 보강재
96 : 체결인서트 100 : 콘크리트 구조체
100-1 : 반제품 200 : 연결부재
본 고안은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층 건축물의 벽체나 층간의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우수한 방음성(防音性) 및 방진성(防振性)을 갖게 할 수 있는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그리고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세대 주택이나 연립 주택식의 빌라형 건축물, 내부에 많은 임대 사무실을 가지는 빌딩형 건축물, 그리고 아파트, 학교, 병원, 기숙사 등의 공동 집합형 등의 다층 건축물을 구축함에 있어서는, 시공현장에서 거의 모든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리고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아파트의 경우에는 프레스 트러스 공법(PC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구축방법이 성행되기도 하였다.
종래 기술에 따른 다층 건축물의 구축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초공사를 하고, H형 빔, I형 빔 등의 철골 프레임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골격구조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철골 프레임을 수직 및 수평으로 설치한 다음, 철골 프레임 상호간을 용접 또는 브라켓 등으로 체결하여 건축물의 골격구조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철골 프레임의 사이에는 벽돌을 조적하거나, 유로폼이라는 조립식 거푸집을 조립 설치하고, 거푸집 사이에는 철근을 결선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벽체를 구축한다. 또한, 수평으로 설치된 철골 프레임에는 거푸집(유로폼)을 깔고, 그 위에 철근을 결선한 다음, 전기 및 난방 설비 배관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슬라브(바닥)를 구축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거푸집을 해체하면 한 층이 구축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거푸집의 조립, 설치 및 콘크리트 양생 작 업을 수회 반복함으로써 여러 층을 형성시킨다. 이때, 구축된 건축물은, 여러 세대가 거주할 수 있도록 벽체와 슬라브에 의해 구획되어 다층을 가짐과 동시에 하나의 층에는 여러 곳의 거주 공간으로 구획된다.
종래에는 위와 같이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하다보니 공기 및 공임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동절기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양생온도를 맞추지 못하여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 정도 보완한 방법이 조립식 구축방법인데, 이는 조립식 건축자재를 공장에서 벽체용 벽판과 슬라브용 바닥판을 생산하여 대형 트레일러로 현장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기중기로 벽판과 바닥판을 서로 맞물려 조립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건축물 구축방법은 바닥에 차음재를 설치한다 하여도 여전히 층간(아래층과 위층)의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같은 건물 내의 입주자 사이에 프라이버시(privacy)를 확보하지 못하고, 소음의 공해로 인하여 서로 간의 불신과 분쟁이 끊이질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아파트 등에서는 특히 어린이들의 심한 요동으로 인하여 소음은 물론 진동에 의해 아래층에 거주하는 입주자에게 심한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내부에 중공부를 갖게 함과 동시에 상판과 하판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더 (truss girder)를 매입 설치함으로써, 상기 중공부에 의해 우수한 방음성(防音性) 및 방진성(防振性)을 가지며, 이와 동시에 상기 트러스 거더에 의해 우수한 지지 강도를 가지는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구축된 다층 건축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체에 있어서,
상판, 하판 및 4개의 측판을 가지는 직육면체로서,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과 하판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더(truss girder)가 내설된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판, 하판 및 4개의 측판은 일체적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트러스 거더의 하부 말단은 하판에 매입되고 상부 말단은 상판에 매입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상판은 자유자재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트러스 거더는 그의 하부 말단이 하판에 매입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는 서로 인접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와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수단을 가지는 것이 좋다. 아울러, 중공부를 확보한 상태에서 단열/흡음재 및 배관라인이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충격완충부재 또는 구멍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멍은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난방을 유도하는 기능을 겸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는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으로 양생 제작되어 시공현장으로 보급된다. 그리고 다층 건축물의 벽체나 층간의 슬라브(slab) 구축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때, 벽체 간 그리고 층간의 소음이나 진동이 상기 중공부에 의해 소진(消盡)되어 우수한 방음성(防音性) 및 방진성(防振性)을 갖는다. 아울러, 상기 트러스 거더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체 자체는 우수한 강도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다층 건축물에 있어서,
벽체나 슬라브가 상기의 콘크리트 구조체로 구축된 다층 건축물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트러스 거더의 다양한 구현예를 보인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바람직하게는 판넬(panel) 형상으로서, 내부에 중공부(20)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판(12), 하판(14) 및 4개의 측 판(16)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판(12), 하판(14) 및 4개의 측판(16)이 일체로 이루어진 밀폐형 중공체이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20)에는 상판(12)과 하판(14)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더(30)가 내설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중공부(20)는 소음이나 진동을 소진(消盡)시켜 우수한 방음성 및 방진성을 갖게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20)는 난방 등을 위한 배관라인(60)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트러스 거더(30)는 콘크리트 구조체(100) 자체의 강도 보강은 물론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이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 개 내설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트러스 거더(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의 하부 말단은 하판(14)에 매입된 구조로 설치되고, 그의 상부 말단은 상판(12)에 매입된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트러스 거더(3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트러스 거더(30)의 다양한 구현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러스 거더(30)는 상판(12)이나 하판(14)에 매입되는 메인바(32)와, 상기 메인바(32)보다 직경은 작고 상기 메인바(32) 상호간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바(34)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바(32)와 지지바(34)는 철재 파이프나 철근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트러스 거더(30)는 메인바(32)의 개수 및 위치 배열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입방체 구조를 갖는다. 트러스 거더(30)는 예를 들어, 그 단면이 "X"자형(도 3a), 또는 다각형으로서 삼각형(도 3b), 직사각형(도 3c), 사다리꼴형(도 3d)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사용 상태도로서, 조립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상판(12), 하판(14) 및 4개의 측판(16)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내부에 중공부(20)가 형성되고, 상판(12)과 하판(14)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더(30)가 내설되어지되, 인접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와 상호 조립되게 하는 조립수단(40)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조립수단(40)은 상기 4개의 측판(16)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측판(16)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수단(40)은 측판(16)의 외면에 형성되며, 이는 인접하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와 향상된 조립구조를 도모한다. 이러한 조립수단(40)은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상호간이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그의 폭 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요철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조립수단(40)이 요철구조로서 다수의 끼움홈(42)과 끼움돌기(44)로 구성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또한, 상기 조립수단(40)은 측판(16)에 소정 간격으로 착설된 다수의 조립 브라켓류, 또는 측판(16)에 소정 간격으로 매입된 다수의 조립인서트(46, 도 6 참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사용 상태도로서 상호간 조립되는 모습을 보인 조립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상판(12), 하판(14) 및 4개의 측판(16)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내부에 중공부(20)가 형성되고, 상판(12)과 하판(14)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더(30)가 내설되어지되, 내부에 단열/흡음재(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흡음재(50)는 시트 상(또는 판 형상)의 합성수지 폼(일례로, 폴리우레탄 폼)이나 글라스 울 등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흡음재(50)는 소정 높이의 중공부(20)를 확보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다. 즉, 단열/흡음재(50)의 설치에 의해 중공부(20)가 메워져 버리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단열/흡음재(50)의 두께는 충분한 중공부(20)를 확보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한다.
또한, 시공현장에서 전기배관이나 난방배관 설치 작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부(20)에는 배관라인(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관라인(60)이 난방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배관라인(6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한 하판(14) 쪽으로 밀착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난방 배관라인(60)이 하판(14) 쪽으로 밀착 설치되는 경우 열기가 상승하여 중공부(20) 전체에 걸쳐 열기가 충전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판(12)이 골고루 따뜻해지는 이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4)의 내면에 단열/흡음재(50)가 부착, 설치되고, 상기 단열/흡음재(50) 위에 난방 배관라인(60)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판(14)에서부터 단열/흡음재(50) 및 난방 배관라인(6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 경우, 난방 배관라인(60)에서 발생된 열이 아래층(하판 쪽)으로는 차단(단열)되고, 위쪽으로 상승하여 위층에 효율적인 난방 효과를 부 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충격을 보다 최소화하기 위한 충격완충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격완충수단은 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구멍(72, 도 6 참조) 또는 충격완충부재(74, 도 9 참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충격완충수단으로서 외부와 연통된 구조로 천공되어 형성된 구멍(72)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구멍(72)은 상판(12), 하판(14) 및 4개의 측판(16)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능한 한 흡수된 충격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판(12)이나 측판(16)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멍(72)은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완충구 기능과 함께 난방 배관라인(60)에서 발생된 열을 상판(12), 하판(14) 및 측판(16)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겸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그의 측판(16)에 조립수단(40)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조립수단(40)으로서, 측판(16)에 매입된 조립인서트(46)를 예시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측판(16)의 외면에 매입돌기(8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입돌기(80)는 인접하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와 우수한 결속력을 갖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측판(16)에 그의 일측이 매설된 철재 또는 측판(16)과 일체로 형성된 콘크리트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매입돌기(80)로서 측판(16)과 일체로 돌출 형성된 콘크리트를 예시하였다.
도 6에 보인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건축물의 슬라브 구축용으로 보다 유용하게 사용되며, 슬라브(바닥 공사)로 구축하는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콘크리트 구조체(100)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체(100) 사이에 연결부재(220)를 배치한다. 이때, 연결부재(220)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콘크리트 구조체(100) 내부에 내설된 트러스 거더(30)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연결부재(220)로서 "X"자형 트러스 거더를 예시하였다. 이때, 연결부재(220)로서 사용되는 트러스 거더에는 볼트(230)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240)를 갖는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면, 볼트(230)를 체결부(240)에 끼워 관통되게 한 다음, 조립인서트(46)에 삽입 결합시키면, 콘크리트 구조체(100) 상호간은 연결부재(220), 즉 "X"자형 트러스 거더에 의해 조립된다. 그리고 공간(S)에, 즉 콘크리트 구조체(10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면 콘크리트 구조체(100) 상호간은 고착되어 견고한 슬라브로 구축된다. 또한, 측판(16)에 돌출 형성된 매입돌기(80)가 상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입되어 콘크리트 구조체(100) 상호간은 보다 더 우수한 결속력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공장에서 일정한 규격으로 양생 제작되어 시공현장으로 보급된다. 그리고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각 판들(12)(14)(16)의 두께는 50㎜ ~ 150㎜의 범위를 가지며, 전체 두께는 150㎜ ~ 400㎜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작방법은 몰드(거푸집)를 이용하되, 다양한 방법이 시도될 수 있다. 제작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도 6에 보인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box) 형태의 몰드(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하판(14)과, 이 하판(14)의 둘레에 일체로 연장된 4개의 측판(16)으로 구성된 반제품(100-1)을 제작한다. 이때, 콘크리트가 굳기 이전에 하판(14)에 트러스 거더(30)의 말단이 매입되게 한 후, 완전 양생시켜 굳힌다. 그리고 상기 하판(14)에 단열/흡음재(50) 및 배관라인(60)을 설치, 고정한다. 이때, 배관라인(60)을 설치함에 있어, 드릴로 구멍을 천공하여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라인(60)의 끝단(61)이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아울러, 드릴로 천공하여 구멍(72)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구멍(72)은 드릴작업에 의한 천공에 의하지 않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몰드 내에 파이프를 삽입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거푸집)를 이용하여 위 반제품(100-1)과는 별도로 상판(12)을 제작한다. 이때,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2)을 구성하는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이전에 상기 반제품(100-1)을 뒤집어 상판(12) 위해 적층하여 상판(12)에 트러스 거더(30)의 말단이 매입되게 한다. 그리고 완전 양생하여 콘크리트를 굳히면, 반제품(100-1)과 상판(12)이 일체화되어 도 6에 도시한 구조의 콘크리트 구조체(100)가 제작된다.
또한, 위와 같은 제작과정에서, 상기 반제품(100-1)과 상판(12)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반제품(100-1)의 측판(16)에는 인서트(도시하지 않음)를 삽입시키고, 상판(12)의 가장자리에는 볼트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형성시켜 반제품(100-1)과 상판(12)을 볼트(도시하지 않음)로 조임, 결합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완성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시공현장에 보급되어, 다층 건축물의 벽체나 슬라브 구축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10은 상기 도 9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상판(12)이 자유자재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상판(12), 하판(14) 및 4개의 측판(16)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내부에 중공부(20)가 형성되고, 상판(12)과 하판(14)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더(30)가 내설되어지되, 상기 상판(12)이 별도로 양생 제작되어 체결부재(92)에 의해 조립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92)의 착탈에 의해 상판(12)은 반제품(100-1)으로부터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반제품(100-1)과 상판(12)은 별도로 완전 양생되어 제작된 후, 체결부재(92)에 의해 조립된다. 상기 반제품(100-1)은 하판(14)과, 이 하판(14)의 둘레에 일체로 연장된 4개의 측판(16)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트러스 거더(30)가 내설되어지되, 트러스 거더(30)의 하부 말단이 하판 (14)에 매설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내부에는 하판(14) 상에 순차적으로 단열/흡음재(50)와 배관라인(60)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측판(16)에는 인접하는 콘크리트 구조체(100)와의 조립을 위한 조립인서트(46)가 매입되어 있다.
이때, 위와 같이 상판(12)이 반제품(100-1)과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상판(12)은 그 재질에 있어서 콘크리트는 물론 목재, 석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판(14)에는 체결부재(92)가 결합되는 체결인서트(96)가 매입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충격흡수를 위한 충격완충수단으로서, 상기 중공부(20)에는 다수의 충격완충부재(74)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충격완충부재(74)는 그의 하단이 하판(14)에 매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충격완충부재(74)는 스프링 등의 탄성체나, 유압실린더 등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충격완충부재(74)로서 스프링과 유압실린더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모습을 예시하였다.
한편, 상판(12)은 상기 반제품(100-1)과는 별도로 완전 양생되어 제작된 것으로서, 상판(12)의 테두리에는 체결부재(92)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이러한 상판(12)의 저면에는 완충패드(12b)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패드(12b)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엘라스토머(탄성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완충패드(12b)는 상판(12)의 저면에 군데군데 부착되거나, 또는 전체 표면에 걸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상판(12)이 트러스 거더(30)와 충격완충부재(74)에 접촉 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킴과 동시에 상호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제품(100-1)과 상판(12)은, 체결부재(92)와 체결인서트(96)의 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판(12)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제품(100-1)의 내측에 결합된다. 즉, 상판(12)의 측면이 측벽(16)의 내면과 맞닿도록 결합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본 고안의 콘크리트 구조체(100)는 충격완충부재(74)의 탄성력에 의해 상판(12)이 미세하게나마 탄성적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충격이 최대한 흡수되어 아래층으로 진동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판(12), 그리고 반제품(100-1)을 구성하는 하판(14)과 측판(16)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재(95)가 매입될 수 있다. 상기 보강재(95)는 철근이나, 상기 트러스 거더(30)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보강재(95)로서 측판(16)에는 철근이 매입, 설치되고, 상판에는 삼각형 트러스 거더가 매입,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다층 건축물은 이상에서 설명한 콘크리트 구조체(100)에 의해 벽체나 슬라브나 구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벽체 간 그리고 층간의 소음이나 진동이 중공 부(20)에 의해 소진(消盡)되어 우수한 방음성(防音性) 및 방진성(防振性)을 가짐과 동시에 트러스 거더(30)에 의해 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내부에 난방 배관라인(60)이 설치된 경우, 시공현장에서는 난방 설치를 위한 작업이 배제되어 공기 및 공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난방 배관라인(60)에서 발생된 열은 중공부(20)에 충전되어 상판(12)이 골고루 따뜻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구멍(72)이나 충격완충부재(74)가 설치된 경우 충격(진동)이 더욱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1)

  1. 콘크리트 구조체에 있어서,
    상판(12), 하판(14) 및 4개의 측판(16)을 가지는 직육면체로서, 내부에 중공부(20)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12)과 하판(14)을 지지하는 트러스 거더(30)가 내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거더(30)는, 그 하부 말단은 하판(14)에 매입되고, 상부 말단은 상판(12)에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2)은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트러스 거더(30)의 하부 말단이 하판(14)에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2)의 저면에는 완충패드(12b)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 리트 구조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20)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충격완충부재(7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는, 인접하는 콘크리트 구조체와 상호 조립되게 하는 조립수단(4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40)은 측판(16)에 매입된 조립인서트(46)로 구성되거나, 또는 측판(16)에 형성된 요철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20)에 단열/흡음재(50)와 배관라인(60)이 설치되어지되, 하판 (14) 쪽으로 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2), 하판(14) 및 4개의 측판(16)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멍(7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6)의 외면에 매입돌기(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체.
  11. 다층 건축물에 있어서,
    벽체나 슬라브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콘크리트 구조체로 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건축물.
KR2020050036042U 2005-12-22 2005-12-22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KR2004101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042U KR200410116Y1 (ko) 2005-12-22 2005-12-22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042U KR200410116Y1 (ko) 2005-12-22 2005-12-22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705A Division KR100704342B1 (ko) 2005-12-22 2005-12-22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116Y1 true KR200410116Y1 (ko) 2006-03-06

Family

ID=41760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042U KR200410116Y1 (ko) 2005-12-22 2005-12-22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1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11B1 (ko) 2006-05-22 2007-09-07 안승한 충격흡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011B1 (ko) 2006-05-22 2007-09-07 안승한 충격흡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1410Y1 (ko) 층간소음방지용 조립패널 구조
KR200404398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20170025255A (ko) 건축물 슬래브의 내진 공법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KR10090892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100704342B1 (ko)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KR200410116Y1 (ko) 중공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KR102252141B1 (ko) 거푸집 겸용 건축물 벽체
KR102247571B1 (ko) 판진동 흡수구조를 갖는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 슬래브 및 이의 시공방법
JP3983491B2 (ja) 断熱pcコンクリート板の製造方法
KR101120360B1 (ko) 철근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KR100757011B1 (ko) 충격흡수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다층 건축물
KR100622018B1 (ko) 건축물의 구축방법 및 이로부터 구축된 건축물
JP3707378B2 (ja) Pc部材を用いた建築構造
KR100540643B1 (ko) 건축물의 벽체
EP3953537A1 (en) A device for mounting of beam layouts
JP4427601B1 (ja) 懸架式防音壁構築構造
KR100916309B1 (ko) 콘크리트 구조체
KR100504350B1 (ko) 건축물의 시공방법
JP3728645B2 (ja) Rc造建物の制震構造
KR200403459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978295B1 (ko)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KR20050079383A (ko) 건축물 벽 시공용 거푸집 조립장치
KR101024059B1 (ko) 인테리어 겸용 커버 부재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1174665B1 (ko) 개량형 철근트러스 데크플레이트에의 고정설치를 위한 경량성형재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경량 슬래브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