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295B1 -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 Google Patents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295B1
KR100978295B1 KR1020100010826A KR20100010826A KR100978295B1 KR 100978295 B1 KR100978295 B1 KR 100978295B1 KR 1020100010826 A KR1020100010826 A KR 1020100010826A KR 20100010826 A KR20100010826 A KR 20100010826A KR 100978295 B1 KR100978295 B1 KR 100978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member
hollow
tubular
transverse
transverse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순우
Original Assignee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주식회사 형상엔지니어링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주식회사 형상엔지니어링, (주)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아이앤티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0001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2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1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크 플레이트용 베이스 판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 수의 트러스들 사이에 설치되어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자체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방지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를 블로우 사출 성형 또는 발포 성형하되, 상기 중공부재의 상면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전선을 포함하여 통신 및 영상선로가 내설되는 관체를 종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종방형 관체 안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재의 양측 저면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는 관체를 횡 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을 관통되게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중공부재의 설치 목적인 외부에서 데크 플레이트가 축조된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자체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전선을 포함하여 통신 및 영상선로 등이 내설하기 위해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설치해야 하는 관체를 중공부재의 설치와 무관하게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슬래브 또는 벽체 등의 구조물 내에 매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중공부재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을 종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종단면을 갖도록 성형해 줌으로써 하나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에 횡 방향 관체 자체를 하나 또는 그 이상 동시에 설치할 수 있고, 또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의 양측 개구부에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 관체 안내부를 더 형성시켜 줌으로써 횡 방향 관체을 보다 원활히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중공부재의 외주연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수개의 휨강도 보강돌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여 줌으로써 철근의 설치작업 또 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작업자가 중공부재의 상면을 걸어다니더라도 하중에 의해 중공부재 자체가 일그러지거나 찌그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1-way hollow materials for constructing hollow core slab}
본 발명은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slab) 또는 벽체 등의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 트러스 구조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내에 설치되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를 블로우 사출 성형 또는 발포 성형을 통해 긴 중공부재로 성형하되, 중공부재의 상면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전선을 포함하여 통신 및 영상선로 등이 내설되는 종 방향 관체 안치홈을 형성하고, 양측 저면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는 수개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을 관통되게 형성시켜 주어 중공부재의 설치 목적인 외부에서 데크 플레이트가 축조된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자체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전선을 포함하여 통신 및 영상선로 등이 내설하기 위해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설치해야 하는 관체를 중공부재의 설치와 무관하게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슬래브 또는 벽체 등의 구조물 내에 매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부력방지장치나 철근 또는 와이어 메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중공부재의 상면에 안치되거나 양측 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관체에 의해 중공부재 자체가 콘크리트의 표면 위로 떠오르지 않게 되어 부력발생으로 인한 중공 슬래브의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데크 플레이트용 베이스 판이나 철근에 와이어 메쉬와 같은 결속선 등을 통해 중공부재를 고정하거나 용접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중공부재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인건비 등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벽체, 교량 상판, 고층빌딩 등에 적용되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압축재인 콘크리트와 인장재인 철근을 함께 사용하는 복합구조로서, 일반적인 건축구조물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철근 구조물을 축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콘크리트의 외면을 형성해 주는 거푸집(form)을 가설하고 거푸집 상에 구조물 설계강도와 부합되도록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그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합판과 각재 등으로 가설되는데 거푸집 상에서 철근 배근 등의 작업을 수행해야하므로 상당한 내력을 가져야 함에 따라서 거푸집의 가설 자체 및 콘크리트의 양생 후 거푸집의 제거에 상당한 기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의 사용 문제는 대략 두 가지 방향으로 개선방안이 진행되어 왔는데, 그중 한가지 방안은 거푸집 자체의 개선으로 용이한 가설이나 해체, 마감공사가 불필요한 미려한 표면형성, 큰 내구력에 의한 반복사용 등에 의한 개선이고, 또 한가지 방안으로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 즉 콘크리트의 외면 형성에 사용했던 구조물을 그대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일부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무 거푸집 공법에서는 일반적으로 큰 굴곡 단면을 가지는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를 사용해왔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건물의 고층화나 넓은 거실 공간의 확보를 위해 슬래브(slab)의 두께를 늘려 강도를 높이거나, 경량화나 차음성능 개선을 위해 슬래브 내부에 매설물을 설치하여 중공화하는 공법이 여러 가지 실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 슬래브(hollow core slab)는 중앙에 중공체 또는 중공부재를 구비한 구조로서 패널 중량을 감소시킴에 따라 자중에 비해 비교적 우수한 단면성능을 가지며, 이러한 중공 슬래브는 장경간(long span)과 무량판(flatslab)의 구현은 물론 층간 소음저감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종래의 중공 슬래브로서 중공관이나 형강, 데크 플레이트 등을 이용한 1방향 또는 2방향 슬래브가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 등의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트러스 사이사이에 빈공간이 발생하여 다량의 콘크리트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구조물 축조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재료비용을 증가시켜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며, 콘크리트 타설시 상당한 작업량과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데크 플레이트가 바닥면 등에 설치된 다층구조물의 경우, 외부에서 발생된 소음 및 진동이 그대로 구조물 내로 흡수되어 하층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커다란 소음공해 및 진동공해를 유발하여 주거생활 등에 커다란 장애요인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데크 플레이트가 개발되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86222호에 제시된 바 있는데, 이와 같은 데크 플레이트는 일측이 트러스 상부철근의 상부 정점 간을 연결하고 그 일단이 상기 상부철근에 용착되는 다수의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평행하게 설치되며 하부철근에 용착되는 다수의 하부지지부재와; 상면이 상기 상부지지부재에 용착되고 그 하면이 상기 하부지지부재에 용착되어 플레이트 내에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 형태를 갖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관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관부재가 차지하는 소정의 부피에 해당하는 만큼의 콘크리트 타설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기존의 데크 플레이트에 비해 적은 콘크리트 양으로 구조물을 축조할 수 있고, 또한 외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음 및 진동이 상기 구조물로 유입될 경우에도 상기 관부재의 중공부에서의 공명현상을 통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신뢰성 있게 흡수될 수 있었다. 즉, 상기 관부재가 장착된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축조된 구조물 상에서 사람의 이동이나 기계의 작동 등으로 인하여 소음과 진동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도, 발생된 소음과 진동은 상기 관부재 내의 공명현상을 통하여 소멸시킬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관부재가 상기 상부지지부재 및 하부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외력 저항강도가 증가하여 지진 등과 같은 수평진동 하중이 구조물에 전달되는 경우에도 그 내진성이 크게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었다.
한편,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 등의 구조물을 축조하다 보면 콘크리트를 투입시키기에 앞서 실내에 교류 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전선을 포함하여 각종 통신 및 영상신호를 전송시켜 주기 위한 각종 선로의 매설을 위한 수개의 관체를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설치해 주어야 만 된다.
그럼에도 불과하고 종래 테크 플레이트에서 사용되고 있는 관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한 파이프 형상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상면은 상부지지부재에 용착되고 그 하면은 하부지지부재에 용착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실내에 교류 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전선을 포함하여 각종 통신 및 영상신호를 전송시켜 주기 위한 각종 선로의 매설을 위한 관체를 전혀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부재 자체가 금속재로 성형되어 있음은 물론 데크 플레이트의 상,하부지지부재에 용접을 통해 융착 설치해 주어야만 하므로 제품 자체의 원가가 높고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로움은 물론 시간과 인건비가 많이 들어 공사비 자체가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금속재로 된 관부재의 중량이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것에 비해 무거워 구조물의 경량화에 역행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벽체 등의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 트러스 구조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내에 설치되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를 블로우 사출 성형 또는 발포 성형을 통해 긴 중공부재로 성형하되, 중공부재의 상면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전선을 포함하여 통신 및 영상선로 등이 내설되는 종 방향 관체 안치홈을 형성하고, 양측 저면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는 수개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을 관통되게 형성시켜 줌으로써 중공부재의 설치 목적인 외부에서 데크 플레이트가 축조된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자체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전선을 포함하여 통신 및 영상선로 등이 내설하기 위해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설치해야 하는 관체를 중공부재의 설치와 무관하게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슬래브 또는 벽체 등의 구조물 내에 매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부력방지장치나 철근 또는 와이어 메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중공부재의 상면에 안치되거나 양측 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관체에 의해 중공부재 자체가 콘크리트의 표면 위로 떠오르지 않게 되어 부력발생으로 인한 중공 슬래브의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데크 플레이트용 베이스 판이나 철근에 와이어 메쉬와 같은 결속선 등을 통해 중공부재를 고정하거나 용접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중공부재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인건비 등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용 베이스 판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 수의 트러스들 사이에 설치되어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자체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방지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를 블로우 사출 성형 또는 발포 성형하되, 상기 중공부재의 상면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전선을 포함하여 통신 및 영상선로가 내설되는 관체를 종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종방형 관체 안치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재의 양측 저면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는 관체를 횡 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을 관통되게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공부재의 종단면은 역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개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은 하나의 횡 방향 관체가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종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성형한 것을 포함하여,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횡 방향 관체가 동시에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종단면이 타원형 또는 장방형인 형태로 성형한 것을 중 어느 한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의 양측 개구부에는 외측 주연부의 지름이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의 지름보다 큰 상태에서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을 향해 내측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차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 관체 안내부를 더 형성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체 안내부의 외측 주연부를 포함한 경사 안내면의 전체 수직 단면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재의 외주연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중공부재의 상면에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자체가 일그러지거나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개의 휨강도 보강돌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휨강도 보강돌기는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의 양단부 측에 각각 일체로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벽체 등의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해 트러스 구조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내에 설치되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를 블로우 사출 성형 또는 발포 성형을 통해 긴 중공부재로 성형하되, 중공부재의 상면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전선을 포함하여 통신 및 영상선로 등이 내설되는 종 방향 관체 안치홈을 형성하고, 양측 저면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는 수개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을 관통되게 형성시켜 줌으로써 중공부재의 설치 목적인 외부에서 데크 플레이트가 축조된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자체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전선을 포함하여 통신 및 영상선로 등이 내설하기 위해 횡 방향 또는 종 방향으로 설치해야 하는 관체를 중공부재의 설치와 무관하게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슬래브 또는 벽체 등의 구조물 내에 매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중공부재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을 종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종단면을 갖도록 성형해 줌으로써 하나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에 횡 방향 관체 자체를 하나 또는 그 이상 동시에 설치할 수 있고, 또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의 양측 개구부에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 관체 안내부를 더 형성시켜 줌으로써 횡 방향 관체을 보다 원활히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중공부재의 외주연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수개의 휨강도 보강돌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여 줌으로써 철근의 설치작업 또 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작업자가 중공부재의 상면을 걸어다니더라도 하중에 의해 중공부재 자체가 일그러지거나 찌그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부력방지장치나 철근 또는 와이어 메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중공부재의 상면에 안치되거나 양측 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관체에 의해 중공부재 자체가 콘크리트의 표면 위로 떠오르지 않게 되어 부력발생으로 인한 중공 슬래브의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데크 플레이트용 베이스 판이나 철근에 와이어 메쉬와 같은 결속선 등을 통해 중공부재를 고정하거나 용접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중공부재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인건비 등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중공부재의 사시도.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다를 실시 예들이 적용된 중공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중공부재가 테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의 (a)(b) 및 도 5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중공부재를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한 상태로 구축된 콘크리트 슬래브들의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중공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의 (a)(b)는 본 발명의 다를 실시 예들이 적용된 중공부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중공부재가 테크 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a)(b) 및 도 5의 (a)(b)는 본 발명이 적용된 중공부재를 데크 플레이트에 설치한 상태로 구축된 콘크리트 슬래브들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데크 플레이트용 베이스 판(1)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 수의 트러스(2)들 사이에 설치되어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자체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방지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3)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3)를 블로우 사출 성형 또는 발포 성형하되, 상기 중공부재(3)의 상면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전선을 포함하여 통신 및 영상선로가 내설되는 관체(4)를 종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종방형 관체 안치홈(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재(3)의 양측 저면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는 관체(4)를 횡 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공부재(3)의 종단면은 대략 역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수개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은 하나의 횡 방향 관체(4)가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종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성형한 것을 포함하여,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횡 방향 관체(4)가 동시에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종단면이 타원형 또는 장방형인 형태로 성형한 것을 중 어느 한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의 양측 개구부에는 외측 주연부의 지름이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의 지름보다 큰 상태에서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을 향해 내측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차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 관체 안내부(33)를 더 형성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체 안내부(33)의 외측 주연부를 포함한 경사 안내면의 전체 수직 단면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부재(3)의 외주연에서 수직방향으로는 중공부재(3)의 상면에서 하중이 가해질 경우 자체가 일그러지거나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개의 휨강도 보강돌기(34)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휨강도 보강돌기(34)는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의 양단부 측에 각각 일체로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3)는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자체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방지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가수의 홈이 형성된 데크 플레이트용 베이스 판(1)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 수의 트러스(2)들 사이에 속이 빈 형태를 갖고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중공부재(3) 자체를 종래와 같이 금속 파이프의 형태로 성형하지 않고 블로우 사출 성형 또는 발포 성형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트러스(2)는 공지된 것으로 삼각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보강철근(21)의 양측 경사부(21a)의 저면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받침부(21b)가 일체로 절곡 형성됨은 물론 각각의 보강철근(21)은 상부철근(22) 및 하부철근(23)을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된 구성을 가지며, 또 이들 보강철근(21)들은 도 5의 (a)(b)와 같이 각각 별개로 형성된 상태에서 횡 방향 철근(24)을 통해 상면부가 상호 연결된 경우가 있을 수도 있고, 도 4의 (a)(b)와 같이 보강철근(21)들이 연속적으로 절곡 형성된 경우도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의 (b) 및 도 5의 (b)와 같이 보강철근(21)의 저부측에서 횡 방향으로 중공부재(3)의 저면을 지지해 주는 지지용 철근(25)이 더 설치된 경우도 있다.
한편, 상기 중공부재(3)는 종래와 같이 원통형 파이프 형태를 갖지 않고 양단부가 막혀진 중공체의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되, 종단면이 역 사다리꼴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하여 줌으로써 상기 중공부재(3)들을 트러스(2)들 사이에 설치하였을 때 중공부재(3)의 양측 경사면과 저면이 삼각뿔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트러스(2)의 보강철근(21)의 양측 경사부(21a)와 저면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받침부(21b)에 밀착되는 형태를 낳게 되어 별도의 지지부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중공부재(3)를 트러스(2)에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중공부재(3)들이 트러스(2)들 사이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중공부재(3)의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재료비 및 인건비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공부재(3)의 상면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실내의 각 전장품에 전원전압을 공급해 주기 위한 전선을 포함하여 각종 통신선로 및 영상선로 등을 내설하기 위한 관체(4)를 종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종단면이 대략 "U" 형상을 갖는 종방형 관체 안치홈(31)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재(3)의 양측 저면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는 관체(4)를 횡 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을 형성시켜 주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중공부재(3)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벽체 등의 구조물을 축조하고자 할 때 데크 플레이트용 베이스 판(1)의 상부에 다 수의 트러스(2)들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트러스(2)들 사이에 중공부재(3)들을 각각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기에 앞서 상기 중공부재(3)의 상면에 형성된 종방형 관체 안치홈(31)과 양측 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에 실내의 각 전장품에 전원전압을 공급해 주기 위한 전선을 포함하여 각종 통신선로 및 영상선로 등을 내설할 수 있는 관체(4)들을 필요에 따라 각각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 후 각종 선로를 배선하기 위하여 구조물의 외측에 별도로 관체들을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 없게 됨은 물론 그로 인해 구조물의 실내 외관을 헤치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부력방지장치나 철근 또는 와이어 메쉬를 이용하여 중공부재(3)를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중공부재(3)의 상면에 안치되거나 양측 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관체(4)들에 의해 중공부재(3) 자체가 콘크리트의 표면 위로 떠오르지 않게 되므로 부력발생으로 인한 중공 슬래브의 불량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현장에서 데크 플레이트용 베이스 판(1)이나 철근에 와이어 메쉬와 같은 결속선 등을 통해 중공부재(3)를 고정하거나 용접하는 작업이 필요 없어 중공부재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인건비 등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수개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은 도 1과 같이 하나의 횡 방향 관체(4)만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종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성형할 수도 있고, 또 도 2의 (a)(b)와 같이 하나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에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횡 방향 관체(4)를 동시에 관통되게 끼워 설치할 수 있도록 종단면이 타원형 또는 장방형인 형태로 성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을 중공부재(3)에 성형함에 있어서 단순히 관통공의 형태로 성형할 경우 각각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에 관체(4)를 끼워 넣을 때 관체(4)의 단부를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에 정확히 끼워 넣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의 양측 개구부에 각각 외측 주연부의 지름이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의 지름보다 큰 상태에서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을 향해 내측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차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갖는 관체 안내부(33)를 더 형성하여 줌으로써 각각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에 관체(4)를 끼워 넣을 때 관체(4)의 단부가 깔때기 형상을 갖는 관체 안내부(33)의 경사면을 따라 밀려 들어가게 되므로 관체(4) 자체를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에 정확하고 쉽게 끼워 넣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관체 안내부(33)의 외측 주연부를 포함한 경사 안내면은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체적인 수직 단면이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공부재(3)는 블로우 성형 또는 발포 성형을 통해 합성수지재 또는 스티로폴 등으로 성형한 것이므로 자체의 휨강도와 인장 및 압축항복강도가 금속재에 비해 비교적 낮으므로 단순히 중공으로 성형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설 작업 중 작업자가 중공부재(3)의 상면에 올라가는 등의 하중이 가해질 때 그 자체가 일그러지고 찌그러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공부재(3)의 외주연에서 수직방향으로 수개의 휨강도 보강돌기(34)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여 중공부재(3)의 상면에서 하중이 가해해지더라도 그 자체가 일그러지거나 찌그러지지 않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중공부재(3)의 휨강도와 인장 및 압축항복강도는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이 형성된 주변이 더 약하게 되므로 상기 휨강도 보강돌기(34)들을 돌출 성형함에 있어서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의 양단부 측에 각각 일체로 돌출 성형하여 주어 횡 방향 관체 통과공(32)이 형성된 주변에 대한 휨강도와 인장 및 압축항복강도를 증대시켜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베이스 판
2 : 트러스 21 : 보강철근
21a : 경사부 21b : 받침부
22 : 상부철근 23 : 하부철근
24 : 횡 방향 철근 25 : 지지용 철근
3 : 중공부재 31 : 종방형 관체 안치홈
32 : 횡 방향 관체 통과공 33 : 관체 안내부
34 : 휨강도 보강돌기
4 : 관체

Claims (8)

  1. 데크 플레이트용 베이스 판의 상부에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 수의 트러스들 사이에 설치되어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을 자체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방지하고 구조물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재를 블로우 사출 성형 또는 발포 성형하되, 상기 중공부재의 상면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전선을 포함하여 통신 및 영상선로가 내설되는 관체를 종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종방형 관체 안치홈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재의 양측 저면부에서 일정간격을 두고는 관체를 횡 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개의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을 관통되게 형성하되,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은 하나의 횡 방향 관체가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종단면이 원형인 형태로 성형한 것을 포함하여,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횡 방향 관체가 동시에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종단면이 타원형 또는 장방형인 형태로 성형한 것을 중 어느 한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의 양측 개구부에는 외측 주연부의 지름이 상기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의 지름보다 큰 상태에서 횡 방향 관체 통과공을 향해 내측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차 좁아지는 관체 안내부를 더 형성시켜 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체 안내부의 외측 주연부를 포함한 경사 안내면의 전체 수직 단면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7. 삭제
  8. 삭제
KR1020100010826A 2010-02-05 2010-02-05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KR100978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26A KR100978295B1 (ko) 2010-02-05 2010-02-05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26A KR100978295B1 (ko) 2010-02-05 2010-02-05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295B1 true KR100978295B1 (ko) 2010-08-31

Family

ID=42760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826A KR100978295B1 (ko) 2010-02-05 2010-02-05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2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3049A (zh) * 2014-11-26 2015-03-25 徐焱 一种填充棒与填充箱混合使用的空心单向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8518A (ja) * 1994-12-07 1996-06-18 Mitsui Constr Co Ltd 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用埋込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スラブにおける配管施工方法
KR200186222Y1 (ko) * 2000-01-12 2000-06-15 명화물산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
JP2007120039A (ja) * 2005-10-25 2007-05-17 Hitoomi Shin ボイド型枠配置具及びボイド型枠配置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8518A (ja) * 1994-12-07 1996-06-18 Mitsui Constr Co Ltd 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用埋込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スラブにおける配管施工方法
KR200186222Y1 (ko) * 2000-01-12 2000-06-15 명화물산주식회사 데크플레이트
JP2007120039A (ja) * 2005-10-25 2007-05-17 Hitoomi Shin ボイド型枠配置具及びボイド型枠配置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3049A (zh) * 2014-11-26 2015-03-25 徐焱 一种填充棒与填充箱混合使用的空心单向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484B1 (ko) 경량의 매입형 내부거푸집을 활용한 hpc기둥과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885865B1 (ko) 경량체가 일체로 조립된 중공슬래브용 거푸집, 이를 이용한중공 슬래브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중공슬래브
KR100875698B1 (ko) 중공슬래브용 유니트 패널
US20130036693A1 (en) Doughtnut-shaped hollow core body, bidirectional hollow core slab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220128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모듈
KR100717766B1 (ko) 슬래브용 중공관 유닛 및 이를 포함한 슬래브
KR100875697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KR20100065245A (ko) 중공 슬래브 시공용 2방향 경량체
KR10117467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의 결합구조물
KR101854136B1 (ko) 압축 및 인장 보강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KR100978295B1 (ko) 중공 슬래브 시공용 1방향 중공부재
KR101814415B1 (ko) 틸트업 외벽 결합 내진보강 구조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459379Y (zh) 一种大跨度无粘结预应力现浇空心板
KR20100078640A (ko) 슬래브 시공용 데크 플레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콘크리트 슬래브
KR200186222Y1 (ko) 데크플레이트
JP2004176309A (ja) ボイド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中空コンクリート版
KR101019587B1 (ko) 중공슬래브용 경량체
KR101601629B1 (ko) 경량체가 구비된 중공형 데크플레이트
KR102126340B1 (ko) 슬리브배관의 배선이 가능한 중공슬래브 구조물
JP7121640B2 (ja) 床スラブ
KR101726791B1 (ko) 중공 슬래브용 1방향 중공체 및 이를 이용한 중공 슬래브의 시공 방법
KR102461466B1 (ko) 삼각 스터드 골조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70118349A (ko) 지하층 외벽 시공의 벽체 거푸집용 데크
KR102209700B1 (ko) 벽식 구조 공동주택의 프리캐스트형 중공슬래브 시공방법 및 프리캐스트 중공슬래브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