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439Y1 -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439Y1
KR200302439Y1 KR20-2002-0034799U KR20020034799U KR200302439Y1 KR 200302439 Y1 KR200302439 Y1 KR 200302439Y1 KR 20020034799 U KR20020034799 U KR 20020034799U KR 200302439 Y1 KR200302439 Y1 KR 200302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communication
fire
underground
communication zon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권
Original Assignee
(주)맥컴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맥컴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맥컴정보기술
Priority to KR20-2002-0034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4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지하 통신구 감시 시스템은 특정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에 센서의 오동작이나 불량에 의한 경보 동작시에도 작업자를 해당 위치로 파견하는 등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지하 통신구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때 이 화재를 신속히 제압하기위한 시설이 제공되지 않아서 화재에 의한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지하 통신구의 수위가 상승하여 통신케이블이 침수되면서 정상적인 통신망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전력설비의 감시와 양수기의 동작상태의 감시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하통신구 내에서 누전, 연기, 수위, 모터 및 환풍기 동작상태 등을 감지하는 수단을 복수의 장소에 설치하고, 연기감지시 지하통신구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지하통신구 내에 발생된 침수 및 화재등을 제압하는 수단을 구성하므로서, 지하 통신구 내에서 화재 또는 침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신속하게 제압하여 재산피해를 줄여줄 수 있고, 지하통신구 내부 시설물을 항시 감시할 수 있으므로 시설물 유지보수에 투입되는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해 지하통신구 감시상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 지하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Monitoring system}
본 고안은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하통신구 내에서 누전, 연기, 수위, 모터 및 환풍기 동작상태 등을 감지하는 수단을 복수의 장소에 설치하고, 연기감지시 지하통신구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지하통신구 내에 발생된 침수 및 화재등을 제압하는 수단을 구성하므로서, 지하 통신구 내에서 화재 또는 침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신속하게 제압하여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고, 지하통신구 내부 시설물을 항시 감시할 수 있으므로 시설물 유지보수에 투입되는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해 지하통신구 감시상황을 열람할 수 있는 지하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선로를 제공하는 각종 케이블들이 매설된 지하공간을 통신구라 하는데, 다량의 통신케이블을 수용하고 있는 지하 통신구는 통신 수요의 증대에 따라 확장 건설되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지하통신구 감시 시스템은 다량의 통신 케이블을 수용하는 지하 통신구를 자동으로 감시 및 제어하여 각종 재해로 인한 인명 사고방지 및 시설물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통신구내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 및 기록하고, 장애가 발생된 통신구 발생위치를 추정하여 통신구의 운용관리를 지원하며, 장애 지역별 또는 장치별로 통계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운용자가 신속하게 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지하 통신구 감시 시스템은 특정 센서들에 의해 감지되는 정보에 의존하기 때문에 센서의 오동작이나 불량에 의한 경보 동작시에도 작업자가 해당 위치로 파견되어야 하는 등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하 통신구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때 이 화재를 신속히 제압하기 위한 시설이 제공되지 않아서 화재에 의한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지하 통신구의 수위가 상승하여 통신케이블이 침수되면서 정상적인 통신망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과, 전력설비의 감시와 양수기의 동작상태의 감시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하통신구 내에서 누전, 연기, 수위 등을 감지하는 수단을 복수의 장소에 설치하고, 연기감지시 지하통신구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 지하통신구 내에 발생된 침수 및 화재등을 제압하는 수단을 구성하므로서, 지하 통신구 내에서 화재 또는 침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신속하게 제압하여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고, 지하통신구 내부 시설물을 항시 감시할 수 있으므로 시설물 유지보수에 투입되는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해 지하통신구 감시상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 지하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다량의 통신케이블을 수용하고 있는 지하 통신구에 있어서,
지하 통신구에 설치된 전기시설물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는 누전 감지기와;
전기시설물의 전압, 전류, 유효전력, 무효전력, 전력량 등을 감지 및 산출하는 센서모듈과;
화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및 가스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와;
지하 통신구의 요소 요소에 설치되고, 연기감지기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었을때 작동하여 지하 통신구 내에서 발생된 화재 현장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DVR로 전송하는 무선카메라와;
상기 각각의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공급받아 중앙관리센터로 공급하고, 중앙관리센터로 부터 내려진 제어명령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콘트롤러로 부터 제공되는 연기, 누전, 온도, 양수모타상태, 환풍기 상태 등에 대한 감지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관리자에게 화상 제공함과 동시에 DVR에 기록된 영상을 재생시켜 관리자가 지하통신구 내에서 발생된 화재 또는 침수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가 입력하는 제어명령을 콘트롤러로 출력하는 중앙관리센터와;
상기 무선카메라로 부터 전송된 촬영영상들을 저장하는 DVR;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재진압용 가스를 내장하고, 가스의 분사를 위한 노즐을 구비하고 있으며, 지하통신구의 복수개소에 설치되어 콘트롤러로 부터 전송된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가스를 화재 발생영역으로 분사하는 소화장치와;
지하 통신구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물을 지상으로 펌핑하여 통신케이블의 침수를 예방하는 펌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을 보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이 설치된 지하 통신구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하통신구, 2: 통신케이블,
3: 누전감지기, 4: 연기감지기,
5: 수위감지기, 6: 무선카메라,
7: 램프, 8: 펌프,
9: 배출관, 10: 소화장치,
11: 노즐, 12: 콘트롤러,
13: 중앙관리센터, 14: DVR,
15: 온도감지기,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과 도 2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 은 다수의 통신케이블(2)이 수용되어 있는 지하통신구를 나타내며, 본 고안은 상기 지하통신구(1) 내에서의 화재 및 침수 등을 예방하고, 신속히 제압하기 위한 종합 감시시스템이다.
지하통신구(1) 내에서 발생하게되는 화재, 침수 등을 예방하기위한 감지수단으로서 누전감지기(3), 연기감지기(4), 수위감지기(5), 센서모듈(15), 무선카메라(6) 등을 설치한다.
상기 누전감지기(3)는 지하통신구(1)에 설치된 전기시설물의 누전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콘트롤러(12)로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연기감지기(4)는 지하통신구(1)의 상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생겨나는 연기 및 가스를 감지하고, 그 감지정보를 콘트롤러(12)로 공급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수위감지기(5)는 지하통신구(1)를 흐르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그 감지정보를 콘트롤러(12)로 전송하고, 상기 센서모듈(15)은 전기시설물의 전압, 전류, 유효전력, 무효전력, 전력량 등을 감지 및 산출하여 콘트롤러(12)로 공급한다.
상기한 감지기(3~5,15)들은 지하통신구(1)의 복수 개소에 설치하여 감지정보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한편, 상기 무선카메라(6)는 지하통신구(1)에서 발생된 화재 또는 침수 등을 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하 통신구(1)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무선카메라(6)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무선카메라(6)는 연기감지기(4) 또는 수위감지기(5)에 의해 경보상황이 감지되었을때 작동하여 지하 통신구(1) 내부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DVR(14)로 무선 전송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 무선카메라(6)에는 램프(7)가 설치되어 있어서 무선카메라(6)의 작동시 상기 램프(7)가 자동으로 점등되어 지하통신구(1) 내부를 밝혀주므로서 무선카메라(6)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선명해지도록 하였다.
도면부호 12는 콘트롤러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콘트롤러(12)는 상기 각각의 감지기(3~5)로부터 감지신호를 공급받아 중앙관리센터(13)로 공급하고, 중앙관리센터(13)로 부터 내려진 제어명령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상기 콘트롤러(12)는 중앙관리센터(13)로 부터 내려진 제어명령에 따라후설하는 소화장치(10)를 구동시켜 발생된 화재가 조기에 제압되도록 하고, 또한 후설하는 펌프(8)를 작동시켜 지하통신구(1) 내의 물을 지상으로 배출시키므로서 침수피해가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중앙관리센터(13)는 콘트롤러(12)로 부터 제공되는 연기, 누전, 수위 및 환풍기동작상태, 양수모타동작상태 등에 대한 감지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관리자에게 화상 제공함과 동시에 DVR(14)에 기록된 영상을 재생시켜 관리자가 지하통신구(1) 내에서 발생된 화재 또는 침수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가 입력하는 제어명령을 콘트롤러(12)로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DVR(14)는 무선카메라(6)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디지탈신호로 저장하며, 중앙관리센터(13)로부터 영상신호 요구시 저장된 영상정보를 중앙관리센터(13)로 공급하여 재생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지하통신구(1) 내에서 발생된 화재 및 침수를 조기에 제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화장치(10)와 펌프(8)를 구성하였다.
상기 소화장치(10)는 화재진압용 가스를 내장하고, 가스의 분사를 위한 노즐(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지하통신구(1)의 복수개소에 설치되어 콘트롤러(12)로 부터 전송된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가스를 화재 발생영역으로 분사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펌프(8)는 지하 통신구(1)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12)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배출관(9)을 통해 물을 지상으로 펌핑하여 통신케이블(2)의 침수를 예방 및 제압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스템이 셋팅되면, 누전감지기(3)는 지하통신구(1)에 설치되어있는 전기 시설물의 누전여부를 감지하여 콘트롤러(12)를 통해 중앙관리센터(13)로 전송하고, 연기감지기(4)는 화재에 의한 연기 및 가스를 감지하여 중앙관리센터(13)로 전송하며, 수위감지기(5)는 지하통신구(1)를 흐르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중앙관리센터(13)로 전송하며, 센서모듈(15)은 전기시설물의 전압, 전류, 유효전력, 무효전력, 전력량 등을 감지 및 산출하여 콘트롤러(12)를 통해 중앙관리센터(13)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관리센터(13)는 각각의 감지기(3~5,15)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전기시설물의 누전 및 열화에 의한 파손 여부를 판단하고, 또 연기감지기(4)와 수위감지기(5)로부터 전송되는 연기 및 수위감지정보에 따라 화재 또는 침수가 신속히 제압되도록 제어한다.
즉, 누전감지기(3)와 센서모듈(15)로부터 누전 및 열화에 대한 감지정보를 수신하면, 중앙관리센터(13)는 경보용 부저음을 출력하면서 발생된 장애에 대한 정보를 화면상에 출력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전기시설물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연기감지기(4)로부터 연기가 감지되었다는 감지정보를 입력받으면, 중앙관리센터(13)는 콘트롤러(12)를 통해 무선카메라(6)를 작동시키고, 상기 무선카메라(6)는 램프(7)를 점등시켜 지하통신구(1) 내부가 밝아지도록 한 후 연기감지 위치에서 발생된 화재발생상황을 촬영하여 DVR(14)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DVR(14)는 무선카메라(6)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저장하면서, 그 저장된 영상정보를 중앙관리센터(13)에 공급하여 관리자가 지하통신구(1)에서 발생된 화재발생 현상에 대한 영상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화재발생을 육안으로 확인한 관리자는 화재를 진압할 것을 명령하고, 이 명령은 콘트롤러(12)를 통해 소화장치(10)로 전달되며, 상기 소화장치(10)는 구동하여 노즐(11)을 통해 이산화탄소(CO2)를 화재발생영역으로 분무하므로서, 발생된 화재를 신속하게 제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명과같이 본 고안에서는 화재 발생시 그 화재발생상황을 관리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여 자동 제압하므로서 시설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수위감지기(5)로부터 제한 수위가 감지될 경우, 중앙관리센터(13)는 콘트롤러(12)를 통해 펌프(8)를 구동시키며, 상기 펌프(8)는 구동하여 물을 배출관(9)을 통해 지상으로 배출하므로서, 지하통신구(1) 내의 수위를 신속히 낮춰줄 수 있는 것이며, 이에 의해 통신케이블(2)의 침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과같이 수위가 높아졌을 때에도 무선 카메라(6)를 작동시켜 현재 수위가 어느 정도 높이까지 상승했는지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명된 구성요소, 즉, 지하통신구(1)에 설치되는 각각의 감지기(3~5,15)와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콘트롤러(12)등에 RS-422/485 Protocol에 의해 신호의 무선 교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RF모듈을 설치하여 모든 데이타 송수신이 무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하 통신구(1) 내에 별도의 신호교신용 와이어를 배선하지 않아도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관리센터(13)를 인터넷에 연결시켜 관리자가 외부에서 휴대용 노트북이나 타지역의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중앙관리센터(13)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인터넷을 통해 중앙관리센터(13)에 접속하여서도 중앙관리센터(13)에서 처리되는 모든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관리자가 꼭 중앙관리센터(13)에 상주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중앙관리센터(13)에 각각의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 및 장애발생시 그 발생된 장애에 대한 정보들을 관리자가 휴대하는 PDA로 무선 전송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므로서, 관리자가 관리소에 상주하지 않더라도 지하통신구에 설치된 시설물의 장애 발생시 그 장애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관리자가 휴대하는 PDA에 전송되므로 관리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지하통신구의 장애여부를 확인하고, 또 그 발생된 장애가 해소될 수 있도록 PDA로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무선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관리자의 PDA로 전송해 줌으로서 관리자가 지하통신구의 장애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지하통신구 내에서 누전, 연기, 수위 등을 감지하는 수단을 복수의 장소에 설치하고, 연기감지시 지하통신구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감지 및 촬영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따라지하통신구 내에 발생된 침수 및 화재등을 제압하는 수단을 구성하므로서, 지하 통신구 내에서 화재 또는 침수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신속하게 제압하여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 지하통신구 내부 시설물을 항시 감시할 수 있으므로 시설물 유지보수에 투입되는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가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해 지하통신구 감시상황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한 지하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4)

  1. 다량의 통신케이블(2)을 수용하고 있는 지하 통신구(1)에 있어서,
    지하 통신구(1)에 설치된 전기시설물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는 누전 감지기(3)와;
    전기시설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기(15)와;
    화재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및 가스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4)와;
    지하 통신구(1)의 요소 요소에 설치되고, 연기감지기(4)에 의해 연기가 감지되었을때 작동하여 지하 통신구(1) 내에서 발생된 화재 현장을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을 DVR(14)로 전송하는 무선카메라(6)와;
    상기 각각의 감지기(3~5)로부터 감지신호를 공급받아 중앙관리센터(13)로 공급하고, 중앙관리센터(13)로 부터 내려진 제어명령에 따라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콘트롤러(12)와;
    상기 콘트롤러(12)로 부터 제공되는 연기, 누전, 수위 등에 대한 감지정보를 모니터링하여 관리자에게 화상 제공함과 동시에 DVR(14)에 기록된 영상을 재생시켜 관리자가 지하통신구(1) 내에서 발생된 화재 또는 침수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관리자가 입력하는 제어명령을 콘트롤러(12)로 출력하는 중앙관리센터(13)와;
    상기 무선카메라(6)로 부터 전송된 촬영영상들을 저장하는 DVR(1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통신구 종합 감시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화재진압용 가스를 내장하고, 가스의 분사를 위한 노즐(11)을 구비하고 있으며, 지하통신구(1)의 복수개소에 설치되어 콘트롤러(12)로 부터 전송된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가스를 화재 발생영역으로 분사하는 소화장치(10)와;
    지하 통신구(1)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12)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물을 지상으로 펌핑하여 통신케이블(2)의 침수를 예방하는 펌프(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통신구 종합 감시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통신구(1)에 설치되는 감지기(3,4,5,15)와 각각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콘트롤러(12) 및 중앙관리센터(13)에 신호의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게하는 RF모듈을 설치하여 무선방식의 감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통신구 종합 감시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센터(13)는 인터넷 망과 접속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휴대하는 노트북이나 타지역의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해서 인터넷을 통해 중앙관리센터(13)에 접속하여 지하통신구 감시정보들을 열람하고, 또 비상상황 발생시 그 해결을 위한 제어를 원격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통신구 종합 감시시스템.
KR20-2002-0034799U 2002-11-21 2002-11-21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KR200302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99U KR200302439Y1 (ko) 2002-11-21 2002-11-21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799U KR200302439Y1 (ko) 2002-11-21 2002-11-21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605A Division KR20040044575A (ko) 2002-11-21 2002-11-21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439Y1 true KR200302439Y1 (ko) 2003-02-05

Family

ID=4939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799U KR200302439Y1 (ko) 2002-11-21 2002-11-21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43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83Y1 (ko) * 2010-03-22 2010-07-21 (주) 상원티앤에스 공동구의 신호를 아이피 기반신호로 전송하는 현장컨트롤러를 구비한 공동구 관리시스템
CN109374060A (zh) * 2018-11-29 2019-02-22 国网上海市电力公司 充油电缆塞止工井无线监控系统
CN109407594A (zh) * 2018-12-21 2019-03-01 江苏久创电气科技有限公司 城市综合管廊智能监控系统
KR102080713B1 (ko) * 2019-06-21 2020-02-24 (주)금성계전 통신구 감시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583Y1 (ko) * 2010-03-22 2010-07-21 (주) 상원티앤에스 공동구의 신호를 아이피 기반신호로 전송하는 현장컨트롤러를 구비한 공동구 관리시스템
CN109374060A (zh) * 2018-11-29 2019-02-22 国网上海市电力公司 充油电缆塞止工井无线监控系统
CN109407594A (zh) * 2018-12-21 2019-03-01 江苏久创电气科技有限公司 城市综合管廊智能监控系统
KR102080713B1 (ko) * 2019-06-21 2020-02-24 (주)금성계전 통신구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4575A (ko)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KR101178927B1 (ko) 영상감시 소화시스템
KR100865129B1 (ko) 산불 감시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KR200302439Y1 (ko) 지하 통신구 종합 감시 시스템
KR100794730B1 (ko) 산불 자동음성문자 무인 감지장치 및 그 무인 감지 시스템
KR20010068717A (ko) 디지털 영상감시장치
KR20090078186A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감시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N205942982U (zh) 智能化火灾监测系统
KR20070000643A (ko) 감시카메라와 비상벨 장치가 결합된 방범시스템
KR101113418B1 (ko) 화재 감시기능을 갖는 건물용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154521B1 (ko)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JP2018049487A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US20100171629A1 (en) Signal tower and integr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0913113B1 (ko) 광역의 무인단속 장치에 대한 통합적인 유지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596204B1 (ko) 랙용 화재징후 복합 감지 시스템
KR100719505B1 (ko)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KR200411295Y1 (ko)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KR20070025005A (ko) 기지국 통신장비 함체내 자동식 소화 장치 및 방법
KR101201854B1 (ko) 무인감시, 안내방송 및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갖춘 비상전원공급장치
CN106097633A (zh) 一种智能化火灾监测系统
KR100625758B1 (ko) 디브이알 장애처리 장치
KR102360941B1 (ko) 화재감시설비를 이용한 저탄장 자동 살수 운전 시스템 및 방법
KR100912885B1 (ko) 소화수배출노즐이 구비된 방폭형카메라를 이용한원격감시제어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 의한 원격감시제어방법
JP2021131912A (ja) 防災システム
KR200405518Y1 (ko) 자체적인 화상녹화 기능을 갖는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