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718Y1 - 액체종균 배양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종균 배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718Y1
KR200301718Y1 KR20-2002-0030566U KR20020030566U KR200301718Y1 KR 200301718 Y1 KR200301718 Y1 KR 200301718Y1 KR 20020030566 U KR20020030566 U KR 20020030566U KR 200301718 Y1 KR200301718 Y1 KR 2003017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pawn
liquid medium
lid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승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승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승바이오
Priority to KR20-2002-0030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7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7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00Tissue, human, animal or plant cell, or virus cultur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액체배지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콘 형상을 사용하고 외부공기를 강제로 용기의 바닥에서 상부로 공급시 발생되는 기포로 인해 액체배지에 산소가 공급되며 버섯균사와 액체배지가 균일하게 혼합되므로 액체종균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뚜껑이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액체배지를 수용하는 콘 형상의 몸체와, 상단이 몸체 외측면에 고정되어 몸체를 지지하며 이동용 바퀴가 바닥면에 회전자재토록 장착된 이동용 받침대와, 몸체 바닥면에 형성되고 여과수단이 중간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강제로 액체배지에 상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기 주입관과, 뚜껑 상면에 형성되어 액체배지에 버섯종균이 접종되도록 공급하는 접종관과, 몸체 바닥면에 형성되며 배양된 액체종균을 몸체로 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액체종균 배출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체종균 배양장치{culture medium device of liquid fungus}
본 고안은 느타리 버섯 등의 재배에 유용한 액체종균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버섯균사가 액체배지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배양되므로 품질이 뛰어난 액체종균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액체종균 배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액체배지를 수용하는 용기로서 콘 형상을 사용하고, 외부공기를 강제로 용기의 바닥에서 상부로 공급시 발생되는 기포로 인해 산소가 액체배지에 공급되며 버섯균사와 액체배지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한 액체종균 배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류는 생물의 분류 체계상 담자균류에 속하는 미생물로서, 독성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대부분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섯류는 고단백 식품으로서 미래에 육류를 대체할 수 있는 식품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최근의 각종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버섯류에 함유된 다당류인 글루칸(glucan) 및 그 유도체가 항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통상의 식품대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으로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버섯류는 각각의 종류마다 그 재배방법 또는 재배조건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최초의 원균을 채취하여 한천배지 등에서 배양한 다음, 이를 액체 또는 고형물에 일정기간 배양하여 버섯종균을 취득하고, 이러한 버섯종균을 일반 농가 등에서 재배하여 최종적인 버섯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균의 채취 및 배양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는 반면, 버섯종균의 배양방법은 날로 새로운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즉 버섯종균의 배양방법은 통상적으로 톱밥을 주 원재료로 하고 여기에 미강 등의 보조재료를 첨가한 후, 이것을 멸균시키고, 담자균의 균사체를 접종시켜서 제조하는 고체종균 배양법이 가장 일반화되어 있다.
그러나, 고체종균 배양방법은 나무원목이나 볏짚 또는 병 재배시에 배양용기내의 종균덩어리를 잘게 부수어 사용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고, 종균덩어리를 잘게 부수는 과정에서 서로 뒤엉켜 있던 균사체들이 끊어져 톱밥종균에 심한 손상을 주게되며, 이로 인해 톱밥종균의 활력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잡균의 혼입에 유의하여야 되고, 그 종균덩어리를 고르게 잘 혼합하여야되며, 적은 재배면적에 다량의 배양용기를 필요로 하므로 사용된 이후에 전량 회수하여 재활용하지 않는 한 심각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대두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를 감안하여 배양배지로서 물에 용해되는 순수한 액체를 사용하여 버섯균사를 배양하는 액체종균의 제조방법이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액체종균 배양장치의 개략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배양물을 수용하도록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배양기의 몸체(1)와, 몸체(1) 상면에 형성되어 컴퓨레셔(미도시됨) 등으로 부터 외부공기를 강제 공급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액체배지(2)에 산소를 공급하며 액체배지(2)를 몸체(1)내에서 유동시키는 공기 주입관(3)과, 몸체(1) 상면에 형성되어 액체배지(2)에 균사체를 접종시키도록 주입하는 접종관(4)과, 몸체(1) 상면에 형성되어 몸체(1)내부로 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관(5)과, 몸체(1) 상면에 형성되어 몸체(1) 내부의 균주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1)로 부터 액체배양물 일부를 채취하는 샘플링 채취관(6)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몸체(1) 내부의 액체배지(2)의 온도를 설정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와 관련된 장치, 몸체(1) 내부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 공기주입관(3) 및 접종관(4) 등에 설치되는 여과수단 및 압력게이지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7은 몸체(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에 회전자재토록 부착된 캐스터, 8은 몸체(1)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뚜껑 이다.
따라서, 상기 배양기의 몸체(1)에 설치된 뚜껑(8)을 개방하여 오염되지않은 깨끗한 물을 채워넣은 후, 통상적인 영양성분(물 1ℓ당 요구되는 소정양의 설탕, 원기소, 질산칼륨, 인산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황산아연 등을 말함)을 주입하여 혼합한다. 이때 상기 몸체(1)는 전열(電熱)에 의한 가열장치 또는 살균(殺菌)처리된 스팀 등을 이용하여 살균, 소독처리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실험실의 비이커에서 생성된 후 선별된 버섯의 종균을 상기 몸체(1) 상면에 형성된 접종관(4)을 통하여 액체배지(2) 내부에 주입시키되, 몸체(1) 내부의 온도를 25℃ 정도로 유지하며, 상기 공기 주입관(3)을 통하여 컴퓨레셔 등으로 부터 토출되는 무균처리된 외부공기를 몸체(1) 내부에 강제로 공급함에 따라, 액체배지(2)에 생성되는 기포에 의해 산소를 액체배지(2)에 공급하는 동시에 액체배지(2)를 버섯종균과 혼합시키는 배양분위기하에서 버섯종균을 4∼7일 동안 배양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공기주입관(3) 및 접종관(4)이 배양기의 몸체(1) 상면에 형성됨에 따라 공기 주입관(3)을 통하여 외부공기를 몸체(1) 내부에 강제로 공급하는 경우에도, 기포가 몸체(1)의 4모서리보다 중앙에 상대적으로 치우치게 되므로 4모서리에서는 산소 공급양이 줄어들어 버섯종균 배양상태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며, 버섯종균 배양시 발생되는 균 찌꺼기의 일부가 몸체(1) 내부를 청소하는 경우에도 몸체(1)의 4모서리에 계속적으로 잔류되어 전체적인 배양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의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뚜껑(8)을 통하여 몸체(1) 내부를 청소시 4모서리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없게 되므로 고압 분무기와 같은 별도의 청소기구를 이용하게 되어 작업성이 떨어짐은 물론, 사후관리가 힘들고 배양기의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품질이 뛰어난 액체종균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이를 버섯재배 농가에 저가로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액체종균 배양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기 내부를 청소하기 위하여 고압 분무기와 같은 별도의 기구 사용이 불필요하여 사후관리가 용이한 액체종균 배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종균 배양시 생성되는 균 찌꺼기가 용기 내부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양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액체종균 배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액체종균 배양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종균 배양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액체종균 배양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종균 배양장치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뚜껑
11; 액체배지
12; 몸체
13; 바퀴
14; 이동용 받침대
15; 공기 주입관
16; 접종관
17; 투시창
18; 샘플링 채취관
19; 액체종균 배출관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뚜껑이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액체배지를 수용하는 콘 형상의 몸체와, 상단이 상기 몸체 외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며 이동용 바퀴가 바닥면에 회전자재토록 장착된 이동용 받침대와, 상기 몸체 바닥면에 형성되고 여과수단이 중간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강제로 상기 액체배지에 상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기 주입관과, 상기 뚜껑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배지에 버섯종균이 접종되도록 공급하는 접종관, 상기 몸체 바닥면에 형성되며 배양된 액체종균을 상기 몸체로 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액체종균 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종균 배양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버섯균사의 배양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한 투시창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몸체 바닥면에 형성되며 몸체 내부의 배양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로 부터 액체배양물 일부를 채취하는 샘플링 채취관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뚜껑 상면에 형성되고 단부에 여과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몸체로 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관을 더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액체종균 배양장치는, 뚜껑(10)이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액체배지(11)를 수용하는 콘 형상의 몸체(12)와, 상단이 몸체(12) 외측면에 고정되어 몸체(12)를 안정되게 지지하며 이동용 바퀴(13)가 바닥면에 회전자재토록 장착된 이동용 받침대(14)와, 몸체(10) 바닥면에 형성되고 외부공기중에 포함된 잡균을 제거할 수 있도록 여과수단(미도시됨)이 중간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강제로 액체배지(11)에 상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기 주입관(15)과, 뚜껑(10) 상면에 형성되어 액체배지(11)에 버섯종균이 접종되도록 공급하는 접종관(16)과, 몸체(12) 바닥면에 형성되며 배양된 액체종균을 몸체(12)로 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액체종균 배출관(19)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몸체(12)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버섯균사의 배양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한 투시창(17)과, 몸체(12) 바닥면에 형성되며 몸체(12) 내부의 배양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몸체(12)로 부터 액체배양물 일부를 채취하는 샘플링 채취관(18)과, 뚜껑(10) 상면에 형성되고 몸체(12)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인체에 유해한 유해균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여과수단(미도시됨)이 단부에 설치되며 몸체(12)로 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관(20)을 더 구비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액체종균 배양장치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콘 형상을 갖는 배양기의 몸체(12)에설치된 뚜껑(10)을 개방하여 오염되지않은 깨끗한 물을 채워넣은 후, 통상적인 영양성분을 주입하여 혼합한다. 이때 상기 몸체(12)는 전열에 의한 가열장치 또는 살균처리된 스팀 등을 이용하여 살균, 소독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실험실에서 생성된 후 선별된 버섯의 종균을 상기 뚜껑(10) 상면에 형성된 접종관(16)을 통하여 액체배지(11) 내부에 주입시키되, 몸체(12) 내부의 온도를 25℃ 정도로 유지하며, 상기 몸체(12)의 바닥면에 형성된 공기 주입관(15)을 통하여 컴퓨레셔 등으로 부터 토출되는 무균처리된 외부공기를 몸체(12) 내부에 강제로 공급함에 따라, 액체배지(11)에 생성되는 기포에 의해 산소를 액체배지(11)에 공급하는 동시에 액체배지(11)를 버섯종균과 혼합시키는 배양분위기하에서 버섯종균을 4∼7일 동안 배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 주입관(15)을 몸체(12)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하여 외부공기를 액체배지(11)에 상방향으로 공급함에 따른 기포가 액체배지(11)에 골고루 생성되어 산소 공급량이 충분하게 확보되며, 이로 인해 액체배양물이 공기방울과 골고루 접촉하여 혼합되므로 버섯균사와 액체배지가 균일하게 혼합되고, 품질이 뛰어난 액체종균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샘플링 채취관(18) 및 액체종균 배출관(19)이 몸체(12)의 바닥면에 형성됨에 따라 버섯종균을 배양도중 또는 배양후 이들을 몸체(12)로 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2)의 단면 형상이 콘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몸체(12)를 청소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이로인해 몸체(12) 내부를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어 액체종균 배양시 생성되는 균 찌꺼기가 용기 내부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며, 고압 분무기와 같은 별도의 기구 사용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액체종균 배양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용기 바닥에 공급되는 외부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액체배지에 산소를 공급하는 동시에 액체배양물이 공기방울과 골고루 접촉하여 혼합되므로 품질이 뛰어난 액체종균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이를 버섯재배 농가에 저가로서 공급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 내부를 청소하기 위하여 고압 분무기와 같은 별도의 기구 사용이 불필요하여 사후관리가 용이하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액체종균 배양시 생성되는 균 찌꺼기가 용기 내부에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양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Claims (4)

  1. 뚜껑이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액체배지를 수용하는 콘 형상의 몸체;
    상단이 상기 몸체 외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며, 이동용 바퀴가 바닥면에 회전자재토록 장착된 이동용 받침대;
    상기 몸체 바닥면에 형성되고 여과수단이 중간에 설치되며 외부공기를 강제로 상기 액체배지에 상방향으로 공급하는 공기 주입관;
    상기 뚜껑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액체배지에 버섯종균이 접종되도록 공급하는 접종관; 및
    상기 몸체 바닥면에 형성되며 배양된 액체종균을 상기 몸체로 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액체종균 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종균 배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버섯균사의 배양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한 투시창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종균 배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바닥면에 형성되며 몸체 내부의 배양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로 부터 액체배양물 일부를 채취하는 샘플링 채취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종균 배양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상면에 형성되고 여과수단이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로 부터 공기를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종균 배양장치.
KR20-2002-0030566U 2002-10-14 2002-10-14 액체종균 배양장치 KR200301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566U KR200301718Y1 (ko) 2002-10-14 2002-10-14 액체종균 배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566U KR200301718Y1 (ko) 2002-10-14 2002-10-14 액체종균 배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452A Division KR20020097079A (ko) 2002-10-14 2002-10-14 액체종균 배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718Y1 true KR200301718Y1 (ko) 2003-01-24

Family

ID=4939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566U KR200301718Y1 (ko) 2002-10-14 2002-10-14 액체종균 배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7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542778A (ja) 液体培地における担子菌の培養方法
CN101773052A (zh) 冬虫夏草菌种制备与工厂化栽培
CN1882681B (zh) 细胞培养系统
CN101514130A (zh) 一种高产金针菇培养基配方及生产工艺
US20160369226A1 (en) Solid-state biological reaction device and method for preparing filamentous organism spores by using the same
CN101671625B (zh) 一种液态深层发酵制备木霉分生孢子的方法和装置
CN102440147A (zh) 还原法食用菌液体菌种生产工艺
CN203048953U (zh) 一种可拆卸的植物组织液体培养装置
CN101333499A (zh) 复合型活菌生物净水剂及其制备方法
TWI517784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fungi of mushrooms
KR101473455B1 (ko) 참송이버섯 종균배양액용 확대배양기.
US6767381B2 (en) Method of producing compost tea and apparatus therefor
CN106613276A (zh) 一种青蒿幼苗培育方法及其专用深绿木霉菌肥
CN110122164A (zh) 一株黄色金针菇菌株及其培育方法
KR100204983B1 (ko) 담자균류의 액체종균 배양방법과 그 배양장치 및 그 액체종균
CN101940131A (zh) 一种利用饮料瓶栽培北虫草的方法
KR200301718Y1 (ko) 액체종균 배양장치
JPWO2009093634A1 (ja) マツタケ子実体の誘導方法
KR100204982B1 (ko) 담자균류의 액체종균 배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액체종균
KR20020097079A (ko) 액체종균 배양장치
KR101007749B1 (ko) 액상 버섯종균 배양탱크
KR20020012084A (ko) 버섯액체종균배양기
CN209957772U (zh) 一种用于光合细菌培养的装置
CN113812302A (zh) 一种制备液体食用菌菌种的方法
CN1288054A (zh) 蚕蛹虫草工业化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