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599Y1 -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599Y1
KR200301599Y1 KR20-2002-0031881U KR20020031881U KR200301599Y1 KR 200301599 Y1 KR200301599 Y1 KR 200301599Y1 KR 20020031881 U KR20020031881 U KR 20020031881U KR 200301599 Y1 KR200301599 Y1 KR 2003015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upport
asphalt
reinforcemen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지
Original Assignee
김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지 filed Critical 김우지
Priority to KR20-2002-0031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5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5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5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4Devices for laying inserting or positioning reinforcing elements or dowel bars with or without joint bodies; Removable supports for reinforcing or load transfer elements; Devices, e.g. removable forms, for making essentially horizontal ducts in paving, e.g. for prestressed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수평 프레임과 수직/수평 지지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뼈대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방에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수평 지지대의 전방에 결합되어 있는 'П'자 형상의 릴 지지대의 최전방 안쪽에 형성된 한 쌍의 릴과, 상기 한 쌍의 릴에 장착된 원통으로부터 공급되어 아스팔트 기층표면과 다짐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보강재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보강재 일면에 부착된 비닐을 제거하는 버너와,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연장된 연장 수직 프레임의 최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릴로부터 공급되는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밀착시키는 다짐용 롤러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후방 밑면에 지지편으로 결합된 고정축에 결합되어 상기 다짐용 롤러에 의해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밀착된 보강재를 압착시켜 도포하는 압착용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보강 격자망, 즉 아스팔트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도포할 때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스팔트 보강재를 보다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Asphalt Reinforcing material applying apparatus}
본 고안은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 격자망, 즉 아스팔트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보다 원활하게 도포하기 위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asphalt)는 교통하중이나 지반 거동뿐만 아니라 결빙, 해빙및 결빙을 없애는 염화물의 침입이 포장면에 수직 또는 수평변형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이러한 수평변형이 보강되지 않은 포장면에서는 균열의 변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렇게 아스팔트 포장면에 균열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스팔트 포장의 기대사용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방수막을 이용하는 방법과 보강 격자망을 이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전자는 방수막 역할을 하는 아스팔트 함침 부직포 시트로 아스팔트 표층을 포설하기 전에 도로 및 균열을 실링(sealing)하는 방법으로서, 아스팔트 함침 부직포시트는 물의 통과와 결빙을 없애는 염화물이 하부의 균열을 통하여 아스팔트 포장 기층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후자는 기존 포장층 위에 새로운 아스팔트를 시공하였을 때 일어날 수 있는 반사균열을 막거나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동적 하중에 견디는 능력을 증가시키고 기대 사용수명을 연장해 준다.
위의 보강 격자망은 강철로 된 보강 격자망에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터로 만들어진 보강 격자망으로 발전하고, 다음으로 높은 탄성계수를 지닌 유리 및 탄소섬유격자망으로 변천되었다. 이 격자망은 언제라도 재사용이 가하고, 큰 반경을 지닌 커브길이나 최소한의 경사를 지닌 구역의 도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보강 격자망, 즉 아스팔트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도포할 때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하고, 아스팔트 보강재를 보다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도1,2에서 보인 두 개의 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릴 지지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는 도1,2에서 보인 두 개의 릴 중 하나의 릴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릴 지지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는 도1,2에서 보인 다짐용(Expanding)롤러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6은 도1,2에서 보인 압착용 롤러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7은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보강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를 이용하여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보강재를 도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1b : 수직 프레임 2,3a,3b : 수평 프레임
4a,4b,6,7a,7b : 수평 지지대 5a,5b : 수직 지지대
8 : 릴 지지대 8a : 수평 릴 지지대
8b,8c : 경사 릴 지지대 9a,9b : 릴
10 : 조절 레버 11 : 작동간
12 : 스톱퍼 13 : 거리 조절나사 유닛
14 : 작동레버 15 : 보조 지지대
16a,16b,27a,27b,28a,28b : 지지편 17 : 공급용 롤러
18 : 다짐용 롤러 19 : 바퀴
20a,20b : 연장 수직 프레임 21 : 링
22 : 원판 23 : 금속봉
24 : 회전축 25 : 버너
26 : 사각 지지대 29a,29b : 고정축
30 : 압착용 롤러 31 : 안내편
32a,32b : 사각형 통 33 : 지게차
34 : 아스팔트 기층표면 35 : 아스팔트 보강재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는,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는 각각 수직 프레임이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부에 수직 지지대가 입설된 수평 지지대와 또 하나의 수평 지지대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수직 프레임의 후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된 뼈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방에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수평 지지대의 전방에 결합되어 있는 'П'자 형상의 릴 지지대의 최전방 안쪽에 형성된 한쌍의 릴; 상기 한 쌍의 릴에 장착된 원통으로부터 공급되어 아스팔트 기층표면과 다짐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보강재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보강재 일면에 부착된 비닐을 제거하는 버너;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연장된 연장 수직 프레임의 최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릴로부터 공급되는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밀착시키는 다짐용 롤러;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후방 밑면에 지지편으로 결합된 고정축에 결합되어 상기 다짐용 롤러에 의해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밀착된 보강재를 압착시켜 도포하는 압착용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 지지대의 일측이 슬라이딩 가능한 이중관 형식의 수평 릴 지지대와 경사 릴 지지대로 이루어져 결합되고, 상기 수평 릴 지지대에 고정된 작동간이 상기 경사 릴 지지대에 고정된 스톱퍼를 따라 상기 경사 릴 지지대의 일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절 레버의 중간부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 지지대의 일측의 경사 릴 지지대가 수평 릴 지지대의 일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평 릴 지지대에 서 있는 보조 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경사 릴 지지대의 일점에, 최상단에 작동레버를 가지는 거리 조절나사 유닛의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상기 수평 지지대 위에 힌지 결합된 'П'형상의 사각 지지대 끝부분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방에는 릴로부터 공급되어 아스팔트 기층표면과 다짐용 롤러 사이로 삽입되는 보강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공급용 롤러가 지지편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짐용 롤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연장된 연장 수직 프레임의 최하단에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측과 중간에 다수개의 원판이 결합되며, 상기 원판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금속봉이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짐용 롤러의 내주면에는 금속봉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링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용 롤러(roller)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단 밑면에 위치한 두 개의 고정축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안내편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단의 고정축에 결합된 압착용 롤러와 상기 후단의 고정축에 결합된 압착용 롤러가 서로 교차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용 보강재 도포장치의 뼈대는 다수개의 프레임과 지지대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도포장치의 뼈대는, 일정간격을 두고 좌우로 서 있는 두 개의 수직 프레임(1a)(1b)의 상단에는 수평 프레임(2)이 수평지게 연결되어 있고, 두 개의 수직 프레임(1a)(1b)의 하단에는 전후방향으로 수평지게 배치된 수평 프레임(3a)(3b)이 수직 프레임(1a)(1b)과 직각이 이루어지도록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이 수평 프레임(3a)(3b)의 후단에는 두 개의 수평 지지대(4a)(4b)가 일정간격을 두고 좌우 방향으로 수평지게 연결되어 있으며, 최후단에 위치한 수평 지지대(4b)의 중간에는 두 개의 수직 지지대(5a)(5b)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두 개의 수직 지지대(5a)(5b)의 상단에는 수평 프레임(2)과 동일한 높이로 수평 지지대(6)가 좌우로 수평지게 연결되어 있다.
위의 수평 프레임(2)의 중간에는 두 개의 수평 지지대(7a)(7b)가 일정간격을 두고전방을 향하도록 수평지게 결합되어 있고, 이 수평 지지대(7a)(7b)의 최전방에는 'П'자 형상을 가지는 릴 지지대(8)가 그의 끝부분이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으며, 이 릴 지지대(8)의 최전방 내측에는 두 개의 릴(9a)(9b)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두 개의 릴(9a)(9b)은 보강재가 감겨진 원통을 지지함과 동시에 보강재를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릴 지지대(8)의 일측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릴 지지대(8a)와 경사 릴 지지대(8b)가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이중관을 이용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고, 이 수평 릴 지지대(8a)에 고정된 작동간(11)이 경사 릴 지지대(8b)에 고정된 스톱퍼(12)를 따라 경사 릴 지지대(8b)의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절 레버(11)의 중간부분에 결합되어 있어, 두 개의 릴(9a)(9b)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 지지대(8)의 다른 일측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릴 지지대(8c)가 수평 릴 지지대(8a)의 일점(전면)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있고, 수평 릴 지지대(8a)에 서 있는 보조 지지대(15)의 상단과 경사 릴 지지대(8c)의 일점에, 최상단에 작동레버(14)를 가지는 거리 조절나사 유닛(13)이 힌지 결합되어 있어, 작동 레버(14)의 작동에 따라 거리 조절나사 유닛(13)의 길이가 조절되어 경사 릴 지지대(8c)가 수평 릴 지지대(8a)의 일점을 중심으로 회동되므로 릴(9a)의 경사각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위에 기재된 릴(9a)(9b) 사이의 간격 조절과 릴(9a)의 경사각 조절은 두 개의 릴(9a)(9b)에 결합된 보강재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보강재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직 프레임(1a)(1b)의 소정 위치, 즉 수평 프레임(2)이 결합된 하단의 수직 프레임(1a)(1b) 전방에 공급용 롤러(17)가 두 개의 지지편(16a)(16b)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지게 좌우로 배치되어 있어, 릴(9a)(9b)로부터 공급된 보강재가 아래에서 설명될 다짐용 롤러(18)에 보다 원활하게 공급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다짐용 롤러(18)는 보강재가 지면, 즉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닿도록 누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직 프레임(1a)(1b)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수직 프레임(20a)(20b)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4)의 양측과 중간에 다수개의 원판(22)이 결합되고, 이 원판(22)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금속봉(23)이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축(24)과 수평지게 결합(용접)되어 구성된 것이다. 특히, 다수개의 금속봉(23)으로 이루어진 다짐용 롤러(18)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링(21)이 결합(용접)되어 있어, 다짐용 롤러(18)가 지면, 즉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닿으면서 충격이 가해져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원통에 감겨지는 보강재가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보강재의 일면에 부착되어 있는 비닐을 제거하기 위해 공급용 롤러(17)와 다짐용 롤러(18) 사이에는 공급용 롤러(17)에서 풀려 다짐용 롤러(18)로 공급되는 보강재에 근접되도록 버너(25)가 공급용 롤러(17)와 다짐용 롤러(18)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특히, 사각기둥 형상의 버터(25)가 수평 지지대(7a)(7b)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П'형상의 사각 지지대(26) 끝부분에 장착되어 있어, 버너(25)를 필요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버너(25)의 일측에는 가스 공급원(가스통)으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있고, 이 분사노즐과 가스 공급원을 연결하는 파이프 상에는 별도의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 공급원과 파이프 등은 도포장치의 임의의 공간에 설치 및 배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다짐용 롤러(18)의 후단, 즉 수평 프레임(3a)(3b)의 밑면 후단에 하향지게 형성된 각각의 지지편(27a)(27b)(28a)(28b) 단부에는 각각 고정축(29a)(29b)이 결합되어 있고, 각 고정축(29a)(29b)에는 다수개의 압착용 롤러(30)가 안내편(31)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압착용 롤러(30)는 본 고안에 의한 도포장치의 진행방향을 중심으로 고정축(29a)(29b)의 뒤쪽에 위치하면서 아스팔트 기층표면과 압착용 롤러(30) 사이로 지나가는 보강재를 압착하게 된다.
이때 압착용 롤러(30)와 안내편(31) 그리고 안내편(31)과 고정축(29a)(29b)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압착용 롤러(30)의 자중에 의해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도포되는 보강재를 압착할 수 있을뿐더러 하나의 압착용 롤러가 이물질로 인해 상승한다 해도 나머지 압착용 롤러는 지속적으로 아스팔트 포장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압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각 고정축(29a)(29b)의 압착용 롤러(3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어 압착용 롤러를 제작하기 위한 작업성을 높이고 근접된 압착용 롤러(30) 간의 충돌을 없앨 수 있으며, 전단의 고정축(29a)에 결합된 압착용 롤러(30)와 후단의 고정축(29b)에 결합된 압착용 롤러(30)가 서로 교차지게 배치되어 있어, 아스팔트 기층표면과 압착용 롤러(30) 사이를 지나가는 보강재의 전면이 고르게 압착되면서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도포된다.
그리고, 수평 프레임(2)과 수평 지지대(6)의 밑면 중앙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두 개의 사각형 통(32a)(33b)이 결합되어 있는데, 이는 본 고안에 의한 도포장치를 이동시킬 때 도포장치를 별도의 차량(예를 들면 "지게차"를 말한다.)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 중 설명되지 않은 19는 별도의 차량 없이도 도포장치를 근거리 이동할 때 사용되는 바퀴이다.
도7,8을 참조하여 아스팔트 기층표면(34)에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격자망, 즉 보강재(35)를 도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지게차(33)에 본 고안에 의한 도포장치를 탑재하고 릴(9a)(9b)에 보강재(35)가 감겨진 원통을 고정한다. 이어서, 원통에 감겨진 보강재(35)를 풀어 보강재(35)가 롤러(17)를 타고 아스팔트 기층표면(34)과 다짐용 롤러(18)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버너(25)는 자체 자중에 의해 아래를 향하도록 내려가서 보강재(35)의 일면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보강재(35)에 부착된 비닐을 녹여서 제거한다.
이렇게 버너(25) 열에 의해 비닐이 제거된 보강재(35)는 지게차(33)와 함께 도포장치가 전진함에 따라 다짐용 롤러(18)에 의해 아스팔트 기층표면(34)에 깔리고 압착용 롤러(30)의 자중에 의해 아스팔트 기층표면(34)에 도포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에 의하면 보강 격자망, 즉 아스팔트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도포할 때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아스팔트 보강재를 보다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는 각각 수직 프레임이 전후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부에 수직 지지대가 입설된 수평 지지대와 또 하나의 수평 지지대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수직 프레임의 후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된 뼈대;
    상기 수평 프레임의 전방에 일정간격을 두고 전방을 향하도록 결합된 수평 지지대의 전방에 결합되어 있는 'П'자 형상의 릴 지지대의 최전방 안쪽에 형성된 한쌍의 릴;
    상기 한 쌍의 릴에 장착된 원통으로부터 공급되어 아스팔트 기층표면과 다짐용 롤러 사이로 진입하는 보강재에 근접되게 배치되어 보강재 일면에 부착된 비닐을 제거하는 버너;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연장된 연장 수직 프레임의 최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릴로부터 공급되는 보강재를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밀착시키는 다짐용 롤러; 및
    상기 수평 프레임의 후방 밑면에 지지편으로 결합된 고정축에 결합되어 상기 다짐용 롤러에 의해 아스팔트 기층표면에 밀착된 보강재를 압착시켜 도포하는 압착용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지지대의 일측이 슬라이딩 가능한 이중관 형식의 수평 릴 지지대와 경사 릴 지지대로 이루어져 결합되고, 상기 수평 릴 지지대에 고정된 작동간이 상기 경사 릴 지지대에 고정된 스톱퍼를 따라 상기 경사 릴 지지대의 일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조절 레버의 중간부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 지지대의 일측의 경사 릴 지지대가 수평 릴 지지대의 일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상기 수평 릴 지지대에 서 있는 보조 지지대의 상단과 상기 경사 릴 지지대의 일점에, 최상단에 작동레버를 가지는 거리 조절나사 유닛의 양단이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상기 수평 지지대 위에 힌지 결합된 'П'형상의 사각 지지대 끝부분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방에는 릴로부터 공급되어 아스팔트 기층표면과 다짐용 롤러사이로 삽입되는 보강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공급용 롤러가 지지편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용 롤러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단에 연장된 연장 수직 프레임의 최하단에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양측과 중간에 다수개의 원판이 결합되며, 상기 원판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금속봉이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용 롤러의 내주면에는 금속봉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용 롤러는 상기 수평 프레임의 하단 밑면에 위치한 두 개의 고정축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안내편의 일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9. 상기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의 고정축에 결합된 압착용 롤러와 상기 후단의 고정축에 결합된 압착용 롤러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KR20-2002-0031881U 2002-10-25 2002-10-25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KR2003015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881U KR200301599Y1 (ko) 2002-10-25 2002-10-25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881U KR200301599Y1 (ko) 2002-10-25 2002-10-25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599Y1 true KR200301599Y1 (ko) 2003-01-24

Family

ID=4939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881U KR200301599Y1 (ko) 2002-10-25 2002-10-25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59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999B1 (ko) 2008-08-20 2009-03-10 (유)한국기계 아스팔트 보강재 코팅과 도포 일체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612491B1 (ko) * 2015-09-23 2016-04-14 (주)에스엔건설 바잘트 섬유 그리드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내구성 증대공법
KR101640389B1 (ko) * 2016-03-03 2016-07-18 주식회사 에이스로드텍 아스팔트 보강용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KR101735250B1 (ko) * 2016-11-21 2017-05-12 강희종 교면 방수용 그리드 및 이의 시공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999B1 (ko) 2008-08-20 2009-03-10 (유)한국기계 아스팔트 보강재 코팅과 도포 일체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1612491B1 (ko) * 2015-09-23 2016-04-14 (주)에스엔건설 바잘트 섬유 그리드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 내구성 증대공법
KR101640389B1 (ko) * 2016-03-03 2016-07-18 주식회사 에이스로드텍 아스팔트 보강용 섬유그리드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KR101735250B1 (ko) * 2016-11-21 2017-05-12 강희종 교면 방수용 그리드 및 이의 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6649B2 (ja) 固い敷設地面内に光ケーブル又は電気ケーブルを敷設する方法
CN108643591A (zh) 一种防水卷材的铺设装置
CN108439024B (zh) 一种防水卷材铺贴装置
KR200301599Y1 (ko) 아스팔트 보강재 도포장치
CN108166358A (zh) 一种混凝土压紧装置
CN209666064U (zh) 一种改性沥青防水材料用牵引压实装置
CN209443682U (zh) 一种移动式防水卷材铺设装置
CN112921768B (zh) 一种沥青路面全断面一次摊铺成型施工设备及其方法
CN1485496A (zh) 沥青路面坑洞热修补工艺方法及补坑设备
CN207159768U (zh) 压路机
CN211713596U (zh) 一种双钢轮压路机
KR102188330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교면방수 시공공법
CN220414753U (zh) 一种防水卷材摊铺装置
CN112227157A (zh) 土工材料自动摊铺装置
CN220746512U (zh) 一种沥青道路摊平装置
CN111926666A (zh) 一种市政工程用沥青路面高效修补装置
CN211006253U (zh) 一种市政施工用压路机
CN213115549U (zh) 混凝土收面工具
CN219297923U (zh) 一种道路坑洼修补整平装置
CN110172897A (zh) 一种公路路面沥青平整装置
CN214939138U (zh) 一种用于道路坑洼处的物料回填设备
CN221029428U (zh) 一种道路施工平整装置
CN216765512U (zh) 一种用于公路工程建设的铺膜设备
JPH0521531Y2 (ko)
CN214882767U (zh) 一种带有清理装置的压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