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346Y1 - 완충성 착좌부를 갖춘 도로교통시설물 - Google Patents

완충성 착좌부를 갖춘 도로교통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346Y1
KR200301346Y1 KR20-2002-0029937U KR20020029937U KR200301346Y1 KR 200301346 Y1 KR200301346 Y1 KR 200301346Y1 KR 20020029937 U KR20020029937 U KR 20020029937U KR 200301346 Y1 KR200301346 Y1 KR 200301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post
seat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국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주)청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청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29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교통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소정간격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지주대와;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지지판을 구비하면서 상기 지주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ㄴ' 형상의 본체와, 이 지지판의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미끄럼부가, 완충부재가 내장된 실린더와 이에 상응하는 피스톤을 매개로 상호 연결ㆍ고정되어 탄발지지되되, 상기 미끄럼부가 착좌가능한 형상으로 된 완충부와; 타원기둥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부에는 발광체고정부가 구비되고 상ㆍ하면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틀과 이 틀의 외곽으로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 일부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대향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안착부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발광체고정부에 고정되어져 별도의 전기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체와, 상기 틀에 설치되는 게시물을 덮어 이를 보호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게시부와; 발색등 및/또는 타이머로 이루어진 신호등과,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 일부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신호등의 외곽에서 상기 틀에 형성된 안착부와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진 한쌍의 안착부로 이루어진 신호부와; 상기 신호부와 상기 게시부 간에 배치되어져 지주대에 고정되되, 저면에는 상기 게시부의 상면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응하는 끼움부가 형성된 제 1 지지대와; 저면이 지면에 닿도록 상기 지주대에 고정되고, 그 상면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제 3 지지대; 및 상기 게시부와 상기 제 3 지지대 간에 배치되어져 지주대에 고정되되, 상ㆍ하면 선단부에는 게시부의 하면 및 제 3 지지대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부와 상응하는 끼움부가 형성된 제 2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완충성 착좌부를 갖춘 도로교통시설물{Traffic facilities having a buffering chair}
본 고안은 도로교통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는 교통의 흐름을 총괄하는 신호등이 있기 마련인데, 이러한 신호등은 다른 색상의 발색등이 주기적으로 점등되면서 차량의 진행 및 정지 등을 제어하게 된다.
근래에는, 상기 신호등의 지주부에 게시판등을 부가함으로써 그 활용도를 높이고 있으며, 하단부에는 차량추돌로 인한 충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완충부가더 포함되면서 외력으로부터 도로교통시설물을 보호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입설되있던 도로교통시설물의 지주부를 게시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게시판을 지주부에 지지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였으며, 게시된 내용의 가시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한 조명장치는 선택적으로 구비되어야만 했다.
이러한 상기 구조물들은 게시판과 지주부간에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도록 설계 및 생산되고 있어 외력에 의한 형상변화 및 파손에 대한 대비가 미흡하였으며, 특히 이러한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별도 비용이 요구되므로, 도로교통시설물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한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기의 불편함으로 인해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 완충부는 도로교통시설물의 하단부를 보호할 목적으로 흙이나 모래등이 채워진 용기를 그 주변부에 감싸듯 배치시킴으로서 차량추돌등과 같은 외부충격에 대비하고 있지만, 일단 상기 완충부가 충격을 받으면 용기의 형상변화가 발생되고, 심하면 충진된 물질(흙, 모래 등)들이 유출되면서 외관미를 크게 저해할 우려가 있어, 이에따른 관리보수도 빈번하게 이루어져야 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게시물을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도로교통시설물을 보호함은 물론 경미한 외부 충격에는 완충부 자체의 손상도 최소화 되는 완충성 착좌부를 갖춘 도로교통시설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통시설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통시설물의 완충부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 도로교통시설물 110 ; 제 1 지주대
111 ; 보조신호등설치구멍 120 ; 제 2 지주대
130 ; 제 1 지지대 131 ; 끼움부
132, 133 ; 고정돌기 140 ; 제 2 지지대
141, 142 ; 끼움부 143, 144 ; 고정돌기
150 ; 제 3 지지대 151 ; 지지용기
151a ; 끼움부 152 ; 보
153 ; 안착부 200 ; 게시부
210 ; 케이스 211 ; 틀
212 ; 안착부 213, 214 ; 삽입부
215a, 215b ; 발광체고정부 216 ; 빌광체
217 ; 덮개 300 ; 신호부
310 ; 제 1 신호등 311 ; 타이머
312 ; 발색등 313 ; 안착부
320 ; 제 2 신호등 400 ; 완충부
410 ; 본체 411 ; 실린더
412 ; 지지판 413 ; 체결편
414 ; 스토퍼 420 ; 미끄럼부
421, 422 ; 연결판안착부 423 ; 피스톤
424 ; 걸림부재 425 ; 가이드편
430 ; 연결판 440 ; 완충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정간격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지주대와;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지지판을 구비하면서 상기 지주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ㄴ' 형상의 본체와, 이 지지판의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미끄럼부가, 완충부재가 내장된 실린더와 이에 상응하는 피스톤을 매개로 상호 연결ㆍ고정되어 탄발지지되되, 상기 미끄럼부가 착좌가능한 형상으로 된 완충부와;
타원기둥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부에는 발광체고정부가 구비되고 상ㆍ하면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틀과 이 틀의 외곽으로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 일부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대향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안착부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발광체고정부에 고정되어져 별도의 전기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체와, 상기 틀에 설치되는 게시물을 덮어 이를 보호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게시부와;
발색등 및/또는 타이머로 이루어진 신호등과,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 일부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신호등의 외곽에서 상기 틀에 형성된 안착부와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진 한쌍의 안착부로 이루어진 신호부와;
상기 신호부와 상기 게시부 간에 배치되어져 지주대에 고정되되, 저면에는 상기 게시부의 상면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응하는 끼움부가 형성된 제 1 지지대와;
저면이 지면에 닿도록 상기 지주대에 고정되고, 그 상면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제 3 지지대; 및
상기 게시부와 상기 제 3 지지대 간에 배치되어져 지주대에 고정되되, 상ㆍ하면 선단부에는 게시부의 하면 및 제 3 지지대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부와 상응하는 끼움부가 형성된 제 2 지지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통시설물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쌍의 지주대(110, 120 ; 도 2참조)를 매개로 완충부(400)와 게시부(200) 및 신호부(300)가 순차적으로 조적되며, 각 구성부(200, 300, 400)들 간에는 조밀하게 결속되어져 그 고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400)는 내장된 완충부재를 통해 차량추돌로 인한 충격을 감쇠시켜 도로교통시설물(10)의 파손을 가능한한 억제할 수 있고, 경미한 충격에는 완충부(400) 자체에 대한 파손 및 형상변화가 거의 없게 되므로 유지보수에 따른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각 구성부(200, 300, 400)간의 연결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완충부(400), 게시부(200) 및 신호부(300)가 순차적으로 조적되며, 이를 좌우에서 지지하는 한쌍의 지주대(110, 120)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지면으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주대(110, 120)의 외주면에는 후술될 구성물들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홈(도시됨)이 형성되며, 제 1 지주대(110)에는 보조신호등(160, 161)이 설치되는 보조신호등설치구멍(111)을 형성시켜 신호등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해 각 구성부(200, 300 ; 완충부는제외)에 대한 연결관계를 시공순으로 설명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대(110, 120)가 입설되면, 제 3 지지대(150)가 지주대(110, 120) 하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 3 지지대(150)는, 제 2 지지대(140)의 끼움부(142)에 상응하는 삽입부(151a)가 상부선단에 형성된 지지용기(151)와, 양측으로 상기 지주대(110, 120)가 맞물려 각각 안착되어지는 한쌍의 안착부(153)와, 하중을 충분히 견디도록 상기 상기 지지용기(151) 및 안착부(153)에 각각 연결되면서 지지력을 보강하고 힘을 가능한한 분산시키는 보(15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지지용기(151)는 신호부(300)와 게시부(200)의 발광체(216)로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라인이 집중되는 단자함 기능을 가지며, 아울러 제 2 지지대(140)의 하부선단에 구비된 끼움부(142)가 상기 삽입부(151a)로 조밀하게 끼워지게 되어 제 2 지지대(140) 상방으로 조적되는 게시부(200)가 흔들림없이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지지대(140)의 상부선단에는 하부선단에 형성된 끼움부(142)와 대향하게 끼움부(141)가 형성되고, 양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43, 144)가 상기 지주대(110, 120)에 형성된 홈(도시됨)으로 인입되면서 흔들림을 최소화 시킨다.
이렇게 고정된 제 2 지지대(140) 상방으로 케이스(210)가 조적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210)의 상하 양단에는 상기 제 2 지지대(140)와 후술될 제 1 지지대(130)의 끼움부(141, 131)에 상응하는 삽입부(213, 214)가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110, 120)가 안착되는 한쌍의 안착부(212)는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케이스(210)의 형상을 이루면서 게시물(미도시됨)이 고정되는 틀(211)은 케이스(210)의 횡단면이 타원형상이 되도록 소정곡률을 갖는 곡면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측방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한편, 곡면이 평면보다는 가시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져 보행자에게 게시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틀(211) 안쪽으로는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게시물의 가시거리를 높이기 위한 발광체(216)를 고정연결할 수 있는 발광체고정부(215a, 215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양측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상기 안착부(212)로 지주대(110, 120)가 맞물리게 안착되면서 조밀하게 고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케이스(210)가 제 3 지지대(150) 위로 조적되면 케이스(210)의 상방으로는 제 1 지지대(130)가 조적되되, 이때도 제 1 지지대(130)의 하부선단에 형성된 끼움부(131)가 케이스(210)의 상부선단에 형성된 삽입부(213)로 삽입되면서 조적ㆍ고정된다.
이때도 상기 제 1 지지대(130)의 양측에는 고정돌기(132, 133)가 형성되면서 지주대(110, 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도시됨)으로 인입되어 흔들림을 최소화 시킨다. 특히, 제 1 지지대(130)의 고정돌기(132, 133)는 물론 상기 제 2 지지대(140)의 고정돌기(143, 144)는 흔들림이 가능한한 억제될 수 있도록 각이 진 바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제 1 지지대(130)의 상면으로는 제 1 신호등(310)이 안착되고, 제 1 신호등(310)의 양측에 형성된 안착부(313)를 따라 지주대(110, 120)가 각각 맞물려 안착된다. 특히, 상기 안착부(313)의 상단에는 지주대(110, 120)의 상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펜스(도시됨)가 형성되고, 별도의 체결부재를 안착부(313) 상면에 형성된 체결구멍(313a)과 이에 상응하는 지주대(110, 120)의 체결구멍(110a, 120a)으로 관통ㆍ삽입시킴으로서 지주대(110, 120)와 제 1 신호등(310)이 단단히 체결된다.
한편, 상기 제 1 신호등(310)은 발색등(312) 및/또는 타이머(311)가 내장된다.
도 1의 미설명부호 '320'은 제 2 신호등으로, 필요에 따라 상기 제 1 신호등(310) 위에 추가로 조적하여 체결부재(미도시됨)를 매개로 고정시킨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교통시설물의 완충부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완충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400)는 도로교통시설물(10)의 하부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한편, 신호대기 중인 보행자가 잠시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좌석기능을 갖는데, 다음과 같은 구조를 이룬다.
가이드홈(411a)이 형성된 하나이상의 실린더(411)와, 완충부(400) 전체를 지지하면서 미끄럼부(420)의 일단이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가이드홈(412a)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412)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본체(410)가, 체결편(413)을 매개로 상기 지주대(110, 120) 각각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체결편(413)은 지주대(110, 120)의 외주면을 감싸며,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단단히 고정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411)에 상응하는 하나이상의 피스톤(423)을 구비한 미끄럼부(420)의 하단이 상기 지지판(412)에 형성된 가이드홈(412a)에 끼워져 유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스토퍼(414)로 개구부를 막아 미끄럼부(420)가 투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피스톤(423)을 상기 실린더(411)로 인입하면서 상호간을 탄발지지하도록 완충부재(440)를 내장하고, 미끄럼부(420)의 하단에는 걸림부재(424)를 부착시켜 가이드홈(412a)을 따라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이렇게 연결된 상기 완충부(400)의 구성요소들(410, 420)은 평탄한 일면을 갖는 둘 이상의 연결판(430)에 의해 제 1 지주대(110) 및 제 2 지주대(120)의 하단부에 고정된 미끄럼부(420)의 연결판안착부(421, 422)로 고정안착됨으로서, 한쌍의 미끄럼부(420)를 상호 연결하는 동시에 등받이부와 착좌부를 갖춘 의자의 기능 또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한쌍의 지주대를 매개로 완충부, 게시부 및 신호부가 순차적으로 조적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각 구성물들이 일체로서 조밀하게 연결되므로 고정성 또한 향상된다.
한편, 도로교통시설물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완충부는 수평방향에 대한 외력이 감소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경미한 충격에는 완충부 자체의 파손 및 형상변화가 적어 관리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소정간격으로 입설되는 한쌍의 지주대와;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지지판을 구비하면서 상기 지주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ㄴ' 형상의 본체와, 이 지지판의 가이드홈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미끄럼부가, 완충부재가 내장된 실린더와 이에 상응하는 피스톤을 매개로 상호 연결ㆍ고정되어 탄발지지되되, 상기 미끄럼부가 착좌가능한 형상으로 된 완충부와;
    타원기둥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부에는 발광체고정부가 구비되고 상ㆍ하면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틀과 이 틀의 외곽으로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 일부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대향하게 형성되는 한쌍의 안착부로 이루어진 케이스와, 상기 발광체고정부에 고정되어져 별도의 전기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체와, 상기 틀에 설치되는 게시물을 덮어 이를 보호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게시부와;
    발색등 및/또는 타이머로 이루어진 신호등과, 상기 지주대의 외주면 일부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신호등의 외곽에서 상기 틀에 형성된 안착부와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진 한쌍의 안착부로 이루어진 신호부와;
    상기 신호부와 상기 게시부 간에 배치되어져 지주대에 고정되되, 저면에는 상기 게시부의 상면 선단부에 형성된 삽입부와 상응하는 끼움부가 형성된 제 1 지지대와;
    저면이 지면에 닿도록 상기 지주대에 고정되고, 그 상면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삽입부가 형성된 제 3 지지대; 및
    상기 게시부와 상기 제 3 지지대 간에 배치되어져 지주대에 고정되되, 상ㆍ하면 선단부에는 게시부의 하면 및 제 3 지지대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삽입부와 상응하는 끼움부가 형성된 제 2 지지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성 착좌부를 갖춘 도로교통시설물.
KR20-2002-0029937U 2002-10-08 2002-10-08 완충성 착좌부를 갖춘 도로교통시설물 KR200301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937U KR200301346Y1 (ko) 2002-10-08 2002-10-08 완충성 착좌부를 갖춘 도로교통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937U KR200301346Y1 (ko) 2002-10-08 2002-10-08 완충성 착좌부를 갖춘 도로교통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346Y1 true KR200301346Y1 (ko) 2003-01-24

Family

ID=4939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937U KR200301346Y1 (ko) 2002-10-08 2002-10-08 완충성 착좌부를 갖춘 도로교통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3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11B1 (ko) * 2008-03-21 2008-11-10 주식회사 흥화 점등형 분리대
KR101035992B1 (ko) 2010-12-23 2011-05-23 주식회사 정원엘피 태양전지 가로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711B1 (ko) * 2008-03-21 2008-11-10 주식회사 흥화 점등형 분리대
KR101035992B1 (ko) 2010-12-23 2011-05-23 주식회사 정원엘피 태양전지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831B1 (ko) 차선분리대 구조물
KR100789693B1 (ko) 전신주 보호 구조물
KR101546524B1 (ko) 유지관리 효율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가로등 지주
KR200301346Y1 (ko) 완충성 착좌부를 갖춘 도로교통시설물
KR100804094B1 (ko) 탄력 볼라드
SK34793A3 (en) Metallic safety barrier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101440604B1 (ko) 보행자용 방호 울타리
KR200449760Y1 (ko) 접철식 자동차 정지 표시판
KR102413819B1 (ko) 폴 베이스 안전시스템
KR200301345Y1 (ko) 게시판 케이스를 갖춘 다기능 도로시설물의 설치구조
KR20140017944A (ko) 가드레일 지주를 활용한 교통표지판 조립식 지지물
KR100995335B1 (ko) 펜스
KR101566540B1 (ko) 가로대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신호등 철주 조립체
KR200345518Y1 (ko) 휴대가능한 조립식 만능 안전 표지판
GB9707618D0 (en) Structure for installing a post in the ground
KR200377459Y1 (ko) 격자형 십자중문 조립체
KR101161669B1 (ko) 디자인 휀스
KR200275338Y1 (ko) 철근 지주의 보호커버
KR910008161Y1 (ko) 철책(鐵柵)
KR102280513B1 (ko) 단위도로중앙분리대 및 그를 이용한 도로중앙분리대
KR100729608B1 (ko) 전신주밴드와 주상변압기의 연결부 고정구
KR200234544Y1 (ko) 도로용 과속방지턱
JP2001288721A (ja) 車両用防護柵
US20240018795A1 (en) Improved systems and methods for pool frame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