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506A -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506A
KR20030097506A KR1020020034904A KR20020034904A KR20030097506A KR 20030097506 A KR20030097506 A KR 20030097506A KR 1020020034904 A KR1020020034904 A KR 1020020034904A KR 20020034904 A KR20020034904 A KR 20020034904A KR 20030097506 A KR20030097506 A KR 20030097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cohol
measurement
measuring
breathalyz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희
Original Assignee
안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희 filed Critical 안상희
Priority to KR1020020034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7506A/ko
Priority to PCT/KR2003/000254 priority patent/WO2003066347A1/en
Priority to AU2003206240A priority patent/AU2003206240A1/en
Publication of KR20030097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5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6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clips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알코올 값에 따른 전류변화값을 측정하는 알코올센서(50), 상기 전류변화값을 증폭하는 증폭기(51),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52), C.P.U(53), 디스플레이(54), 메모리(55)를 가지는 통상의 알코올농도 측정의 음주측정기에서, 측정관체로 피측정자의 호흡을 취입시켜 상기 알코올센서(50)로 측정 대상의 호흡을 인가시키는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주측정기는 음계가 상승하는 음악 등의 음향을 담고 있는 메모리형 집적회로인 음향발성용IC(60) 내지 상기 C.P.U(53) 내장 프로그램, 스피커(61)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음향발성용IC(60)는 측정자의 스타트스위치(SW1)의 작동과 동시에 구동을 개시하고, 상기 저장된 음향의 올라가는 음조의 어느 한 시점(t1)에서 측정자가 측정점스위치(SW2)를 작동시켜 측정시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시점(t1)에서의 알코올센서(50)의 측정된 출력신호를 기준으로 음주측정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Measuring method of the alcohol meter}
본 발명은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일반적인 알코홀 센서를 장착하는 음주측정기에서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고, 최적 측정상태에서의 측정을 위한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음주측정기는 알코홀을 함유하는 피측정자의 호흡을 측정기의 센서로까지 유도하는 측정관체와,
음주측정기 몸체 내에 수납되고 인입된 호흡중의 알코홀 성분을 측정하는 알코홀센서, 알코홀센서로부터 측정된 알코홀 값을 판독하여 기준값과 비교하는 연산처리부및 신호증폭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적인 회로구성체로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중에 측정관체는 피측정자가 입에 물어 취출하게 되는 인적인 요소가 가미되는 부분으로서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본 출원인도 다수의 선원으로서 측정관체에 대한 출원을 한 바 있다.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은 이러한 피측정자가 인입시키는 호흡 중의 알코올 성분의 측정을 적정화하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피측정자는 음주단속 등을 회피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호흡을 인입시키는 흉내 만을 내고 취입시키지 않으려고 하고 경찰관 등의 측정자는 취입을 종용하는 등 측정 시의 많은 다툼이 유발되고 있어 행정력의 낭비가 있는 실정이다.
종래로 부터의 음주측정기는 대부분, 측정자의 감이나 측정경험으로서 최적 측정이 가능한 정도의 호흡상태에서 측정버턴을 눌러서 측정함으로서 측정자에 따른 측정치수가 상이할 수 있어 많은 분쟁의 요인이 되고 있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하는 제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은 호흡 중의 알코올 성분의 특성을 감안하여 자연스럽게 측정 호흡을 유입시키게 하고 측정의 정밀도를 제고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이 적용되는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부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이 적용되는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의 또 다른 구성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과 협동하기 위하여 구성된 본출원인의 선출원의 구성설명을 위한 도 1 , 2 의 후방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다이아그램.
도 5 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챠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알코올센서
51: 증폭기
52: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
53: C.P.U
54: 디스플레이
55: 메모리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은;
알코올 값에 따른 전류변화값을 측정하는 알코올센서, 상기 전류변화값을 증폭하는 증폭기,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 C.P.U, 디스플레이, 메모리를 가지는 통상의 알코올농도 측정의 음주측정기에서, 측정관체로 피측정자의 호흡을 취입시켜 상기 알코올센서로 측정 대상의 호흡을 인가시키는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주측정기는 음계가 상승하는 음악 등의 음향을 담고 있는 메모리형 집적회로인 음향발성용IC 내지 상기 C.P.U 내장 프로그램, 스피커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음향발성용IC는 측정자의 스타트스위치의 작동과 동시에 구동을 개시하고,
상기 저장된 음향의 올라가는 음조의 어느 한 시점에서 측정자가 측정점스위치를 작동시켜 측정시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시점에서의 알코올센서의 측정된 출력신호를 기준으로 음주측정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향발성용IC에 저장되는 음계가 상승하는 음향은 정상 상승음조의 도-레-미-파-솔-라-시-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선택가능한 주요한 기술부이다.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부수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이 적용되는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부의 예시적인 사시도,도 2 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이 적용되는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의 또 다른 구성의 예시적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과 협동하기 위하여 구성된 본출원인의 선출원의 구성설명을 위한 도 1 , 2 의 후방단면도,도 4 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다이아그램, 도 5 는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챠트도이다.
도 1 내지 2 에 도시되는 음주측정기(도시하지 아니함)의 측장관체(1)는 본 출원인이 선원으로서 제시한 것으로서, 본원 발명의 목적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등으로 사출성형되는 관체의 형상이며 측정자의 입에 물게 되는 돌출링체인 마우스피스(2)를 가지고 연장된 관체의 인입관부(3)를 형성하며 단부 측에는 막힌 벽부(4)를 가지는 일체형의 사출체로서 구성한다.
도 2 는 상기의 마우스피스(2) 부는 입구의 단면적(S1)이 크고 인입관부(3) 측으로 가면서 단면적(S2)가 축소되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전체적인 형상은 깔대기형상이 되도록 한 것으로서, 마우스피스(2) 부에 입술을 가볍게 대고 취출하면 됨으로서 위생 상의 불결함을 느끼지 않고 취출자는 약간의 호흡만을 취출하더라도 전체 양이 단면적의 감소와 함께 수합되어 측정의 최소요구량에 용이하게 이르게 되는 구성을 선원으로서 게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측정관체(1)의 후방 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배출관부(10)가 일체로 성형된 형상으로 하고,배출관부(10)는 상하가 개방된 형상체이며 일부가 측정관체(1)의 상방으로 하방으로는 측정관체(1)의 내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배출관부(10)의 측정관체 내방의 하방단부에는 내방으로 연장한 조절볼시트링(11)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배출관부(10)의 상방에는 내방으로 돌출한 돌기(12)가 한 쌍, 돌출성형되어 있다.
배출관부(10)의 내방에는 역시 사출성형체 등의 조절볼(20)이 끼움된다. 배출관부(10)의 직경은 조절볼(20)의 직경보다 여유가 있을 정도로 크고 조절볼시트링(11)의 내직경은 조절볼(20)을 수용하여 안치할 수 있는 정도로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조절볼(20)은 노란색, 빨간색 등의 색상을 가지는 것이 측정자가 조절볼(20)의 유동을 관찰하기에 용이하게 된다.
상기의 배출관부(10)의 상방의 내방으로 돌출한 돌기(12)의 돌출높이는 조절볼(20)을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을 정도로 구성하게 된다.
배출관부(10)에 반대향하는 측정관체(1)의 하방 측으로는 도시하지 아니하는 음주측정기의 센서로의 유도공으로 삽입하기 위한 유도삽입관(30)이 일체로 성형되어 돌출하고 있다. 40 은 피측정자의 지나친 취출 등에 급격한 호흡의 배출을 위한완충배출공으로 하여 구성된 선원에서의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에서는,
배출관부(10)의 내방에 수용되는 조절볼(20)은 합성수지체이므로 상당 정도의 풍압에 의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려져서 조절볼시트링(11)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조절볼(20)의 조립 시에는 상기의 배출관부(10)의 돌기(12) 상에서 억지끼움하면 합성수지체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조절볼(20)은 용이하게 배출관부(10) 내방으로 인입되어 상방의 돌기(12)와 하방의 조절볼시트링(11) 사이에 안치되게 되는 것이다.
피측정자가 호흡을 본 발명의 측정관체(1)를 물고 취출하게 되면(B), 측정이 가능한 정도의 호흡량이 되면 상기의 조절볼(20)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하고, 잔여호흡량(R)이 배출관부(10)의 내직경과 조절볼(20) 사이를 통하여 상방으로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측정자는 색깔을 가진 조절볼(20)의 움직임을 관찰함으로서 구두로 취출을 유도함의 필요없이 적량 취출인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있게 된다. 또한, 과다한 호흡량으로 인하여 과도한 습기가 정밀한 알코올 센서로 인입되어 수명을 단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원의 구성으로서 제시한 구성으로서 피측정자의 호흡의 음주측정기로의 취입상태를 알 수 있지만 근원적으로 피측정자가 호흡을 적량 취입시키게 하는 방법이 더 요구됨을 많은 실험 결과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에서는 음주측정의 개시와 동시에 상승하는 음조를 가지는 음향효과를 더 제공하고 제공된 음향효과에 의하여 피측정자가 자연스럽게 적량의 호흡을 취입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음주측정기는 도 3 의 블록다이아그램과 같이,
알코올성분값에 따른 전류변화값인 알코올센서(50)로부터 측정신호를 증폭기(51)로서 증폭하고 다시 이를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52)로 변환하여 측정프로그램이 설치된 C.P.U(53)에서 치수를 카운팅하여 디스플레이(54)로 전송하고 기록용데이터로서 메모리(55)에 이를 저장하게 된다.
측정자의 측정개시신호를 위의 C.P.U(53)에 인가하는 스타트스위치(SW1)와 측정시점에서 알코올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점스위치(SW2)는 역시 다른 스위치(리셋,저장 등)의 스위치와 함께 음주측정기의 외방 케이스(도시하지 아니함)에 장착,구성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부가하여 음향발성용IC(60)를 더 구비하고 음향발성용IC(60)로부터의 출력이 드라이브되는 스피커(61)를 음주측정기의 케이스에 장가하고 위의 구성의 부재와 연동, 구성한다.
상기의 음향발성용IC(60)는 통상적인 다양한 음향,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계가 상승하는 음악(예를 들면 도-레-미-파-솔-라-시-도와 같은)일 수도 있고 자연의 음향 등 성조와 음계가 상승하는 음향을 담고 있는 메모리형 집적회로가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C.P.U(53)의 인스톨되는 프로그램에 이러한 음향발성프로그램을 축하여 구성하면 전체 회로가 간결하여 지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의 음향발성용IC(60)는 측정자의 측정개시의 스타트스위치(SW1)의 누름과 함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전체 회로에 전류가 인가되어 작동하기 시작하고, 동시에 음향발성용IC(60)에도 작동신호가 인가되어 음향이 발성되면서 알코올농도의 측정이 개시되기 시작한다.
그러면 내장된 스피커(61)로부터는 음조가 올라가는 다양한 음향의 하나가 흘러나오면서 피측정자는 심리적으로 호흡을 강하게 취출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측정자가 측정점스위치(SW2)를 누르게 되면 올라가는 음조의 어느 한 시점(t1)에서 알코올센서(50)의 측정된 출력신호가, 증폭기(51)에서 증폭되어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52)를 경유한 뒤, C.P.U(53)에서의 알코올농도의 측정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이 측정치는 LCD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54)에서 표시되어지면서 자료백업을 위한 메모리(55)에 저장된다.
도 5 에 이러한 측정방식이 도시된다.
도 5 A 의 올라가는 음조의 음향의 개시점(S)은 측정준비 이후에 측정자가 스타트스위치(SW1)를 누름과 동시에 발성되어지고, 측정자는 이 음향의 상승하는 음조에 따라서 취출력이 증대된 호흡을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임의의 측정점(M)에서 측정점스위치(SW2)를 측정자가 누르게 되면 그 때의 알코올센서(50)의 측정값을 측정치로서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알코올센서(50)의 경우, 세게 불어 취입시키는 것이 중요한 측정방법이 아니고, 이전 취출된 호흡에 비하여 강도가 증대된 호흡이 취출되면 알코올센서는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측정소요시간을 T, 취입되는 호흡의 강도를 P 라 하면,
(ΔP1 / ΔT1 )/ ( ΔP2 / ΔT2 ) > 1 이면,
알코올센서(50)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센서의 특징을 가지기 때문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일반적으로 제조, 생산되는 통상적인 알코올센서는 측정시간증감에 비하여 측정대상 호흡의 증감(즉, 알코올농도)이 더 큰 시점에서 측정되면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는 다른 시점에서 측정한 값과 동일한 값을 보이게 되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어셈블리는,
피측정자의 측정 호흡의 취출을 심리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고, 임의의 점에서의 측정의 정확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알코올 값에 따른 전류변화값을 측정하는 알코올센서(50), 상기 전류변화값을 증폭하는 증폭기(51),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52), C.P.U(53), 디스플레이(54), 메모리(55)를 가지는 통상의 알코올농도 측정의 음주측정기에서, 측정관체로 피측정자의 호흡을 취입시켜 상기 알코올센서(50)로 측정 대상의 호흡을 인가시키는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주측정기는 음계가 상승하는 음악 등의 음향을 담고 있는 메모리형 집적회로인 음향발성용IC(60) 내지 상기 C.P.U(53) 내장 프로그램, 스피커(61)를 더 구비하여 상기 음향발성용IC(60)는 측정자의 스타트스위치(SW1)의 작동과 동시에 구동을 개시하고,
    상기 저장된 음향의 올라가는 음조의 어느 한 시점(t1)에서 측정자가 측정점스위치(SW2)를 작동시켜 측정시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시점(t1)에서의 알코올센서(50)의 측정된 출력신호를 기준으로 음주측정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성용IC(60)에 저장되는 음계가 상승하는 음향은 정상 상승음조의 도-레-미-파-솔-라-시-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
KR1020020034904A 2002-02-08 2002-06-21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 KR20030097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904A KR20030097506A (ko) 2002-06-21 2002-06-21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
PCT/KR2003/000254 WO2003066347A1 (en) 2002-02-08 2003-02-06 A clip for newspaper
AU2003206240A AU2003206240A1 (en) 2002-02-08 2003-02-06 A clip for newspa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904A KR20030097506A (ko) 2002-06-21 2002-06-21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506A true KR20030097506A (ko) 2003-12-31

Family

ID=3238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904A KR20030097506A (ko) 2002-02-08 2002-06-21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75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19B1 (ko) * 2008-04-24 2011-01-14 주식회사 디에이텍 음주측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251A (en) * 1972-09-26 1976-02-24 Thomas Parry Jones Apparatus for detecting or measuring a constituent of a gas
US4736619A (en) * 1985-02-15 1988-04-12 Guy Legrand Device for measuring the alcohol content of a gas
WO1998016812A1 (en) * 1996-10-11 1998-04-23 Alcohol Sensors International, Ltd. Breath monitoring apparatus
EP0953841A2 (en) * 1998-04-30 1999-11-03 Alcohol Sensors International, Inc. Breath monitoring apparatus
KR200246896Y1 (ko) * 2001-06-27 2001-10-17 이세엽 음주 측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251A (en) * 1972-09-26 1976-02-24 Thomas Parry Jones Apparatus for detecting or measuring a constituent of a gas
US4736619A (en) * 1985-02-15 1988-04-12 Guy Legrand Device for measuring the alcohol content of a gas
WO1998016812A1 (en) * 1996-10-11 1998-04-23 Alcohol Sensors International, Ltd. Breath monitoring apparatus
EP0953841A2 (en) * 1998-04-30 1999-11-03 Alcohol Sensors International, Inc. Breath monitoring apparatus
KR200246896Y1 (ko) * 2001-06-27 2001-10-17 이세엽 음주 측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519B1 (ko) * 2008-04-24 2011-01-14 주식회사 디에이텍 음주측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3151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arameters of respiratory gases
EP1760690A3 (en) Apparatus for assisting in playing musical instrument
US953273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 gas in exhaled air
EP1585107A3 (en) Hybrid wind instrument selectively producing acoustic tones and electric tones and electronic system used therein
US20110021940A1 (en) Incentive audio for pulmonary function diagnostics
AU2020417750A1 (en) Breath sensor measurement methods and apparatus
Bard et al. Noninvasive technique for estimating subglottic pressure and laryngeal efficiency
JP5154112B2 (ja) 呼気検査器
KR101007519B1 (ko) 음주측정기
KR20030097506A (ko)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
JPS6129000B2 (ko)
JP3680748B2 (ja) リードを備えた管楽器
US20210307645A1 (en) Spirometer apparatus
KR101509723B1 (ko) 스마트 디바이스용 호흡측정 인터페이스 장치
US20150027294A1 (en) Simulated musical wind instrument
WO2019034183A1 (zh) 一种发音探测方法及装置、语音范畴学习方法及系统
JP4192951B2 (ja) 息の計測器
KR100538117B1 (ko) 소비된 칼로리 통지 기능이 있는 가라오케 장치
KR100431798B1 (ko) 음주측정기의 측정관체
JP3439942B2 (ja) 電子式管楽器
JP5263878B2 (ja) 生体情報取得装置
KR19980081942A (ko) 반도체센서형 음주측정기
CN218447198U (zh) 一种新型电吹奏乐器
CN101923794A (zh) 多功能音准练习机
JP7353991B2 (ja) 呼気成分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