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896Y1 - 음주 측정기 - Google Patents

음주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896Y1
KR200246896Y1 KR2020010019305U KR20010019305U KR200246896Y1 KR 200246896 Y1 KR200246896 Y1 KR 200246896Y1 KR 2020010019305 U KR2020010019305 U KR 2020010019305U KR 20010019305 U KR20010019305 U KR 20010019305U KR 200246896 Y1 KR200246896 Y1 KR 200246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
fire
breathalyze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3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찬
Original Assignee
이세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엽 filed Critical 이세엽
Priority to KR20200100193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8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896Y1/ko

Links

Landscapes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주 측정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측정기는 입구와 출구와 바이패스 통로를 갖는 불대와, 바이패스 통로로 도입된 공기를 검출하는 알코올 농도 측정장치와, 측정된 알코올 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음주 측정기에 있어서, 불대의 입구는 불대를 물지 않고도 많은 량의 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외측을 향해 점차 확대되며, 불대의 출구에는 입구로부터 공기가 도입되어 배출되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풍력 확인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풍력 확인수단은 불대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확인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호루라기 또는 피리이거나 불대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펼쳐지거나 흩날리는 스파이럴 튜브 또는 띠이거나 불대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불대의 출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피측정자가 불대에 공기를 불어 넣음에 따라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거나 또는 튜브가 펼쳐지거나 또는 띠가 흩날리거나 또는 캡이 개방되는 등 여러가지 방법을 통하여 피측정자가 불대에 공기를 불어넣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피측정자가 불대에 공기를 불어넣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피측정인과 측정인과의 마찰요인을 사전에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음주 측정기{DRUNKOMETER}
본 고안은 음주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주 측정기의 불대에 공기를 불어 넣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음주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주 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음주 운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력한 음주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음주 단속은 혈중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여 음주유무 또는 음주량을 가리게 되는데, 이러한 혈중 알콜 농도의 측정은, 호흡시 배출되는 공기속의 알코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음주 측정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주 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음주 측정기는 하우징(10)을 가지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불대(20)가 설치된다. 불대(20)는 피측정인, 즉 운전자가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공기가 도입되는 입구(22)와,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24) 그리고 입구(22)로 유입되는 공기를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 통로(26)를 갖추고 있다.
한편,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바이패스 통로(26)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를 검출하여 공기중의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10)에는 측정된 공기중의 알코올 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운전자가 불대(20)의 입구(22)로 공기를 불게 되면, 일부는 출구(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바이패스 통로(26)를 통하여 하우징(10)내부의 측정장치로 유입된다. 그리고 측정장치로 유입된 공기는 포함된 알코올 농도가 측정되며, 측정된 알코올 농도 값은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하여 외부로 표시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의 음주 측정기를 통하여 음주 단속을 하는 과정에서 운전자가 비협조적인 경우가 많아 운전자와 측정자간에 잦은 마찰이 발생한다. 특히, 불대(20)에 공기를 불어넣는 과정에서, 공기를 불어넣는 시늉만 하거나 또는 공기를 매우 약하게 불어넣거나 또는 공기를 내뿜었다가 다시 흡입하는 등 운전자가 비협조적인 자세로 일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음주 측정기의 불대에 공기를 불어 넣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피측정인과 측정인과의 마찰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음주 측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음주 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주 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음주 측정기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음주 측정기의 일부를 절취한 측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20; 불대
22: 입구 24: 출구
30: 호루라기 40: 피리
50: 스파이럴 튜브 60: 띠
70: 캡 80: 투명 수직관
82: 부상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입구와 출구와 바이패스 통로를 갖는 불대와, 바이패스 통로로 도입된 공기를 검출하는 알코올 농도 측정장치와, 측정된 알코올 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음주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불대의 입구는 상기 불대를 물지 않고도 많은 량의 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외측을 향해 점차 확대되며, 상기 불대의 출구에는 상기 입구로부터 공기가 도입되어 배출되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풍력 확인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풍력 확인수단은 상기 불대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확인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호루라기 또는 피리이거나 상기 불대의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펼쳐지거나 흩날리는 스파이럴 튜브 또는 띠이거나 상기 불대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불대의 출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주 측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음주 측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음주 측정기는 하우징(10)을 가지며, 하우징(10)의 상부에는 불대(20)가 설치된다. 불대(20)는 피측정인, 즉 운전자가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입구(22)와,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24) 그리고 입구(22)로 유입되는 공기를 바이패스 하는 바이패스 통로(26)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바이패스 통로(26)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를 검출하여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 (10)에는 측정된 공기중의 알코올 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가 설치된다.
한편, 하우징(10) 상부에 설치되는 불대(20)의 입구(22)는 그 직경이 외측을 향해 점차 확대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는 보다 많은 공기량을 도입할 수 있으면서 피측정인으로 하여금 불대(20)를 물지 않고도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불대(20)의 출구(24)에는 입구(22)로부터 공기가 도입되어 출구(24)로 배출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풍력 확인수단이 설치된다. 이 풍력 확인수단은 호루라기(30)로 구성된다, 호루라기(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도입되는 입구(32)와, 도입된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소리를 발생시키는 출구(34) 그리고 유입된 공기를 와동(渦動:맴돌이)시키는 와류실(36)과, 와류실(36)에서 회전되면서 출구(34)를 간헐적으로 막아 소리를 단속하는 볼(38)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피측정자가 불대(20)의 입구(22)를 통하여 공기를 불면, 도입된 공기는 출구(24)로 배출되면서 호루라기(30)의 입구(32)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출구(34)를 통하여 배출되면서 호루라기 소리는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호루라기 소리가 발생되는가 또는 발생되지 않는 가의 여부에 따라 피측정자가 불대(20)에 공기를 불어넣었는지 또는 불어넣지 않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는 풍력 확인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다른 실시예의 풍력 확인수단은 상술한 실시예의 호루라기 (30)를 대신하여 불대(20)의 출구(24)에 피리(40)를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피리 (40)는 상술한 실시예의 호루라기(30)와는 달리 지속적인 소리를 발생하여 피측정자가 적은 공기량을 불어넣어도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도 5에는 풍력 확인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또 다른 실시예의 풍력 확인수단은 상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불대(20)의 출구(24)에 스파이럴 튜브(spiral tube:50)를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스파이럴 튜브(50)는 도입되는 공기에 의해 '─'형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공기가 도입되는 입구(52)와, 도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54)를 갖추고 있다. 물론, 입구(52)는 불대(20)의 출구(24)와 연통된다. 이러한 스파이럴 튜브(50)는 평소에는 감겨져 있으면서 입구(52)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도 5에서의 이점쇄선에서와 같이 '─'형으로 펼쳐지면서 피측정자가 불대(20)에 공기를 불어넣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6에는 풍력 확인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또 다른 실시예의 풍력 확인수단은 불대(20)의 출구 (24)에 휨변형이 자유로운 다수의 띠(60)가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띠(60)는 불대 (20)의 출구(2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으로 흩날리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평소에는 아래로 늘어져 있으면서 불대(20)의 출구(24)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면, 도 6에서의 이점쇄선에서와 같이 흩날려 피측정자가 불대(20)에 공기를 불어넣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7에는 풍력 확인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또 다른 실시예의 풍력 확인수단은 불대(20)의 출구 (24)에 캡(70)이 힌지축(7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캡(70)은 출구(24)의 외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평소에는 출구(24)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캡(70)은 불대(20)의 출구(24)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면, 도 7에서의 이점쇄선에서와 같이 출구(24)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피측정자가 불대(20)에 공기를 불어넣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8에는 풍력 확인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단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또 다른 실시예의 풍력 확인수단은 불대(20)의 출구 (24)에는 상기 출구(24)와 연통되는 투명 수직관(80)을 설치하고, 투명 수직관(80)의 내부에는 부상체(82)가 수직관(80)의 내부를 따라 상하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특히, 수직관(80) 내부의 부상체(82)는 출구(2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부로 부상하게 구성되는데, 이러한 부상체(82)의 상승에 따라 피측정자가 불대(20)에 공기를 불어넣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부상체 (82)는 야간에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투명 수직관 (80)에는 부상체(82)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돌기(84)들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피측정자가 불대(20)에 공기를 불어 넣음에 따라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거나 또는 튜브(50)가 펼쳐지거나 또는 띠(60)가 흩날리거나 또는 캡(70)이 개방되는 등 여러가지 방법을 통하여 피측정자가 불대(20)에 공기를 불어넣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피측정자가 불대 (20)에 공기를 불어넣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피측정인과 측정인과의 마찰요인을 사전에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주 측정기는 피측정자가 불대에 공기를 불어 넣음에 따라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거나 또는 튜브가 펼쳐지거나 또는 띠가 흩날리거나 또는 캡이 개방되는 등 여러가지 방법을 통하여 피측정자가 불대에 공기를 불어넣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피측정자가 불대에 공기를 불어넣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피측정인과 측정인과의 마찰요인을 사전에 제거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입구와 출구와 바이패스 통로를 갖는 불대와, 바이패스 통로로 도입된 공기를 검출하는 알코올 농도 측정장치와, 측정된 알코올 농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음주 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불대(20)의 입구(22)는 상기 불대(20)를 물지 않고도 많은 량의 공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외측을 향해 점차 확대되며, 상기 불대(20)의 출구 (24)에는 상기 입구(22)로부터 공기가 도입되어 배출되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풍력 확인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측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확인수단은 상기 불대(20)의 출구(2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확인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호루라기(30) 또는 피리(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측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확인수단은 상기 불대(20)의 출구(2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펼쳐지는 스파이럴 튜브(50) 또는 공기에 의해 흩날리는 띠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측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확인수단은 상기 불대(20)의 출구(2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출구(24)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불대(20)의 출구(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캡(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측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확인수단은 상기 불대(20)의 출구(24)와 연통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투명 수직관(80)과, 상기 투명 수직관(80)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불대(20)의 출구(2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부로 부상하도록 구성된 부상체(8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 측정기.
KR2020010019305U 2001-06-27 2001-06-27 음주 측정기 KR200246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05U KR200246896Y1 (ko) 2001-06-27 2001-06-27 음주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305U KR200246896Y1 (ko) 2001-06-27 2001-06-27 음주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896Y1 true KR200246896Y1 (ko) 2001-10-17

Family

ID=73066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305U KR200246896Y1 (ko) 2001-06-27 2001-06-27 음주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8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506A (ko) * 2002-06-21 2003-12-31 안상희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506A (ko) * 2002-06-21 2003-12-31 안상희 음주측정기의 측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16092A1 (en) Self-purging, air-stabilizing, illuminated collection system for breath analysis
ES2920151T3 (es) Nebulizador inteligente
US6003257A (en) Floor sign device
US20100063409A1 (en) Interactive alcometry
KR200246896Y1 (ko) 음주 측정기
KR101007519B1 (ko) 음주측정기
JPH10509891A (ja) ピークフローメータ
JP2008170156A (ja) 呼気分析システム
CN101221190A (zh) 用于呼气分析的自排空、空气稳定、照明式收集系统
KR101509723B1 (ko) 스마트 디바이스용 호흡측정 인터페이스 장치
KR101519462B1 (ko) 음주측정기
KR200465606Y1 (ko) 음주측정기용 불대
CN106251466A (zh) 一种带图像识别功能的便携式光感验钞机
KR200287049Y1 (ko) 1회용 음주측정기
AU2007200045A1 (en) Self-purging, air-stabilizing, illuminated collection system for breath analysis
KR100365826B1 (ko) 음주운전 알콜 측정장치
CN216594766U (zh) 一种基于ndir原理的呼气式酒精检测仪
KR100998217B1 (ko) 음주측정기
KR200142274Y1 (ko) 음주측정기용 불대
KR200287005Y1 (ko) 음주측정기가 장착된 은용액제조기
KR200344255Y1 (ko) 오차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냄새 측정기
JP3594722B2 (ja) 換気量測定器
KR102303782B1 (ko) 자동차 운전석 핸들에 구비되는 혈중 알콜농도 센서 장치
CN209727955U (zh) 一种汽车用酒驾监测辅助装置
KR20180078671A (ko) 구취 밀폐 감지 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