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076A -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076A
KR20030097076A KR1020020034229A KR20020034229A KR20030097076A KR 20030097076 A KR20030097076 A KR 20030097076A KR 1020020034229 A KR1020020034229 A KR 1020020034229A KR 20020034229 A KR20020034229 A KR 20020034229A KR 20030097076 A KR20030097076 A KR 20030097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iscosity
tetrasodium pyrophosphate
cosmetic composition
ov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9287B1 (ko
Inventor
박경주
윤광찬
유권종
심규식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2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도안정성이 우수하며 동시에 발림성 및 색감 표현력이 우수한 수분산형 아이라이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를 응용하여 시간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가 없는 것은 물론, 색감 및 내수성, 발림성이 우수한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EYE MAKE-UP CONPOSITION}
본 발명은 피부표면에 고르고 깨끗하게 발리며, 오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도 상승이 없는 내용물의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부드럽고 매끄러운 발림성은 물론 내수성과 색감표현력도 우수한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샤도우 및 아이브로우와 같은 수분산 제형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중 특히 아이라이너와 마스카라의 경우, 여러 가지 점증제와 색소, 아크릴계 공중합체, 그 외 다수의 원료들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곳에서 원료 및 공정, 처방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간경과에 따른 점도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유기산이나 소듐헥사메타포스페이트와 같은 물질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산의 경우 그 사용량이 많아야 이러한 효과를 발휘하며, 소듐헥사포스페이트의 경우 점도 증가 방지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안정도에 문제가 있어 다루기가 힘든 단점이 있다.
일부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른 점도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색소를 처리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점증제의 종류도 다양하게 하여 점도의 변화를 조정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성분들의 조성 변화가 점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사용감 및 안정도에 관한 여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아이메이크업 조성물의 문제점은 내용물에 점도 상승 외에 용기와 사용자들의 습관과 주변 환경 등 많은 외부 조건과 부재자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외부조건을 배제하고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만의 문제점 해결에 초점을 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제품 중 아이라이너를 중점으로 연구를 거듭한 결과, 우수한 흑색도와 사용감, 내수성을가지며 동시에 점도 변화가 없는 내용물의 안정성도 만족시키는 아이라이너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를 이용하여 점증제로 인한 점도가 상승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점증제인 산탄검과 벤토나이트를 적절하게 배합하면 적당한 점도와 우수한 사용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 안정성 및 색감표현이 우수하며, 내수성과 발림성이 우수한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의 성분비와 점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교실시예 3과 실시예 4와 5의 점도를 도시하는 그래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형 아이라이너 조성물은 점증제로 인한 점도의 상승을 억제시켜주기 위해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3% 수용액)의 함량이 0.5 내지 1.5 중량%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작용은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가 수용액에서 이온으로 존재하여 점증제(산탄검, 벤토나이트)의 가교결합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점도를 이루기 위해 정렬된 구조를 일부 변형시킴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 상승을 억제할 것으로 판단되어 사용하였다. 즉, 점증제의 양전하와 음전하를 가지는 판상면의 양전하부분에 피로포스페이트 음이온이 존재하여 강한 가교결합을 변형시키는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피로포스페이트 외의 다른 포스페이트 이온(소듐헥사메타포스페이트 등)이나 유기산(소듐시트레이트 등)을 사용하여 보았으나 피로포스페이트가 다루기도쉽고 음이온의 크기도 크지 않아 본 발명대로 적절한 양을 사용하면 안정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내지 5 및 비교실시예 1내지 3)
하기 표에 나타나 있는 성분 및 성분비(중량%)로 수분산 화장품 메이컵 화장료를 제조하고 점도를 측정하였다.
표 1은 0 내지 2 중량% 성분비의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3%)외의 성분은 모두 동일하며 실험 조건 및 공정도 동일하게 하였다.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3%)는 정제수를 용매로 하고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 성분이 3%인 수용액이다.
점도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내용물 200ml를 25℃ 항온조에 1일 보관한 후 점도 측정 장치인 BROOKFIELD DV-I + VISCOMETER로 측정하였다.
안정도는 50℃ 항온조에 넣은 후 분리되는 시간에 따라 3일 미만일 경우 "하", 3일 이상이상 15일 미만일 경우 "중", 15일 이상 견딜 경우 "상"의 판단기준으로 측정하였다.
[표 1]
비교실시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실시예 2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폴리솔베이트 20 0.50 0.50 0.50 0.50 0.50
3 소듐올레핀말레닉에시드 1.00 1.00 1.00 1.00 1.00
4 1.3-부틸렌글리콜 3.00 3.00 3.00 3.00 3.00
5 글리세린 3.00 3.00 3.00 3.00 3.00
6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3%) ?? 0.50 1.00 1.50 2.00
7 산화철 15.00 15.00 15.00 15.00 15.00
8 실리카 1.00 1.00 1.00 1.00 1.00
9 산탄검 0.24 0.24 0.24 0.24 0.21
10 벤토나이트 0.60 0.60 0.60 0.60 0.54
11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35.00 35.00 35.00 35.00 35.00
12 에틸알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3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점도 (1 day) 4620 4150 3880 3630 3440
안정도
<제조방법>
1) 성분 1~10을 각각 평량한 후 호모믹서로 분산시켰다.
2) 상기 1)에 성분 11을 가하고, 호모믹서로 분산시켰다.
3) 상기 2)에 성분 12 ~ 13을 호모믹서로 분산시켜 리퀴드 아이라이너 내용물을 제조하였다.
도1은 표 1의 결과를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의 성분비와 점도와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비교실시예 1은 아이라이너 대표적인 처방으로 발림성과 내수성이 우수한 반면에 색감표현력이 약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도가 차츰 증가하는 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를 첨가하였다. 먼저 시간경과에 따른 점도변화를 시험하기 전에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의 함량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상기 표 1과 도1의 결과에서 보면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 성분비에 따라 비슷한 간격으로 점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실시예 1과 2는 실시예 1 ~ 3에 비해 안정도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실시예 1 ~ 3은 안정도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3%)는 성분비가 0.5 ~ 1.5 중량% 범위를 벗어나면 점도증가 방지 효과가 저하되고 안정도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실시예 1 ~ 3까지의 점도와 안정도 결과를 바탕으로 하기 표 2의 조성을 가지는 아이라이너를 제조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점도변화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여기서 배합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비교실시예 3은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를 사용하지 않았으며 실시예 4과 5는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3%)를 1.00 중량%를 사용하고 흑색안료인 산화철의 함량과 점증제의 양을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산화철의 함량은 흑색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였고 이로 인하여 점도가 높지 않고 적당한 점도를 나타내기 위해서 점증제의 양을 조절하였다.
[표 2]
비교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2 폴리솔베이트 20 0.50 0.50 0.50
3 소듐올레핀말레닉에시드 1.00 1.00 1.00
4 1.3-부틸렌글리콜 3.00 3.00 3.00
5 글리세린 3.00 3.00 3.00
6 테트라소듐파이로포스페이트 ?? 1.00 1.00
7 산화철(1) 15.00 19.00 16.00
8 실리카 1.00 1.00 1.00
9 산탄검 0.24 0.21 0.24
10 벤토나이트 0.60 0.54 0.60
11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1) 25.00 25.00 25.00
12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2) 10.00 10.00 10.00
13 에틸알콜 적량 적량 적량
14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점도 (1 day) 4220 3950 4460
안정도
<제조방법>
1) 성분 1 ~ 10을 각각 평량한 후 호모믹서로 분산시켰다.
2) 상기 1)에 성분 11 ~ 12를 가하고, 호모믹서로 분산시켰다.
3) 상기 2)에 성분 13 ~ 14를 호모믹서로 분산시켜 리퀴드 아이라이너 내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pH에 따라 안정성 등에 차이가 있게 되는데, pH가 6.0~8.0일 때가 가장 안정적이다. 이는 피부 안전성을 고려한 pH에 적합한 값으로 pH가 5.0 이하이거나 8.0 이상이면 시간경과에 따라 상기 물질들이 해리가 일어나고, 내용물에서는 안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표 2의 비교실시예 3과 실시예 4과 5 모두 이점을 고려하여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pH를 6.5 ~ 7.5 가 되게 조절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비교실시예 3과 실시예 4와 5의 아이라이너 내용물을 취하여 점도를 60일 동안 측정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 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상기 표 2에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점도변화 비교시험
상기에서 제조한 비교실시예 3과 실시예 4와 5의 리퀴드 아이라이너 내용물을 200ml 플라스틱 용기에 취하여 24시간동안 25℃ 항온조에 방치한 후 점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도2는 비교실시예 3과 실시예 4와 5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과 5는 비교실시예 3에 비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점도 상승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과 5는 50℃에서 안정도가 우수하며 그 외 실온, 25℃, 37℃, 45℃ 항온조에서도 15일 이상 안정도을 확인한 결과 내용물의 분리 및 침전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시험예 2)
상기에서 제조한 비교실시예 3과 실시예 4와 5의 리퀴드 아이라이너 내용물을 사용하여 제품효과를 비교하였다. 즉, 20 ~ 45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실시예 제품을 15일동안 사용하게 한 후, 지속성, 발림성, 내수성, 눈에 대한 부담감, 건조속도, 색감표현력들을 5점 만점으로 평가하게 하고, 그 평균값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비교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지속성 (내수성) 3.77 4.84 4.64
발림성 3.21 4.33 4.69
눈에 대한 부담감 4.47 4.50 4.53
건조속도 3.70 4.10 3.84
번짐 3.50 4.50 4.32
색감 표현력 3.98 4.88 4.51
상기 표 3에서 보면, 실시예 4와 5를 비교실시예 3과 비교한 결과, 산화철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4가 색감 표현력과 건조속도가 좋으며 발림성은 안료 함량이 낮은 실시예 5가 우수하였다. 전체적으로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와 흑색안료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4가 내수성, 건조속도, 색감 표현력 등의 사용감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전하를 가지는 무기이온이 점증제로 인해 발생되는 시간 경과에 따라 점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억제시켜 주며, 우수한 안정성 및 사용감, 내수성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수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시간 경과에 따른 내용물 점도 상승에 따른 굳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으며 눈에 대한 부담감이 적게 해 준다.
이런 효과는 아이라이너를 비롯한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해당되는 것이다.

Claims (2)

  1. 점도 증가 방지 및 안정성 개선제로서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소듐피로포스페이트는 0.5 ~ 1.5 중량% (3% 수용액일 경우의 함량)인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02-0034229A 2002-06-19 2002-06-19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459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229A KR100459287B1 (ko) 2002-06-19 2002-06-19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229A KR100459287B1 (ko) 2002-06-19 2002-06-19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076A true KR20030097076A (ko) 2003-12-31
KR100459287B1 KR100459287B1 (ko) 2004-12-03

Family

ID=3238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229A KR100459287B1 (ko) 2002-06-19 2002-06-19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2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9492A (en) * 1984-05-09 1987-06-02 Schwan-Stabilo Schwanhausser Gmbh & Co. Cosmetic stick for a powder pencil
US5017367A (en) * 1984-10-01 1991-05-21 Stojkoski Radmila G Skin treatment preparation
JPS624216A (ja) * 1985-07-01 1987-01-10 Shiseido Co Ltd パツク化粧料
JPH06336413A (ja) * 1993-03-31 1994-12-06 Shiseido Co Ltd 発熱パック化粧料
FR2729077A1 (fr) * 1995-01-05 1996-07-1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sous forme d'une pate souple et procede de pr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9287B1 (ko)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8368B2 (en) Use of acrylic comb copolymers as a colour developing agent in cosmetic compositions
KR1012278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6423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91370A (ko)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2494357A (zh) 一种粉末粘合剂和化妆品
KR20100128835A (ko) 지속성이 우수한 방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JP5791424B2 (ja) 水性化粧料組成物
KR20090114884A (ko) 필름형성제를 함유하는 셀프 태닝용 눈화장료 조성물
KR100459287B1 (ko) 수분산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9640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2486503B1 (ko) 컬처짐을 보완한 투명 마스카라
EP3777823A1 (en) Pigment dispersion liquid for cosmetic compositions, and aqueous liquid cosmetic composition using same
CN109381365A (zh) 含甘草酸二钾的增稠剂组合物
KR101338535B1 (ko) 입술 화장료 조성물
CN107648071A (zh) 一种轻盈不含蜡的睫毛膏及其制备方法
KR20090054635A (ko) 가교 고분자를 이용한 아이섀도 화장료 조성물
KR101472315B1 (ko) 헥토라이트, 미세 분쇄 안료를 함유하는 크림형태의 아이라이너 화장료 조성물
KR102575778B1 (ko) 고함량의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된 저점도 수중유형 조성물
KR20150108193A (ko) 겔 타입의 아이라이너 조성물
KR101922470B1 (ko) 셀프태닝용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KR100530839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EP3766476A1 (en) Pigment dispersion liquid for cosmetic compositions, and aqueous liquid cosmetic composition using same
KR100307803B1 (ko) 전처리 활성탄을 함유하는 수분산 제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8113A (ko)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126031B1 (ko) 지속성이 우수한 롱래시 마스카라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