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933A -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6933A
KR20030096933A KR1020020034035A KR20020034035A KR20030096933A KR 20030096933 A KR20030096933 A KR 20030096933A KR 1020020034035 A KR1020020034035 A KR 1020020034035A KR 20020034035 A KR20020034035 A KR 20020034035A KR 20030096933 A KR20030096933 A KR 20030096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information
server
terminal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근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오형근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형근, 김영진 filed Critical 오형근
Priority to KR1020020034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6933A/ko
Publication of KR20030096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93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을 통해 애완동물의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를 애완동물의 주인에게 제공하고 분실한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를 통신상의 각 매체에 전파 및 공유하여 분실 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신고를 접수하며 애완동물 관련 신상품의 정보를 안내하는 등 통신이용자들에게 애완동물 사육에 필요한 체계적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pet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진료기록 조회와 분실 애완동물 찾기 및 애완동물 관련 상품정보 제공 등 애완동물 사육에 필요한 관리 서비스를 통신을 통해 제공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은 사람과 가까이 생활을 하기 시작한 기원전에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오랫동안 사람과 가장 가까이 함께 해 오면서 사람과 더불어 호흡해온 동반자 같은 존재가 되었다.
이렇게 사람과 함께 하면서 사람의 정서에 많은 영향을 끼치며 가족의 구성원 속에 포함이 되다보니 최근에는 동료나 친구의 의미인 반려동물이라는 표현으로 불리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근래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동물병원이 호황을 누리고 소위 애견카페라는 업종까지 성업중이며 백화점과 할인매장들은 애완동물용 옷 악세서리 먹이 놀이기구 등을 파는 특별코너를 경쟁적으로 개설하고 있을 정도로 애완동물 관련 시장규모가 급속히 팽창되고 있다.
이러한 세태에 따라 최근에는 인터넷(Internet) 상에 애완동물 사이트가 수없이 만들어지고 애완동물 관련 인터넷 방송국까지 개설되어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상기한 인터넷 상의 애완동물 사이트 및 인터넷 방송국은, 애완동물을 기르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최근 급속도로 커지고 있는 애완동물 시장 규모에 걸맞게 애완동물을 기르는데 필요한 체계적인 관리 서비스는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신을 통해 애완동물의 진료기록 조회와 분실 애완동물 찾기 및 애완동물 관련 상품정보 제공 등 애완동물 사육에 필요한 체계적인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인식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각 하드웨어간의 데이터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웹서버 110: 데이터베이스 서버
120: 데이터베이스 130: 메일서버
140: 통합메시징 서버 150: 구내통신망
200: 이용자 단말 300: 동물병원 단말
310: RF 리더 400: 동호회 서버
500: 쇼핑몰 서버 N: 정보통신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애완동물의 식별정보가 수록된 기억소자가 내장된 인식표와, 상기 인식표의 기억소자로부터 애완동물의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로부터 읽어들인 애완동물의 식별정보와 함께 애완동물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관리 서비스업체로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애완동물의 식별정보에 따라 그와 함께 전송되어온 애완동물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더불어 이를 애완동물의 주인에게 전송하는 관리 서비스업체의 서버와, 상기 관리 서비스업체의 서버로부터 애완동물의 주인에게 전송되어오는 애완동물 관련 정보를 수신받는 제2 단말 및, 상기 각 단말 및 서버 간에 데이터통신을 매개하는 정보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방법은, 애완동물의 식별정보와 애완동물의 정보와 애완동물의 주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텝과, 애완동물의 인식표에 내장되어 있는 기억소자에 애완동물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스텝과, 상기 인식표의 기억소자로부터 애완동물의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애완동물의 식별정보와 그 애완동물에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제1 단말로부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어온 애완동물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텝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애완동물의 정보 중 어느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웹서버(100)와 데이터베이스서버(110)와 데이터베이스(120)와 메일서버(130)와 통합메시징 서버(140)와 구내통신망(150)과 복수의 이용자 단말(200)과 복수의 동물병원 단말(300)과 복수의 동호회 서버(400)와 복수의 쇼핑몰 서버(500)와 복수의 보험사 서버(600) 및 정보통신망(N)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웹서버(Web Server)(100)는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접속하는 각 단말(200, 300) 및 서버(400∼600)에 대해 웹사이트에 개재되는 웹문서를 제공하고 각 단말(200, 300) 및 서버(400∼600)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서버(110)로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110)(이하, "DB 서버"라 약칭함)는 각 애완동물의 식별자와 애완동물의 정보와 애완동물 주인의 정보와 진료 및 보험관련 기록 및 애완동물 주인의 상품 선호도 및 신상품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120)(이하, "DB"라 약칭함)를 관리한다.
일예로, 상기 데이터베이스(120)의 개략적인 구조는 하기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표 1]
애완동물의 식별자(ID) 값
애완동물에 관한 기초정보
애완동물에 관한 부가정보
애완동물의 주인에 관한 기초정보
애완동물의 주인에 관한 부가정보
진료 관련 데이터, 보험관련 데이터
기타 정보 (선호상품정보,구매상품정보,카드사연계데이터)
상기 메일서버(130)는 웹서버(100) 및 DB 서버(11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전자메일에 수록하고 전달할 정보가 수록된 전자메일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각 단말(200, 300) 및 서버(400∼600)로 전송한다.
상기 통합메시징 서버(140)(Unified Messaging System server; 이하, "UMS 서버"라 약칭함)는 웹서버(100) 및 DB 서버(11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휴대전화 단말기나 개인휴대 단말기와 같은 이동통신 기기에서 수신 가능한 메시지로 변환하여 이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구내통신망(150)은 웹서버(100)와 DB 서버(110)와 메일서버(130) 및 UMS 서버(140)를 연결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망으로, 예컨대, 상기한 구내통신망(150)은 LAN(Local Area Network)일 수 있고 허브(Hub)와 같은 접속중계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내통신망(15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웹서버(100)와 DB 서버(110)와 메일서버(130) 및 UMS 서버(140)를 정보통신망(N)에 접속시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도록 매개하는 네트워크 접속장치가 설치되는데, 예컨대, 상기한 네트워크 접속장치로는 CSU(Channel Service Unit) 또는 DSU(Digital Service Unit)등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라우터(router)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용자 단말(200)은 애완동물의 주인인 이용자가 정보통신망(400)을 매개로 웹서버(100) 및 동호회 서버(400) 및 쇼핑몰 서버(500)에 접속하여 데이터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로서, 이러한 이용자 단말(200)은 개인용 컴퓨터 단말기(Personal Computer; "PC")이거나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또는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기종의 휴대전화 단말기(HP)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한 개인용 컴퓨터 단말기와 개인정보 단말기 및 휴대전화 단말기를 모두 사용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동물병원 단말(300)은 동물병원에 설치되어서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에 접속해 애완동물의 식별자와 진료기록 및 애완동물 주인의 선호도 등의 정보를 입력하고 메일서버(130)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전자메일을 수신하는 컴퓨터 단말장치이다.
여기서, 동물병원 단말(300)에는 무선주파수 신호(Radio Frequency Signal; 이하, "RF 신호"라 약칭함)에 의하여 애완동물의 인식표(IT)로부터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RF 리더기(310)가 설치된다.
상기한 애완동물의 인식표(IT)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의 몸에 착용케 되는데, 이 인식표(IT)에는 그 표면에 애완동물 고유의 식별자(Identifier; "ID")가 새겨져 있고 상기한 애완동물 고유의 식별자가 디지털데이터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집적회로 칩(Integrated circuit chip)이 내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표(IT)에 내장되는 집적회로 칩은 RF 신호에 의해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데이터를 상기한 RF 리더기(310)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는 RF 통신방식의 집적회로 칩이다.
상기 동호회 서버(400)는 정보통신망(N) 상에 애완동물과 관련된 동호회의 웹사이트를 게시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이고, 상기 쇼핑몰 서버(500)는 정보통신망(N) 상에 웹사이트를 게시하여 이 웹사이트를 통해 애완동물과 관련된 상품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전자상거래용 컴퓨터 장치이다.
상기 보험사 서버(600)는 애완동물 주인인 이용자에게 애완동물의 분실 또는 사망 시에 약정된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보험사에서 웹서버(100) 또는 DB 서버(110)로부터 애완동물 및 그 주인의 정보를 제공받고 피보험인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컴퓨터 장치이다.
상기 정보통신망(N)은 웹서버(100)와 데이터베이스서버(110)와 데이터베이스(120)와 메일서버(130)와 통합메시징 서버(140)와 구내통신망(150)과 복수의 이용자 단말(200)과 복수의 동물병원 단말(300)과 복수의 동호회 서버(400)와 복수의 쇼핑몰 서버(500) 및 복수의 보험사 서버(600)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망으로, 유선 및 무선망을 모두 포함하며, 예컨대, 인터넷(internet)이거나 부가가치통신망(Value Aided Network; "VAN") 또는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서버(100, 110, 130, 140, 400, 500, 600) 및 각 단말(200, 300)은 도시되지 않은 메인프로세서와 네트워크어댑터와 디스플레이 어댑터와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등 컴퓨터시스템의 통상적인 하드웨어와, 운영체계(Operating System)를 포함하며, 이러한 사항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주지관용의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는, 크게 a) 동물병원을 통한 애완동물의 진료기록을 관리하고 애완동물의 주인에게 통지하는 애완동물 진료 관리 서비스와, b) 애완동물의 분실 시 분실된 애완동물의 정보를 각 매체로 전파하고 분실된 애완동물의 습득신고를 접수받아 사실여부를 확인하고 애완동물의 주인에게 통지하는 애완동물 분실 관리 서비스와, c) 애완동물과 관련된 온/오프라인의 쇼핑몰로부터 수집되는 신상품의 정보를 애완동물의 주인에게 제공하는 애완동물 관련 상품정보 제공서비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서비스 이외에 부수적으로 d) 진료내역을 활용한 분실보험 및 사망보험 연계서비스와, e) 애완동물관련 분양 사업 서비스가 제공된다.
먼저, 애완동물 진료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진료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는 회원의 애완동물은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식표(IT)를 소지하고 있는 바, 동물병원에서는 진료 시에 애완동물이 착용하고 있는 인식표(IT)로부터 해당 애완동물 고유의 식별자(ID)를 RF 리더(310)를 통해 동물병원 단말(300)로 읽어 들인다(S10).
그리고, 동물병원에서는 동물병원 단말(300)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에 접속하고 동물병원의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로그인(Log in)을 수행한다(S20).
로그인이 승인되면 동물병원에서는 동물병원 단말(300)로 해당 애완동물의 진료기록을 입력하여 이 입력된 진료기록을 상기 스텝(S10)에서 읽어들인 애완동물의 식별자(ID)와 함께 동물병원 단말(300)로부터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로 전송한다(S30).
웹서버(100)에서는 동물병원 단말(300)로부터 전송되어온 애완동물의 식별자(ID)와 진료기록을 DB 서버(110)로 전달하고(S40), DB 서버(110)에서는 웹서버(100)로부터 전달받은 애완동물의 식별자(ID)와 진료기록을 DB(120)에 저장한다(S50).
이와 더불어 DB 서버(110)에서는 상기 스텝(S50)에서 진료기록을 전달받은 애완동물의 식별자(ID)에 의해 DB(120)에서 해당 애완동물의 주인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애완동물 주인의 이용자 단말(200)에 대한 네트워크 상의 주소(예컨대, 전자메일 주소 또는 휴대전화 번호 등)를 읽어낸다.
상기 읽어낸 이용자 단말(200)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에 따라 DB 서버(110)에서는 애완동물의 식별자(ID) 및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 및 이를 전송할 대상인 이용자 단말(200)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를 메일서버(130) 또는 UMS 서버(140)으로 전달한다(S60, S65).
메일서버(130)에서는 DB 서버(110)로부터 애완동물의 식별자(ID) 및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 및 이를 전송할 대상인 이용자 단말(200)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애완동물의 식별자(ID) 및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를 전자메일에 수록하고 이 전자메일을 상기 전달받은 이용자 단말(200)의 주소에 따라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이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70).
UMS 서버(140)에서는 DB 서버(110)로부터 애완동물의 식별자(ID) 및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 및 이를 전송할 대상인 이용자 단말(200)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애완동물의 식별자(ID) 및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를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형태로서 이동통신시스템을 매개로 이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75).
또한, 메일 서버(130)에서는 DB 서버(110)의 제어에 따라 애완동물의 식별자(ID) 및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전자메일을 각 동호회의 서버(400)로 전송한다(S80).
메일 서버(130)로부터 애완동물의 식별자(ID) 및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전자메일을 전달받은 동호회에서는 웹사이트를 통해 상기 애완동물의 식별자(ID)와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를 게시함으로써, 애완동물의 주인이 동호회의 웹사이트를 통해 자신의 애완동물에 대한 진료 이력을 확인케 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동호회의 회원들끼리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애완동물의 주인인 이용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200)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해 로그인을 수행함으로써(S90), 웹서버(100)에 게시되어 있는 자신의 애완동물에 대한 진료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S100).
또한, 이용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200)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동호회의 서버(400)에 접속하여 자신의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해 로그인을 수행함으로써(S110), 동호회에 게시되어 있는 자신의 애완동물에 대한 진료기록을 열람할 수 있다(S120).
다음으로는, 애완동물 분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용자는 애완동물을 분실한 경우 자신의 이용자 단말(200)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웹사이트를 통해 애완동물의 분실 내역을 전송한다(S210).
상기 이용자 단말(200)로부터 웹서버(100)로 전송받은 애완동물의 분실 내역은 웹서버(100)로부터 DB 서버(110)로 전달되고(S220), DB 서버(110)에 의해 DB(120)에 저장된다(S230).
DB 서버(110)에서는 DB(120)에서 각 동물병원 및 각 동호회의 전자메일 주소를 검색하여 검색된 각 동물병원 및 각 동호회의 전자메일 주소와 애완동물의 분실 내역을 메일 서버(130)로 전달한다(S240).
메일서버(130)에서는 DB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애완동물의 분실내역을전자메일에 수록하고 DB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각 동물병원 및 각 동호회의 전자메일 주소에 따라 상기 분실내역이 수록된 전자메일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각 동물병원의 단말(300) 및 동호회의 서버(400)로 전송한다(S250, S255).
메일 서버(130)로부터 애완동물의 분실내역이 수록된 전자메일을 전달받은 동호회에서는 웹사이트를 통해 상기 애완동물의 분실내역에 대한 정보를 게시함으로써, 동호회의 회원들이 분실된 애완동물을 발견한 경우 이를 신고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다(S260).
각 동물병원에서는 분실신고가 접수된 애완동물을 발견한 경우 동물병원 단말(300)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분실 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사실을 신고한다(S270).
각 동호회에서는 회원들로부터 분실 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신고가 접수되면 동호회의 서버(400)를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분실 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사실을 신고한다(S280).
분실 애완동물의 주인이거나 타 회원들 중 분실 애완동물을 발견한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200)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분실 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사실을 신고한다(S290).
분실 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신고가 웹서버(100)로 접수되면 관리 담당자는 온/오프라인의 경로를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하여 분실 애완동물의 발견신고에 대한 확인내역을 웹서버(100)로부터 DB 서버(110)로 전달한다(S300).
상기 웹서버(100)로부터 DB 서버(110)로 전달된 분실 애완동물의 발견신고에대한 확인내역은 DB 서버(110)에 의해 DB(120)에 저장되고(S310), DB 서버(110)에서는 DB(120)에서 분실애완동물 주인과 각 동물병원 및 각 동호회의 전자메일 주소를 검색하여 검색된 분실애완동물 주인과 각 동물병원 및 각 동호회의 전자메일 주소와 분실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신고의 확인내역을 메일 서버(130)로 전달한다(S320).
이와 더불어 DB 서버(110)에서는 DB(120)에서 분실애완동물 주인의 이용자 단말(200)에 대한 네트워크 상의 주소 중 이동통신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검색된 분실애완동물 주인의 이동통신 전화번호와 분실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신고의 확인내역을 UMS 서버(140)로 전달한다(S325).
메일서버(130)에서는 DB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분실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신고의 확인내역을 전자메일에 수록하고 DB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분실애완동물의 주인과 각 동물병원 및 각 동호회의 전자메일 주소에 따라 상기 분실내역이 수록된 전자메일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분실애완동물의 주인이 소유한 이용자 단말(200)과 각 동물병원의 단말(300) 및 동호회의 서버(400)로 전송한다(S330∼S338).
메일 서버(130)로부터 분실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신고의 확인내역이 수록된 전자메일을 전달받은 동호회에서는 웹사이트를 통해 상기 분실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신고의 확인내역에 대한 정보를 게시함으로써, 동호회의 회원들이 분실된 애완동물의 발견사실과 이에 대한 확인결과에 대한 정보를 공유케 한다(S340).
UMS 서버(140)에서는 DB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분실애완동물 주인의 이동통신 전화번호에 따라 DB 서버(110)로부터 전달받은 분실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신고의 확인내역을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형태로서 이동통신시스템을 매개로 이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350).
다음으로, 애완동물 관련 상품정보 제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휴관계에 있는 동물병원에서는 애완동물 주인의 애완동물관련 선호상품을 조사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동물병원 단말(300)에 입력하고 애완동물의 인식표(IT)에 저장되어 있는 애완동물의 식별자(IT)를 RF 리더(310)를 통해 읽어들인다.
동물병원에서는 동물병원 단말(300)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상기 입력된 애완동물 주인의 애완동물관련 선호상품의 정보와 애완동물의 식별자(ID)를 웹서버(100)로 전송한다(S410).
애완동물의 주인인 이용자 자신이 직접 선호상품을 등록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이용자는 이용자 단말(200)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애완동물 관련 상품과 애완동물의 식별자(ID)를 입력 전송한다(S420).
동물병원의 단말(300) 또는 이용자 단말(200)로부터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로 전송되어온 애완동물의 주인 즉, 이용자의 선호상품 정보는 그와 함께 전송되어온 애완동물 식별자(ID)와 함께 DB 서버(110)로 웹서버(100)로부터 DB 서버(110)로 전달된다(S430).
DB 서버(110)에서는 웹서버(100)로부터 전달된 이용자의 선호상품 정보를 그와 함께 전달된 애완동물 식별자(ID)에 따라 분류하여 DB(120)에 저장한다(S440).
제휴관계를 맺은 쇼핑몰에서는 애완동물에 관련된 새로운 상품이 판매되는 경우 쇼핑몰 서버(500)를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애완동물 관련 신상품 정보를 웹서버(100)로 전송하고(S450), 웹서버(100)에서는 쇼핑몰 서버(500)로부터 전송되어온 신상품 정보를 DB 서버(110)로 전달한다(S460).
또한, 오프라인(Off Line)의 쇼핑몰에서 전화나 팩스(Fax) 또는 전자메일 등을 이용해 신상품의 정보를 전달해 올 경우 관리자가 DB 서버(110)로 수작업 입력하여 오프라인 쇼핑몰에 대한 신상품의 정보를 DB(1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애완동물 관련 신상품은, 애완동물 자체일 수도 있다.
DB 서버(110)에서는 웹서버(100)로부터 전달되어온 신상품 정보를 DB(120)에 저장하고(S470), DB(12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이용자별 선호상품 정보에 따라 새로 저장된 신상품 중 각 이용자가 선호하는 신상품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DB(120)에 저장한다(S480).
예컨대, 각 이용자별로 선호하는 상품에 대한 분류코드와 쇼핑몰로부터 전송되어온 신상품의 분류코드를 매칭시킴으로써, 각 이용자가 선호하는 신상품을 선정할 수 있다.
DB 서버(110)에서는 DB(120)에서 상기 스텝(S480)에서 선정된 각 이용자별 선호하는 신상품 정보와 각 이용자별 이용자 단말(200)에 대한 네트워크 상의 주소(예컨대, 전자메일 주소 또는 휴대전화 번호 등)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한 이용자 단말(200)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에 따라 DB 서버(110)에서는 각 이용자별 선호하는 신상품 정보 및 이를 전송할 대상인 이용자 단말(200)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를 메일서버(130) 또는 UMS 서버(140)로 전달한다(S490, S495).
메일서버(130)에서는 DB 서버(110)로부터 각 이용자별 선호하는 신상품 정보 및 이를 전송할 대상인 이용자 단말(200)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신상품 정보를 전자메일에 수록하고 이 전자메일을 상기 전달받은 이용자 단말(200)의 주소에 따라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이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500).
UMS 서버(140)에서는 DB 서버(110)로부터 각 이용자별 선호하는 신상품 정보 및 이를 전송할 대상인 이용자 단말(200)의 네트워크 상의 주소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신상품 정보를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형태로서 이동통신시스템을 매개로 이용자 단말(200)로 전송한다(S510).
전자메일이나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선호하는 애완동물 관련 신상품의 정보를 제공받은 이용자는 자신의 이용자 단말(200)을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쇼핑몰의 서버(500)에 접속함으로써, 온라인 상의 쇼핑몰에 게시된 애완동물 관련 신상품을 열람 및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이용자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해당 쇼핑몰에서는 쇼핑몰 서버(500)를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웹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을 구매한 이용자의 식별자(ID) 또는 이용자의 애완동물 식별자(ID)와 상품 구입 내역 등을 전송한다.
상기 쇼핑몰 서버(500)로부터 전송되어온 상품 구입 내역은 웹서버(100)로부터 DB 서버(110)로 전달되어 DB 서버(110)에 의해 DB(120)에 저장된다.
또한, 전자메일이나 메시지를 통해 자신이 선호하는 애완동물 관련 신상품의 정보를 제공받은 이용자는 오프라인 상의 쇼핑몰에 직접 방문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애완동물 관련 신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 경우 오프라인 상의 쇼핑몰에서는 전화나 팩스(Fax) 또는 전자메일 등을 이용해 이용자의 상품구입내역을 전달하고, 관리자가 DB 서버(110)로 수작업 입력하여 오프라인 쇼핑몰에 의한 이용자의 상품구입내역을 DB(120)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진료내역을 활용한 분실보험 및 사망보험 연계서비스는, 이용자가 원하는 경우 DB(120)에 저장된 애완동물의 정보 및 진료내역과 그 애완동물의 주인에 대한 정보를 DB 서버(110)로부터 정보통신망(N)을 매개로 보험사 서버(600)로 전송함으로써, 이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애완동물 관련 분실보험 및 사망보험의 가입을 대행한다.
또한, 애완동물 관련 분양 서비스는, 애완동물 분양 사업을 하고자 하는 이용자들 및 애완동물을 분양 받고자 하는 이용자들이 애완동물 분양 관련 정보를 웹사이트를 통해 공유함으로써, 온라인상에서 애완동물 관련 분양 사업을 수행할 수있다. 물론, 웹서버(100)를 운영하는 업체 측에서 직접 애완동물 분양 사업을 주최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을 통해 애완동물의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를 애완동물의 주인에게 제공하고 분실한 애완동물에 대한 정보를 통신상의 각 매체에 전파 및 공유하여 분실 애완동물에 대한 발견신고를 접수하며 애완동물 관련 신상품의 정보를 안내하는 등 통신이용자들에게 애완동물 사육에 필요한 체계적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애완동물의 식별정보가 수록된 기억소자가 내장된 인식표와,
    상기 인식표의 기억소자로부터 애완동물의 식별정보를 읽어들이는 리더기와,
    상기 리더기로부터 읽어들인 애완동물의 식별정보와 함께 애완동물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관리 서비스업체로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어오는 애완동물의 식별정보에 따라 그와 함께 전송되어온 애완동물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더불어 이들 정보를 요구하는 단말로 전송하는 관리 서비스업체의 서버와,
    상기 관리 서비스업체로부터 상기 애완동물과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전송받는 제2 단말 및,
    상기 각 단말 및 서버 간에 데이터통신을 매개하는 정보통신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애완동물의 식별자 또는, 애완동물에 관한 정보 또는, 애완동물 주인에 관한 정보 또는, 애완동물의 진료내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애완동물의 식별자 또는, 애완동물에 관한 정보 또는, 애완동물 주인에 관한 정보 또는, 애완동물의 진료내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인식표는 애완동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애완동물의 분실내역과 발견신고 및 그에 대한 확인결과 등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애완동물 주인의 애완동물 관련 상품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보험 관리 서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애완동물에 대한 보험관련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관리 서비스업체의 서버와 상기 보험 관리 서버간에는 보험 가입 및 관리에 필요한 애완동물 및 주인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상기 서비스 관리 업체의 서버로 애완동물 관련 상품 정보를 전송하는 제3 단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개인용 컴퓨터 단말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 및 휴대전화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9. 애완동물의 식별정보와 애완동물의 정보와 애완동물의 주인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텝과,
    애완동물의 인식표에 내장되어 있는 기억소자에 애완동물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스텝과,
    상기 인식표의 기억소자로부터 애완동물의 식별정보를 읽어들이고 이 읽어들인 애완동물의 식별정보와 그 애완동물에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제1 단말로부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서버로 전송하는 스텝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어온 애완동물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스텝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애완동물의 정보 중 어느 선택된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정보통신망을 매개로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애완동물의 진료내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애완동물의 분실내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분실 애완동물의 발견사실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정보는, 애완동물 주인의 애완동물 관련 상품에 대한 선호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애완동물 관련 신상품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애완동물 관련 보험가입 요청정보와 보험가입에 필요한 애완동물 관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단말로 전송되는 정보는, 애완동물 관련 분양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방법.
  17. 제 9 항 내지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표는, 애완동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방법.
KR1020020034035A 2002-06-18 2002-06-18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96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035A KR20030096933A (ko) 2002-06-18 2002-06-18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035A KR20030096933A (ko) 2002-06-18 2002-06-18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933A true KR20030096933A (ko) 2003-12-31

Family

ID=3238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035A KR20030096933A (ko) 2002-06-18 2002-06-18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693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9387A1 (en) * 2003-09-25 2005-03-31 Hyunda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imals using internet
KR100701181B1 (ko) * 2006-03-29 2007-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끼움 결합방식의 프레임 탑이 구비되는 건조기
KR100808112B1 (ko) * 2006-06-30 2008-03-03 (주)에이펙스 솔루션 분실 애완동물 찾아주기 방법
KR20190084505A (ko) * 2018-01-08 2019-07-17 조현성 반려동물 신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66621B1 (ko) * 2020-02-19 2021-06-17 박종호 보호자정보에 기반한 동물 통합 관리서버 및 그 동물 통합 관리방법
KR20230124859A (ko) * 2021-11-03 2023-08-28 심민수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 자판기 운영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9387A1 (en) * 2003-09-25 2005-03-31 Hyundai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nimals using internet
KR100701181B1 (ko) * 2006-03-29 2007-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끼움 결합방식의 프레임 탑이 구비되는 건조기
KR100808112B1 (ko) * 2006-06-30 2008-03-03 (주)에이펙스 솔루션 분실 애완동물 찾아주기 방법
KR20190084505A (ko) * 2018-01-08 2019-07-17 조현성 반려동물 신상품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66621B1 (ko) * 2020-02-19 2021-06-17 박종호 보호자정보에 기반한 동물 통합 관리서버 및 그 동물 통합 관리방법
WO2021167367A1 (ko) * 2020-02-19 2021-08-26 박종호 보호자정보에 기반한 동물 통합 관리서버 및 그 동물 통합 관리방법
KR20210105807A (ko) * 2020-02-19 2021-08-27 박종호 보호자정보에 기반한 동물 통합 관리서버 및 그 동물 통합 관리방법
KR20220147559A (ko) * 2020-02-19 2022-11-03 박종호 보호자정보에 기반한 동물 통합 관리서버 및 그 동물 통합 관리방법
KR20230124859A (ko) * 2021-11-03 2023-08-28 심민수 애완동물 배변봉투를 제공하는 자판기 운영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591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via a network
KR102033107B1 (ko) 반려동물 위탁 수탁 중개 장치 및 그 방법
JP2008140174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ービスシステム
US20150227949A1 (en) Active feedback management system in physical world
US20060242037A1 (en) Marketing support device and marketing support method
KR20030096933A (ko) 통신을 통한 애완동물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239293B2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bulk auditing, archiving, and selling personal property of a customer
KR20070081610A (ko) 애완동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100563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information over a wide area network
JP2009223688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200201119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me center based network good
US7580865B2 (en) Customer solicitation support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server
CN102203817A (zh) 用于促进使用移动设备的本地资源供应的方法、系统和装置
JP5702619B2 (ja) ペット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ペット情報管理方法
JP7460365B2 (ja) 情報提供サーバ、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20080294736A1 (en) Electronic Mail Identification System
JP4256739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とそのサーバ装置及びこのサーバ装置で使用されるプログラム
KR100583190B1 (ko) 동물 동호인 또는 그 단체가 운영하는 인터넷 웹사이트내에서 동물진료 및 사육상담 게시판 운영방법
JP7283277B2 (ja) サーバー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707087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59109A (ko) 애완 동물 등록 관리 시스템
JP3990162B2 (ja) 見込み客獲得のためのマーケティング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052060A (ja) 介護支援システム及び通信ソフトウェア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855126B1 (ko) 정보 공유 시스템 및 정보 공유 방법
KR20020014269A (ko) 정보공유시스템 및 그의 정보공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