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455A -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6455A
KR20030096455A KR1020017015738A KR20017015738A KR20030096455A KR 20030096455 A KR20030096455 A KR 20030096455A KR 1020017015738 A KR1020017015738 A KR 1020017015738A KR 20017015738 A KR20017015738 A KR 20017015738A KR 20030096455 A KR20030096455 A KR 20030096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ystem
video
audio
displa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엘리슨줄리안고링아치데일
핸드리제임즈윌리엄
Original Assignee
레드 피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드 피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드 피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96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4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43Gateway controllers, e.g.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4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dest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8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 H04M11/085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ptional reception of entertainment or informative matter using a television receiver, e.g. viewdata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15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involving a public display, viewable by several users in a public space outside their home, e.g. movie theatre, information kio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7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telephone network, e.g. PO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Abstract

대화형 디스플레이장치는 오디오서브시스템(4), 제어서브시스템(5) 및 복수개의 비디오서브시스템들(2, 3)을 포함한다. 비디오서브시스템들(2, 3)은 이미지파일 및 라이브비디오를 구비하는 이미지데이터에 국부적으로 접근한다. 비디오서브시스템들(2, 3)은 제어서브시스템(5)에 의해 제어되며, 제어서브시스템(5)은 명령메시지들을 비디오서브시스템들(2, 3)로 전송한다. 비디오서브시스템들(2, 3)중의 하나의 디스플레이(22, 42)를 보는 사람은 오디오서브시스템(4)으로 통화하여, 비디오서브시스템(2, 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오디오명령신호의 수신을 제어서브시스템(5)에 통지한다. 시스템이 온라인되면, 제어서브시스템(5)은 비디오서브시스템(2, 3)으로 이미지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단순히 스크린들(22, 42)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들의 포맷을 셋팅하는 명령을 전송한다.

Description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Interactive display system}
[기술분야]
본 발명은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과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공공장소에서 정보의 디스플레이는 광고판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최근 수년간 광고판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지들을 전자기계식 수단에 의해 순환시키는 데까지 발전되었지만, 광고판은 본질적으로 정적이다. 발전의 또 다른 형태는, 음향 없이 텔레비젼을 위해 창작된 광고를 디스플레이하고, 정보와 스포츠 이벤트의 재연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형 비디오디스플레이의 사용이다.
이런 알려진 디스플레이장치들의 문제점은, 이미지들의 연속물(sequence)은 그것이 무엇이든 고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광고목적을 위해서는, 시청자의 주의를 끌고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만약 시청자가 고정된 이미지의 연속물의 단순한 수령자라면, 시청자는 곧 흥미를 잃고 외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은, 광역통신망을 통해 오디오통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통신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오디오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명령을 내림으로써 오디오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도록 구성된 제어서브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명령에 응답하여 이미지데이터에 의해 정의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수단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비디오서브시스템을 포함하며, 비디오서브시스템은 제어서브시스템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상기 이미지데이터는 디스플레이명령에 독립적으로 비디오서브시스템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은, 원격 디스플레이국에서 이미지데이터의 공급물을 제공하는 단계; 광역통신망을 통해 오디오통신신호를 중앙국(central station)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통신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수신된 오디오통신신호에 의거하여 중앙국에서 원격디스플레이국으로 디스플레이명령을 내리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명령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국에서, 상기 공급물의 이미지데이터에 의해 정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광역통신망의 이용은, 본 발명의 서브시스템들이 다른 관할구역들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원격제어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명령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명령에 독립적으로 비디오서브시스템에 제공되는 이미지데이터에 의해 정해지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수단, 및 호출될 수 있는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수단을 보는 사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화를 이용하여 상기 사람과 디스플레이시스템간에 상호관계가 성립되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화제어식(telephone-controlled) 대화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비디오서브시스템의 보호를 추구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광고판" 이외에도 그 응용들을 가짐이 이해될 것이다.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hed Telephone Network)과 공중육상이동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과 같은 광역통신망의 이용은, 사용자가 이동전화 또는 편리한 공중전화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시스템조작자가 비디오서브시스템에 입력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철도역과 공항의 공중전화는 흔히 어느 정도의 프라이버시를 제공하는 간단한 덮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지역에서의 공중전화구조가 디스플레이를 보는데 반드시 방해가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터넷과 같이 오디오통신을 지원하는 다른 광역통신망도 사용될 수 있다.
오디오통신신호는 DTMF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런 경우 오디오서브시스템에는 음성인식수단이 제공될 것이다.
시스템이 "온라인"인 동안, 제어서브시스템과 비디오서브시스템간에는 이미지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디스플레이명령들은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미지들 선택하고, 그것들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들을 정한다.
프레스텔(Prestel)과 같은 뷰데이터시스템(viewdata system)에서, 오디오통신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서브시스템으로부터 이미지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때, 비디오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명령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하는 국부데이터저장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것은 필수적이지 않으며, 이미지데이터는 비디오카메라 또는 텔레비전 튜너와 같은 실시간 비디오신호의 공급원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데이터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프로그램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데이터는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가 제어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변경될 수 있게 한다. 국부데이터저장수단은 고체상태메모리, 자기(magnetic) 또는 광디스크 또는 자기테이프, 또는 이것들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유익하게도, 디스플레이명령의 전송은 실시간 비디오의 전송에 불충분한 대역폭을 요구한다. 본래 실시간 비디오는 초당 20프레임이상의 프레임레이트를 갖는 비디오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명령은, 1997년 5월 이전에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했던 압축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 비디오신호가 차지하는 것보다 생각컨대 훨씬 적은 대역폭을 요구한다. 편리하게, 제어서브시스템은 ISDN접속에 의해 제공되는 것 같은 최대 64kbits/s의 비트레이트를 지원하는 통신채널에 의해 비디오서브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서브시스템과 비디오서브시스템간의 통신은 트랜잭션기반(transaction.based)보다는 세션기반(session based)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과 상당히 다른 방법으로 동작한다.
예를 들어, 전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오디오서브시스템간에 오디오채널을 개설하면, 자원(resource)은 오디오출력(audio capability)으로 비디오디스플레이를 보충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제어서브시스템은 오디오서브시스템제어명령을 내림으로써 오디오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
대형 비디오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의 문제점은 음악 또는 대화와 같은 음향을 수반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음향은 확성기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공공장소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 문제를 다룬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서브시스템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동영상이 비디오서브시스템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디스플레이명령과, 오디오서브시스템이 동영상에 수반되는 오디오신호를 광역통신망을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디오서브시스템제어명령 둘 다를 동시에 내리도록 구성된다.
오디오출력은 사용자에게 지시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비디오서브시스템들을 갖는 시스템에서, 제어서브시스템은 각 비디오서브시스템을 위한 개별의 제어처리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처리수단은, 하나의 기계에 구현된 개별적인 소프트웨어객체들 또는 다른 기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형 시스템의 경우, 복수개의 소프트웨어객체는 복수개의 기계들 각각에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이미지구성은 대응하는 서버에 의해 제어된다. 적절한 서버는 오디오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명령을 내리는 제어처리수단에 의해 이용된다.
오디오서브시스템은 복수개의 공급원으로부터의 오디오통신신호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약 그러한 시스템이 위에 언급된 오디오출력을 가지고 있다면, 오디오서브시스템은, 제어서브시스템의 제어하에서, 각 공급원에 같거나 다른 오디오신호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된 프로그램과 전화통신망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입력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및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추가로 제공되며, 여기서, 사용자입력명령은 전화다이얼링신호를 포함한다. 그러한 장치는, 사용자가 그의 전화를 이용해서 메뉴시스템을 조작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장치는 비디오게임을 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약 그러한 장치가 게임을 하기 위해서 채택되었다면, 처리수단은 전화통신망을 통해 다른 공급원들로부터 동시에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와 비디오카메라를 구비하며, 이동전화통신망에 의해 커버되는 지역에 위치한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와 비디오카메라를 구비하며, 이동전화통신망에 의해 커버되는 지역에 위치한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 비디오서브시스템들간에 비디오카메라들로부터의 신호들을 전송하는 통신수단; 이동전화기들로부터 동시에 발생하는 제 1 및 제 2전화호출을 수신하고, 상대방과 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호출들간에 오디오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오디오서브시스템을 포함하며, 이동전화기와 함께 이용하는 비디오폰시스템이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전화회로들에 대한 접속을 위한 접속수단, 오디오신호데이터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신호처리수단에 의해 동시에 생성된 오디오신호들을, 연결수단에 의해 복수개의 전화회로들에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구성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화인터페이스가 추가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스위칭수단은 접속수단에 의해 전화회로들을 서로간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위칭수단은, 한 세트의 스위칭 상태들을 정의하는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처리수단을 구비한다.
본문에서, "전화회로"는 단말장치로서 역할하는 인터페이스를 갖는 연결된 전화호출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은,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이동전화기, 및 이동전화기와 통신하는 통신수단을 구비한 처리수단을 포함하며, 여기서, 처리수단은 통신수단을 통한 이동전화기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변경한다.
바람직하게는, 처리수단은 통신수단을 통한 이동전화기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오디오신호를 통신수단을 통해 이동전화기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처리수단은, 광역통신망을 통해 오디오통신신호를 수신하고,수신된 오디오통신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오디오서브시스템; 디스플레이명령을 내림으로써 오디오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도록 구성된 제어서브시스템;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명령에 응답하여 이미지데이터에 의해 정의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비디오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시스템들은 단일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전화기에 데이터메시지를 발송(dispatch)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것은 모뎀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에 연결된 이동전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GSM통신망에 의해 제공되는 SMS서비스와 같은 이동전화통신망 메시징서비스에 의해 메시지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제어센터(1),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 및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을 포함한다. 제어센터(1)는 오디오서브시스템(4), 제어서브시스템(5) 및 관리서브시스템(6)을 포함한다. 제어서브시스템(5)은 제 1 및 제 2제어처리기들(5a, 5b)을 포함한다.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네 개의 전화선들(8)에 의해 공중전화교환망(7)에 연결되며 직접오디오공급(direct audio feed; 46)에 연결된다. 직접오디오공급(46)은 음향채널 또는 방송텔레비전신호로부터의 채널들을 포함한다. 공중전화교환망(7)은 게이트웨이이동교환센터(미도시)를 통해 기지송신소(base transmitter site; 10)를 포함하는 공중육상이동통신망(9)에 연결된다. 오디오서브시스템(4), 제어처리기들(5a, 5b) 및 관리서브시스템(6)은 근거리통신망(11)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은 비디오제어처리기(21, '비디오처리기'라고도 함)및 비디오제어처리기(21)에 의해 제어되는 소니점보트론(RTM)과 같은 디스플레이스크린(22)을 포함한다. 비디오제어처리기(21)는 ISDN접속(23)에 의해 제 1제어처리기(5a)에 연결된다.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4)는 튜너(25)를 통해 비디오제어처리기(21)에 연결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스크린(22)의 정면에서 장면을 감지하는 비디오카메라 (26)는 비디오제어처리기(21)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스크린(22)은 기지송신소(10)에 의해 커버되는 공중육상이동통신망(9)의 셀(cell)내의 공공장소에 설치된다. 따라서, 공중육상이동통신망(9)의 가입자들은 디스플레이스크린(22)을 보면서 그들의 이동국들(27, 28)을 이용할 수 있다.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은 다른 지역에 유사하게 설치되며, 비디오제어처리기(31), 소니점보트론(RTM)과 같은 디스플레이스크린(32), 안테나(34), 튜너(35) 및 비디오카메라(36)를 포함한다. 비디오제어처리기(31)는 ISDN접속(33)에 의해 제 2제어처리기(5b)에 연결된다. 또한 유사하게, 공중육상이동통신망(9)의 가입자들은 디스플레이스크린(32)을 보면서 그들의 이동국들(37, 38)을 이용할 수 있다.
광대역링크(12)는 비디오서브시스템들(2,3)간에 제공된다. 각 비디오서브시스템(2,3)의 카메라(26, 36)로부터의 비디오신호는 광대역링크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다른 비디오시스템(2,3)으로 전송된다.
오디오서브시스템(4)을 호출함으로써, 공중육상이동통신망(9)의 가입자들은, 그들의 이동국들(27, 28, 37, 38)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스크린(22, 32)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고 수반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는, 이동국(27, 28, 37, 38)의 키를 이용하여 재생될 수 있는 비디오프레젠테이션, 광고 또는 정보물, 게임, 또는 회의를 위한 카메라(26, 36)로부터의 라이브비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일반적으로 처리기(41), 메모리(42), 그리고 내부데이터 및 어드레스버스(43)를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전화인터페이스(44)는 한쌍의 4-채널 아날로그전화카드들을 포함하며, 오디오서브시스템(4)을 전화선들(8)과 직접오디오공급(46)에 인터페이스한다. 통신망카드(45)는 근거리통신망(11)을 통한 제어서브시스템(5) 및 관리서브시스템(6)과의 통신을 위해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화인터페이스(44)는, 전화인터페이스와 오디오서브시스템(4)의 처리기(41)간의 데이터교환을 위한 경로이기도 한 버스(441)에 의해 상호 연결된 8개의 디지털신호처리기들(DSP0, ..., DSP7)을 포함한다. 전화인터페이스(44)는 6개의 입/출력연결들을 가지며, 그중 4개(t0, ..., t3)(채널 "0"부터 "3"에 대응함)는 전화선들(8)을 위한 것이고, 2개(a0, a1)는 직접오디오공급(46)을 위한 것이다. 스위칭회로(442)는 디지털신호처리기들(DSP0, ..., DSP7)과 입/출력연결들(t0, ..., t3, a0, a1)에 연결된다. 스위칭회로는 임의의 입/출력연결들(t0, ..., t3, a0, a1)을 서로 접속하도록, 그리고, 입/출력연결들을 임의의 디지털신호처리기들(DSP0, ..., DSP7)에 접속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접속들은 순방향신호(forward signal)와 돌아오는 신호(return signal)에 대해 독립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스위칭회로(442)를 위한 제어소프트웨어는 한 서브세트의 모든 가능한 상호접속들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허용된 상호접속들은 이하에서 "그룹"이라 불린다. 이 그룹들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다중재생그룹 디지털신호처리기들(DSP4, ...,DSP7)로부터의 신호들을 전화선들(8)로 출력하기 위해 하나이상의 임의의 디지털신호처리기들(DSP4, ..., DSP7)이 입/출력연결들(t0, ..., t3)에 단독으로 접속;
협의그룹 2이상의 입/출력연결들(t0, ...., t3)의 상호접속;
라이브그룹 입/출력연결들(a0, a1)을 통해 입력된 신호들을 입/출력연결들(t0, ..., t3)을 통해 출력하기 위해 입/출력연결들(a0, a1)의 입/출력연결들(t0, ..., t3)에 대한 단독 접속
제어를 위해, 각각의 디지털신호처리기들(DSP4, ..., DSP7)에 관련되는 4개의 다중재생그룹들("1", ..., "4")과, 2개의 협의그룹들("5", "6")(그러나, 많거나 적을 수도 있음)과, 입/출력연결들(a0, a1)에 각각 관련되는 2개의 라이브그룹들("7", "8")이 고려된다.
입/출력연결들(t0, ..., t3)로부터 인터페이스로 들어가는 신호들은 항상 각각의 디지털신호처리기들(DSP0, ..., DSP3)로 전송된다.
오디오서브시스템(4)의 기능은 전화선들(8)상의 이벤트를 검출하고, 이벤트통지메시지들(NEW_CONNECT, DISCONNECT, FILE_END, MULTI_PLAY_FILE_END, DIGIT_PRESS)을 제어서브시스템(5)(도 1 참조)으로 전달하며, 제어서브시스템(5)의 제어하에 출력오디오를 합당한 전화선(8)으로 발송하는 것이다. 이 메시지들의 의미는 이하 실시예의 동작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채널들("0"∼"3")의 착신신호는 항상 각각의 디지털신호처리기들(DSP0, ..., DSP3)로 전송되기 때문에, 전화선상의 이벤트는 디지털신호처리기(DSP0, ..., DSP3)에 의해 검출된다. 전화선(8)상의 이벤트검출을 위해,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메모리(42)에 저장된 프로그램코드에 의해 정의되는 상태기계를 실행한다. 각 채널은 5개의 상태들(IDLE, RING, ACTIVE, CONFDSP, SFP)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채널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예컨대 그것에 관련된 전화선(8)이 온훅(on-hook)상태인 경우, 그 채널은 IDLE상태에 있다. 반대로, 채널이 사용중이면, 예컨대 그것에 관련된 전화선(8)이 오프훅(off-hook)상태인 경우, 그 채널은 ACTIVE상태에 있다. 호출이 전화선들(8) 중 하나로 발송될 때 RING상태가 발생하고 전화인터페이스(44)가 그 전화선을 오프훅상태로 둘 때까지 지속된다. 전화선들에 접속되지 않고 그것의 디지털신호처리기들이 다중재생그룹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채널들을 위해 CONFDSP상태가 이용된다. SFP상태는, 채널상의 파일재생이 인터럽트될 수 없다는 것과, 파일을 종료할 때는, 온훅과 같은 어떤 특별한 행동이 필요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각 채널도 그룹상태를 갖는다. 채널이 그룹의 멤버라면, 그 그룹상태는 그것이 멤버인 그룹의 번호이다. 그룹상태 "0"은 채널이 어느 그룹의 멤버도 아님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채널이 그룹의 멤버가 아닌 경우, 오디오가 각각의 디지털신호처리기(DSP0, ..., DSP3)로부터 각각의 전화선(8)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제어서브시스템(5)(도 1 참조)은 오디오서브시스템(4)에서 실제 실행하는 채널과 그룹에 대해서 알지 못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 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제어서브시스템(5)에서 진행중인 복수개의 제어처리들은 오디오인터페이스(44)의 자원에 동시에 액세스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오디오서브시스템(44)에 의해 실행되는 "실제" 채널들 및 그룹들은, 오디오서브시스템(4)에 의해, 제어서브시스템 처리들에 이용되는 가상채널들 및 그룹들상에 맵핑된다. 이 맵핑은 오디오서브시스템(4)에 의해 유지되는 그룹테이블들과 가상채널에 의해 수행된다.
예로서, 제 1호출이 채널 "1"에 관련된 전화선(8)으로 수신되었다면,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제 1제어처리기(5a)에 대해 실제채널 "1"과 가상채널 "0"을 관련시킨다. 이어서, 호출이 실제채널 "0"에 관련된 전화전(8)으로 수신되었다면,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실제채널 "0"과 가상채널 "0"을 관련시킨다. 이 호출들이 종료되면, 그것들에 관련된 가상채널들은 임의의 실제채널로의 맵핑을 위해 다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실제채널들 "2"와 "3"은 제 2제어처리기(5b)를 위한 것이고, 제 2제어처리기(5b)에 대해 가상채널들 "0"과 "1"에 유사하게 맵핑된다. 이 채널맵핑은 다수의 제어처리기들에 대해 더 많은 실제채널들을 가상채널들에 맵핑하기 위해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반대로, 제어서브시스템 처리가 오디오서브시스템(4)에 그것의 가상채널 "1"상에서 오디오파일을 재생할 것을 명령한다면,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채널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실제채널, 이 실시예에서는 채널 "0"을 검색한다.
각 타입의 그룹의 맵핑은 유사하게 취급된다. 즉, 각 실제그룹은 제어처리 기(5a, 5b)에 유용한 가상그룹들의 기설정된 서브세트의 멤버들에 맵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 1제어처리기(5a)는 3개의 가상다중재생그룹들("1"∼"3"), 2개의 협의그룹들("4", "5"), 및 1개의 라이브재생그룹("6")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처리기들(5a, 5b) 각각은 처리기(51), 메모리(52), 그리고 내부데이터 및 어드레스버스(53)를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통신망카드(54)는 근거리통신망(11)(도 1 참조)을 통한 오디오서브시스템(4)(도 1 참조) 및 관리서브시스템(6)(도 1 참조)과의 통신을 위해 제공된다. ISDN인터페이스(55)는 각각의 비디오서브시스템(2, 3)(도 1 참조)과의 통신을 위해 제공된다.
메모리(52)는 멀티태스킹운영체제를 위한 프로그램코드, 제어처리를 위한 응용프로그램코드 및 "대화형포맷서버들"의 라이브러리를 저장한다. 각각의 제어처리기들(5a, 5b)상에서 실행되는 제어처리들은 동일한 소프트웨어객체의 인스턴스들로서 구현된다. 제어처리가 실행될 때, 관리서브시스템(6)은, 자신의 제어된 비디오서브시스템속성을 제 1 또는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2,3) 중 하나인 경우에, 유일한 값으로 설정하고, 초기 대화형포맷서버속성을 설정한다.
대화형포맷서버들의 라이브러리의 각 멤버는, 디스플레이스크린(22, 32)에 대한 하나의 디스플레이포맷을 정하며, 다양한 이벤트들과 수반되는 오디오파일들의 식별에 대한 응답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처리에, 디스플레이포맷의 사용이 지시되는 경우, 제어처리는 초기 포맷정의데이터를 되돌려 보내는 적절한 대화형포맷서버를 호출한다. 제어처리는 포맷정의데이터를 각각의 비디오서브시스템(2, 3)으로 전송한다. 또한, 대화형포맷서버는 제어처리에 의해 오디오서브시스템(4)으로 전송되는 오디오명령메시지들을 대개 되돌려 보낸다.
제어처리는 오디오서브시스템(4) 및 개개의 비디오서브시스템(2)으로부터의 메시지들에 응답하여 그 메시지들을 대화형포맷서버에 전달한 후, 필요하다면 대화형포맷서버로부터 되돌아온 임의의 메시지들을 오디오서브시스템(4) 또는 각각의 비디오서브시스템(2, 3)으로 전송한다.
오디오서브시스템 메시지들에 대한 제어처리 세트는 다음을 포함한다:
sPlaych filename단일 사용자파일재생을 채널ch에 시작하라.
sStopch채널ch상의 단일 사용자파일재생을 정지하라.
confch grp채널ch을 협의그룹grp에 추가하라.
deConfch채널ch를 협의그룹grp에서 제거하라.
livech채널ch을 라이브그룹에 추가하라.
deLivech채널ch를 라이브그룹에서 제거하라.
mStartgrp filename[ch...]파일filename을 잔여 arg(있다면)에서 지정된 채널들에 재생하는 지정된 ID를 갖는 재생그룹을 시작하라. 그룹이 이미 존재하면, 그 파일을 바로 시작하고 멤버들을 추가하라.
mAddgrp ch[ch...]지정된 멤버들로 다중재생그룹을 시작하라.
그룹이 이미 존재한다면 단지 멤버들을 추가하라.
mRemovegrp ch[ch... ]멤버들을 지정된 다중재생그룹에서 제거하라.
mStopgrp다중재생그룹에서 재생되고 있는 파일을 중지하라.
비디오서브시스템 메시지들에 대한 제어처리의 세트는 다음을 포함한다:
<L:G:n1:n2> 그룹n1은 가장 큰 비디오윈도우에 있게 하고,n2는 가장 작은 비디오윈도우에 있게 하라.
<F:V:g:+:file> 그룹g에서의filename을 재생하라.
<F:V:g:-> 그룹g에서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를 정지하라.
<U:ch:g:+> 사용자ch를 그룹g에 추가하라(사용자가 그룹g에 있다는 것을 스크린상에 표시하라).
<U:ch:g:-> 사용자ch를 그룹g에서 제거하라
비디오서브시스템 메시지들에 대한 제어처리에서 참조된 그룹들은 오디오서브시스템 메시지들에 대한 제어처리에서 참조된 것이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의 비디오처리기(21)는 처리기(211), 메모리(212), 대용량 하드 또는 광디스크드라이브(213), 그리고 내부데이터 및 어드레스버스(214)를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ISDN카드(215)는 제어서브시스템(5)(도 1 참조)의 제 1제어처리기(5a)와 통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TCP/IP프로토콜은 비디오처리기(21)와 제 1제어처리기(5a)간의 통신을 위해서 이용된다. 비디오램을 포함하는 비디오카드(216)는 디스플레이스크린(22)(도 1 참조)을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멀티미디어I/O유닛(217)은 카메라(25)와 안테나(24)로부터 튜너(25)를 통한 비디오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안테나(24)와 튜너(25)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I/O유닛(217)은 카메라(25)로부터의 비디오가 광대역링크(12)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광대역링크(12)로부터의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를 위해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크드라이브(213)는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JPEG포맷 또는 MPEG포맷과 같은, 정지영상 및 동영상파일들을 저장한다. 안테나(24)와 튜너(25)는 방송텔레비전프로그램을 수신하도록 구성한다. 튜너(25)는 암호화된 전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해독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처리기(21)가 제 1제어처리기(5a)로부터 포맷정의데이터를 수신할 때, 비디오처리기는 수신된 데이터를 해석하고 대응하는 명령을 비디오카드(216)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의 정적요소들을 구성한다. 디스플레이는 이어서 제어서브시스템(5)으로부터의 메시지들에 응답하여 동적요소들로 변화될 수 있다. 정적요소들은 순환하는(looping) 비디오와 같은 동영상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적요소들은 그것들이 동적으로 구성되거나 감춰질 수 있다는 의미에서는 동적인 정지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비디오처리기(21)는 연속적으로 카메라(25)로부터의 비디오를 광대역링크(12)로 발송한다.
관리서브시스템은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이용하기 위해 구성된 일반적인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데이터로깅과 같은 관리업무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었다. 또한, 조작자는 관리서브시스템(6)으로 오디오 및 제어서브시스템들(4, 5)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브시스템(6)은 디스플레이포맷이 이용되는 순서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프로그래밍의 특징은 이하의 본 실시예의 동작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동작을 예시적인 디스플레이포맷과 사용자의 행위를 이용하고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동작에서 제 1단계는 제어처리기들(5a, 5b), 오디오서브시스템(4) 및 비디오서브시스템들(2, 3)의 오프라인(off-line)구성이다. 각 비디오서브시스템(2, 3)은 다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생성하는데 필요하다. 전부가 아니라면, 이것들의 얼마간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파일들을 요구할 것이고, 이 파일들은 비디오처리기들(21, 31)의 디스크드라이브들(213)내로 로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조작자는 시스템이 다운타임(downtime)인 동안 저장장치(미도시)로부터 ISDN링크들(23, 33)을 통해 비디오서브시스템들(2, 3)로 파일들을 전송하라고 관리서브시스템(6)을 이용하여 제어서브시스템들에 지시한다. 유사하게, 조작자는, 관리서브시스템(6)을 이용하여, 관리서브시스템(6)에 있을 수도 있는 저장장치로부터 오디오서브시스템(4)으로, 페이지들에 수반되는 오디오파일들을 전송하라고 제어서브시스템에 지시한다. 이미지파일은 시스템이 오프라인인 동안 전송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비디오파일들은 재생시간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그것들의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이 감소된다.
일단 오디오 및 비디오자원들이 분배되었으면, 조작자는 관리서브시스템(6)을 이용하여 각 비디오서브시스템(2, 3)을 위한 제어처리를 인스턴스화하고 각 비디오서브시스템(2, 3)을 위한 디스플레이포맷들의 순서를 정한다. 제어처리들은 제 1 및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2, 3)을 각각 표시하기 위해 설정된 그것들의 비디오서브시스템속성들과 개개의 비디오서브시스템(2,3)을 위한 초기디스플레이포맷에 대응하는 초기대화형포맷서버속성값들로 인스턴스화된다.
제어처리들이 인스턴스화될 때, 이 제어처리들은 제 1 및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들(2, 3)의 초기 디스플레이포맷들을 위해 그것들의 대화형포맷서버들을 각각 호출한다. 디스플레이포맷들을 위한 포맷정의데이터는 제어처리들로 반환(return)된 후 비디오서브시스템들(2, 3)로 발송된다.
제 1비디오처리기(21)가 그것의 초기 디스플레이포맷을 위한 포맷정의데이터를 수신할 때, 처리기(211)는 포맷정의데이터를 메모리(212)에 저장한다. 이후, 처리기(211)는 포맷정의데이터에 근거하여 비디오카드(216)에 대한 명령들을 발생한다. 비디오카드(216)는 이 명령들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스크린(22)상에 이미지를 발생한다. 이 경우, 초기 디스플레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전화번호를 호출하기 위해 안내하는 컬러필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디스크드라이버(213)로부터 임의의 배경이미지파일들을 찾거나 튜너(25) 또는 카메라(26)로부터의 비디오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설계자가 원한다면, 초기 디스플레이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은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과 같은 방법으로 동작하여 그것의 초기 디스플레이를 생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의 초기 디스플레이포맷은, 디스플레이되는 전화번호가 다르다는 것을 제외하면,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의 초기 디스플레이포맷과 같다(도 7 참조). 오디오서브시스템(4)이 공중육상이동통신망 가입자가 보는 디스플레이스크린(23, 33)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전화번호들은 다르다.
초기 디스플레이들이 비디오서브시스템들(2, 3)에서 셋업되는 동안,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관리서브시스템(6)에 의해 스타트업을 지시받는다. 스타트업하는 동안,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채널들을 초기화하고, 제어처리기들(5a, 5b)에 대한 통신망접속을 수립한다.
이제 시스템은 온라인(online)된다.
제 1공중육상이동통신망 가입자는 그의 이동국(27)을 이용하여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번호를 호출하도록 안내를 시작한다. 호출은 공중육상이동통신망(9)과 공중전화교환망(7)을 통해 오디오서브시스템(4)내의 라인들(8) 중 하나로 발송된다. 따라서, 그 라인에 대응하는 채널 "0"의 상태는 "IDLE"에서 "RING"으로 변경된다.
전화인터페이스(44)는 오프훅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호출에 응답한다. 이것은 채널 "0"을 ACTIVE상태로 한다. 채널 "0"이 ACTIVE상태가 될 때, 오디오서브시스템(4)의 처리기(41)는, 단 하나의 전화번호가 각 라인(8; 전화선)에 도착된 경우, DDI(direct dial in)를 이용하거나 채널번호로부터 호출된 번호를 먼저 식별한다. 호출된 번호로부터, 처리기(41)는 호출을 한 비디오서브시스템(2, 3)을 식별하고 결과적으로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제어처리기(5a, 5b)를 식별한다. 제 1제어처리기(5a)가 식별되면, 처리기(41)는 실제채널 "0"을 제 1제어처리기(5a)에 관련된 첫 번째 빈 가상채널, 이 경우 가상채널 "0"에 연결하는 엔트리를 채널테이블에 기입한다. 마지막으로, NEW_CONNECT메시지가 처리기(41)에 의해 제 1제어처리기(5a)로 전송된다.
제 1제어처리기는 NEW_CONNECT메시지를 수신하고, NEW_CONNECT메시지를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의 초기 포맷을 위해 대화형포맷서버로 전달한다. 대화형포맷서버는, NEW_CONNECT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Tweeny1"이라고 불리는 다른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점프하라는 것이라 판단한다. 따라서, 대화형포맷서버는 점프명령을, 파라미터로서의 Tweeny1과 함께, 제 1제어처리기(5a)로 보낸다.
점프명령을 수신하면, 제 1제어처리는 관리서브시스템(6)에 의해 제공되는 스케줄에서의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인 "Tweeny1"을 위해 대화형포맷서버를 호출한다. 대화형포맷서버는 "Tweeny1"를 위한 포맷정의데이터를 반환하며 이 포맷정의 데이터는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으로 전송된다. 또한, 대화형포맷서버는 호출하는 가입자를 위한 환영메시지파일을 재생하는데 필요한 지시를 오디오서브시스템(4)으로 보낸다. 이 메시지는 디지털신호처리기(DSP0)상에서 환영메시지의 파일을 전화인터페이스가 재생하게 하는 오디오서브시스템(4)으로 전송된다. 환영메시지파일의 재생동안, 채널 "0"은 SFP상태가 되어 가입자가 호출을 종료하지 않는 한 가입자는 전체 환영메시지를 들을 수 있다.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은 포맷정의데이터를 수신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정적요소들을 셋업한다. "Tweeny1"은 도 8에서 보여질 것이며 이미지파일에 의해 정의되는 패턴화된 배경(100), 2개의 비디오윈도우들(101, 102) 및 "계속(continue)"이라 표시되는 타원영역(103)을 갖는다. 또한, 지시텍스트도 디스플레이되어, 좌측 비디오윈도우(101)에 관한 오디오를 듣기 위해서는 "1"을 누르고, 우측 비디오윈도우(102)에 관한 오디오를 듣기 위해서는 "2"를 누르며, 다음 디스플레이로 계속하기 위해서는 "#"을,그리고, 도움말을 듣기 위해서는 "*"을 누르도록 사용자에게 지시한다.
비록 2개의 비디오윈도우들이 정의되었지만, 비디오들을 그것들에 수반된 오디오파일들과 동기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비디오는 즉시 재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단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이 디스플레이포맷이 셋업되었다는 것을 보고하고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FILE_END 메시지로써 환영메시지의 끝을 보고하면, 제 1제어처리는 대화형포맷서버를 호출하고, 좌측 비디오윈도우(101)에서 제 1비디오파일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하는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용 메시지, 및 전화인터페이스(44)의 가상다중재생그룹 "4"를 이용하여 수반되는 오디오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하는 오디오서브시스템(4)용 메시지를 수신한다. 제 1제어처리는 이 메시지들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각각의 수신지들(destinations)로 전송한다. 오디오서브시스템(4)의 처리기(41)는 제 1제어처리를 위해 실제다중재생그룹 "4"를 가상다중재생그룹 "1"상에 맵핑한다.
대화형포맷서버로부터의 지시하에서 추가적으로, 제 1제어처리는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우측 윈도우(102)에서 제 2비디오파일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하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오디오서브시스템(4)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수반되는 오디오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한다.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제 2비디오윈도우(102)에 대해, 수반되는 오디오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실제다중재생그룹 "2"를 할당하고, 제 1제어처리를 위해 가상다중재생그룹 "2"상에 그것을 맵핑한다. 비디오재생메시지와 수반되는 오디오를 위한 오디오재생메시지의 발송은, 전형적으로 수십 밀리초(millisecond)만큼씩 어긋나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오디오 및 비디오서브시스템들의 응답시간이 다른 원인이 된다.
윈도우(101, 102)의 비디오에 수반되는 오디오파일의 재생이 종료할 때,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제 1제어처리로 MULTI_PLAY_FILE_END메시지를 전송한다. 유사하게, 제 1제어처리는 비디오파일의 재생이 종료할 때를 통지받는다. 제 1제어처리는, 비디오파일과 그것에 수반되는 오디오파일 모두의 재생이 종료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였을 때, 대화형포맷서버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대화형포맷서버는 제 1제어처리가 오디오서브시스템(4) 및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으로 전송하는 오디오 및 비디오파일재생명령들을 돌려보내다. 이것은 비디오에 동기된 오디오를 유지시킨다.
가입자가 그의 이동국(27)의 "1" 키를 누르면,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실제 채널 "0"상에서 가입자에 의해 "1" 이 눌러진 것을 확인하고, 제 1제어처리기(5a)로 DIGIT_PRESS메시지를 전송하며,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숫자의 DTMF신호가 수신된 채널로부터 정확한 수신지 제어처리기(5a, 5b)를 확인한다. DIGIT_PRESS메시지는 눌러진 숫자와 이 숫자의 DTMF신호가 수신된 실제채널에 대응하는 가상채널을 식별한다. 제 1제어처리는 파라미터로서 숫자의 동일성(identity)을 이용하여 대화형포맷서버를 호출하고, 가입자가 좌측 비디오윈도우에 대한 오디오를 듣기 원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메시지를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 및 오디오서브시스템(4)에 반환한다. 따라서, 제 1제어처리는 "mAdd 01"메시지를 오디오서브시스템(4)으로 전송하여 가상채널 "0"을 가상다중재생그룹 "1"에 추가하고, <U:0:1:+>메시지를 제1비디오서브시스템(2)으로 전송한다.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가상채널과 그룹맵핑테이블에 액세스한 후, 실제채널 "0"을 실제다중재생그룹 "4"에 추가함으로써 그 메시지에 응답한다. 따라서, 이후로 가입자는 그의 이동국(27)의 확성기에서 오디오를 듣는다.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은 그 메시지에 응답하여 좌측 비디오윈도우(101) 부근에 가입자를 표시하는 표지(indicum; 104)를 발생한다.
가입자가 그의 이동국(27)의 "2"키를 누르면, 오디오서브시스템(4) 및 제 1 비디오서브시스템(2)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들이 각각 "mAdd 02" 및 "<U:0:2:+>"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처리과정이 반복된다. 가입자가 우측 비디오윈도우(102)의 비디오에 수반되는 오디오를 들을 수 있도록,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실제다중재생그룹 "1"로부터 실제채널 "0"을 제거하고, 그것을 실제다중재생그룹 "2"에 추가함으로써 그 메시지에 응답한다.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은 그 메시지에 응답하여 표지(104)를 부근의 우측 비디오윈도우(102)로 이동시킨다.
가입자가 그의 이동국(27)의 "*" 키를 누르면,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실제채널 "0"상에서 가입자에 의해 "*"가 눌러진 것을 확인하고, DIGIT_PRESS메시지를 제 1제어처리기(5a)로 전송한다. DIGIT_PRESS메시지는 눌러진 숫자와 이 숫자의 DTMF신호가 수신된 실제채널에 대응하는 가상채널을 확인한다. 제 1제어처리는 파라미터로서 숫자의 동일성을 이용하여 대화형포맷서버를 호출하고, 제1제어처리에는 오디오서브시스템(4)에 관한 메시지들이 반환된다. 제 1제어처리는 이에 응답하여, 오디오서브시스템이 실제다중재생그룹 "1" 또는 "2"(필요하다면)로부터 실제채널 "0"을 제거하고 실제채널 "0"에 영구적으로 할당된 디지털신호처리기(DSP0)상에서의 도움말파일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오디오서브시스템에 이 메시지들을 전송한다. 또한, 제 1제어처리기(5a)는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로부터 표지(104)를 제거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제1비디오서브시스템(2)으로 전송한다. 도움말파일이 종료되었을 때,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FILE_END메시지를 제 1 제어처리기(5a)로 전송하고, 실제채널 "0"의 상태를 ACTIVE로 리셋한다.
가입자가 그의 이동국(26)의 "#" 키를 누르면,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실제채널 "0"상에서 가입자에 의해 "#"이 눌러진 것을 확인하고, DIGIT_PRESS메시지를 제 1제어처리기(5a)로 전송한다. DIGIT_PRESS메시지는 눌러진 숫자와 이 숫자의 DTMF신호가 수신된 실제채널에 대응하는 가상채널을 식별한다. 제 1제어처리기는 그 메시지를 수신하고, 파라미터로서 숫자의 동일성을 이용하여 대화형포맷서버를 호출하며, 가입자가 다음 페이지로 막 이동하려고 함을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에 통지하기 위한 "<U:0:3:+>"메시지가 제1제어처리기에 반환된다. 제 1제어처리기(5a)는 이 메시지를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으로 전송하고, 제1비디오서브시스템은 이에 응답하여 표지(104)를 타원윈도우영역내로 이동시킨다.
오디오서브시스템(4)으로부터의 각 메시지가 제 1제어처리에 의해 처리된 후, 제어처리는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을 이용하는 모든 가입자들이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으로 이동하려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현 상황에서, 단 한명의 가입자만이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을 이용하면 제 1제어처리는 즉시 다음 디스플레이포맷 "프리젠테이션 도메인"을 위한 대화형포맷서버에 연결한다.
서브시스템들간에 로우레벨 메시징동작은 이제 명백해 질 것이고 명료함을 위해 이하 대체로 그 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프리젠테이션 도메인"을 위한 대화형포맷서버가 연결될 때, 제 1제어처리는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으로 포맷정의데이터를 전송하고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은 이후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리젠테이션 도메인"은 이미지파일로 정의되는 배경(105), 비디오윈도우(106) 및 지시정보를 포함한다. 초기에, 안테나(24) 및 튜너(25)에 의해 수신되는 이미지는 비디오윈도우(106)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직접오디오공급(46)으로부터의 오디오는 오디오서브시스템(4)내에 실제라이브그룹 "7"로 공급된다. 직접오디오공급(46)은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의 튜너(25)와 동일한 채널로 동조된 다른 튜너(미도시됨)로부터 오디오를 수신한다.
가입자가 그의 이동국(27)상의 "1" 키를 누르면, 그는 실제라이브그룹 "6"에 연결될 것이고 직접오디오공급(46)으로부터 오디오가 공급될 것이며, 만일 이미 그렇게 되지 않았다면,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은 안테나(24)로부터의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사용자가 그의 이동국(27)상의 "2"키를 누르면,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은 지시를 받아 제 1윈도우에서 디스크드라이브(213)로부터의 비디오파일을 재생하며,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지시를 받아 실제다중재생그룹 "1"상에서 수반되는 오디오파일을 재생하고, 가입자의 채널을 실제라이브그룹 "6"에서 실제다중재생그룹 "1"로 전환한다. "*"키를 누르면 오디오도움말파일이 가입자에게 재생되고, "#"를 누르면 가입자가 막 이동하려고 함이 제 1제어처리에 통지된다.
가입자가 막 이동하려고 함을 나타내었을 때, 제 1제어처리는 "Tweeny2"라고 불리는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을 셋업한다. "Tweeny2"는 비디오윈도우에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와 이에 수반되는 오디오파일을 제외하고는 "Tweeny1"과 동일하다.
만일, "Tweeny2"가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제 2가입자가 그의 이동국(28)을 이용하여 오디오서브시스템(4)을 호출하면, 그를 위해 환영메시지가 재생될 것이며, 이후 제 2가입자는 디스플레이로 대화(interact)할 수 있다. 제 2가입자는 그의 이동국(28)상의 "1" 및 "2"키를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된 비디오에 관련한 오디오를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다. 제 2가입자의 존재는 디스플레이이미지에서 추가적인 독특한 표지로 나타내어진다.
일단 가입자가 그의 이동국(27, 28)상의 "#" 키를 누름으로써 이동하려는 의사를 나타내었으면, 그의 표지는 타원영역으로 이동할 것이다. 다른 가입자가 이동하거나 호출을 종료하려는 의사를 나타낼 때까지, "#" 키를 누른 가입자는 여전히 디스플레이된 비디오를 위한 오디오를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그가 "1" 또는 "2" 키를 누를 때 그의 표지는 타원영역으로부터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가입자들이 모두 이동하려는 의사를 나타내었을 때, 제 1제어처리는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을 셋업한다. 이 디스플레이포맷은 각 가입자가 디스플레이스크린(22)상에서 뱀(107, 108)을 제어하고 랜덤하게 나타나는 대상체들(109)을 "먹도록" 그 뱀들을 조종해야 하며, 뱀이 더 많은 대상체들을 먹을수록 뱀이 자라서 길어지는 대화형게임(도 9 참조)을 포함한다. 가입자들은 각각 그들의 이동국들(27, 28)상의 "4" 및 "6" 키들을 누름으로써 좌측 또는 우측으로 그들의 뱀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제 2가입자가 그의 호출을 종료하면,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DISCONNECT메시지를 제 1제어처리로 전송한다. 제 1제어처리는 이 메시지를 제 2가입자의 레코드를 삭제하는 대화형포맷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제 1제어처리는 연결이 끊긴 가입자의 레코드를 삭제한다. 가입자의 연결끊김에 응답하여, 오디오서브시스템(4)은 제 2가입자에게 할당된 실제 및 가상채널들을 해제하고 멤버였던 임의의 그룹들로부터 그의 채널을 제거한다. 또한, 제 1제어처리는 제 2가입자에 대한 표지를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이 삭제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으로 전송한다.
제 1가입자가 이동하려는 그의 의사를 나타낼 때, 제 1제어처리는 "Tweeny3"이라 불리는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을 셋업한다. "Tweeny3"은 재생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파일들을 제외하고는 "Tweeny1"페이지와 동일하다.
제 1가입자가 "Tweeny3"으로부터 이동할 의사를 나타낼 때, 제 1제어처리는 적절한 대화형포맷서버에 연결함으로써, "협의도메인(Conference Domain)"이라 불리는,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을 셋업한다. "협의도메인" 포맷은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2)의 카메라(26)로부터의 비디오 및 광대역링크(12)를 통해 수신된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의 카메라(36)로부터의 비디오를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2개의 비디오윈도우들을 포함한다.
이 시점에서, 제 3가입자는 그의 이동국(37)을 이용하여 근처의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으로부터 시스템에 액세스하였고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상에서 "협의도메인" 디스플레이포맷에 이르렀다고 가정된다.
"협의도메인" 디스플레이는 때때로 변화하는 협의액세스코드를 구비한다. 협의에 참여하기 위하여 가입자는 그의 이동국을 이용하여 이 코드를 입력해야 한다.가입자가 협의액세스코드를 입력했을 때, 관련된 제어처리는 협의그룹에 가입자의 채널을 추가하라고 오디오서브시스템(4)에 지시한다. 동일 협의그룹들에 추가된 채널들을 갖는 가입자들은, 동일 그룹의 멤버들인 채널들을 갖는 다른 가입자들과, 그들의 국부적인 디스플레이스크린(22, 32)상에서 서로를 보면서 대화할 수 있다. 만일 다수의 가입자들이 "협의도메인들"을 이용한다면, 그들은 복수개의 협의그룹들간에 분배되어 임의 하나의 협의그룹을 이용하는 가입자들의 수가 제한될 수 있다.
협의액세스코드의 목적은 협의를 이용하는 호출자들이 실제로 비디오서브시스템들(2, 3) 중의 하나의 근처에 있음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제 1가입자가 이동하려는 의사를 나타낼 때, 제 1제어처리는 "Tweeny4"라고 불리는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을 셋업한다. "Tweeny4"는 재생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파일들을 제외하고는 "Tweeny1"페이지와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제 1가입자가 "Tweeny4"로부터 이동하려는 의사를 나타낼 때, 제 1제어처리는 다시 디스플레이포맷 "Tweeny1"을 셋업한다.
만일, 아무때라도 하나의 비디오서브시스템(2, 3)을 이용하는 모든 가입자들이 그들의 호출을 종료한다면, 관련된 제어처리는 비디오서브시스템의 초기 디스플레이포맷을 셋업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은 제어센터(301),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 및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03)을 포함한다. 제어센터(301)는 오디오서브시스템(304), 두 개의 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 및 관리서브시스템(306)을 포함한다.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ISDN접속(308)을 통해 공중전화교환망(307)에 연결되고, 직접오디오공급(309)에 연결된다. ISDN접속(308)은 60개의 전화회로들을 지원한다. 직접오디오공급(309)은 음향채널 또는 방송텔레비전신호로부터의 채널들을 포함한다. 공중전화교환망(307)은 게이트웨이이동교환센터(310)를 통해 기지송신소(312)를 포함하는 공중육상이동통신망(311)에 연결된다.
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은 ISDN통신망(315)을 통해 각각의 비디오서브시스템들(302, 303)에 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을 연결하는 ISDN라우터(314)에 연결된다.
관리서브시스템(306)은 인터넷(317)에 대한 접속(316)을 가진다.
오디오서브시스템(304), 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 및 관리서브시스템(307)은 근거리통신망(313)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은 ISDN라우터(320), 비디오제어처리기(321), 및 비디오제어처리기(321)에 의하여 제어되는 소니점보트론(RTM)과 같은 디스플레이스크린(322)을 포함한다. 비디오제어처리기(321)는 ISDN라우터(320)에 의해 ISDN통신망(315)에 연결된다.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324)는 튜너(325)를 통해 비 디오제어처리기(321)에 연결된다.
디스플레이스크린(322)은 기지송신소(312)가 커버하는 공중육상이동통신망(311)의 셀내의 공공장소에 설치된다. 따라서, 공중육상이동통신망(311)의 가입자들은 디스플레이스크린(322)을 보면서 그들의 이동국들(327, 428)을 이용할 수 있다.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03)은 다른 위치에 유사하게 배치되고, ISDN라우터(330), 비디오제어처리기(331), 및 비디오제어처리기(331)에 의해 제어되는 소니점보트론(RTM)과 같은 디스플레이스크린(332)을 포함한다. 비디오제어처리기(331)는 ISDN라우터(330)에 의해 ISDN통신망(315)에 연결된다. 텔레비전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334)는 튜너(335)를 통해 비디오제어처리기(331)에 연결된다.
제 2의 디스플레이스크린(332)은 기지송신소(312) 또는 다른 기지송신소에 의해 커버되는 공중육상이동통신망(311)의 셀내의 공공장소에 설치된다. 따라서, 공중육상이동통신망(311)의 가입자들은 디스플레이스크린(332)을 보면서 그들의 이동국들(337, 338)을 이용할 수 있다.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을 호출함으로써, 공중육상이동통신망(310)의 가입자들은, 그들의 이동국들(327, 328, 337, 338)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스크린들(322, 332)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들을 제어할 수 있고 수반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는 이동국(327, 328, 337, 338)의 키들을 이용하여 재생될 수 있는 비디오프리젠테이션, 광고 혹은 정보물, 및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CPU(341), 메모리(342), 어드레스 및 데이터버스들(343)을 가지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NT하에서 실행되는 대략 펜티엄 P150 마이크로컴퓨터(340)를 기초로 한다. 기본 마이크로컴퓨터(340)는 프로그램 및 오디오파일과 같은 데이터파일들을 저장하는 하드드라이브(344), 마이크로컴퓨터(340)를 근거리통신망(313)에 인터페이스하는 통신망카드(345) 및 MVIP(Multi-Vendor Interface Protocol; 그 세부내용은 Mitel Corporation으로부터 구할 수 있음)인터페이스(346)로 확장된다.
Pika Premier음성자원카드(347), Aculab PRI레이트 ISDN종단카드(348) 및 New Voice 5-포트 아날로그I/O카드(349)는 MVIP버스(350)를 통해 MVIP인터페이스(346)에 연결된다. 음성자원카드(347)는 오디오서브시스템(304)에 의해 요구되는 디지털신호처리기들을 포함한다. ISDN종단카드(348)는 오디오서브시스템을 ISDN접속(308)에 인터페이스한다. 아날로그 I/O카드(349)는 직접오디오 공급(309)에 입력을 제공한다.
MVIP버스(350)상에서의 카드들(347, 348, 349)간의 오디오신호들의 라우팅은 카드들(347, 348, 349)의 교환(switching)블럭들에 의해 다루어진다.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의 기능은, ISDN접속(308)에 의해 실행되는 전화회로들에서의 이벤트들을 검출하고, 이벤트통지메시지들(NEW_CONNECT, DISCONNECT, FILE_END, MULTI_PLAY_FILE_ END, DIGIT_PRESS)을 제어서브시스템(305)(도 11 참조)에 전달하며, 제어서브시스템(305)의 제어하에 ISDN접속(308)에 의해 실행되는 합당한 전화회로로 출력오디오를 발송하는 것이다.
ISDN접속(308)에 의해 지원된 각 전화회로는 분리된 채널이다. 이 채널들은 연결되어 그룹들을 형성한다. 그룹타입에는, 다중재생그룹과 협의그룹의 두가지가 있다. 다중재생그룹은 동일 오디오파일이 동시에 재생되는 채널들을 포함한다. 협의그룹은 임의의 하나의 멥버채널의 오디오입력이 모든 다른 멤버채널들로 출력되도록 연결된 채널들을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서브시스템(305)은 CPU(251), 메모리(252), 그리고 어드레스 및 데이터버스(253)를 가지며 리눅스(Linux)하에서 실행되는 대략 펜티엄 P150 마이크로컴퓨터(250)를 기초로 한다. 기본 마이크로컴퓨터(250)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파일을 저장하는 하드드라이브(254), 마이크로컴퓨터(250)를 근거리통신망(313)에 인터페이싱하는 통신망카드(255), 및 제어서브시스템(305)의 ISDN라우터(314)에 연결되는 ISDN카드(256)에 의해 확장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의 비디오처리기(321)는 CPU(261), 메모리(262), 대용량하드 또는 광디스크드라이브(263), 그리고 내부데이터 및 어드레스버스(264)를 갖는 마이크로컴퓨터(260)를 포함한다. ISDN카드(265)는 마이크로컴퓨터(260)와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의 ISDN라우터(320)를 연결시킨다. TCP/IP프로토콜은 비디오처리기(321)와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간의 통신에 이용된다. 비디오RAM을 구비하는 비디오카드(266)는 디스플레이스크린(도 11 참조)을 구동하도록 제공된다. 멀티미디어I/O유닛(267)은 튜너(325)를 통해 안테나(324)로부터의 비디오신호를 수신하도록 제공된다. 안테나(324) 및 튜너(325)는 비디오테이프레코더로 대체될 수 있다. 디스크드라이브(263)는, JPEG포맷 또는 MPEG포맷과 같은 정지영상 및 동영상파일들을 디스플레이에 이용하기 위해 저장한다. 안테나(324) 및 튜너(325)는 방송텔레비전프로그램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튜너(325)는 암호화된 전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해독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관리서브시스템(306)은 근거리통신망상에서 이용하도록 구성된 통상의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마이크로컴퓨터는 데이터로깅(logging) 등의 관리업무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또한, 조작자는 관리서브시스템(306)으로부터의 오디오 및 제어서브시스템들(304, 305)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서브시스템(306)은 디스플레이포맷들이 이용될 순서를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시스템이 동작중일 때,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서버객체의 인스턴스(400), 복수개의 포트객체인스턴스들(401), 두 개의 제어서브시스템 객체인스턴스(402a, 402b), 관리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03), 복수개의 채널객체 인스턴스들(404) 및 복수개의 그룹객체인스턴스들(405)을 포함한다. 서버객체인스턴스(400)는 MVIP버스상의 카드들의 로우레벨제어와 이 카드들상의 이벤트들을 검출하고 처리할 수 있다. 포트객체인스턴스들(401)은 MVIP버스상의 스트림들에 대응하는 I/O포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MVIP스트림의 각 프레임이 42개의 시간조각(time slot)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각 포트는 42개 채널들을 지원할 수 있다. 포트객체인스턴스들(401)은 채널들을 위해 현재 이용되고 있는 시간조각들의 레코드를 구비한다. 제어서브시스템 및 관리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들(402a, 402b, 403)은 오디오서브시스템(304), 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 및 관리서브시스템(306)간의 I/O를 각각 다룬다. 제어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들(402a, 402b)은 실제채널들, 즉, MVIP버스상의 시간폭들을 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에 의해 이용되는 가상채널들에 매핑시킨다. 채널 및 그룹객체인스턴스들(404, 405)은, 채널들에 관한 정보, 예컨대, 상태와, 실제채널 id가 되는 채널들과, 채널들이 멤버들인 그룹들에 대한 정보를 각각 포함한다.
제어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들(402a, 402b)은 제어서브시스템(305)으로부터의 메시지들을 분석하고, 서버객체인스턴스(400) 또는 서버객체인스턴스(400)내에 있거나 서브객체인스턴스(400)내로 포인트된 객체들의 적절한 메쏘드(method)들을 호출한다. 다른 방향에서의 메시징에 대해서, 제어시스템객체인스턴스들(402a, 402b)은 서버객체인스턴스(400)에 의해 호출될 수 있는 메쏘드들을 갖는다. 서버객체인스턴스(400)는 제 1제어시스템객체인스턴스(402a)의 메쏘드들을 호출하여 메시지들을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으로 전송하고 제 2제어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02b)의 메쏘드들을 호출하여 메시지들을 제 2제어서브시스템(305b)으로 전송한다.
관리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03)는 관리서브시스템(306)과의 통신에 대하여 유사한 기능을 제공한다. 관리서브시스템(306)은 메시지들, 예컨대 전화번호들을 제어서브시스템들에 연결하는 메시지들을 오디오서브시스템(304)으로 전송하며, 로깅을 위해 이벤트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한다.
관리서브시스템(306)은 서버객체(410), 오디오서브시스템객체(411), 두 개의 제어서브시스템객체들(412a, 412b) 및 인터넷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관리데이터인터페이스객체(413) 각각의 인스턴스를 제공한다. 서버객체(410)는 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을 위해 시스템 주변에서 이동하는 메시지들을 디스플레이하고, 로그파일들을 발생하며, 사용자가 시스템구성명령들을 입력할 수 있게 하고, 인터넷을 통해 명령들을 수신하며, 인터넷을 통해 보고하고, 명령파일들을 발생하는 등의 관리업무를 할 수 있다. 오디오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11), 제어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들(412a, 412b) 및 관리데이터인터페이스객체인스턴스(413)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버객체인스턴스(410)에 의해 호출될 수 있고 메시지가 수신될 때 서버객체인스턴스(410)의 메쏘드들을 그들 자신이 호출할 수 있는 메쏘드들을 갖는다.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은 제어기객체의 인스턴스(420), 오디오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21), 관리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22),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을 위한 비디오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23) 및 스케줄객체인스턴스(424)를 제공한다. 오디오서브시스템객체(421), 관리서브시스템객체(422) 및 비디오서브시스템객체(423)는, 제어서브시스템(305)과, 오디오서브시스템(304), 관리서브시스템(306)및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 각각 간의 메시징을 위한 I/O기능들을 제공한다. 스케줄객체(424)는 디스플레이포맷들이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들(302)에서 디스플레이될 순서 및 매일 일정한 시간에 특정한 디스플레이포맷을 이용하도록 지시하는 것과 같은, 시간종속(time-dependent) 이벤트들의 정의들을 포함한다. 이 스케줄데이터는 관리서브시스템(306)으로부터 수신된다.
또한,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은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을 위한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의 인스턴스(425)를 제공한다. 제어기객체인스턴스(420)는 대화형 포맷서버인터페이스객체(426)를 통해 대화형포맷서버객체(425)와 메시지들을 교환 한다.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동안, 스크린 정의객체인스턴스(427)의 메쏘드들을 호출함으로써 디스플레이정의데이터를 얻는다. 별도의 스크린정의객체들은 각 디스플레이포맷을 위해 이용되며, 필요하다면 인스턴스화되거나 파기될 수 있다.
제 2제어서브시스템(305b)은 유사한 세트의 객체인스턴스들을 제공한다. 가장 큰 차이점은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03)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다른 서브시스템들간의 메시지전송을 설명한다.
관리서브시스템에서 오디오서브시스템으로
관리서브시스템(306)은 오디오서브시스템(304)에, 얼마나 많은 수의 제어서브시스템들(305)이 연결되며, 어떤 제어서브시스템(305)이 연결되며, 그리고, 어떤 DDI번호가 어떤 제어서브시스템(305)을 나타내는지를 알린다.
이 메시지들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M;P:count[:subl;ddil[,ddi2]]
여기서,count는 제어서브시스템들(305)의 수이고,subl은 제어서브시스템(305)의 이름,ddin은 제어서브시스템(305)과 관련된 착신 Direct-Dial-In번호(들)(즉, 호출된 번호)이다.
오디오서브시스템에서 관리서브시스템으로
마스터로의 메시지들은 단순히 마스터로그파일에 로그되므로, 임의의 형식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서브시스템에서 제어서브시스템으로
chan:+[:cli]> 전화번호cli(이용가능하면)로부터 호출하는 가입자에 의해 가상채널chan상에 연결.
chan:> 가상채널chan상의 가입자가 연결끊김.
group:&$> 가상그룹group상의 파일재생이 정상적으로 종료.
group:&X> 파일재생실패 또는 가상그룹group상의 비정상적인 종료.
chan:$> 가상채널chan상의 파일재생이 정상적으로 종료.
chan:X> 가상채널chan상의 파일재생실패 또는 비정상적인 종료.
chan:data> 가상채널chan상의 가입자가 숫자(0-9, *,#).
누름.data는 눌러진 숫자.
chan:O^> 가상채널chan상에서 외부호출연결.
chanO:$> 가상채널chan상에서 외부호출종료.
chan:OX:e> 가상채널chan상에서 외부호출실패.e는 원인표시
(1 = 일시적인 호출실패(예컨대, 통화중), 3 =
원격지로부터의 무응답, 4 = 영구적인
실패(예컨대, NU)).
제어서브시스템에서 오디오서브시스템으로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들로부터 도착하는 메시지들에는 접두사 "I"가 붙는다.
단일채널명령들(접두사 "s"):
sPlaychan file1[file2..] 가상채널chan에 지정된 파일(들)filen을 재생.
sRecordchan file가상채널chan로부터의 파일file기록.
sStop chan 가상채널chan상의 모든 DSP 활성 중지.
sLivechan가상채널chan상에서 라이브오디오 재생.
sNoLivechan가상채널chan상에서 라이브오디오 재생중지.
sCallchan number가상채널chan상에서 전화번호number외부호출.
sEndCallchan가상채널chan상에서 외부호출종료.
협의명령들(접두사 "c")
cAddconf chan1[chan2..] 가상협의그룹conf에 가상채널들chann을 추가.
cRemoveconf chan1[chan2] 가상협의그룹conf로부터 가상채널들chann을 제거.
다중재생그룹명령들(접두사 "m")
mStartgrp file[chan1..] 가상그룹grp상에서 파일file시작
(및 가상채널들chann에 추가).
mAddgrp chan1[chan2..] 가상그룹grp에 특정 가상채널들chans을 추가.
mStopgrp가상그룹grp상에서 파일재생중지.
mRemovegrp chan1[chan2] 가상그룹grp으로부터 가상채널들chann 삭제.
관리서브시스템에서 제어서브시스템으로
〈M:S:count:screen1[,screen2]〉 콤마로 구분된 이름들screen1... 에 연결된,count스크린들 셋업.
<M:I:idle> 사용하기 위해 디폴트(idle)된 대화형포맷서버
객체인스턴스명(일반적으로 "ifidle")
제어서브시스템에서 관리서브시스템으로
오디오서브시스템(304)에서처럼, 마스터에 대한 메시지들은 단순히 로그된다.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들로부터 도착하는 메시지들에는 접두사 "M"이 붙는다.
제 1필드는 전화이벤트 "T", 사용자이벤트 "U", 도메인이벤트 "D", 또는 포맷이벤트가 되는 로그엔트리의 타입을 서술한다.
전화이벤트
<T:chan:+[:cli]> 가입자가cli로부터 가상채널chan상에서 전화걸기.
<T:chan:-> 가상채널chan상에서 가입자가 전화끊기.
사용자이벤트
<U:screen:chan:+> 가상채널chan과 스크린screen결합.
<U:screen:chan:-> 가상채널chan을 스크린screen에 남김.
<U:screen:chan:R:filescreen이 온인 동안 가상채널chan
파일 기록시작.
<U:screen:chan:R$>screen이 온인 동안 가상채널chan상에서의
기록종료.
<U:screen:chan:comp:vote:cliscreen이 온인 동안 가상채널chan상의 가입자가 경쟁comp에 돌입하여 답변("7" 또는 "8")으로서vote를 남김.
<U:screen:chan:GJ:id> 가상채널chan상의 가입자가 스크린screen상의 게임에 참가 및 게임 idid사용.
<U:screen:chan:GL> 가상채널chan상의 가입자가 스크린screen상의
게임에 남겨짐.
도메인이벤트
<D:screen:+ifs>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ifs
스크린screen제어(도메인 입력)
<D:screen:-ifs>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ifs가 더 이상
스크린screen제어하지 않음.
포맷이벤트
<F:screen:data> 스크린screen을 제어하는 대화형포맷서버객체
인스턴스가 로그되어야 할data숙고.
제어서브시스템에서 비디오서브시스템으로
이 메시지들의 양식(form)은 디스플레이될 포맷들의 세부항목들 및 비디오서브시스템들(302, 303)의 구성에 따른다.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들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들에는 접두사 "O"가 붙는다.
제어기객체인스턴스에서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로
도메인 메시지들
<D:screen:+> 스크린포맷screen상에 도메인 입력
(즉, 스크린 제어시작).
<D:screen:-> 스크린포맷screen상에 도메인을 남김
(즉, 스크린 제어중지).
사용자 메시지들
<U:screen:chan:+:count> 가상채널chan이 스크린screen상에
도메인을 입력하고,count시간동안 대기.
<U:screen:chan:-> 가상채널chan이 이 도메인에 남겨짐.
(스크린screen으로부터) .
<U:screen:chan:data> 가상채널 또는 그룹chan상에서data수신됨.
제어기객체인스턴스를 통해 수신되는 특별한 사용자메시지들은 아래와 같은data필드를 갖는다.
C:cli메시지의 잔여(rest)에서 정의된 사용자가
CLIcli를 갖는다.
I:data이 사용자의 이전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는 채널이 접속된 후에data가 새로운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로 전달되도록 지정된다.Data는 어는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어기객체인스턴스 메시지들
S:screen:-> 스크린screen상에 도메인을 남기도록 준비
S:screen:R:[r:t:n[,n]]> 다음 번호들에 의해 지정된 것 같이, 이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는 형태tr자원들로 할당. 유일한 유효자원은 그룹에 대하여 "G"이다. 유효형태는 다중재생그룹에 대하여 "M"이고, 협의그룹, 예컨대 <S:O:R:[G:M:1,5]]> 에 대하여 "C"이다.
<S:screen:F:data>스크린screen이 포맷메시지data로 전달.
<S:screen:@:data>스케줄 반환.
<S:screen:S:data>스케줄로부터의 '스냅샷'메시지.
<S:screen:U:data>특별한 사용자메시지.
출력메시지들
<S:screen:data>출력기계screendata를 자신의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로 반환.
대화형포맷서버객체에서 제어기객체인스턴스로
제어기객체인스턴스 지시어들
S<@:sec:milli:datasec초 및milli밀리초 후에data를 이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로 반환.
S<D:screen:IFS>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에 의해 제어되는 스크린포맷screen변경.
S<r:t:+:num> num량 또는 타입gr자원 요구
S<U:chan:screen[:data]가상채널chan상의 가입자를 스크린screen상으로 변경, 일단 사용자가 연결되었으면 새로운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로data를 전송.
제어기객체인스턴스들(420)을 통해 대화형포맷서버객체들(425)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들은 제어기객체인스턴스들(420)에 의해 발송되기 전에 접두사들이 제거된다. 접두사들은 단지 메시지들의 수신지들의 제어기객체인스턴스들(420)을 알려준다.
이하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고, 디스플레이포맷들과 사용자의 동작을 예로 들어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 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실제로 전송된 메시지들은 언급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더 상세한 것에 관해서 독자는 상술한 메시지들의 리스트를 참조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동작에서 첫 번째 단계는 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 오디오서브시스템(304) 및 비디오서브시스템들(302, 303)의 오프라인구성이다. 각 비디오서브시스템(302, 303)은 다수의 디스플레이들을 생성하기 위해 요구될 것이다. 전부가 아니라면, 이것들 중 얼마간은 정지 또는 동영상파일들을 요구할 것이며, 이 파일들은 비디오처리기들(321, 331)의 디스크드라이브들(363)로 로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조작자는 관리서브시스템(306)을 이용하여 시스템이 다운타임인 동안 ISDN망(315) 및 제어서브시스템(305)을 통해 저장장치(미도시)로부터 비디오서브시스템들(302, 303)로 파일들을 전송한다. 조작자는 관리서브시스템(306)을 이용하여, 관리서브시스템(306)에 있을 수도 있는 저장장치로부터 오디오서브시스템(304)으로, 수반되는 페이지들을 위한 오디오파일들을 전송한다. 이미지파일들은 시스템이 오프라인인 동안 전송된다. 따라서, 비디오파일들은 그들의 재생시간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그들의 전송을 위해 필요한 대역폭이 감소된다.
일단 오디오 및 비디오자원들이 분배되었으면, 조작자는 관리서브시스템(306)을 이용하여 제어 및 오디오서브시스템들(305a, 305b, 304)의 주 객체들을 인스턴스화하고, 각 비디오서브시스템(302, 303)을 위한 디스플레이포맷들의 순서를 설정한다. 대화형포맷서버객체(425)는 제 1 및 제 2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 각각 내에서 각 비디오서브시스템(302, 303)을 위해 인스턴스화되며, 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의 스케줄객체인스턴스들(424)에서 명시된 것처럼, 이것들은 각각의 비디오서브시스템 (302, 303)을 위한 초기 디스플레이포맷들에 대응하는 스크린정의객체들(427)을 인스턴스화한다.
대화형포맷서버객체들(425)은 그것들의 각각의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들(427)을 호출한다. 포맷정의데이터는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들(425)에서 반환된 후, 제어기객체인스턴스들(420)을 통해 비디오서브시스템들(302, 303)로 발송된다.
제 1비디오처리기(321)가 그것의 초기 디스플레이포맷을 위한 포맷정의데이터를 수신할 때, 처리기(261)는 포맷정의데이터를 메모리(262)에 저장한다. 이후, 처리기(261)는 포맷정의데이터에 근거하여 비디오카드(266)를 위한 명령들을 발생한다. 비디오카드(266)는 이 명령들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스크린(322)상에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 경우, 초기 디스플레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호출할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컬러필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디스크드라이브(263)로부터의 어떤 배경이미지파일들을 검색하거나 또는 튜너(325)로부터의 비디오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설계자가 원한다면 초기디스플레이는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03)은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하여 자신의 초기디스플레이를 생성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03)의 초기 디스플레이포맷은, 디스플레이되는 전화번호가 다른 것을 제외하면,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의 초기디스플레이포맷과 같다(도 7 참조). 전화번호들은,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이 공중육상이동통신망 가입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스크린(323, 332)을 결정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르다.
비디오서브시스템들(302, 303)에서 초기 디스플레이들이 셋업되는 동안,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관리서브시스템(306)에 의해 스타트업을 지시받는다. 스타트업하는 동안,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채널을 초기화하고 통신망에 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을 연결시킨다.
이후 시스템은 온라인된다.
제 1공중육상이동통신망가입자는 그의 이동국(327)을 이용하여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번호를 호출하도록 안내를 시작한다. 호출은 공중육상이동통신망(311) 및 공중교환전화망(307)을 통해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의 ISDN종단카드(348)로 발송된다. 라인에 대응하는 실제채널, 예컨대 채널 "0"은 그 결과 IDLE에서 RING으로 변경된다.
이 이벤트가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의 서버객체에 알려지고 서브객체는 오프훅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호출에 응답한다. 이것은 채널을 ACTIVE상태로 한다. 채널이 ACTIVE상태가 되면,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의 서버객체는 DDI를 이용하여 호출된 번호를 우선 식별하고, 호출이 있는 비디오서브시스템(302, 303)을 식별하고 결과적으로 메시지들이 보내져야 할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를 식별한다.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의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325)가 식별되었으면, 서버객체인스턴스(400)는 제 1제어서브시스템객체(402a)를 호출하여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에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 1제어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02a)는 호출이 수신된 실제채널 "0"을, 가상채널, 예컨대 가상채널 "0"에 매핑한다. 개별채널 및 그룹 맵들은 각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에 대해 유지된다. 마지막으로, NEW_CONNECT메시지 (<0:+:0171600...>)가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의 제어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02)에 의해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으로 전송된다.
제어기객체인스턴스(420)는 제어서브시스템(305)의 오디오서브시스템객체인 스턴스(421)를 통해 NEW_CONNECT메시지를 수신하며, NEW_CONNECT메시지를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을 위해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a)로 전송한다.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a)는, 제어기객체인스턴스(42)에 전달되는 변경디스플레이포맷메시지(S<D:Initial:IFS1>)로 응답하는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를 호출한다. 이후, 제어기객체인스턴스(420)는 스케줄객체인스턴스로부터 다음 포맷 "Tweeny1"을 구하며, (<D:Tweeny1:+)을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a)에 지시하여 현재 스크린포맷객체인스턴스를 파기하고 "Tweeny1"을 위해 스크린포맷객체인스턴스를 만들게 한다.
일단 Tweeny1 스크린정의객체(427)가 인스턴스화되었으면, 그것은 "Tweeny1"을 위한 포맷정의데이터를 반환하고, 접두사 "O"가 제거된 후에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의 제어기객체인스턴스(420)를 통해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으로 전송된다. 또한, Tweeny1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427)는, 호출하는 가입자를 위해 환영메시지파일을 재생하기 위해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이 필요로 하는 지시(I<sPlay 0 welcome>)를 오디오서브시스템에 돌려보낸다. 이 메시지가 전송되면, 제어기객체인스턴스(420)에 의해 오디오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21)를 통해 오디오서브시스템(304)에서 접두사 "I"가 제거된다.
메시지는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의 제 1제어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02a)에의해 수신된다. 이후, 제 1제어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02)는 음성자원카드(347)의 디지털신호처리기상에서 파일 재생을 시작하는 서버객체(400)의 메쏘드를 호출하며, 디지털신호처리기의 출력을 실제채널 "0"으로 발송한다. 환영파일의 재생동안, 채널 "0"은 SFT상태가 되어 호출을 종료하지 않는 한 가입자는 전체 환영메시지를 듣게 된다.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은 포맷정의데이터를 수신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의 정적요소들을 셋업한다. 도 8에 보여질 것인 "Tweeny1"은 이미지파일, 두 개의 비디오윈도우들(101, 102) 및 "continue"라는 표시가 붙은 타원영역(103)으로 정의되는 패턴화된 배경(100)을 갖는다. 또한, 지시문장이 디스플레이되어, 좌측 비디오윈도우(101)를 위한 오디오를 듣기 위해서는 "1"을 누르고, 우측 비디오윈도우(102)를 위한 오디오를 듣기 위해서는 "2"를 누르며, 다음 디스플레이로 계속하기 위해서는 #을, 그리고, 도움말을 듣기 위해서는 *를 누르도록 사용자에게 지시한다.
두 개의 비디오윈도우들이 정의되었지만, 비디오는 그것에 수반되는 오디오파일과 동기되어야 하므로, 비디오는 즉시 재생되지 못한다. 따라서, 일단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은 디스플레이포맷이 셋업됨을 보고하며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FILE_END메시지(<0:$>)로 환영메세지의 종료를 보고하면,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메시지내용들을 파라미터로서 이용하여 자신의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427)를 호출한다.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427)는 좌측 윈도우(101)에서 제 1비디오파일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을 위해 돌려보내며, 메시지(mStart 4 file1)를 오디오서브시스템(304)으로 돌려보낸다. 이 메시지들은 오디오서브시스템(304)으로 전송되고, 제 1제어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02a)에 의해 수신된다. 이후, 제 1제어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02a)는 서버객체인스턴스(400)의 메쏘드를 호출하여, 예컨대, 가상그룹 "4"에 대응하는 실제그룹 "1"을 이용하여 수반되는 오디오(file1)의 재생을 시작한다.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이 메시지들을 수신지들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송한다.
또한,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427)는 우측 윈도우(102)에서 제 2비디오파일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을 위해 돌려보내며,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반되는 오디오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오디오서브시스템(304)에 전송한다.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예를 들면, 제 2윈도우(102)에 대해 수반되는 오디오파일을 재생하기 위해, 실제다중재생그룹 "2"를 할당하며, 그것을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425)에 대해 가상다중재생그룹 "2"에 맵핑한다. 수반되는 오디오를 위한 비디오재생메시지 및 오디오재생메시지의 발송은 통상 수십 밀리초 만큼 어긋나, 오디오 및 비디오서브시스템들의 응답시간이 다른 원인이 된다.
윈도우(101, 102)에서 비디오에 수반되는 오디오파일의 재생이 종료할 때, 오디오서브시스템은 MULTI_PLAY_FILE_END메시지(적절한 <4:&$> 또는 <2:&$>)를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로 전송한다. 유사하게,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비디오파일의 재생이 종료되는 것을 알린다.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이러한 통지메시지들을 파라미터로서 이용하여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427)를 호출한다.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427)는 오디오 및 비디오파일재생명령들을 돌려보내며,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그것들을 오디오서브시스템(304) 및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으로 전송한다. 이는 비디오에 오디오가 동기 유지되게 한다.
제 1가입자가 그의 이동국(327)의 "1"키를 누르면,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의 서버객체인스턴스(400)는 실제채널 "0"상에서 가입자가 "1"을 누름을 확인하고, DIGIT_PRESS메시지 (<0:1>)를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a)로 전송한다. DIGIT_PRESS메시지는 눌러진 숫자와 이 숫자의 DTMF신호가 수신된 실제채널에 대응하는 가상채널을 식별한다.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a)는 메시지를 파라미터로서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정의객체인스턴스(427a)를 호출하며, 제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에는 가입자가 좌측 비디오윈도우를 위한 오디오를 듣기 원함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 및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을 위해 반환된다. 따라서,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mAdd01"메시지를 오디오서브시스템(304)으로 전송하여 가상채널 "0"을 가상다중재생그룹 "1"에 추가하며,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으로 표지메시지를 발생한다. 제어서브시스템객체인스턴스(402) 및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의 서버객체인스턴스(400)는 가상채널 및 그룹매핑테이블들을 액세스한 후에 실제채널 "0"을 실제다중재생그룹 "4"에 추가함으로써 함께 오디오서브시스템 메시지에 응답한다. 따라서, 제 1가입자는 그의 이동국(327)의 확성기로 오디오를 듣는다.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은 좌측 비디오윈도우(101)에 인접한 표지(104)를 발생하여 가입자를 표시함으로써 메시지에 응답한다.
제 1가입자가 그의 이동국(326)의 "2"키를 누르면, 오디오서브시스템(304)으로 전송되는 메시지가 "mAdd 02"인 것과, 표지의 위치를 정의하는 파라미터를 다르게 갖는 표지메시지를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면, 상술한 처리과정이 반복된다.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메시지에 응답하여 실제다중재생그룹 "1"에서 실제채널 "0"을 제거하며, 그것을 실제다중재생그룹 "2"에 추가하여, 제 1가입자는 우측 비디오윈도우(102)에서 비디오에 수반되는 오디오를 듣게 된다.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은 표지(104)를 인접한 우측 비디오윈도우(102)로 이동시킴으로써 메시지에 응답한다.
독자는 오디오서브시스템의 객체인스턴스들에 의한 메시지 처리에 친숙해졌을 것이다. 명료함을 위해 이하 더 많은 세부설명이 생략될 것이다.
제 1가입자가 아무때나 그의 이동국(326)의 "*"키를 누르면,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실제채널 "0"상에서 가입자가 누른 "*"를 확인하며,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에 DIGIT_PRESS메시지를 전송한다. DIGIT_PRESS메시지는 눌러진 숫자를 식별하며, 이 숫자의 DTMF신호는 수신된 실제채널에 대응하는 가상채널을 식별한다.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메시지를 파라미터로서 이용하여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427)를 호출하며,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을 위한 메시지가 제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로 반환된다. 제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이에 응답하여 이 메시지들을 오디오서브시스템(304)으로 전송하여 오디오서븟스템이 실제다중재생그룹 "1" 또는 "2"(필요하다면)로부터 실제채널 "0"을 제거하고 실제채널 "0"에 할당된 디지털신호처리기상에서 도움말파일재생을 시작하게 한다. 또한,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메시지를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로부터 표지(104)를 삭제하게 한다. 도움말파일이 종료하였을 때,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FILE_END메시지를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425)로 전송하고 실제채널 "0"의 상태를 ACTIVE로 리셋시킨다.
제 1가입자가 그의 이동국(326)의 "#"키를 누르면,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실제채널 "0"상에서 가입자가 누른 "#"을 식별하고 DIGIT_PRESS메시지를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로 전송한다. DIGIT_PRESS메시지는 눌러진 숫자를 식별하고 그 숫자의 DTMF신호가 수신된 실제채널에 대응하는 가상채널을 식별한다.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메시지를 수신하며 메시지를 파라미터로서 이용하여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427)를 호출하고, 가입자가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으로 이동하려고 함을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에 통지하는 메시지가 제 1대화형 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로 반환된다. 그 후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그 메시지를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으로 전송하고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은 이에 응답하여 표지(104)를 타원윈도우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 및 그것의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427)에 의해 오디오서브시스템(304)으로부터의 각 메시지가 처리된 후,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을 이용하는 모든 가입자들이 다음 디스플레이로 이동하려고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상황에서, 단 한 명의 가입자만이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을 이용하고 그러므로 제 1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는 디스플레이포맷이 변경되어야 함을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의 제어기객체인스턴스(420)에 즉시 알린다. 이후, 제어기객체인스턴스(420)는 스케줄객체인스턴스(424)로부터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의 식별자, 이 경우 "프리젠테이션도메인"을 검색하고,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425)에 지시하여 Tweeny1의 스크린정의객체인스턴스(427)를 파기하고 "프리젠테이션도메인"에 대한 디스플레이정의객체를 인스턴스화한다.
제어서브시스템(305a, 305b)의 객체인스턴스들의 상호작용은 이제 명백해 질 것이며, 이하 명료함을 위해 많은 부분이 생략될 것이다.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은 "프리젠테이션도메인"에 대한 포맷정의데이터를, 새로운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으로 전송하며 오디오제어명령들을 오디오서브시스템(304)으로 전송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리젠테이션도메인"은 이미지파일로 정의되는 배경(105), 비디오윈도우(106) 및 지시정보를 포함한다. 초기에, 안테나(324) 및 튜너(325)에 의해 수신된 이미지는 비디오윈도우(106)에서 디스플레이되며 직접오디오공급(309)으로부터의 오디오는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의, 예를 들면, 실제그룹 "7"로 공급된다. 직접오디오공급(309)은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의 튜너(325)와 동일한 채널로 동조된 다른 튜너(미도시)로부터의 오디오를 수신한다.
제 1가입자가 그의 이동국(327)의 "1"키를 누르면, 이미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 제 1가입자는 실제그룹 "7"에 연결되어 직접오디오공급(109)으로부터의 오디오를 공급받을 것이며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은 안테나(324)로부터의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제 1가입자가 그의 이동국(327)에서 "2"키를 누르면, 제 1 비디오서브시스템(302)은 제 1윈도우에서 디스크드라이브로부터의 비디오파일을 재생하도록 지시받으며,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실제그룹 "1"상에서, 수반되는 오디오파일을 재생하도록 지시받으며, 가입자의 채널은 실제그룹 "6"에서 실제그룹 "1"로 전환된다. "*"키를 누르면 가입자에게 오디오도움말파일이 재생되게 하며, "#"키를 누르면 제 1가입자가 이동하려고 함이 제 1제어처리기에 통지된다.
가입자가 이동하려고 함을 나타내었을 때,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은 "Tweeny2"라 불리는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을 셋업한다. "Tweeny2"는 비디오윈도우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및 수반되는 오디오파일들을 제외하면, "Tweeny1"과 동일하다.
"Tweeny2"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제 2가입자가 그의 이동국(328)을 이용하여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을 호출한다면, 가입자를 위해 환영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며, 이후, 가입자는 디스플레이스크린(322)과 양방향통신을 할 수 있다. 제 2가입자는 그의 이동국(38)상의 "1" 및 "2"키들을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를 위한 오디오를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다. 제 2가입자의 존재는 디스플레이에서의 추가적인 독특한 표지로 나타내어진다.
일단 가입자가 그의 이동국(327, 328)상의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이동할 의사를 나타내었으면, 그의 표지는 타원영역으로 이동할 것이다. 다른 가입자가 이동할 의사를 나타내거나 호출을 종료할 때까지, "#"키를 누른 가입자는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된 비디오를 위한 오디오를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가입자가 "1" 또는 "2"키를 누르면, 그의 표지는 타원영역으로부터 이동하지 않을 것이다.
가입자들 둘 다 이동할 의사를 나타내었을 때,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은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을 셋업한다. 이 디스플레이포맷은 각 가입자가 디스플레이스크린(322)상에서 뱀(107, 108)을 제어하고, 랜덤하게 나타나는 대상물들(109)을 "먹도록" 그 뱀들을 조종해야 하며, 더 많은 대상물을 먹을 수록 더 길어지는 대화형게임(도 9 참조)을 포함한다. 가입자들은 각각 그들의 이동국들(327, 328)상의 "4" 및 "6" 키들을 누름으로써 좌측 또는 우측으로 그들의 뱀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시점에서 제 2가입자가 그의 호출을 종료하면,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DISCONNECT메시지를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으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정의객체인스턴스(427)는 제 2가입자의 레코드를 삭제함으로써 응답한다. 가입자의 연결끊김에 응답하여,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제 2가입자에게 할당된 실제 및 가상채널들을 빈(free) 상태로 하며 멤버였던 임의그룹들로부터 그의 채널을 삭제한다. 또한,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은, 제 2가입자에 대한 표지가 삭제되게 하는 메시지를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으로 전송한다.
제 1가입자가 이동할 의사를 나타낼 때,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은"Tweeny3"으로 호칭되는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을 셋업한다. "Tweeny3"은 재생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파일을 제외하면, "Tweeny1"과 동일하다.
제 1가입자가 ""Tweeny3"으로부터 이동할 의사를 나타낼 때, 제어서브시스템(305a)은 "협의도메인"으로 호칭되는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을 셋업한다. "협의 도메인"포맷은 메시지 "누군가와의 대화(Talk to someone)"를 포함한다.
이 시점에서, 제 3가입자는 그의 이동국(437)을 이용하여 근처의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03)으로부터 시스템에 액세스하였고, 제 2제어서브시스템(305b)에 의해 제어되는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303)상의 "협의도메인" 디스플레이포맷에 도달했다고 가정될 수 있다.
"협의도메인" 디스플레이는, 때때로 변경되는 협의액세스코드를 구비한다. 협의에 참가하기 위해, 가입자는 그의 이동국을 이용하여 이 코드를 입력해야 한다. 가입자가 협의액세스코드를 입력했을 때, 관련된 제어서브시스템(305a, 305b)은 오디오서브시스템(304)에 지시하여 가입자의 채널을 협의그룹에 추가하도록 한다. 동일 협의그룹에 추가된 채널들을 갖는 가입자들은 동일 채널의 멤버들인 채널들을 갖는 다른 가입자들과 대화할 수 있다. "협의도메인"을 이용하는 가입자들의 수가 많으면, 그들은 복수개의 협의그룹들 가운데 분배되어 임의 하나의 협의그룹을 이용하는 가입자들의 수가 제한된다.
협의액세스코드의 목적은 협의를 이용하는 호출자들이 비디오서브시스템들(302, 303)중 어느 하나의 근처에 실제로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것이다.
제 1가입자가 이동하려는 의사를 나타낼 때, 제어서브시스템은 "Tweeny4" 라고 불리는 다음 디스플레이포맷을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302)상에 설정한다. "Tweeny4"는 재생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파일들을 제외하면 "Tweeny1" 페이지와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제 1가입자가 "Tweeny4"로부터 이동하려는 의사를 나타낼 때, 제 1제어서브시스템(305a)은 디스플레이포맷 "Tweeny1"을 제 1 비디오서브시스템에 다시 설정한다.
하나의 비디오서브시스템(302, 303)을 이용하는 모든 가입자들이 아무때나 그들의 호출을 종료한다면, 제어서브시스템들(305a, 305b)은 비디오서브시스템의 초기 디스플레이포맷을 다시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실시예의 동작 중에, 오디오 및 제어서브시스템들(304, 305a, 305b)은 로깅(logging)하기 위해 그들의 서로에 대한 메시지들을 관리서브시스템(306)에 복사한다.
메시지의 리스트를 통해, 제 2실시예는 오디오서브시스템(304)으로부터 외부호출(outgoing call)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포맷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가입자가 추가정보를 위해 숫자를 누를 것을 제안한다. 가입자가 숫자를 누르면, 대화형포맷서버객체인스턴스와 디스플레이정의객체인스턴스는 ISDN 종결카드(348)를 통한 호출이 판매센터에 있게 하고, 호출이 연결되면, 가입자의 채널을 MVIP버스를 이용하여 판매센터의 채널과 연결하도록 메시지를 오디오서브시스템(304)으로 전송한다.
제 2실시예의 확장에서, 오디오서브시스템(304)에는, 예를 들어, GSM통신망에 의해 제공되는 SMS서비스와 같은, 이동전화통신망 메시징서비스를 위해 메시지들을 발생하는 이동전화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그 후, 오디오서브시스템(304)은 가입자의 키누름에 응답하여 텍스트메시지들을 가입자의 이동전화(327, 328, 337, 338)로 전송할 것을 지시 받는다. 텍스트메시지는 가입자가 추가 참조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322, 332)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대형 디스플레이(501) 및 모뎀을 이용한 공중전화교환망(502)과 연결된다. 공중육상이동통신망의 가입자가 디스플레이(502)의 전면에 서서 자신의 이동국(503)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501)와 대화할 수 있다. 마이크로컴퓨터(500)는 도 1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리서브시스템, 오디오서브시스템 및 제어서브시스템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지원한다. 그러나, 물리적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된 것이 아닌, I/O인터페이스객체들(402, 403, 411, 412, 422, 421)이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서로의 메쏘드들을 호출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가입자들이 동시에 하나의 비디오서브시스템과 대화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포맷의 기정의된 순서가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어졌다. 디스플레이포맷은 하나 이상의 다른 포맷들에 대한 링크들을 갖는 포맷들로 웹(web)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포맷배열은 비디오서브시스템 당 단 하나의 입력오디오채널을 갖는 시스템에 특히 잘 어울린다. 그러나, 다중사용자시스템의 웹(web)을 통한 항법(navigation)은 보팅 타이즈(voting ties)를 해결하기 위해 무작위 함수로 다수의 희망에 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웹구조를 이용하여, 관리서브시스템은 포맷들이 이용될 순서를 설정하지 않는다.
비디오서브시스템들은 주어진 시간에 하나의 포맷을 사용하는 단 하나의 디스플레이스크린을 갖는 것으로서 설명되어졌다. 그러나, 각 비디오서브시스템은 각 스크린이 다른 사용자를 위해 다른 포맷을 사용하는 복수개의 스크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스크린들은 단일포맷에 따라 단일영상의 일부분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다른 사용자들이 흥미 있는 포맷선택으로 독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동시에 둘 이상의 포맷에 따라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세분될 수 있다.
비디오파일들의 분배는 ISDN링크들(33, 43)을 사용하여 설명되어졌다. 이 파일들은 디스크 또는 테이프와 같은 데이터캐리어(carrier)를 사용하여 분배되어도 좋다.
만약 복수의 비디오서브시스템들이 동일한 이미지데이터를 필요로 하다면, 이 데이터는 방송기술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인공위성이나 또는 디지털/아날로그 지상TV채널들을 사용하여 분배되어도 좋다.
ISDN링크들(33, 43)은 유선이든 무선이든 전화링크로 대체될 수 있다. 휴대용 비디오서브시스템은 제어서브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한 이동전화장치를 구비하고 있다고 상정하였다.
다양한 서브시스템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마이크로컴퓨터가 개략적으로 설명되어졌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마이크로컴퓨터들이 디스크드라이브, 모니터, 키보드를 구비하는 표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제 1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오디오서브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오디오서브시스템의 전화인터페이스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어서브시스템의 하드웨어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도 1의 비디오제어처리기들 중의 하나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 1비디오서브시스템의 초기 디스플레이포맷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제 2비디오서브시스템의 초기 디스플레이포맷을 나타낸다.
도 8은 디스플레이포맷을 나타낸다.
도 9는 다른 디스플레이포맷을 나타낸다.
도 10은 다른 디스플레이포맷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제 2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들의 블럭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오디오서브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어서브시스템의 하드웨어의 블럭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비디오제어처리기들 중의 하나의 블럭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실시예를 소프트웨어도메인에서 나타낸다.
도 16은 단일 마이크로컴퓨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
.

Claims (23)

  1.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광역통신망을 통해 오디오통신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오디오통신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오디오서브시스템;
    상기 오디오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명령들을 내리도록 구성된 제어서브시스템; 및
    디스플레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명령들에 응답하여 이미지데이터로 정의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수단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비디오서브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서브시스템은 제어서브시스템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상기 이미지데이터는 디스플레이명령들에 독립적으로 비디오서브시스템에 공급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서브시스템은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명령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저장하는 국부데이터저장수단을 구비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서브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비디오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명령들의 전송은 실시간 비디오의 전송에는 불충분한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명령들의 전송은 20프레임/초 보다 큰 프레임레이트를 갖는 실시간 비디오의 전송에는 불충분한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브시스템은 최대 64kbits/s의 비트레이트를 지원하는 통신채널에 의해 비디오서브시스템에 연결되며, 디스플레이명령들은 상기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브시스템은 상기 오디오서브시스템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오디오서브시스템 제어명령들을 내리도록 구성된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브시스템은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동영상이 비디오서브시스템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게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명령과 오디오서브시스템이 동영상에 수반되는 오디오신호를 광역통신망을 통해 이용할 수 있게 하는오디오서브시스템 제어명령을 모두 내리는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통신망은 공중전화망을 포함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통신망은 이동전화망을 포함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통신신호 및/또는 상기 오디오신호는 전화채널로 전송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비디오서브시스템들을 구비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13. 대화형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원격 디스플레이국에서 이미지데이터의 공급물을 제공하는 단계;
    중앙국에서 광역통신망을 통해 오디오통신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오디오통신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중앙국에서, 수신된 오디오통신신호에 의거하여 원격디스플레이국으로 디스플레이명령을 내리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국에서, 디스플레이명령에 의거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는 상기 공급물로부터의 이미지데이터에 의해 정의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공급물의 제공단계는 원격 디스플레이국에서 데이터저장장치내에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공급물의 제공단계는 실시간 비디오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
  16. 제 13항 내지 제 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명령의 전송은 실시간 비디오의 전송에는 불충분한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명령들의 전송은 20프레임/초 보다 큰 프레임 레이트를 갖는 실시간 비디오의 전송에는 불충분한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
  18. 제 13항 내지 제 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명령은 최대 64kbits/s의 비트레이트를 갖는 통신채널에 의해 비디오서브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
  19. 제 13항 내지 제 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오디오서브시스템 제어명령들을 내리는 단계를 구비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동영상이 비디오서브시스템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게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명령과 오디오서브시스템이 동영상에 수반되는 오디오신호를 광역통신망을 통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오디오서브시스템제어명령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내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
  21. 제 13항 내지 제 2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통신망은 공중전화망을 포함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
  22. 제 13항 내지 제 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역통신망은 이동전화망을 포함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방법.
  23. 제 13항 내지 제 2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통신신호 및/ 또는 상기 오디오신호는 전화채널로 전송되는 대화형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17015738A 1997-05-01 1998-04-30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KR200300964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08928.8 1997-05-01
GB9708928A GB2326053A (en) 1997-05-01 1997-05-01 Interactive display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119A Division KR20010012170A (ko) 1997-05-01 1998-04-30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455A true KR20030096455A (ko) 2003-12-31

Family

ID=108116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738A KR20030096455A (ko) 1997-05-01 1998-04-30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19997010119A KR20010012170A (ko) 1997-05-01 1998-04-30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119A KR20010012170A (ko) 1997-05-01 1998-04-30 대화형 디스플레이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2) EP1119150A3 (ko)
JP (1) JP2001527720A (ko)
KR (2) KR20030096455A (ko)
CN (1) CN1201557C (ko)
AT (1) ATE222036T1 (ko)
AU (1) AU7222798A (ko)
CA (1) CA2288900A1 (ko)
DE (1) DE69807060T2 (ko)
DK (1) DK0979574T3 (ko)
ES (1) ES2178206T3 (ko)
GB (1) GB2326053A (ko)
IL (1) IL132637A0 (ko)
SG (1) SG111913A1 (ko)
WO (1) WO1998051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05843A1 (de) * 1999-02-12 2000-08-17 Alcatel Sa Verfahren zur digitalen Übertragung von komprimierten Fernsehsignalen
WO2001003388A1 (en) * 1999-07-06 2001-01-11 At & T Laboratories Cambridge Ltd. A thin multimedi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6484148B1 (en) * 2000-02-19 2002-11-19 John E. Boyd Electronic advertis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02029665A1 (en) * 2000-10-03 2002-04-11 Kent Ridge Digital Labs A system for interactive information display on a billboard
EP1199899B1 (en) * 2000-10-16 2004-04-21 Alcate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group of users with an information message with an adaptive content
KR101023699B1 (ko) * 2002-12-05 2011-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화형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재생 제어방법
FR2862475B1 (fr) * 2003-11-17 2006-02-24 Okdak Systeme de diffusion d'informations
CN101697110B (zh) * 2009-10-26 2015-06-24 孟智平 一种同步异构显示终端交互控制方法及系统
US8544033B1 (en) 2009-12-19 2013-09-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content in a digital signage environment
US9135352B2 (en) 2010-06-03 2015-09-1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argeted advertising through traffic analysis in a network environment
US8792912B2 (en) 2011-12-22 2014-07-2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ximity-based dynamic content in a network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1888A (en) * 1977-02-16 1978-01-31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Telephone multiline automatic voice answer system
GB2185361B (en) * 1986-01-10 1989-10-25 Stc Plc Store and forward system
US5115464A (en) * 1986-08-29 1992-05-19 Waldman Michael I Multiline telephone answering system and interface therefore
IT8820158A0 (it) * 1988-04-11 1988-04-11 Telema S R L Sistema telematico di imformazione e comunicazione pubblicitaria per ambienti a grande afflusso di pubblico.
US5327554A (en) * 1990-11-29 1994-07-05 Palazzi Iii Michael A Interactive terminal for the access of remote database information
US5236199A (en) * 1991-06-13 1993-08-17 Thompson Jr John W Interactive media system and telecomputing method using telephone keypad signalling
FI925364A (fi) * 1992-11-25 1994-05-26 Aumec Systems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raodloes informationsoeverfoering
DK0679312T3 (da) * 1992-12-17 2004-09-27 Voxson Internat Pty Ltd Informationsoverföringssystem til forögelse af den effektive informationsoverförselshastighed
US5510828A (en) * 1994-03-01 1996-04-23 Lutterbach; R. Steven Interactive video display system
IT1271639B (it) * 1994-05-06 1997-06-04 Italtel Spa Sistema di televisione interattiv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26053A (en) 1998-12-09
AU7222798A (en) 1998-11-27
CN1201557C (zh) 2005-05-11
IL132637A0 (en) 2001-03-19
GB9708928D0 (en) 1997-06-25
CA2288900A1 (en) 1998-11-12
ES2178206T3 (es) 2002-12-16
DK0979574T3 (da) 2002-12-02
EP0979574A1 (en) 2000-02-16
KR20010012170A (ko) 2001-02-15
SG111913A1 (en) 2005-06-29
DE69807060D1 (de) 2002-09-12
CN1259257A (zh) 2000-07-05
EP1119150A2 (en) 2001-07-25
DE69807060T2 (de) 2003-04-10
JP2001527720A (ja) 2001-12-25
EP1119150A3 (en) 2005-11-30
WO1998051068A1 (en) 1998-11-12
EP0979574B1 (en) 2002-08-07
ATE222036T1 (de) 200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9223B2 (en) Routing of data including multimedia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9030523B2 (en) Flow-control based switched group video chat and real-time interactive broadcast
US58807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display phone set-up time to provide third party controlled messaging
EP0660576A2 (en) Multimedia system
JPH11502387A (ja) 電子会議グループにクローズドキャプション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
GB2371707A (en) Improved interactive system for enabling TV shopping
EP0979574B1 (en) Interactive display system
US5857014A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s between a remote computer and a computer service provider using a telephonic switch
JP5257352B2 (ja) 通話内容録音装置および通話内容録音方法
CN103634484A (zh) 终端切换方法、装置及系统
AU772014B2 (en) Interactive system for enabling TV shopping
JPH0946447A (ja) 双方向文字放送用サー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における応答データの経路選択方法
JP2002111663A (ja) 電子会議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配信方法
JP3851447B2 (ja) 放送受信端末
JPH10200635A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メールシステム形成方法および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テレフォンシステム
Hong et al. FMV-FM video broadcast system
JPH0435539A (ja) 広域多者間会議システム
JP2000278664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KR20010105856A (ko) 인터넷에서의 동영상 서비스 장치
JPH1042049A (ja) 個人用idカードを利用した回線利用サービス管理方式
JPH03265265A (ja) パーティライン回線接続装置および接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