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5319A - 권총 및 소총용 광총 - Google Patents

권총 및 소총용 광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5319A
KR20030095319A KR10-2003-0036606A KR20030036606A KR20030095319A KR 20030095319 A KR20030095319 A KR 20030095319A KR 20030036606 A KR20030036606 A KR 20030036606A KR 20030095319 A KR20030095319 A KR 20030095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unit
lever portion
lever
light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269B1 (ko
Inventor
고꾜준이찌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16Adjustable firing mechanisms; Trigger mechanisms with adjustable trigger pu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0Composition for standardization, calibration, simulation, stabilization, preparation or preservation; processes of use in preparation for chemical testing
    • Y10T436/106664Blood serum or blood plasma standard 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y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광총은, 방아쇠 유닛; 방아쇠 유닛에 연결된 파지부; 및 방아쇠 유닛에 연결된 총신 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방아쇠 유닛은 방아쇠 및 공이치기를 구비하고, 상기 총신 유닛은, 방아쇠를 당겨서 방아쇠 작동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공이치기에 의한 충돌의 발생에 응하여 광탄을 발사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권총 및 소총용 광총{LIGHT GUN FOR PISTOL AND RIFLE}
본 발명은, 광탄을 발사하는 광총에 관한 것이다.
사격 경기는 올림픽 경기종목중의 하나이며, 또한 이러한 사격 경기는 2종류의 경기, 즉 권총 경기와 소총 경기로 분류된다. 권총 경기는 경찰관의 사격 훈련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사격 훈련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킨다. 사격 경기와 사격 훈련에서는 실탄이 사용된다. 그러나, 실탄을 사용하는 것은 비용과 안전성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실탄 대신에 단파장 레이저빔 탄환과 같은 광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탄 대신에 광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총의 방아쇠 장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도 1 은 실탄을 사용하는 종래 총의 방아쇠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도 1 에 있어, 총신 유닛은 총에서 제외시켰다. 방아쇠 장치는 파지부 (101) 및 방아쇠 시스템 고정부 (102) 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아쇠 시스템 고정부 (102) 의 바닥부에 설치된 주축(103) 에는, 방아쇠 작동부 (104) 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방아쇠 작동부 (104) 는, 주축 (103) 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방아쇠 레버 (105), 및 이 방아쇠 레버 (105) 에 부착된 방아쇠 블레이드 (106) 로 이루어진다. 방아쇠 수동부 (trigger driven portion: 107) 는, 상기 방아쇠 작동부 (104) 의 동작에 연계하여 회전작동을 실시한다. 상기 방아쇠 수동부 (107) 는 제 1 수동 레버 (108), 제 2 수동 레버 (109), 및 제 3 수동 레버 (110) 로 이루어진다. 제 1 수동 레버 (108) 는, 상기 방아쇠 레버 (105) 와 함께 하나의 유닛으로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방아쇠 레버 (105) 와 함께 주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2 수동 레버 (109) 는, 상기 제 1 수동 레버 (108) 와 연계하여 작동하기는 하지만, 그 제 1 수동 레버 (108) 와 하나의 유닛으로서 형성되지는 않는다. 제 3 수동 레버 (110) 는, 상기 제 1 수동 레버 (108) 와 연계하여 작동하기는 하지만, 상기 제 2 수동 레버 (109) 와 하나의 유닛으로서 형성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 2 수동 레버 (109) 및 제 3 수동 레버 (110) 는 서로 다른 회전 축들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사격수가 방아쇠 블레이드 (106) 를 당기면, 제 2 수동 레버 (109) 와 제 3 수동 레버 (110) 의 각 상사점 근방의 각도변위에 기초하여, 제 3 수동 레버 (110) 가 소량의 각도만큼 회전되며, 이로써, 제 3 수동 레버 (110) 에 의해 정지 또는 고정되어 있던 공이치기 섹션 (112) 이 정지위치로부터 해방되어 스프링력에 의해 곧바로 이동을 개시한다. 이어서, 상기 공이치기(112) 의 충돌로 인한 발사약의 폭발을 통해 실탄이 발사된다. 실탄을 발사하는 총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 장치, 파지부 (101), 및 실탄이 통과하는 총신은 강도의 증대를 위해 하나의 유닛으로서 제조되며, 총은 방아쇠 작동의 충격, 발사약의 폭발, 및 탄환 발사의 반동을 견디어 낼 수 있다.
도 2 는 종래의 권총형 광총을 도시한 것이다. 이 권총형 광총은, 목재로 만들어진 파지부 (201), 및 이 파지부 (201) 에 부착되어 지지된 총신 유닛 (202), 파지부 (201) 와 총신 (202) 사이의 연결영역에 설치된 방아쇠 (203), 방아쇠를 복귀시키는데 이용되는 레버로서의 격발준비 레버 (cocking lever: 204), 총신 유닛의 전방위치에 설치된 전방측 조준기 (205), 및 후방측 조준기 (206) 로 이루어진다.
상기 권총형 광총은, 사격수가 팔을 표적방향으로 뻗어, 팔의 오르내림을 억제하면서 시선을 상기 조준기 (205,206) 의 십자선을 이용하여 표적에 고정시키고, 이어서 방아쇠 (203)를 손가락으로 당겨 광탄을 표적을 향하여 발사하는 상태에서, 사격수의 한 손에 의해 보유된다. 방아쇠 (203) 는, 당김작동시에 사격수의 손가락에 적절한 정도의 반작용력을 부여한다. 당김작동시의 반작용력이 너무 약하면, 방아쇠 작동과 광탄의 발사작동간의 관계가 민감해지지 않아, 광탄이 부주의하게 발사되는 위험이 있다. 당김작동시의 반작용력이 너무 강하면, 방아쇠 작동시에 총신이 떨리게 된다. 그 결과, 광탄은 조준기를 이용하여 설정한 표적을 맞추지 못하게 된다. 실탄총 및 광탄총은 방아쇠 작동과 반작용력 작동에 있어서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
사격수의 손가락, 팔 (권총의 경우), 또는 어깨 (소총의 경우) 에는, 방아쇠 작동시의 역학적 변위에 대응하는 반작용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반작용력의 존재는, 사격훈련의 필요성의 원인이 되며, 사격경기의 존재의 원인이기도 하다.
광총으로부터는 실탄이 발사되지 않고 광탄의 사격작동에는 반작용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광총에는 특별한 방아쇠 장치의 제공이 요구된다. 또한, 사격경기용으로서 방아쇠 장치의 간소화가 요구된다. 또한, 광총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착탈가능한 부품에 의해, 광탄의 표적과 조준선이 위치결정되는 광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권총 및 소총으로서 겸용할 수 있는 광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비용을 보다 더 저감할 수 있는 광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권총 또는 소총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광총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실탄용 총의 방아쇠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권총형 광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총의 방아쇠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방아쇠 장치에 사용되는 권총용의 방아쇠 레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방아쇠 장치에 사용되는 소총용의 방아쇠 레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방아쇠 장치의 수정예에 사용되는 권총용의 방아쇠 레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방아쇠 장치의 수정예에 사용되는 소총용의 방아쇠 레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제 1 회전축을 포함하여 총신 유닛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면에 의해 방아쇠 장치를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제 4 레버부가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에 격돌하였을 때의 상기 제 4 레버부와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방아쇠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 은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a 및 13b 는 각각 총신 유닛과 방아쇠 장치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4 는 기본 유닛과 총신 유닛을 연결하여 조립한 기본 주 몸체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5 는 권총용의 전방 조준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6 은 기본 주 몸체와 권총용의 전방 조준기를 연결하여 조립한 권총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7 은 소총용 연장 총신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8 은 소총용 전방 조준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9 는 소총용 전방 조준기와 소총용 연장 총신을 기본 주 몸체와 연결한 소총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0 은 소총용 전방 조준기와 소총용 연장 총신을 서로 연결한 소총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1 은 복귀 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주 몸체 2 : 제 1 회전축
3 : 방아쇠 작동 시스템 4 : 방아쇠 레버부
5 : 공이치기 작동 시스템 6 : 제 1 레버부
6-1 : 고정 레버부 6-2 : 조정가능 레버부
7 : 방아쇠 블레이드 8 : 제 2 레버부
9 : 손가락 걸림면 10 : 국소적 돌기부
11 : 제 4 회전축 12 : 제 3 레버부
13 : 제 4 레버부 14 : 제 2 회전축
15 : 제 3 회전축 16 : 방아쇠 스프링
17 :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8 : 바이어스 스프링
19 : 타 작동단부 20-1 : 레일
20-2 : 홈 21 : 초기위치 조정나사
22 : 조정 스프링 23 : 전환 축
24 : 제 1 면 25 : 제 2 면
26 : 볼 베어링 27 : 보울트 헤드 걸어맞춤구멍
28 : 나사 구멍 29 :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주몸체부
30 : 헤드부 31 : 총신 유닛
32 : 제 1 결합구멍 33 : 제 2 결합구멍
34 : 기본 주몸체 35 : 제 3 결합구멍
36 : 권총용 전방 조준기 37 : 제 4 결합구멍
38 : 소총용 연장 총신 39 : 제 5 결합구멍
40 : 적외선 발광 유닛 41 : 소총용 전방 조준기
42 : 제 6 결합구멍 43 : 제 7 결합구멍
44 : 장식체 45 : 파지부
46 : 적외선 수광 유닛 50-1 : 권총용 조준기 유닛
50-2 : 소총용 조준기 유닛 51 : 복귀 유닛
52 : 안내 홈 53 : 돌출부
54 : 구멍 61 : 초기위치 조정나사
62 : 초기위치 결정부재 71 : 제 1 부착면
72 : 제 2 부착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있어서, 광총은, 방아쇠 유닛; 방아쇠 유닛에 연결된 파지부; 및 방아쇠 유닛에 연결된 총신 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방아쇠 유닛은 방아쇠 및 공이치기를 구비하고, 상기 총신 유닛은, 방아쇠를 당겨서 방아쇠 작동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공이치기에 의한 충돌의 발생에 응하여 광탄을 발사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총신 유닛은, 추가로, 표적으로부터의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 유닛; 및 상기 충돌을 검출하고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광탄을 발사하는 충돌 센서;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광총은, 상기 총신 유닛의 전방부에 설치된 권총 조준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총신 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소총 총신; 및 이 소총 총신의 전방부에 설치된 소총 조준기; 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아쇠 유닛은, 상기 방아쇠를 포함하는 방아쇠 작동유닛; 및 상기 공이치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아쇠의 작동에 응하여 작동하는 공이치기 작동유닛;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아쇠 작동유닛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방아쇠 유닛에 설치되는 제 1 레버부; 및 이 제 1 레버부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방아쇠로서의 제 2 레버부; 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제 1 레버부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회전축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더 먼 위치에서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광탄의 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고,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광탄의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되는 고정 레버부; 및 이 고정 레버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정가능 레버부;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총은,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가 파지부측으로 당겨지는 때에는, 권총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 상기 광총은,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가 상기 고정 레버부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하는 때에는, 소총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착탈가능하고,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제 1 타입의 파지부가 사용되고,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제 1 타입의 파지부와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파지부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광총은, 방아쇠 유닛; 방아쇠 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된 파지부; 및 방아쇠 유닛에 연결된 총신 유닛; 을 포함한다. 상기 방아쇠 유닛은 방아쇠 및 공이치기를 구비한다. 상기 총신 유닛은, 표적으로부터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광총과 표적과의 관계를 확립하는 수광 유닛; 방아쇠를 당겨서 방아쇠 작동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공이치기에 의해 충돌이 발생하는 것에 응하여 광탄을 발사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충돌을 검출하고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광탄을 발사하는 충돌 센서;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광총은, 추가로, 상기 총신 유닛의 전방부에 설치된 권총 조준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총은, 상기 총신 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소총 총신; 및 이 소총 총신의 전방부에 설치된 소총 조준기; 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아쇠 유닛은, 상기 방아쇠를 포함하는 방아쇠 작동유닛; 및 상기 공이치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아쇠의 작동에 응하여 작동하는 공이치기 작동유닛;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아쇠 작동유닛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방아쇠 유닛에 설치되는 제 1 레버부; 및 이 제 1 레버부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방아쇠로서의 제 2 레버부; 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제 1 레버부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회전축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더 먼 위치에서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광탄의 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광탄의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되는 고정 레버부; 및 이 고정 레버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정가능 레버부;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총은,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가 파지부측으로 당겨지는 때에는, 권총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광총은,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가 상기 고정 레버부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하는 때에는, 소총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착탈가능하고,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제 1 타입의 파지부가 사용되고,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제 1 타입의 파지부와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파지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광총의 방아쇠 장치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총의 방아쇠 장치 (100) 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방아쇠 장치 (100) 는, 주 몸체 (1), 및 광총의 방아쇠 장치 (100) 의 주 몸체 (1) 내에 설치된 방아쇠 작동 시스템 (3) 과 공이치기 작동 시스템 (5) 으로 이루어진다.
방아쇠 작동 시스템 (3) 은 방아쇠 레버부 (4) 를 포함하며, 이 방아쇠 레버부는, 제 1 레버부 (6), 방아쇠 블레이드 (7), 및 제 2 레버부 (8) 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 는 방아쇠 레버부 (4) 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제 1 레버부 (6) 는, 고정 레버부 (6-1) 및 조정가능 레버부 (6-2) 로 이루어진다.
방아쇠 장치 (100) 의 주 몸체 (1) 에는 제 1 회전축 (2) 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 2 레버부 (8) 는 상기 제 1 회전축 (2)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 2 레버부 (8) 에는 레일 (20-1) 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 레버부 (6-1) 에는 상기 레일 (20-1) 과 끼워맞춰지는 홈 (20-2) 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레버부 (6-1) 는 미끄럼 가능하며 또한 상기 레일 (20-1) 에 의해 안내된다. 축 (11) 에 삽입된 보울트는, 상기 레일 (20-1) 과 함께 상기 홈 (20-2) 에 접촉하여, 상기 고정 레버부 (6-1) 와 상기 제 2 레버부 (8) 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고정 및 연결한다. 즉, 상기 고정 레버부 (6-1) 는 상기 제 2 레버부 (8) 의 레일 (20-1) 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레버부 (6-1) 가 도 4 에 도시된 위치에 위치하는 광총은, 권총으로서 사용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레버부 (6-1) 가 권총용 고정 레버부 (6-1) 의 위치보다도 상기 제 1 회전축 (2) 으로부터 더 먼 위치에 위치하는 광총은, 소총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제 1 회전축 (2) 에 대한 제 1 레버부 (6) 측의 상기 제 2 레버부 (8) 에는, 국소적 돌기부 (10) 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아쇠 레버부 (4) 의 제 1 레버부 (6) 는 제 2 레버부 (8) 에 대해서 미끄럼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레버부 (6) 는, 당해 제 1 레버부 (6) 가 소망의 위치에 설치된 이후에, 상기 제 2 레버부 (8) 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회전축 (2) 으로부터 상기 제 1 레버부 (6) 와 상기 제 2 레버부 (8) 와의 연결지점까지의 회전 반경은 선택이 가능하며 또한 가변적이다. 상기 제 1 레버부 (6) 에는 방아쇠 블레이드 (7) 가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아쇠 블레이드 (7) 는, 당해 방아쇠 블레이드 (7) 가 소망의 위치에 설치된 이후에, 상기 제 1 레버부 (6) 에 고정된다. 상기 방아쇠 블레이드 (7) 는 손가락 걸림면 (9) 을 갖는다. 이 때문에, 사격수가 손가락으로 방아쇠 블레이드 (7) 를 당기면, 제 2 레버부 (8) 는 제 1 회전축 (2) 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공이치기 작동 시스템 (5) 은 방아쇠 작동 시스템 (3) 과 연계하여 작동한다. 공이치기 작동 시스템 (5) 은, 제 3 레버부 (12), 및 이 제 3 레버부 (12) 와 연계하여 작동하는 제 4 레버부 (13) 로 이루어진다. 방아쇠 장치 (100) 의 주 몸체 (1) 에는 제 2 회전축 (14) 및 제 3 회전축 (15) 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 3 레버부 (12) 는 상기 제 2 회전축 (14)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4 레버부 (13) 는 상기 제 3 회전축 (15)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 2 레버부 (8) 는 국소적 돌기부 (10) 에 의해 상기 제 3 레버부 (12) 와 접촉한다. 사격수가 손가락으로 방아쇠 블레이드 (7) 를 당기면, 상기 제 3 레버부 (12) 는 국소적 돌기부 (10) 에 의해 밀리며, 또한 상기 제 2 레버부 (8) 가 제 1 회전축 (2) 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제 3 레버부는 제 2 회전축 (14) 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3 레버부 (12) 의 작동단부를 P 로 하고,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작동단부를 Q 로 한다고 하면, 제 3 레버부 (12) 의 작동단부 P 와 제 4 레버부 (13) 의 작동단부 Q 는 서로 맞물리는 관계에 있다.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회전작동은 상기 제 3 레버부 (12) 에 의해 정지 또는 구속된다. 상기 제 3 레버부 (12) 가 시계방향으로 소량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제 4 레버부 (13) 는, 상기 제 3 레버부 (12) 와의 맞물림관계로부터 해방되어 곧바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4 레버부 (13) 자체 또는 그 일부는 회전 공이치기로서 기능한다.
방아쇠 장치 (100) 의 주 몸체 (1) 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제 4 레버부 (13) 의 반대측 위치에는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가 설치된다. 방아쇠 작동의 개시 이전에, 작동단부 P 와 Q 는 맞물림 상태에 있으며, 동일 지점 또는 동일 영역에 존재한다. 그러나, 제 3 레버부 (12) 가 시계방향으로 소량의 각도만큼 회전하면, 작동단부 P 는 시계방향으로 각도위치로 이동하며, 따라서 작동단부 Q 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방된다. 그 결과, 제 4 레버부 (13) 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에 강하게 격돌한다.
상기 제 4 레버부 (13) 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은 방아쇠 스프링 (16) 에 의해 발생되는데, 이 스프링력은 제 4 레버부 (13) 의 타단부에 작용하여 제 4 레버부 (13) 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방아쇠 스프링 (16) 의 일단부는, 스프링력 조정부재인 스프링력 조정나사 (도시생략) 를 통해, 주 몸체 (1) 에 고정된다. 상기 방아쇠 스프링 (16) 의 타단부는, 제 4 레버부 (13) 의 타 작동단부에 고정된다. 힘의 크기는, 방아쇠 스프링 (16) 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력 조정나사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힘의 크기는, 스프링력이 상이한 방아쇠 스프링 (16) 의 교환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이처럼 방아쇠 스프링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제 4 레버부 (13) 가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에 격돌하는 때의 속도와 강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사격수가 방아쇠 블레이드 (7) 의 손가락 걸림면 (9) 에 접촉하고 있는 손가락을 사격수의 몸체측으로 당기면, 제 1 레버부 (6) 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 제 2 레버부 (8) 는 방아쇠 작동과 연계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국소적 돌기부 (10) 는 제 3 레버부 (12) 를 누른다. 상기 국소적 돌기부 (10) 는 제 2 회전축 (14) 으로부터 좌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3 레버부 (12) 는 국소적 돌기부 (10) 에 의해 눌려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작동단부 P 와 작동단부 Q 와의 맞물림 관계는 제거 또는 취소되고, 제 4 레버부 (13) 는 제 3 레버부 (12) 로부터의 회전 정지력으로부터 해방된다. 이 때, 제 4 레버부 (13)는 방아쇠 스프링 (16) 의 스프링력에 상당한 방아쇠 힘을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4 레버부 (13) 는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의 하부에 강하게 격돌한다. 이처럼, 상기 제 4 레버부 (13) 는 회전형 공이치기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 3 레버부 (12) 의 타 작동단부에는, 회전력이, 작동단부 P 와 작동단부 Q 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바이어스 회전력으로서, 항상 부여된다. 상기 제 3 레버부 (12) 에 바이어스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해, 주 몸체 (1) 에는 바이어스 스프링 (18) 이 설치된다. 바이어스 스프링 (18) 의 일단부는 방아쇠 장치 (100) 의 주 몸체 (1) 에 고정되고, 바이어스 스프링 (18) 의 타단부는 제 3 레버부 (12) 의 타 작동단부 (19) 를 누르도록 당해 타 작동단부 (19) 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레버부 (12) 는 바이어스 스프링 (18) 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항상 힘을 받고 있다.
방아쇠 동작이 개시되기 이전의, 상기 제 3 레버부 (12) 의 작동단부 P 의 초기위치는, 초기위치 조정나사 (21) 에 의해 조정된다. 이 초기위치 조정나사 (21) 는, 방아쇠 장치 (100) 의 주 몸체 (1) 의 하부에 설치된다. 초기위치 조정나사 (21) 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에, 당해 초기위치 조정나사 (21) 는 제 3 레버부 (12) 의 작동단부 (19) 를 향하여 이동하고, 상기 제 3 레버부 (12) 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초기위치 조정나사 (21) 가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회전각도만큼 회전하면, 작동단부 P 는 제 4 레버부 (13) 의 작동단부 Q 와의 맞물림 상태로부터 해방되고,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작동단부 Q 는 자유로와 진다.
초기위치 조정나사 (21) 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초기위치 조정나사 (21) 가 후퇴되어 상기 제 3 레버부 (12) 의 작동단부 (19) 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초기위치 조정나사 (21) 가 보다 큰 각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작동단부 P 는 보다 더 작동단부 Q 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 3 레버부 (12) 및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결합 정도가 보다 커진다. 상기 초기위치 조정나사 (21) 의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량을 조정함으로써, 방아쇠 작동에서의 방아쇠 블레이드 (7) 의 이동량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
바이어스 스프링 (18) 에 의한 바이어스 회전력의 조정을 위해 스프링 길이를 변화시키는 부재가 부가될 수 있다. 그러한 부재로서는, 방아쇠 장치 (100) 의 주몸체 (1)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핸들과 연결되어 스프링 축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푸싱 바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방아쇠 레버부 (4) 의 작동력은, 상기 방아쇠 장치 (100) 의 주몸체 (1) 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레버부 (8) 의 일단을 가압하는 조정 스프링 (22) 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정 스프링 (22) 의 작동력은 방아쇠 작동력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방아쇠 장치 (100) 의 주몸체 (1) 에는 초기위치 결정부재 (62) 가 견고하게 고정설치된다. 이 초기위치 결정부재 (62) 는 탄성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아쇠 장치 (100) 의 주몸체 (1) 에는 초기위치 조정나사 (61) 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초기위치 조정나사 (61) 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레버부 (8) 의 일 작동단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초기위치 조정나사 (61) 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 2 레버부 (8) 의 상기 작동단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2 레버부 (8) 의 그러한 회전은, 상기 제 1 레버부 (6) 의 작동 개시지점을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조정 스프링 (22) 의 작동력에 의해 그리고 상기 초기위치 결정부재 (62) 에 대한 상기 초기위치 조정나사 (61) 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레버부 (4) 는 방아쇠 작동의 개시 이전에 상기 초기위치에서 안정된다.
도 3 에 도시되는 부분 (63) 은, 상기 제 2 레버부 (8) 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방아쇠 당김량 결정단자이다. 상기 제 2 레버부 (8) 에는 조정나사 (64) 가 제공된다. 이 조정나사 (64) 의 회전을 조정함으로써, 당해 조정나사 (64) 와 상기 방아쇠 당김량 결정단자 (63)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레버부 (6) 의 방아쇠 당김량은, 상기 조정 스프링 (22) 측에서 상기 제 2 레버부 (8) 의 작동단부에 강제되는 당김량 조정나사 (64) 의 회전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상기 초기위치 결정부재 (62) 는 강성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방아쇠 스프링 (16), 상기 바이어스 스프링 (18), 및 상기 조정 스프링 (22) 은, 이들 부재가 총신 유닛 및/또는 파지부의 설치 이후에 조정될 수 있도록 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설치구성을 통해, 방아쇠 느낌을 감지하면서 방아쇠 작동 및 방아쇠 반동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21 을 참조하면, 상기 방아쇠 장치 (100) 의 주몸체 (1) 에 제공된 안내 홈 (52) 에서는, 복귀 유닛 (51) 이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 방향으로 안내된다. 상기 복귀 유닛 (51) 은 그 작동 이후에 수동으로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간다. 도 2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방아쇠 작동이 수행되는 경우, 제 4 레버부 (13) 는 제 3 레버부 (12) 로부터 해방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복귀 유닛 (51) 은 표적을 향하여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복귀 유닛 (51) 을 사격수에 가까운 측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복귀 유닛 (51) 이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돌출부 (53) 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 4 레버부 (13) 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작동단부 Q 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3 레버부 (12) 의 작동단부 P 에 접촉하여 상기 작동단부 P 와 다시 맞물리게 된다. 상기 복귀 유닛 (51) 은 회전 작동을 수행하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회전 복귀 유닛이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돌출부 (53) 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 4 레버부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제 3 레버부 (12) 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프링 작동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제 4 레버부 (12) 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프링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 3 레버부 (12) 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 작동 이전에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상기 제 3 레버부 (12) 및 상기 제 4 레버부 (13) 가 서로 결합한다.
상기 돌출부 (53) 에는 구멍 (54) 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구멍 (54) 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방아쇠 스프링 (16) 에 의해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회전 가속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공이치기부가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에 격돌하기 까지의 시간이 더욱 짧아지며, 상기 공이치기부는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에 더욱 빠른 속도로 격돌하게 된다.
짧은 거리에서의 가속에 기초하여 충격은 더욱 커진다. 상기 제 4 레버부 (13) 는 경량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총 또는 복귀 유닛의 작동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충격은 약해지며, 상기 방아쇠 작동의 진동은 상기 총신 유닛 (31) 에 신뢰성 있게 전달되고, 상기 총신 유닛 (31) 의 충격음 센서는 이것을 감지하여 광탄의 발사 작동을 제어한다.
도 4 는 방아쇠 레버부 (4) 에서의 총 모드 전환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방아쇠 레버부 (4) 는 상기 제 2 레버부 (8) 에 대해 미끄러지며, 제 4 회전축 (11) 에 삽입된 보울트에 의해 상기 제 2 레버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레버부 (6) 는 고정 레버부 (6-1) 및 조정가능 레버부 (6-2) 로 구성된다.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 (6-2) 는 전환 축 (23) 을 통해 상기 고정 레버부 (6-1) 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고정 레버부 (6-1) 의 제 1 면 (24) 은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 (6-2) 에 대면하도록 상기 고정 레버부 (6-1) 의 하부면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제 1 면 (24) 은 다소의 곡률을 갖는 구면 또는 평면을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
제 2 면 (25) 은 상기 고정 레버부 (6-1) 의 상기 제 1 면 (24) 에 대면하도록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 (6-2) 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면 (25) 은 제 1 슬로프부 (25-1) 및 제 2 슬로프부 (25-2) 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다.상기 제 1 슬로프부 (25-1) 및 상기 제 2 슬로프부 (25-2) 는 전술한 구면과 일치하는 구면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슬로프부 (25-1) 및 상기 제 2 슬로프부 (25-2) 는 상기 전환 축 (23) 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 (6-2) 를 상기 고정 레버부 (6-1) 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강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 (6-2) 는, 상기 제 1 슬로프부 (25-1) 가 상기 제 1 면 (24) 에 접촉하게 되는 제 1 회전위치와 상기 제 2 슬로프부 (25-2) 가 상기 제 1 면 (24) 에 접촉하게 되는 제 2 회전 위치와의 사이에서 각변위될 수 있다.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 (6-2) 가 도 4 에 도시되는 제 2 회전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광총은 권총으로서 이용된다.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 (6-2) 가 도 5 에 도시되는 제 1 회전 위치에 위치될 경우, 상기 광총은 소총으로서 이용된다. 상기 전환 축 (23) 을 조이고,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 (6-2) 를 상기 고정 레버부 (6-1) 에 고정하면, 상기 제 1 회전 위치 및 상기 제 2 회전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한 2-위치 전환 메커니즘은 상기 강제 회전에 제한되지 않으며, 자유 회전 이후의 보울트 체결로 대체된다. 그 결과, 소총과 권총간의 서로 상이한 부품을 제조하는 비용 및 사격수가 지녀야 할 부품수가 적어져,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6 및 도 7 은 방아쇠 레버부 (4) 에서의 또다른 총 모드 전환을 나타낸다. 도 6 에 도시된 제 1 레버부 (6) 는 권총 전용 타입으로 형상화되어 있고, 도 7 에 도시된 제 1 레버부 (6) 는 소총 전용 타입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상기 권총 전용 타입의 상기 제 1 레버부 (6) 및 상기 소총 전용 타입의 상기 제 1레버부 (6) 는, 상기 제 4 회전축 (11) 으로부터 착탈가능하다. 상기 소총 전용 타입의 상기 제 1 레버부 (6) 는, 총신 유닛 (도시되지 않음) 의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한다. 상기 권총 전용 타입의 상기 제 1 레버부 (6) 는, 상기 총신 유닛의 중심축에 대해 그 바닥부가 사격수의 신체측에 가까워지도록 비스듬히 신장한다.
도 8 은 상기 제 1 회전축 (2) 을 포함하는 상기 총신 유닛의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상기 방아쇠 장치 (100) 가 절단되었을 경우의 단면도이다. 상기 방아쇠 장치 (100) 는 도 8 의 단면도에서는 양측벽 형성 하우징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레버부 (12) 및 상기 제 4 레버부 (13) 는, 상기 양측벽 형성 하우징의 양측벽의 2개의 대향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회전축 (2) 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 2 레버부 (8) 의 원형 실린더부가 도 8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 1 회전축 (2) 은 상기 제 2 레버부 (8) 의 원형 실린더부 내에 동축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양측벽 형성 하우징의 양측벽 각각에는 2개의 볼 베어링 (26) 이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 1 회전축 (2) 의 양 가장자리부는 상기 2개의 볼 베어링 (26) 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 2 레버부 (8) 는, 상기 제 1 회전축 (2) 과 함께 상기 방아쇠 장치 (100) 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 9 는, 상기 제 4 레버부 (13) 가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에 격돌한 순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 4 레버부 (13) 와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아쇠 장치 (100) 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에 설치된다.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의 상부에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보울트 헤드가 끼워지는 2개의 보울트 헤드 걸어맞춤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2개의 보울트 헤드 걸어맞춤 구멍 (27) 으로부터 하측으로, 즉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작동단부 Q 를 향하는 측으로 연장하는 나사 구멍 (28) 이 형성된다. 보울트 (도시되지 않음) 가 상기 2개의 나사 구멍 (28) 에 끼워져,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가 상기 방아쇠 장치 (100) 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는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주몸체부 (29) 및 헤드부로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 (30) 의 하단면이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주몸체부 (29) 의 하단면을 위치결정시킨다.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주몸체부 (29) 는 총신 유닛의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심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주몸체부 (29) 는 원형 기둥체 또는 사각 기둥체로서 형성된다. 방아쇠 작동이 수행될 경우,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상부는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주몸체부 (29) 의 하단면에 강하게 충돌한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주몸체부 (29) 를 절단하여 길이 a 를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를 준비할 수 있다.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의 유형을 또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이것을 방아쇠 장치 (100) 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 4 레버부 (13) 의 충돌면과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주몸체부 (29) 의 하단면의 충돌면 사이의 초기 거리 (방아쇠 작동 개시전의 거리) 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길이 a 를 조정함으로써, 방아쇠 작동시의 충격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3a 및 13b 는 총신 유닛 (31) 및 방아쇠 장치 (100) 를 각각 도시한다. 상기 방아쇠 장치 (100) 는 기본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총신 유닛 (31) 은 상기 기본 유닛 (1) 에 설치된다. 상기 기본 유닛 (1) 의 전방 영역에는 다수의 제 1 결합 구멍 (32) 이 설치된다. 상기 총신 유닛 (31) 의 후방 영역에는 다수의 제 2 결합 구멍 (33) 이 설치된다. 상기 총신 유닛 (31) 은, 상기 제 1 결합 구멍 (32) 및 상기 제 2 결합 구멍 (33) 이 위치적으로 서로 일치할 때까지, 상기 기본 유닛 또는 주몸체 (1) 의 전방부가 총신 유닛 (31) 의 후방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 1 결합 구멍 (32) 및 상기 제 2 결합 구멍 (33) 중의 하나는 나사 구멍이다. 상기 제 1 결합 구멍 (32) 및 상기 제 2 결합 구멍 (33) 에 나사가 통과하여 조여짐으로써, 상기 총신 유닛 (31) 은 상기 기본 유닛 (1) 에 결합된다.
도 14 는 상기 주몸체 (1) 및 상기 총신 유닛 (31) 을 결합하여 조립한 기본 주몸체 (34) 를 도시한다. 상기 기본 주몸체 (34) 는 소총용 및 권총용으로 이용된다. 기본 주몸체 (34) 의 전방 영역, 즉, 상기 총신 유닛 (31) 의 전방 영역에는 제 1 부착면 (71) 이 제공되고, 다수의 제 3 결합 구멍 (35) 이 설치된다.
도 15 는 권총용 전방 조준기 (36) 를 나타낸다. 이 권총용 전방 조준기 (36) 는, 소총용 조준기 유닛 (50-2) 으로서 권총을 구성하는 부품이다. 상기 권총용 전방 조준기 (36) 의 후방 영역에는 제 2 부착면 (72) 이 제공되며, 다수의제 4 결합 구멍 (37) 이 설치된다. 상기 제 3 결합 구멍 (35) 및 상기 제 4 결합 구멍 (37) 이 위치적으로 서로 일치할 때까지, 상기 권총용 전방 조준기 (36) 의 후방부를 상기 기본 주몸체 (34) 또는 상기 총신 유닛 (31) 의 전방부에 삽입한다. 상기 제 3 결합 구멍 (35) 및 상기 제 4 결합 구멍 (37) 중의 하나는 나사 구멍이다. 상기 제 3 결합 구멍 (35) 및 상기 제 4 결합 구멍 (37) 에 나사가 통과하여, 상기 제 2 부착면 (72) 과 상기 기본 주몸체 (34) 의 상기 제 1 부착면 (71) 이 결합되고, 상기 권총용 전방 조준기 (36) 는 상기 기본 주몸체 (34) 에 결합된다.
도 16 은 상기 기본 주몸체 (34) 및 상기 권총용 전방 조준기 (36) 를 결합하여 조립한 권총을 나타낸다 (또한, 장식체가 부가되어 있다). 상기 기본 주몸체 (34) 에는 광탄을 발사하는 적외선 발광 유닛 (40) 이 설치된다. 상기 광탄은 적외선에 의해 형성되는 적외선 디지털 신호이며, 이 적외선 디지털 신호는, 광탄이 발사된 광총을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상기 기본 주몸체 (34) 의 전방 영역에는 적외선 수광 유닛 (46) 이 제공된다. 이 적외선 수광 유닛 (46) 은 표적측으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적외선 디지털 신호는 표적과 광총의 대응을 위한 신호이다. 또한, 기본 주몸체 (34) 에는 충격음 센서 (도시되지 않음) 가 제공된다. 이 충격음 센서는, 상기 제 4 레버부 (13) 가 상기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주몸체부 (29) 의 바닥면에 충돌하는 충격음을 감지하여, 상기 적외선 발광 유닛 (40) 을 제어하여 광탄을 발사시킨다.
상기 적외선 발광 유닛 (40) 은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레이저로 대체될 수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적외선 발광 유닛 (40) 은, 확산하면서 진행하는 광탄 즉, 발사 원점을 정점으로 하는 원형추를 형성하면서 진행하는 광탄을 발사하는 발광 유닛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립된 광총은 산탄총을 모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발광 유닛 (40) 은, 방아쇠가 당겨지는 동안에 다수의 광탄을 반복하여 발사하는 발광 유닛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립된 광총은 기관총을 모방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의 광탄을 아나로그 신호의 광탄으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7 은 소총용 연장 총신 (38) 을 나타낸다. 상기 소총용 연장 총신 (38) 의 후방 영역에는 제 2 부착면 (72) 이 제공되며, 다수의 제 5 결합 구멍 (39) 이 설치된다. 상기 기본 주몸체 (34) 의 제 3 결합 구멍 (35) 과 상기 제 5 결합 구멍 (39) 이 위치적으로 서로 일치할 때까지, 상기 소총용 연장 총신 (38) 의 후방부는 상기 기본 주몸체 (34) 의 전방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 5 결합 구멍 (39) 과 상기 제 3 결합 구멍 (35) 중의 하나는 나사 구멍이다. 상기 제 5 결합 구멍 (39) 및 상기 제 3 결합 구멍 (35) 에 나사가 통과하여, 상기 제 2 부착면 (72) 및 상기 기초 주몸체 (34) 의 상기 제 1 부착면 (71) 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소총용 연장 총신 (38) 은 상기 기본 주몸체 (34) 에 결합된다.
도 18 은 소총용 전방 조준기 (41) 를 나타낸다. 상기 소총용 연장 총신 (38) 의 전방 영역에는 제 6 결합 구멍 (42) 이 설치된다. 상기 소총용 전방 조준기 (41) 의 후방 영역에는 다수의 제 7 결합 구멍 (43) 이 설치된다. 상기 소총용 연장 총신 (38) 의 상기 제 6 결합 구멍 (42) 및 상기 제 7 결합 구멍 (43)이 위치적으로 서로 일치할 때까지, 상기 소총용 전방 조준기 (41) 의 후방부가 상기 소총용 연장 총신 (38) 의 전방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 7 결합 구멍 (43) 과 상기 제 6 결합 구멍 (42) 중의 하나는 나사 구멍이다. 상기 제 7 결합 구멍 (43) 과 상기 제 6 결합 구멍 (42) 에 나사가 통과하여 조여짐으로써, 상기 소총용 전방 조준기 (41) 는 상기 소총용 연장 총신 (38) 에 결합된다.
도 19 는, 소총용 전방 조준기 (41) 와 소총용 연장 총신 (38) 을 상기 기본 주몸체 (34) 에 결합한 소총을 나타낸다. 또한, 장식체 (44) 와 파지부 (45) 가 부가되어 있다.
도 20 은, 소총용 전방 조준기 (41) 와 소총용 연장 총신 (38) 이 결합하여 조립된 소총용 조준기 유닛 (50-2) 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소총용 연장 총신 (38) 의 전방 영역에는 적외선 수광 유닛 (46) 이 설치된다.
상기 광총의 각부의 재료는 다음과 같다.
주 몸체 (1): 알루미늄
제 1 레버부 (6): SUM24L
방아쇠 블레이드 (7): 알루미늄
제 2 레버부 (8): 알루미늄
제 3 레버부 (12): SKD4
제 4 레버부 (13): SKD4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SKD4
총의 경량화를 위해, 상기 방아쇠 장치 (100) 의 주몸체는 경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이 적절하다. 서로 마찰 접촉하여 이동하고 미끄러지는 상기 제 3 레버부 (12) 및 상기 제 4 레버부 (13) 는, 경성의 동일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합금 공구강인 SKD4 가 적당하다. 서로 격돌하는 제 4 레버부 (13) 및 공이치기 수용 스토퍼 (17) 는, 경성의 동일 재료, 예를 들어 SKD4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KD4 는 가공성과 담금질 처리성의 점에서 우수하며, 담금질 이후의 경도면에서 최적이다. 제 1 레버부 (6) 의 재료로서는, 강도와 가공성의 면에서 우수하므로 SUM24 가 적합하다.
방아쇠 장치 (100) 의 주몸체 (1) 를 형성하는 하우징 내에는 다수의 스프링 (16, 18, 및 22) 이 수용될 수 있다. 강성으로 제조되는 실탄용 총은 경량화를 위한 구멍을 가진다. 구멍이 공이치기 주위로 개방되며 스프링이 그곳에서 노출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광총의 방아쇠 장치 (100) 의 주몸체 (1) 는 경량이고, 하우징 내에 스프링을 완벽하게 저장하며, 인체가 어떠한 스프링과도 접촉하지 않으며, 더구나 인체가 공이치기에 접촉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총의 방아쇠 장치에서는, 공이치기를 회전화하여 방아쇠 시스템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발사까지의 방아쇠 동작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총의 공이치기를 제거함으로써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총은, 다수의 부품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광탄의 표적과 조준선이 적절히 위치결정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광총은, 권총 또는 소총으로서 겸용될 수 있다.

Claims (21)

  1. 방아쇠 유닛;
    방아쇠 유닛에 연결된 파지부; 및
    방아쇠 유닛에 연결된 총신 유닛; 을 포함하는 광총으로서,
    상기 방아쇠 유닛은 방아쇠 및 공이치기를 구비하고,
    상기 총신 유닛은, 방아쇠를 당겨서 방아쇠 작동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공이치기에 의한 충돌의 발생에 응하여 광탄을 발사하는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광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총신 유닛은, 추가로,
    표적으로부터의 광신호를 수신하는 수광 유닛; 및
    상기 충돌을 검출하고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광탄을 발사하는 충돌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3.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총신 유닛의 전방부에 설치된 권총 조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4.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총신 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소총 총신; 및
    이 소총 총신의 전방부에 설치된 소총 조준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 유닛은,
    상기 방아쇠를 포함하는 방아쇠 작동유닛; 및
    상기 공이치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아쇠의 작동에 응하여 작동하는 공이치기 작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 작동유닛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방아쇠 유닛에 설치되는 제 1 레버부; 및
    이 제 1 레버부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방아쇠로서의 제 2 레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제 1 레버부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회전축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더 먼 위치에서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광탄의 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광탄의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되는 고정 레버부; 및
    이 고정 레버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정가능 레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총은,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가 파지부측으로 당겨지는 때에는, 권총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광총은,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가 상기 고정 레버부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하는 때에는,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착탈가능하고,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제 1 타입의 파지부가 사용되고,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제 1 타입의 파지부와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파지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12. 방아쇠 유닛;
    방아쇠 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연결된 파지부; 및
    방아쇠 유닛에 연결된 총신 유닛; 을 포함하는 광총으로서,
    상기 방아쇠 유닛은 방아쇠 및 공이치기를 구비하고,
    상기 총신 유닛은,
    표적으로부터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광총과 표적과의 관계를 확립하는 수광 유닛;
    방아쇠를 당겨서 방아쇠 작동을 실행하는 때에 상기 공이치기에 의한 충돌의 발생에 응하여 광탄을 발사하는 발광 유닛; 및
    상기 충돌을 검출하고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광탄을 발사하는 충돌 센서; 를 포함하는 광총.
  13. 제 1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총신 유닛의 전방부에 설치된 권총 조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14. 제 1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총신 유닛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 소총 총신; 및
    이 소총 총신의 전방부에 설치된 소총 조준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 유닛은,
    상기 방아쇠를 포함하는 방아쇠 작동유닛; 및
    상기 공이치기를 포함하고, 상기 방아쇠의 작동에 응하여 작동하는 공이치기 작동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아쇠 작동유닛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방아쇠 유닛에 설치되는 제 1 레버부; 및
    이 제 1 레버부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방아쇠로서의 제 2 레버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제 1 레버부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회전축에 더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더 먼 위치에서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광탄의 방향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광탄의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버부는,
    상기 제 1 레버부에 고정되는 고정 레버부; 및
    이 고정 레버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정가능 레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총은,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가 파지부측으로 당겨지는 때에는, 권총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광총은, 상기 조정가능 레버부가 상기 고정 레버부로부터 일직선으로 연장하는 때에는,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21.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착탈가능하고,
    상기 광총이 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제 1 타입의 파지부가 사용되고,
    상기 광총이 소총으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상기 제 1 타입의 파지부와는 상이한 제 2 타입의 파지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총.
KR10-2003-0036606A 2002-06-07 2003-06-07 권총 및 소총용 광총 KR100522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7833A JP3902513B2 (ja) 2002-06-07 2002-06-07 光銃
JPJP-P-2002-00167833 2002-06-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319A true KR20030095319A (ko) 2003-12-18
KR100522269B1 KR100522269B1 (ko) 2005-10-18

Family

ID=2954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606A KR100522269B1 (ko) 2002-06-07 2003-06-07 권총 및 소총용 광총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56662B2 (ko)
EP (1) EP1369660B1 (ko)
JP (1) JP3902513B2 (ko)
KR (1) KR100522269B1 (ko)
CN (1) CN1467473A (ko)
AU (1) AU2003204507A1 (ko)
DE (1) DE60322784D1 (ko)
SG (1) SG120933A1 (ko)
TW (1) TW5769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2513B2 (ja) 2002-06-07 2007-04-1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銃
JP3922544B2 (ja) * 2002-06-07 2007-05-30 日本電気株式会社 光銃のトリガ装置
DE102009021195B3 (de) * 2009-05-13 2010-06-17 ahg-Anschütz Handelsgesellschaft mbH Abzugszunge
DE102009029951B4 (de) * 2009-06-19 2011-03-17 Uwe Zoyke Abzugskörper für Schusswaffen
US9052149B2 (en) * 2012-09-04 2015-06-09 Terrence Dwight Bender Trigger with adjustable shoe
DE102014100377B3 (de) * 2014-01-14 2014-12-24 J.G.Anschütz GmbH & Co. KG Abzugssystem einer Schusswaffe
US10006733B2 (en) 2014-10-22 2018-06-26 In Ovation Llc Non-fouling trigger
CN106799044A (zh) * 2015-11-26 2017-06-06 大连奥马科技有限公司 射击游戏枪的扳机系统
CN106123679B (zh) * 2016-06-30 2018-06-12 陈凌宇 高精度光电射击信号器
US10222160B2 (en) * 2017-02-03 2019-03-05 Varangian Investments, Llc Trigger assembly apparatus
US10724815B2 (en) * 2017-02-03 2020-07-28 Varangian Investments, Llc Trigger assembly
US11274895B2 (en) * 2019-06-06 2022-03-15 Agency Arms, Llc System and method for a linear trigger assembly
US11385012B2 (en) * 2019-09-19 2022-07-12 2360216 Ontario Inc. Slidable trigger assembly for firearm
US11592255B2 (en) 2020-01-20 2023-02-28 In Ovation Llc Fire control assembly
US11927408B2 (en) 2020-01-20 2024-03-12 In Ovation Llc Fire contro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0876A (en) 1974-03-12 1976-04-20 J. G. Anschutz Gmbh Trigger device for fire arms particularly competition fire arms
FR2337872A1 (fr) * 1976-01-08 1977-08-05 See Jacques Simulateur de tir
DE2633042A1 (de) * 1976-07-26 1978-01-26 Nishi Nippon Denki Co Zielanordnung fuer impulslichtstrahl mit kreuzweise angeordneten und gruppierten phototransistoren
JPS5450199A (en) 1977-09-28 1979-04-19 Nintendo Co Ltd Toy gun
US4171811A (en) * 1978-02-10 1979-10-23 Marvin Glass & Associates Light gun with photo detector and counter
US4234911A (en) * 1979-03-13 1980-11-18 Faith Donald L Optical firing adaptor
US4545583A (en) * 1982-12-23 1985-10-08 Showdown Electronics, Inc. Electronic gun and target apparatus and method
FI71422C (fi) 1984-05-28 1986-12-19 Ikaplast Avskjutningsanordning foer gevaer
JPS61190926A (ja) 1985-02-19 1986-08-25 Canon Inc 堆積膜形成法
DE8602603U1 (de) 1986-02-01 1986-03-13 Carl Walther Gmbh, 7900 Ulm Abzugseinrichtung für Schußwaffen
US4750641A (en) * 1986-09-24 1988-06-14 Chin Fu Hun Continuous water-ejecting pistol toy with simultaneous sound and red-flash effects
US4898391A (en) * 1988-11-14 1990-02-06 Lazer-Tron Company Target shooting game
DE3918357C1 (ko) * 1989-06-06 1990-11-29 Thorsten 4424 Stadtlohn De Erning
DE9106615U1 (ko) * 1991-05-29 1991-07-11 J.G. Anschuetz Gmbh, 7900 Ulm, De
US5709046A (en) 1995-08-14 1998-01-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ingle trigger dual firing mechanism
US5735070A (en) * 1996-03-21 1998-04-07 Vasquez; Eduardo C. Illuminated gun sight and low ammunition warning assembly for firearms
US5947738A (en) * 1996-08-26 1999-09-07 Advanced Interactive Systems, Inc. Simulated weapon with gas cartridge
US5842300A (en) * 1996-09-09 1998-12-01 Fss, Inc. Retrofittable laser and recoil system for a firearm
EP0929786B1 (de) 1996-10-02 2003-02-12 Kehl, Hermann Laserpistole
TW357101B (en) * 1996-12-17 1999-05-01 Konami Co Ltd Shooting video game machine and shooting result presentation method
US20020010021A1 (en) * 1999-08-03 2002-01-24 Mccauley Jack Jean Method and device for optical gun interaction with a computer game system
DE20010929U1 (de) * 2000-06-27 2001-05-03 Wirth Jochen Modell einer Schusswaffe mit integriertem Laserpointer
US20030228913A1 (en) * 2002-03-26 2003-12-11 John Lampl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device
JP3922544B2 (ja) * 2002-06-07 2007-05-30 日本電気株式会社 光銃のトリガ装置
JP3902513B2 (ja) 2002-06-07 2007-04-1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銃
US6651642B1 (en) 2002-06-28 2003-11-25 Michael Ivan Powers Trigger sh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02513B2 (ja) 2007-04-11
US20030228915A1 (en) 2003-12-11
AU2003204507A1 (en) 2004-01-08
EP1369660A2 (en) 2003-12-10
DE60322784D1 (de) 2008-09-25
EP1369660A3 (en) 2004-12-22
JP2004012052A (ja) 2004-01-15
EP1369660B1 (en) 2008-08-13
TW576914B (en) 2004-02-21
TW200401097A (en) 2004-01-16
CN1467473A (zh) 2004-01-14
US7156662B2 (en) 2007-01-02
KR100522269B1 (ko) 2005-10-18
SG120933A1 (en)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2269B1 (ko) 권총 및 소총용 광총
US5983774A (en) Machine gun
CA2675219C (en) Control element, firing unit and firing assembly for a weapon
US8783158B2 (en) Delayed blowback firearms with novel mechanisms for control of recoil and muzzle climb
US5709046A (en) Single trigger dual firing mechanism
US8443537B2 (en) Drop safety for a firing pin of a firearm
KR100504648B1 (ko) 광선총의 방아쇠 장치
US4301609A (en) Trigger assembly for bolt action pistols
US10605554B2 (en) Laterally pivoting trigger lever
US5854440A (en) Shoulder-launched multi-purpose assault weapon
US20050011505A1 (en) Trigger assembly
RU2379611C2 (ru) Пистолет с вращающейся ударной системой, недоступный для детей и гарантированный от самопроизвольного выстрела
AU2022275071A1 (en) A firearm trigger control device
CA2210847C (en) Muzzleloader firearm
RU2173828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ое оружие
TWI417506B (zh) Multi-purpose combat rifle
SU798477A1 (ru) Ударно-спусковой механизм дл СпОРТиВНыХ пиСТОлЕТОВ
TR2022015901A1 (tr) İki serbestlik derecesine sahip tetik sistemi.
RU2045731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стрелковое оружие
JPH04103994A (ja) 自動てき弾銃
Watson Jr et al. Shoulder-Launched Multi-Purpose Assault Weapon.
PT800050E (pt) Arma de fogo para fins multiplos
FI980030A (fi) Ampuma-aseen laukaisukoneis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