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4426A - 피드포워드 앰프의 최종 출력에서 혼변조성분만을추출하는 방법과 그 신호로 보정증폭기로 들어가는 입력을최적 값으로 조절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피드포워드 앰프의 최종 출력에서 혼변조성분만을추출하는 방법과 그 신호로 보정증폭기로 들어가는 입력을최적 값으로 조절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4426A
KR20030094426A KR1020020031216A KR20020031216A KR20030094426A KR 20030094426 A KR20030094426 A KR 20030094426A KR 1020020031216 A KR1020020031216 A KR 1020020031216A KR 20020031216 A KR20020031216 A KR 20020031216A KR 20030094426 A KR20030094426 A KR 20030094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modulation
output
input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동
Original Assignee
이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동 filed Critical 이시동
Priority to KR102002003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4426A/ko
Publication of KR2003009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44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23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feed-forwa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증폭장치에서 결합기 후단의 최종 출력 신호 중 일부를 추출해내 혼변조 성분이 없는 최초 입력신호와 상쇄시키면, 증폭기 최종 출력에서 존재하는 혼변조신호만을 정확히 분리해 낼 수 있다. 또한 보정증폭기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화시키면, 이에 따라 상기 분리해낸 혼변조 신호의 전력레벨도 변하게 되므로 이 전력레벨의 최소 값을 나타내는 보정증폭기 입력신호의 감쇄 값 및 위상 값을 찾아낼 수 있고, 이 값으로 감쇄 값 및 위상 값을 유지하면 최종 신호의 혼변조 레벨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피드포워드 앰프의 최종 출력에서 혼변조성분만을 추출하는 방법과 그 신호로 보정증폭기로 들어가는 입력을 최적 값으로 조절하는 방법{Method of extracting the Intermodulation distortion signal from final output of feedforward amplifier and control the signal which input of error amplifier with the Intermodulation Distortion level}
본 발명은 선형증폭 방법에 관한 것으로,특히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RF 증폭기(Radio Frequency amplifier)는 고출력 레벨에서 비선형(nonlinear) 특성을 갖는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신호가 RF 증폭기에 입력되면, 상기 RF 증폭기의 비선형 특성 때문에 증폭 과정에서 원치 않는 혼변조 왜곡성분들(Intermodulation Distortion signal)이 신호에 포함된다. 이러한 왜곡 성분들은 상기 RF 증폭기의 사용 주파수 범위에서 간섭과 왜곡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왜곡신호 성분들을 억제하는 선형 증폭기(Linear Power Amplifier:LPA)의 제어방식으로는 증폭기의 입력단에 미리 역왜곡 성분을 만들어서 입력시켜주는 전치왜곡(Predistortion)방식, 출력단의 신호 및 왜곡신호 성분을 입력단으로 부궤환(negative feedback)시켜서 왜곡 성분을 억제하는 부궤환 방식 및 왜곡 성분만을 추출하여 역의 위상으로 만들어 왜곡 성분을 억압하는 피드포워드 방식 등이 있다. 상기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증폭기는 위성 지구국용, 또는 이동통신 지구국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다른 방식에 비해 개선 효과는 뛰어나지만, 큰 용적과 용량을 필요로 하고 다른 방식에 비해 회로가 복잡하며 선형화기에서 어느 정도 신호 전력의 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상기 피드포워드 방식을 사용하는 선형증폭기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피드포워드 방식은 증폭기의 출력에서 혼변조 왜곡신호 만을 추출하여 다시 주증폭기의 출력단에 역위상으로 결합시키므로써 C/I비율(Carrier to Intermodulation ratio)를 개선 시킨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피드포워드 방식을 사용하는 선형증폭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분배기(power divider)111은 상기 입력되는 RF신호를 분배하여 주경로 및 보조경로로 출력한다. 상기 분배기111은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를 사용 할 수 있다. 제1가변감쇄기(variable attenuator)141은 주경로 상에 입력되는 RF신호 이득을 감쇄한다. 제1가변위상기(variable phase shifter)151은 상기 제1가변감쇄기141의 출력을 입력받아 주경로에서 감쇄된 RF신호의 위상을 제어 한다. 상기 주증폭기(main power amplifier)121은 상기 분배기111에서 출력되는 주경로의 RF 입력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1지연기(delay line)131은 상기 보조경로 상에서 상기 주증폭기121가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동안 보조경로의 RF신호를 지연한다.
분배기161은 상기 주증폭기121에서 출럭단에 위치되며, 상기 주증폭기121의 출력을 분배 출력한다. 상기 분배기161은 방향성 결합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쇄기(signal canceler)171은 상기 제1지연기131에서 출력되는 RF신호와 상기 주증폭기 121에서 출력되는 증폭된 RF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상쇄기171은 상기 주증폭기121의 출력에서 상기 보조경로 상의 RF 신호를 상쇄시켜 증폭시 발생하는 혼변조신호만을 검출한다. 상기 상쇄기171은 감산기(subtractor)로 구현할 수 있다.
제2가변감쇄기142는 상기 상쇄기 171에서 출력되는 혼변조신호를 입력하여 혼변조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제2가변위상기152는 상기 제2가변감쇄기142에서 출력되는 혼변조신호를 입력하여 혼변조신호의 위상을 제어한다. 보정증폭기(error amplifier)122는 상기 제2가변위상기152에서 출력되는 혼변조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2지연기132는 상기 주증폭기121에서 출력되는 RF신호를 입력하며, 혼변조증폭 시간 동안 상기 혼변조신호를 지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합기(canceler)162는 상기 보정증폭기122의 출력을 상기 제2지연기132의 출력단에 결합한다. 상기 결합기162는 방향성 결합기를 사용 할 수 있다.
도 2의 (a)-(e)는 도 1에서 각 부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의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2개의 톤(two tone)의 경우를 가정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a)는 입력되는 RF 신호이다. 상기 (b)는 상기 주증폭기121에서 (a)와 같은 입력 RF신호를 증폭한 신호이다. (c)는 상쇄기171에서 상기 (b)와 같은 증폭 RF신호에서 상기 (a)와 같은 신호 성분을 상쇄시켜 추출한 혼변조신호이다. 상기 (d)는 상기 (c)와 같은 혼변조신호의 크기를 조정하고 상기 주경로 상에서 주증폭기121의 출력과 역위상으로 조정된 신호이다. 상기 (e)는 상기 (b)와 같은 증폭 RF신호와 (d)와 같은 추출된 혼변조신호를 역위상으로 결합시켜 혼변조신호를 억압한 최종 출력신호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증폭기 동작을 살펴보면, 입력 신호는 전력분배기(power divider)111에서 전력 분배하여 주경로(main path)의 노드 NA 및 보조경로(sub path)의 노드NA'에 인가되며, 이때의 입력신호 특성은 도 2의 (a)와 같은 동일한 크기 및 위상을 갖는다. 상기 주경로 상의 입력신호는 주증폭기(main amplifier)121에서 증폭되어 노드NB에 출력된다. 이때 상기 주증폭기 121에 출력되는 신호는 도 2의 (b)와 같이 원하는 레벨 까지 증폭되면서 혼변조 왜곡신호도 포함된다. 그러면 상쇄기171은 상기 (b)와 같은 신호에서 (a)와 같은 입력 RF신호를 상쇄시켜 (c)와 같은 혼변조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제2가변감쇄기 142는 상기 주증포기121에서 발생되는 혼변조 왜곡신호와 신호 레벨을 맞추는 기능을 수행하고, 가변위상기152는 상기 혼변조신호를 주경로 상에 다시 결합될 때 역위상(180°)이 되도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제2가변위상기152를 출력하는 신호는 주증폭기121의 출력에 포함된 혼변조신호와 역위상이 되는 (d)와 같은 신호가 된다. 상기 (d)와 같은 혼변조신호를 입력하는 보정증폭기122는 상기 혼변조신호를 증폭 출력하며, 이때 상기 제2지연기132는 상기 주경로 상의 (b)와 같은 증폭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보정증포기122의 출력과 결합기 162에 동일시점에 도달하도록 보상한다. 따라서 상기 제2지연기132을 통해 출력되는 (b)와 같은 증폭신호에 포함된 혼변조 신호는 결합기 162에 인가되는 상기 (d)와 같은 역위상의 혼변조신호와 결합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증폭신호는 도 2의 (e)와 같은 특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동통신 및 개인 휴대통신 기지국용 RF 증폭기의 출력 레벨은 가입자의 이용 정도에 따라 변화한다. 이때 출력 레벨이 달라짐에 따라 RF증폭기에 인가되는 입력 신호 레벨도 달라지고, 또한 RF증폭기에서 발생되는 혼변조 왜곡신호들의 특성도 달라진다. 이런 이유로 가변감쇄기141,142 및 가변위상기151,152들은 선형화 개선 특성을 최적화 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또한 RF증폭기의 입력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RF증폭기의 환경 조건에 따라서 그 출력 특성이 변화하므로,역시 가변감쇄기141,142 및 가변위상기151,152 들은 선형화 개선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상기와 같은 가변감쇄기141,142들 및 가변위상기151,152들의 조정을 위해 그 동안 사용했던 방법이 파이롯트 톤(pilot tone)을 입력단 전력분배기 111의 전단과 RF증폭기 전후에 입력하고 상쇄기171 출력단과 최종 결합기 162출력단에서 파이롯트 톤을 검출하므로써 가변감쇄기141,142 및 가변위상기151,152들을 조정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파이롯트 톤을 사용하는 경우 RF증폭기의 사용 가능 출력을 저하시키고, 여러 부가장치들을 이용하여야 하므로서 선형증폭기의 구성이 복잡해지며, 실시간 대역에서 즉각적으로 감쇄 및 위상을 조정 할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방식으론 상기와 같은 가변 감쇄기142 및 가변위상기152의 조정을 위해 최종 결합기162 출력단에서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그 신호의 세기가 최소가 되도록 가변감쇄기142 및 가변위상기152를 조절하여 혼변조신호를 줄이는 방법도 있다(energy minimisisation techniques).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주신호에 비해 혼변조신호가 미약해 혼변조신호의 변화가 출력신호의 변화로 잘 나타나지 않아 감쇄 및 위상 조정에 문제가 있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상기와 같은 가변 감쇄기142 및 가변위상기152의 조정을 위해 최종결합기162출력단에서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상쇄기171의 혼변조신호 출력과 비교하여 최종결합기의 혼변조신호가 최소가 되도록 감쇄기142 및 가변위상기152를 조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상쇄기171의 출력에 주신호가 포함되지 않은 오로지 혼변조신호만이어야 하므로 조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디포워드방식 선형증폭기의 상쇄기에서 발생되는혼변조왜곡신호를 주경로에 결합할 시 주증폭기121에서 출력된 혼변조성분이 포함된 증폭신호 와 혼변조 성분이 없는 입력 RF신호를 같은 입력레벨과 역위상(180°)으로 합하여 혼변조 성분만을 분리해 내고, 가변 감쇄기142 및 가변위상기152의 감쇄 값 및 위상 값을 변하시켜 가며 상기 혼변조성분의 평균전력레벨 값을 최소로 만들고 이때의 감쇄값 및 위상값을 정해 혼변조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증폭장치가, 주증폭기에서 출력된 혼변조성분이 포함된 증폭신호 성분과 혼변조 성분이 없는 입력 RF신호를 같은 입력레벨과 역위상(180°)으로 합하여 혼변조 성분만을 분리해 내고, 보정 증폭기로 들어가는 혼변조신호의 감쇄 값 및 위상 값을 변화 시켜가며 조절하여 상기혼변조성분의 평균전력레벨 값을 최소로 만들고 이때 가변감쇄기 값 과 가변위상기 값을 유지해 혼변조성분을 제거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증폭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상기 도 1과 같은 구성의 선형증폭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증폭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증폭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 1분배기351은 입력신호를 전력분배하여 출력한다. 제1가변감쇄기331는 수신되는 제1감쇄신호ATC1에 의해 상기 제1분배기에서 출력되는 입력신호의 진폭을 감쇄 조정한다. 제1가변위상기341은 수신되는 제1위상제어신호PIC1에 의해 상기 제1가변감쇄기331에서 진폭 조정된 입력신호의 위상을 조정한다. 주증폭기311은 상기 제1분배기351에서 제1분배된 입력신호를 원하는 전력 레벨로 전력증폭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주증폭기311의 출력에는 증폭 과정에서 발생되는 혼변조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제1지연기361은 상기 주증폭기311에서 제1분배신호가 증폭되는 시간 동안 상기 제2분배된 입력신호를 지연하여 출력한다. 제2분배기352는 상기 제1지연기361에서 출력되는 지연된 입력신호를 전력분배하여 출력한다. 제3분배기353은 상기 제2분배기35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력분배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3분배기353의 출력은 상기 제1감쇄/위상제어기321의 제1입력신호DS11로 입력되고, 나머지 한 출력은 상기 제1상쇄기371의 한 입력으로 인가된다. 또한 제4분배기354는 상기 주증폭기311에서 출력되는 증폭신호를 분배 출력한다. 제5분배기355는 상기 제4분배기354에서 출력되는 분배신호를 다시 분배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5분배기355의 분배신호 중 하나는 상기 제1상쇄기371의 입력신호로 인가되고, 하나는 제1감쇄/위상제어기321의 제2입력신호DS12로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제1감쇄/위상제어기321은 상기 전력증폭된 제2신호DS12와 입력 RF신호의 제1신호DS11을 비교하여 상기 제1상쇄기371이 순수 혼변조신호만을 출력할 수 있도록 입력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감쇄제어신호ATC1 및 제1위상제어신호PIC1을 발생한다. 제1상쇄기371은 상기 제5분배기355에서 출력되는 전력 증폭된 신호에서 상기 제3분배기353에서 출력되는 입력 RF신호를 상쇄시켜 혼변조신호를 검출한다. 상기 제1상쇄기371을 감산기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전력증폭신호에 입력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전력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혼변조 왜곡신호들 만을 출력한다.
두 번째로 상기 제1상쇄기371에서 검출된 혼변조신호들과 주경로상의 전력증폭신호에 포함된 혼변조신호들을 결합하여 혼변조신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제8분배기에서 최종 출력의 일부를 다시 상쇄기372로 보내 혼변조 성분이 없는 입력 RF신호와 합쳐 혼변조신호만을 추출해 내고 그신호의 세기를 참고로하여, 제2가변감쇄기332 및 제2위상제어기342를 조절하여 최종 출력의 혼변조성분 크기를 줄이는 구성을 살펴본다.
제2지연기363은 상기 제4분배기354에서 출력되는 전력증폭신호를 입력하며, 상기 보정증폭기312에서 혼변조신호를 증폭하는 시간 동안 지연하여 출력한다. 결합기381은 주증폭기에서 증폭된 혼변조성분이 포함된 신호와 상쇄기371에서 출력된 혼변조신호들을 역위상으로 합하여 주증폭기311에 포함된 혼변조 신호 성분을 제거한다. 제8분배기358은 상기 결합기381의 출력을 전력분배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8분배기의 출력은 RF OUT으로 출력되는 동시에 제3감쇄/위상제어기323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제2가변감쇄기332는 상기 제1상쇄기371에서 출력되는 혼변조신호를 입력하며, 수신되는 제2감쇄제어신호ATC2에 의해 혼변조왜곡신호의 진폭을 조정한다. 제2가변가변위상기342는 상기 제2가변감쇄기332에서 출력되는 진폭 조정된 혼변조신호를 입력하며, 수신되는 제2위상제어신호PIC2에 의해 혼변조 왜곡신호의 위상을 조정한다. 제2감쇄/위상제어기322는 제2감쇄제어신호ATC2 및 제2위상제어신호PIC2를 가변 시키며 제3상쇄기372로 부터 출력된 혼변조신호의 전력레벨값이 최소값이 될때의 감쇄제어신호ATC2 및 위상제어신호PIC2 값을 찾아 내어 그 값을 감쇄제어신호ATC2 및 위상제어신호PIC2 값으로 유지 한다. 보정증폭기312는 상기 제2가변위상기342에서 출력되는 진폭 및 위상이 조정된 혼변조신호를 증폭 출력한다. 제3지연기362는 상기 제2분배기352에서 출력된 신호를 보정증폭기의 증폭시간 동안 지연한다. 제6분배기356은 상기 제3지연기362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을 분배하여 출력한다. 제6분배기356에서 출력되는 분배신호는 제3상쇄기372에 인가되는 동시에 제3감쇄/위상제어기323의 제1입력신호DS31로 인가 된다. 제3가변감쇄기333는 제8분배기358의 출력을 입력하며, 수신되는 제3감쇄신호ATC3에 의해 상기 신호의 진폭을 조정한다. 제3가변위상제어기343은 상기 제3가변감쇄기333에서 출력되는 진폭 조정된 신호를 입력하며, 수신되는 제3위상제어신호PIC3에 의해 상기 진폭조절된 신호의 위상을 조정한다. 제3감쇄/위상제어기323은 상기 위상 및 전력레벨이 조정된 DS32신호와 혼변조 성분이 없는 입력 RF신호DS31을 비교하여 상기 제3상쇄기372가 순수 혼변조신호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신호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감쇄제어신호ATC3 및 제3위상제어신호PIC3를 발생한다.
제7분배기357은 상기 상기 제3가변위상제어기34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다시 전력분배하여 출력한다.상기 제7분배기357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3상쇄기372로 인가되는 동시에 상기 제3가변/위상제어기323에 제2입력신호DS32로 인가 한다.
제3상쇄기372는 상기 제6분배기356에서 출력되는 입력신호와 제7분배기357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상쇄시켜 혼변조신호만을 검출한다. 상기 제3상쇄기372를 감산기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전력증폭신호에 입력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전력증폭된 신호에 포함된 혼변조 왜곡신호들을 추출한다.
혼변조증폭기313은 제3상쇄기372로 부터 출력된 미약한 혼변조 신호를 증폭하여 전력검출기391이 정확하게 전력을 검출 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전력검출기391은 혼변조증폭기313의 혼변조 신호 출력을 입력으로 받아 혼변조 신호의 평균전력값을 제2감쇄/위상제어기322의 입력값으로 보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상쇄기371에서 추출되는 혼변조신호를 상기 주경로 상의 결합기381를 통해 역위상으로 결합하여 주증폭기311의 출력에 포함된 혼변조 왜곡신호를 제거한 후 다시 결합기381 출력의 일부를 추출하여 이 추출된 신호와 원래의 혼변조 성분이 없는 RF 입력신호를 상쇄기372로 입력시켜 혼변조 신호만을 분리해 낸다. 이 혼변조 신호를 전력 검출기로 검출하여 출력신호의 혼변조신호 크기 값을 알 수 있고, 제2감쇄기332 제어신호ATC2 및 제2위상제어기342 제어신호PIC2의 크기를 변화시켜가며 상쇄기372에서 출력되는 혼변조신호의 전력레벨 변화 값들로 부터 혼변조신호의 크기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다. 이로부터 상쇄기372의 출력 값 중 최소의 혼변조값을 나타낼 때의 제2감쇄기332 제어신호ATC2 값 및 제2위상제어기342 제어신호PIC2의 제어 값을 알아 낼 수 있다. 이 값을 감쇄제어신호ATC2 값 및 위상제어신호PIC2의 값으로 유지 하면 최종출력에서의 혼변조 값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상기 도 3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증폭장치에서, 분배기351-358는 입력되는 RF신호들의 전력을 분배하여 여러 출력단으로 출력하며, 결합기381는 여러 입력단으로 입력된 RF신호들을 한 출력단으로 결합하여 출력하고, RF 주증폭기311은 입력된 RF신호 레벨을 증폭시키며, 가변감쇄기331,332,333은 입력되는 RF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고, 가변위상기341, 342, 343은 입력된 RF신호의 위상을 조절한다. 또한 상쇄기371, 372는 두 입력단에 인가된 신호 중 같은 주파수 성분을 가지면서 같은 진폭과 역 위상의 정보를 갖는신호들을 서로 상쇄한 후 나머지 신호들만을 출력하며, 보정증폭기312는 상기 제1상쇄기371에서 추출된 혼변조 왜곡신호들을 증폭하고, 혼변조 증폭기313은 상쇄기372의 혼변조 출력을 증폭한다. 감쇄/위상제어기321, 323은 두 입력단에서 인가된 신호들의 진폭과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각각 대응되는 가변감쇄기 331, 333 및 가변위상기341, 343의 조정에 필요한 DC전압 형태의 감쇄제어신호ATC 및 위상제어신호PIC를 출력하며, 감쇄/위상제어기322는 제2가변감쇄기332 와 제2위상제어기342의 값을 변화시켜 가며 전력검출기391의 값이 최소가 되는 감쇄제어신호ATC2 및 위상제어신호PIC2 값을 찾아내어 최적 값으로 유지 시켜주고, 지연기361, 362, 363은 RF신호의 전달 시간을 보상하기 위한 시간 지연 기능을 수행한다. 전력 검출기391은 입력되는 RF 전력의 크기를 DC 전압의 크기로 출력하여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증폭장치에서 결합기 후단의 최종 출력 일부를 추출해내 최초 혼변조성분이 없는 입력신호와 상쇄시켜 최종 출력에서 발생한 혼변조신호만을 정확히 분리해 낼 수 있고, 제2가변감쇄기의 ATC2 및 제2가변위상기의 값PIC2를 변화시켜 가며 이에 따른 상기 분리해낸 혼변조전력레벨의 변화로 최소의 혼변조신호의 전력 값을 나타내는 감쇄값ATC2 및 위상조절값PIC2를 찾아낼 수 있고, 그 값으로 감쇄 값ATC2 및 위상조절 값PIC2로 유지하면 최종 출력의 혼변조 신호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전력증폭기를 구비하는 피드포워드 선형증폭장치에서
    결합기 후단에서 출력되는 최종신호를 추출해 내고 혼변조 성분이 없는 입력 RF신호와 이 두신호를 상쇄기에 입력하여 혼변조 신호만을 분리해 내고, 보정증폭기(error amplifier)에 입력되는 혼변조 신호의 크기 및 위상 값을 변화시켜가며 상기 분리되어진 혼변조 신호전력레벨의 최소 값을 찾아내어 이때의 보정증폭기에 입력되는 혼변조신호의 크기제어 및 위상제어를 유지하여 최종 출력의 혼변조 신호 크기를 최소로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포워드 선형증폭장치.
KR1020020031216A 2002-06-04 2002-06-04 피드포워드 앰프의 최종 출력에서 혼변조성분만을추출하는 방법과 그 신호로 보정증폭기로 들어가는 입력을최적 값으로 조절하는 방법 KR200300944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216A KR20030094426A (ko) 2002-06-04 2002-06-04 피드포워드 앰프의 최종 출력에서 혼변조성분만을추출하는 방법과 그 신호로 보정증폭기로 들어가는 입력을최적 값으로 조절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216A KR20030094426A (ko) 2002-06-04 2002-06-04 피드포워드 앰프의 최종 출력에서 혼변조성분만을추출하는 방법과 그 신호로 보정증폭기로 들어가는 입력을최적 값으로 조절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4426A true KR20030094426A (ko) 2003-12-12

Family

ID=3238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216A KR20030094426A (ko) 2002-06-04 2002-06-04 피드포워드 앰프의 최종 출력에서 혼변조성분만을추출하는 방법과 그 신호로 보정증폭기로 들어가는 입력을최적 값으로 조절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442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0303A (ko) * 1997-01-31 1998-10-26 윤종용 선형증폭장치 및 방법
KR20010027655A (ko) * 1999-09-15 2001-04-06 안창엽 지연보상을 위한 증폭기를 가지는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 전력증폭기
KR20010100649A (ko) * 2000-05-04 2001-11-14 김남영 에러 피드백을 이용한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 증폭기
KR20020041950A (ko) * 2000-11-29 2002-06-05 김철동 피드포워드 방식 선형 전력증폭기의 불요파 대역 신호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0303A (ko) * 1997-01-31 1998-10-26 윤종용 선형증폭장치 및 방법
KR20010027655A (ko) * 1999-09-15 2001-04-06 안창엽 지연보상을 위한 증폭기를 가지는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 전력증폭기
KR20010100649A (ko) * 2000-05-04 2001-11-14 김남영 에러 피드백을 이용한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 증폭기
KR20020041950A (ko) * 2000-11-29 2002-06-05 김철동 피드포워드 방식 선형 전력증폭기의 불요파 대역 신호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273B1 (ko) 광대역 전치 왜곡 선형화 방법 및 장치
US6111462A (en) RF power amplifier linearization using parallel RF power amplifiers having intermod-complementing predistortion paths
EP0411180B1 (en) Feed forward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EP1066682B1 (en) A predistorter
US7126422B2 (en) Multi-band feed-forward amplifier and adjustment method therefor
KR20010056500A (ko) 전력증폭기의 왜곡 성분 검출장치
EP1609238B1 (en) Enhanced efficiency feed forward power amplifier utilizing reduced cancellation bandwidth and small error amplifier
US7301397B2 (en) Enhanced efficiency feed forward power amplifier with delay mismatched error cancellation loop
KR100390073B1 (ko) 초선형 피드포워드 rf 전력 증폭기
KR100801578B1 (ko) 전력증폭기의 혼변조 신호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전치왜곡선형화 장치
US4016497A (en) Feedbackward distortion compensating circuit
US6720829B2 (en) Distortion-compensated amplifying circuit
JPH01200807A (ja) 非線形歪補償回路
KR100309720B1 (ko) 지연보상을 위한 증폭기를 가지는 피드포워드 방식의 선형 전력증폭기
KR100335147B1 (ko) 선형 증폭기
KR20030094426A (ko) 피드포워드 앰프의 최종 출력에서 혼변조성분만을추출하는 방법과 그 신호로 보정증폭기로 들어가는 입력을최적 값으로 조절하는 방법
KR100371531B1 (ko) 에러 피드백을 이용한 피드포워드 선형 전력 증폭기
JP2003332852A (ja)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回路
KR100639238B1 (ko) 선형 전력 증폭기의 멀티 증폭 장치 및 그 방법
KR950003278B1 (ko) 전력증폭기의 피드 포워드 선형화 회로
JP3346203B2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KR20020054150A (ko) 선형화기의 왜곡 보정 회로
KR19980069488A (ko) 선형증폭 장치 및 방법
CA1296778C (en) Feed forward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JP2003258562A (ja) 歪み補償付き増幅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