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428A -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 Google Patents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428A
KR20030092428A KR1020020030074A KR20020030074A KR20030092428A KR 20030092428 A KR20030092428 A KR 20030092428A KR 1020020030074 A KR1020020030074 A KR 1020020030074A KR 20020030074 A KR20020030074 A KR 20020030074A KR 20030092428 A KR20030092428 A KR 20030092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beam
wire drum
wire
groove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265B1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30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2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92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에 관한 것으로, 태엽 스프링(14)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받는 와이어드럼(12); 상기 와이어드럼(12)의 축(10)이 미끄럼 및 회전 가능토록 끼워지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상기 메인빔(110)에 길게 형성된 홈(34); 일측이 상기 와이어드럼(12)에 감겨지고 타측이 상기 센터빔(115)에 고정된 와이어(20); 상기 와이어드럼(12)을 상기 홈(34)의 상부로 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0); 상기 와이어드럼(12)에 일체로 형성된 스트라이커(50); 및 상기 와이어드럼(12)이 상기 홈(34)의 하부로 내려왔을 때 상기 스트라이커(50)의 회전 반경에 있도록 상기 메인빔(110)에 구비된 스토퍼(60)가 포함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며, 평상시에는 센터빔의 상, 하 승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키이의 파손 등에 의해 센터빔이 자중에 의해 급격하게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Tongs of an overhead crane with a center beam drop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센터빔의 상, 하 승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키이의 파손 등에 의해 센터빔이 자중에 의해 급격하게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기중기에 구비되어 슬라브(Slab) 등의 중량물을 들어서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통스(Tongs) 장치(100)는, 도1 및 도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기중기에 장착되어 이동되는 메인빔(110)과, 상기 메인빔(110)의 하부에 장착되어 메인빔(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 하 이동되는 센터빔(115)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메인빔(110)과 센터빔(115)의 양측 끝단에는 링크막대(120)를 매개로 크로스 암(122)이 벌어지고 오므라들 수 있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메인빔(110)과 센터빔(115)을 필요에 의해 연결시키거나 그 연결을 해제시키기 위한 구조가 구비되는바, 이는 상기 메인빔(110)의 중앙 하부에 설치된 키이(125)와, 상기 키이(125)에 대응하여 센터빔(115)의 중앙 상부에 장착된 죠(127)가 그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스 장치(100)는 키이(125)와 죠(127)가 정확하게 결합되지 않거나, 키이(125)나 죠(127)가 파손되는 등의 경우, 센터빔(115)이 자중에 의해 순간적으로 낙하되면서 통스 장치(100)를 이루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큰 하중이 전달되어 각 부분을 변형 및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또한, 슬라브 등을 이동시키는 도중에 위와 같은 사고가 발생되면 센터빔(115) 및 슬라브가 낙하하여 설비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 하 이동되도록 구비된 센터빔이 키이 파손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천정기중기의 통스가 도시된 정면도;
도2는 도1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장치가 상세하게 도시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장치가 상세하게 도시된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110 : 메인빔
115 : 센터빔12 : 와이어드럼
14 : 태엽 스프링20 : 와이어
34 : 홈40 : 스프링
50 : 스트라이커60 : 스토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메인빔과, 상기 메인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 하 이동되는 센터빔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에 있어서, 상기 센터빔의 낙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빔에 장착된 축; 일단이 상기 축에 감겨지고 타단이 상기 센터빔에 고정된 로프; 상기 로프가 감겨지는 방향으로 상기 축을 회전시키는 제1 탄성부재; 상기 축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축에 일체로 고정된 스트라이커; 및 상기 축이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될 때 상기 스트라이커의 회전 경로에 간섭되도록 상기 메인빔에 고정 설치된 스토퍼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가 전체적으로 도시된 개략 구성도로서, 종래의 통스가 갖는 구조와 동일한 구조에 대하여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그러한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메인빔(110)과, 이 메인빔(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 하 이동되는 센터빔(115)은 본 발명의 센터빔 추락 방지장치(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며, 이 장치(1)는 센터빔(115)이 키이 파손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센터빔 추락 방지장치(1)는 통스의 네 귀퉁이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빔(110) 또는 이 메인빔(110)과 일체로 된 다른 구성요소(이하, '메인빔(110)'이라 약칭한다)와 센터빔(115) 또는 이 센터빔(115)과 일체로 된 다른 구성요소(이하, '센터빔(115)'이라 약칭한다)를 와이어(20)에 의해 서로 연결시킨다. 물론, 상기 와이어(20)는 상기 센터빔(115)이 순간적으로 추락하는 순간에 발생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규격을 가져야 한다.
상기 와이어(20)의 일단은 상기 센터빔(115)의 상단에 형성된 고리(115a)에 고정되고 타단은 와이어드럼(12)에 감겨진다.
상기 와이어드럼(12)은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빔(110)에 고정된 하우징(30)의 내부에 내장된다.
상기 와이어드럼(12)은 그 길이방향에 대한 양단에 축(10)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축(10)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이 태엽 스프링(14)에 의해 상기 와이어(20)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된다. 상기 태엽 스프링(14)은 그 일단이 상기 축(10)에 감겨지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30)의 지지구(32)에고정됨으로써 상기 축(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드럼(12)의 축(10)은 상기 하우징(30)에 형성된 홈(34)에 끼워 장착되는바, 상기 홈(34)은 상하 방향, 즉 상기 센터빔(115)이 추락하는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상기 하우징(30)에 길게 형성되고, 상기 축(10)은 상기 홈(34)을 따라 미끄럼 이동됨은 물론 축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드럼(12)의 축(10)은 스프링(40)에 의하여 홈(34)의 상부쪽으로 소정의 힘을 제공받음으로써 상기 와이어드럼(12)의 축(10)을 홈(34)의 하부로 내려가도록 하는 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축(10)이 상기 홈(34)의 상부쪽 단부에 머물도록 한다. 물론, 상기 축(10)과 스프링(40)의 연결 부분은 상기 축(10)의 회전 운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구조를 가져야 하는바, 상기 축(10)을 베어링블록 등에 의해 회전 지지시키고 이 베어링블록이 스프링(40)의 일단에 고정되거나 지지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프링(40)이 상기 축(10)에 가하는 힘을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상기 스프링(40)의 탄성계수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센터빔(115)이 정상적으로 하강되는 경우에도 상기 축(10)이 홈(34)의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스프링(40)의 탄성계수가 너무 큰 경우에는 센터빔(115)이 추락하는 경우에도 상기 축(10)이 홈(34)의 상부에서 머무르므로, 후술하는 것과 같이 센터빔(115)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적정한 수준의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40)이 선택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축(10) 또는 와이어드럼(12)에는 스트라이커(50)가 일체로 형성되는바, 상기 스트라이커(50)는 상기 축(10) 또는 와이어드럼(12)의 중심선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또한 원주방향에 대하여 다수 개소에 형성된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상기 센터빔(115)이 추락하는 경우에 상기 스트라이커(50)와 간섭됨으로써 그 스트라이커(50)의 회전을 차단시켜 결국에는 센터빔(115)의 추락을 방지시키도록 스토퍼(6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60)의 설치 위치는 상기 축(10)이 홈(34)의 하부 끝단 부근에 내려온 상태로 회전될 때 상기 스트라이커(50)의 회전 경로상에 있도록 설정되며, 반대로 상기 축(10)이 홈(34)의 하부 끝단 부근에서 상승한 위치에서 회전될 때 상기 스토퍼(60)는 상기 스트라이커(50)의 회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아야 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센터빔(115)이 정상적인 작업에 의해 메인빔(1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 하 이동될 때에는 상기 메인빔(110)과 센터빔(115) 사이를 연결시키는 와이어(20)에 큰 장력이 형성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이러한 정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져 상기 메인빔(110)과 센터빔(115)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경우, 와이어(20)가 와이어드럼(12)에서 풀려지거나 와이어드럼(12)에 감겨지기만 할 뿐 와이어드럼(12)을 홈(34)을 따라 하강시키지는 않는다.
즉, 정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20)에 큰 장력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드럼(12)이 스프링(40)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홈(34)의 상부 끝단 부위에 머무르면서 축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센터빔(115)이 키이의 파손 등에 의해 추락할 때, 상기 와이어(20)에는 순간적으로 큰 하중이 발생되며, 이러한 하중은 와이어드럼(12)에 전달되어 스프링(40)의 탄성 반발력을 극복하면서 축(10)이 홈(34)을 따라 미끄러져 내려간다. 동시에, 상기 와이어(20)는 와이어드럼(12)으로부터 매우 빠른 속도로 풀려나가며, 이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드럼(12)이 빠른 속도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축(10)이 홈(34)의 하부 끝단에 도달되면 그 축(10)에 일체로 형성된 스트라이커(50)가 스토퍼(60)에 걸림으로써 상기 축(10)의 회전이 멈추어지고, 따라서 와이어(20)가 더 이상 와이어드럼(12)으로부터 풀려지지 않으므로 센터빔(115)의 추락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센터빔(115)의 추락이 방지되는 상태로 천정기중기를 운전하여 사고 발생에 대한 원인 파악 및 그에 대응되는 후속조치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에 의하면, 메인빔과 센터빔이 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이 와이어를 감고있는 와이어드럼이 센터빔 추락 발생시에만 회전되지 않음으로써 센터빔의 추락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Claims (1)

  1. 메인빔과, 상기 메인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 하 이동되는 센터빔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에 있어서,
    태엽 스프링(14)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력을 제공받는 와이어드럼(12);
    상기 와이어드럼(12)의 축(10)이 미끄럼 및 회전 가능토록 끼워지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상기 메인빔(110)에 길게 형성된 홈(34);
    일측이 상기 와이어드럼(12)에 감겨지고 타측이 상기 센터빔(115)에 고정된 와이어(20);
    상기 와이어드럼(12)을 상기 홈(34)의 상부로 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0);
    상기 와이어드럼(12)에 일체로 형성된 스트라이커(50); 및
    상기 와이어드럼(12)이 상기 홈(34)의 하부로 내려왔을 때 상기 스트라이커(50)의 회전 반경에 있도록 상기 메인빔(110)에 구비된 스토퍼(6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KR1020020030074A 2002-05-29 2002-05-29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KR100845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074A KR100845265B1 (ko) 2002-05-29 2002-05-29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074A KR100845265B1 (ko) 2002-05-29 2002-05-29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428A true KR20030092428A (ko) 2003-12-06
KR100845265B1 KR100845265B1 (ko) 2008-07-09

Family

ID=3238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074A KR100845265B1 (ko) 2002-05-29 2002-05-29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2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849A (ko) 2017-12-14 2019-06-25 주식회사 네오텍 전자석을 통한 안전성능 향상 및 잠금 부하를 저감시킨 통키 잠금 구조물
KR20190119810A (ko)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네오텍 안전 및 이송 성능이 향상된 리프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234Y1 (ko) * 1999-11-05 2000-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천정 기중기의 비상 제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849A (ko) 2017-12-14 2019-06-25 주식회사 네오텍 전자석을 통한 안전성능 향상 및 잠금 부하를 저감시킨 통키 잠금 구조물
KR20190119810A (ko)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네오텍 안전 및 이송 성능이 향상된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5265B1 (ko)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4885B2 (en) Fall protection device
US10023444B2 (en) Construction machine and method for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a lifting element
KR100447842B1 (ko) 조속기 및 이 조속기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US5947232A (en) Swing arm to prevent sway of elevator ropes
KR100845265B1 (ko)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JP2008223413A (ja) 上げ下げ窓の落下防止機構
JP2009208917A (ja) エレベータ乗りかご上の安全柵
KR20180111123A (ko) 크레인
KR101930750B1 (ko) 크레인 점검 장치 및 방법
JP2773852B2 (ja) 伸縮支柱の落下防止機構
KR20020052732A (ko) 선회가능한 코일걸이를 갖는 크레인 리프터
JP2006182521A (ja) ワイヤたるみ検出装置及びゲート開閉装置
KR200345427Y1 (ko) 곤돌라 과부하 방지장치
CA1087046A (en) Tube stranding machine
JP4851870B2 (ja) 上限位置停止機構
KR101642906B1 (ko) 권과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중기
KR100879388B1 (ko) 과부하방지용 동력차단장치가 설치된 고온 조업용 오토 통
SU1074796A1 (ru) Ограничитель скорости лифта
KR0120787Y1 (ko) 타워크레인의 트롤리 비상정지장치
KR100879389B1 (ko) 통 홀더장치
JPH089358Y2 (ja) シャッターカーテン落下防止装置
CN219297000U (zh) 一种蛙型支腿受力检测装置
CN108661305B (zh) 一种防坠性能可靠的防坠器
KR101288243B1 (ko) 공작기계용 조작제어박스의 지지장치
JPS5823831Y2 (ja) イコライ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