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2115A - Elevator control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2115A
KR20030092115A KR10-2003-7014130A KR20037014130A KR20030092115A KR 20030092115 A KR20030092115 A KR 20030092115A KR 20037014130 A KR20037014130 A KR 20037014130A KR 20030092115 A KR20030092115 A KR 2003009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lightning
wind speed
rain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5158B1 (en
Inventor
마츠오카히로아키
구로카와슈지
마부치모토히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1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15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 natural event, e.g. earthqu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가 제공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의해서 검출된 다양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상의 변화에 따라서 카(1)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행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의 낙뢰 검출 장치(15a)에 의해서 낙뢰의 접근을 검출한다. 건물 근처에서 낙뢰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직접적인 낙뢰의 영향을 받지 않는 피난층(8)으로 카(1)를 피난시키는 제어를 한다. 이런 방식으로, 승객의 안전이 보장되며, 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 weather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15 for detecting various weather related information is provided.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1 performs control operation for avoiding the direct influence on the car 1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weather based on the various weathe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15. For example,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1 detects the approach of a lightning strike by the lightning detection device 15a of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15.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a lightning strike near the building, control is made to evacuate the car 1 to the evacuation floor 8 which is not affected by direct lightning strikes. In this way,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is ensured and damage to the car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DEVICE}Elevator control device {ELEVATOR CONTROL DEVICE}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에서는, 카(car)가 건물 내에 설치되며, 따라서 엘리베이터는 직접적으로 기후의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예를 들어 건물에 낙뢰가 발생한 경우, 이 때의 낙뢰 전류는 엘리베이터 통로를 통해서 흐르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전기 시스템이 파괴되며, 카 내에 한 명 이상의 승객이 갖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건물이 강풍으로 흔들리는 경우에, 카도 동시에 흔들리게 되고, 카 내에 갖힌 승객이 불안을 느낄 수도 있게 된다.In a typical elevator, a car is installed in a building, so the elevator is not direct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However, for example, when a lightning strikes in a building, the lightning current at this time flows through the elevator passage, thereby destroying the electrical system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and possibly causing one or more passengers in the car. In addition, when the building is shaken by a strong wind, the car is also shaken at the same time, and passengers in the car may feel anxious.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낙뢰 감지기에 의해서 낙뢰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및 이와 같은 낙뢰의 접근 중에 가장 인접한 층에 카를 비상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해서 한 명 이상의 승객이 카 내에 갖히게 되는 사고를 회피할 수 있었다. 또한 강풍 감지기로 강풍을 감지하는 것에 의해서, 이 강풍의 세기에 따라서 감속 운전, 중간층 대기 운전 또는 정지 운전과 같은 제어 운전을 실시하여 강풍에 의한 영향을 회피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one or more passengers have a car, for example, by detecting a lightning strike by a lightning detector and by emergency stopping the car on the nearest floor during such a lightning strike. I could avoid the accident that I had in my house. In addition, by detecting the strong wind with the strong wind detector, the control operation such as the deceleration operation, the middle floor standby operation, or the stop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strong wind to avoid the influence of the strong wind.

최근에 들어와서, 다양해진 고객들의 요구에 의해서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가 개발되었다. 이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는 카가 외측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이다. 카가 올라가면서 한 명 이상의 승객이 야외의 경치를 전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 자체는 옥외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기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recent years, outdoor vision elevators have been developed in response to diversified customer demands. This outdoor observation elevator is an elevator in which a car is installed outside. As the car rises, one or more passengers can enjoy the view of the outdoors. However, in such an outdoor view elevator, the car itself is installed outdoor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vator is directly affected by the change of the climate.

즉, 예를 들어, 낙뢰가 발생하는 경우, 낙뢰가 카를 직접적으로 때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카 내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이 위태롭게 되고, 이와 같은 직접적인 낙뢰에 의해서 장비가 손상될 수도 있다. 또한 강풍이 불고 있을 때는, 카가 현저하게 흔들리게 되고,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꼬이거나 카와 충돌하여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다량의 비나 눈이 카에 직접 내리는 경우에, 그 상태로 통상 운전을 계속하기에는 너무나 위험하다.That is, for example, when a lightning strike occur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ightning strikes the car directly. Therefore, the passengers in the car are in jeopardy, and the equipment may be damaged by such a direct lightning strike. In addition, when the strong wind is blowing, the car is shaken remarkably, and the rope of the elevator may be twisted or collided with the car, resulting in an accident. In addition, if a large amount of rain or snow falls directly on the car, it is too dangerous to continue normal driving in that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와는 달리, 카 자체가 이와 같은 기상 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게 되며, 따라서 이와 같은 기상의 변화를 고려한 제어 운전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옥외에 노출된 카가 직접 낙뢰당할 가능성 또는 카가 강풍에 의한 영향을 직접 받게되는 위험성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utdoor view elevator, unlike the general elevator, the car itself is directly affected by such a weather change, and thus, a control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such a change in weather is required. 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no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that the car exposed to the outdoors may be directly lightning or the danger of the car being directly affected by the strong wind.

본 발명은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낙뢰, 강풍 및 폭우 또는 폭설과 같은 기상 변화에 대응하여 제어 운전을 실시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that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in response to weather changes such as lightning, strong winds and heavy rain or heavy snow in an outdoor view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적용된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outdoor view elevator to which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this invention was applied.

도 2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카의 피난층을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an evacuation floor of a car installed in an outdoor view elevator.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낙뢰 제어 운전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3 is a flowchart showing a lightning control operation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강풍 제어 운전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4 is a flowchart showing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강우 또는 강설량 제어 운전을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Fig. 5 is a flowchart showing rainfall or snowfall control operation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우선 순위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iority table of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기상의 변화에 따라 카에 미치는 형향을 고려하여 제어 운전을 실시할 수 있고, 따라서 한 명 이상의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고, 카가 외부에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카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car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car according to the change of weather conditions, thus ensuring the safety of one or more passengers, and the damage of the car in the outdoor view elevator where the car is installed outside It is to provide an elevator control device that can be avoided.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기상 정보 검출 수단과, 이 기상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상의 변화에 따라서 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n outdoor view elevator in which a car is provided outside of a building, comprising: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weather conditions, and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means;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is provided that includes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to avoid a direct effect on a car in accordance with various weather changes detected on the basis of weathe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기상과 관련된 정보가 검출되며, 이와 같은 기상의 변화에 기초하여 기상 변화에 따라 카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카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은, 예를 들어, 낙뢰의 접근을 검출한 이후, 이와 같은 낙뢰가 카 부근에서 발생할 것 같은 경우에, 직접적인 낙뢰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특정 층으로 카가 대피하도록 실시되는 운전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이와 같은 제어 운전에 의해서, 승객의 안전이 보장되며, 카의 손상이 회피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weather is detected, and control operation for avoiding the direct influence on the ca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weather is executed based on the change in the weather. The control operation for avoiding the direct effect on the ca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fter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lightning, and in the case where such a lightning strike is likely to occur in the vicinity of the car, it may be necessary to avoid the direct impact of the lightning. This is an expression of driving to be taken to the floor to evacuate the car. By such controlled driv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 is ensured, and damage to the car is avoided.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낙뢰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한 낙뢰 검출 수단과, 원거리 낙뢰의 경우에 낙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낙뢰의 접근 상황에 따라서 주의 또는 경고를 표시하여 운전을 계속하고, 근거리 낙뢰의 경우에 카를 특정 층으로 피난시켜서 운전 정지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n outdoor observation elevator provided with a car on the outside of a building, comprising: a lightn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a lightning strike; and a lightning detection means in the case of a remote lightning strike.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including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a warning or a warning in accordance with an approach situation of a lightning strike detected by the vehicle and continuing the operation, and evacuating the car to a specific floor in the case of a near-field lightning strike to put the vehicle in a stopped stat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낙뢰의 가능성을 초래할 것 같은 낙뢰의 접근이 검출되는 경우에, 카를 특정 층으로 대피시키고 운전 정지 상태를 확립한다. 이런 방식으로 카에 대한 직접적인 낙뢰의 영향을 회피하고,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며, 카의 손상이 회피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when an approach of a lightning strike that is likely to cause a lightning strike is detected, the car is evacuated to a specific floor and a driving stop state is established. In this way, the effects of direct lightning strikes on the car are avoided, passenger safety is avoided, and damage to the car is avoided.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풍속을 검출하기 위한 풍속 검출 수단과, 이 풍속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풍속이 제 1 풍속 수준 이상이거나 제 2 풍속 수준 이하인 경우에 이 카의 운전 속도를 소정 속도까지 감속시켜서 운전을 계속하고, 이 풍속이 제 2 풍속 수준 이상인 경우에 카를 특정 층으로 피난시켜서 운전 정지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n outdoor observation elevator provided with a car on an outside of a building, wherein the wind spee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wind speed and the wind speed detected by the wind speed detection means When the wind speed is above the first wind speed level or below the second wind speed level, the driving speed of the car is decelerated to a predetermined speed, and the driving is continued, and when the wind speed is above the second wind speed level, the car is evacuated to a specific floor to stop opera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control device comprising control means.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제 1 풍속 수준 이상의 풍속 또는 제 2 풍속 수준 이하의 풍속이 검출된 경우에, 감속 운전이 실시된다. 이런 방식으로, 강풍이 불고 있을 때의 카의 흔들림을 억제하면서 운전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2 풍속 수준 이상의 풍속이 검출되는 경우에, 카는 특정층으로 대피하고 운전 정지 상태를 확립한다. 이런 방식으로, 강풍에 의해서 카에 미치는 영향을 회피하고, 승객의 안전이 보장되며, 카의 손상이 회피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wind speed above the first wind speed level or the wind speed below the second wind speed level is detected, the deceler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this way, driving can be continued while suppressing the shaking of the car when the strong wind is blowing. In addition, when wind speeds above the second wind speed level are detected, the car evacuates to a specific floor and establishes a stoppage. In this way, the impact on the car by strong winds is avoided,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is ensured, and damage to the car is avoided.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강우 또는 강설량을 검출하기 위한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수단과, 이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강우 또는 강설량이 제 1 수준 이상인 경우에 특정 층을 기준 층으로 정의하는 복귀 운전을 행하고, 이 강우 또는 강설량이 제 2 수준 이상에 도달하여 피트부(pit portion)가 침수되는 경우에 카를 특정 층으로 피난시켜서 운전 정지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for use in an outdoor view elevator in which a car is provided outside of a building, the apparatus comprising: rainfall or snow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rainfall or snowfall, and the rainfall or snow detection means When the rainfall or snowfall detected by the first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a return operation defining a specific layer as the reference layer is performed, and when the rainfall or snowfall reaches the second level or more and the pit portion is flooded.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is provided that includes control means for evacuating a car to a specific floor and bringing it to a stopped stat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강우 또는 강설량이 소정량 이상임이 검출된 경우에, 특정층을 기준층(reference floor)으로 규정하는 복귀 운전이 실시된다. 이런 방식으로 카가 강우에 노출되는 일을 회피하면서 카를 대기 상태로 둘 수 있게 된다. 또한 피트부(pit portion)가 침수되는 강우 또는 강설량에 도달한 경우에, 카를 특정층으로 대피시키고 운전 정지 상태를 확립한다. 이런 방식으로 폭우 또는 폭설 중에 침수에 따른 피트부에로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By such a configura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amount of rainfall or snowfal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return operation for defining the specific floor as a reference floor is performed. In this way, you can put your car on hold while avoiding exposure to it. In addition, when the pit portion reaches a submerged rainfall or snowfall amount, the car is evacuated to a specific floor and a driving stop state is established. In this way, the influence on the pit part due to the inundation during heavy rain or heavy snow can be avoided.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따르면,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낙뢰의 접근, 풍속, 강우 또는 강설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기상 정보 검출 수단과, 이 기상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다양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상의 변화에 따라서 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control device for use in an outdoor view elevator in which a car is installed outside of a building, the information relating to various weather conditions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pproach of lightning, wind speed, rainfall, or snowfall. Elevator control including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control means and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for avoiding a direct influence on a ca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weather based on various weathe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means. An apparatus is provid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낙뢰의 접근, 풍속 또는 강우 또는 강설량과 같은 다양한 기상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제어 운전이 실행된다. 따라서 현재의 기상 환경에 따른 안전 운전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a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to avoid a direct effect on the car based on various weather related information such as an approach of lightning, wind speed or rainfall or snowfall. Therefore, a safe driving service according to the current weather environment can be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가 적용된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도면 부호 1은 카를, 2는 권상기를, 4는 균형추를, 5는 카 제어 장치를, 6은 카 내의 표시 장치를, 7은 카 내의 어나운스 장치를 나타낸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outdoor view elevator to which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this invention was applied. In this figure,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car, 2 denotes a hoist, 4 denotes a counterweight, 5 denotes a car control device, 6 denotes a display device in a car, and 7 denotes an announce device in a car.

이와 같은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1)는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다. 카(1)는 건물의 최상층으로부터 최하층까지 상승·하강한다. 또한 승객 하차 층 중의 특정 층을 피난층(8)으로 준비하였다. 상기 피난층(8)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최상층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난층(8)은 외부로부터 보호되어 있으며, 직접적인 낙뢰 등을 회피할 수 있는 서비스 층으로 존재한다.In such an outdoor view elevator, the car 1 is provided outside the building. Car 1 rises and descends from the top floor of a building to the bottom floor. In addition, a specific floor in the passenger drop off floor was prepared as an evacuation floor (8). As shown in FIG. 2, the evacuation layer 8 is provided on the uppermost layer, for example. The evacuation layer 8 is protected from the outside and exists as a service layer that can avoid direct lightning strikes.

여기에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건물의 최상층 보다 더 높은 곳에 설치된 기계실(10) 내에 권상기(2)와 함께 설치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CPU(주 마이크로 컴퓨터 장치)(110), 입출력 장치(111) 및 우선 순위 테이블(112)을 포함하고 있다.Here,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1 is installed with the hoist machine 2 in the machine room 10 installed higher than the top floor of a build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includes a CPU (main microcomputer device) 110, an input / output device 111, and a priority table 112.

CPU(110)는 전체 엘리베이터를 제어하고 있다. 상기 CPU(110)는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이에 따라서 프로그램 내에 기술된 절차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서 승객 하차 층으로부터 호출이 발생한 경우에, CPU(110)는 인버터(모터 구동 장치)(12)를 통해서 권상기(2)를 구동하고, 이상과 같은 호출이 발생한 층으로 카(1)를 이동시킨다.The CPU 110 controls the entire elevator. The CPU 110 reads a program and accordingly executes a predetermined process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the program. For example, when a call is made from the passenger disembarkation floor, the CPU 110 drives the hoisting machine 2 through the inverter (motor driving device) 12, and moves the car 1 to the floor where the call as described above has occurred. Move it.

입출력 장치(111)는 다양한 신호의 입력 및 출력 처리를 실시한다. 감시실(13)의 표시 장치(14)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가 상기 입출력 장치(11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 지진 감지기(16), 화재감지기(17)가 상기 입출력 장치(111)에 접속되어 있다.The input / output device 111 performs input and output processing of various signals. Various devices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14 of the monitoring room 13 ar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11.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15, the earthquake detector 16, and the fire detector 17 ar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device 111.

우선 순위 테이블(112)은 각각의 제어 운전의 우선 순위가 규정된 테이블이다. 상기 우선 순위 테이블(11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priority table 112 is a table in which the priority of each control operation is defin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iority table 112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기상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낙뢰 검출 장치(15a), 강풍 검출 장치(15b) 및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를 포함하고 있다.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15 is a device for detecting a weather condition. This meteor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15 includes a lightning detection device 15a, a strong wind detection device 15b, and a rainfall or snow detection device 15c.

상기 낙뢰 검출 장치(15a)는, 예를 들어 낙뢰 검지기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낙뢰 검출 장치(15a)가 낙뢰의 접근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검출 장치는 이 때의 낙뢰의 접근 거리에 따라서 낙뢰 주의 수준 신호(S1) 또는 낙뢰 경고 수준 신호(S2)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강풍 검출 장치(15b)는, 예를 들어 풍속계를 포함하고 있다. 강풍 검출 장치(15b)가 카(1)의 엘리베이터 주변에서 풍속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검출 장치는 풍속의 수준에 따라서 제 1 강풍 수준 신호(S3) 또는 제 2 강풍 수준 신호(S4)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는, 예를 들어 강우계 또는 강설계를 포함하고 있다. 눈은 히터(heater)에 의해서 물로 변환시킨 후에 적설량을 강우량으로 환산한다.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는 이 검출 장치가 제 1 수준 이상의 적설량 또는 강우량을 검출한 경우에 강설 또는 강우 운전 수준 신호(S5)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또한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는 이 검출 장치가 강우량 또는 적설량이 도 2에 나타낸 피트부(9)(pit portion)가 침수되는 제 1 수준 이상임을 검출한 경우에 침수 수준 신호(S6)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The lightning detection device 15a includes, for example, a lightning detector. When the lightning detection device 15a detects the approach of the lightning, the detection device sends the lightning warning level signal S1 or the lightning warning level signal S2 in accordance with the approach distance of the lightning at this time. 11) The strong wind detection device 15b includes, for example, an anemometer. When the strong wind detection device 15b detects the wind speed around the elevator of the car 1, the detection device lifts the first strong wind level signal S3 or the second strong wind level signal S4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wind speed. Output to the control apparatus 11 is carried out. The rainfall or snowfall detection device 15c includes, for example, a rainfall system or a steel design. Snow converts snow to rainfall after converting it to water by a heater. The rainfall or snowfall detection device 15c outputs the snowfall or rainfall operation level signal S5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when the detection device detects snowfall or rainfall of a first level or more. In addition, the rainfall or snow detection device 15c detects the flooding level signal S6 when the detection device detects that the rainfall or snow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at which the pit portion 9 shown in FIG. 2 is flooded. Output to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1 is carried out.

또한 지진 감지기(16)는 건물 주변에서 발생한 지진을 감지하고, 지진 감지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화재 감지기(17)는 건물 내의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 감지 신호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earthquake detector 16 detects an earthquake generated around the building, and outputs an earthquake detec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The fire detector 17 detects a fire in the building and outputs a fire detection signal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 낙뢰 검출 장치(15a)를 사용하여 낙뢰의 접근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서, 원거리 낙뢰 단계와 근거리 낙뢰 단계로 구성되는 2 단계로 제어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원거리 낙뢰는 뇌운(thunder cloud)이 15 km 내지 30 km 범위 내에서 발생하고, 30 분 내지 60 분의 범위 안에 근처로 접근하는 낙뢰를 가리키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근거리 낙뢰는 뇌운이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발생하고, 10 분 내지 20 분의 범위 안에서 낙뢰가 발생할 수 있는 낙뢰를 가리키고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lightning detection device 15a provided in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15 to detect the approach of a lightning strike, thereby providing a remote lightning strike step. And control operation in two stages consisting of a near-field lightning stage. Long-range lightn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a thunder cloud occurring within a range of 15 km to 30 km, and a nearby lightning strike within a range of 30 to 60 minutes. The near-field lightning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lightning strike that occurs at a very close distance to the thundercloud and that may occur within a range of 10 to 20 minutes.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의 낙뢰 제어 운전 처리를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 lightning control operation process of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엘리베이터의 운전 중에,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 낙뢰 검출 장치(15a)에 의해서 뇌운의 접근을 검출한 경우에,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입출력 장치(111)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낙뢰의 접근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A11). 보다 상세하게는, 뇌운 접근 범위 및 공기 중의 자계 강도가 낙뢰 검출 장치(15a)에 설정되어 있다.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설정값과 실제 검출된 값을 비교하고, 현재의 낙뢰 상태가 원거리 낙뢰인지 근거리 낙뢰인지를 판별한다. 원거리 낙뢰의 경우에, 상기 검출 장치는 낙뢰 주의 수준 신호(S1)를 출력한다. 근거리 낙뢰의 경우에, 상기 검출 장치는 낙뢰 경고 수준 신호(S2)를 출력한다.When the thundercloud is detected by the lightning detection device 15a provided in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15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15 uses the elevator control device (the input / output device 111). 11), a signal indicative of the approach of lightning is output (step A11). More specifically, the thundercloud approaching range and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n the air are set in the lightning detection device 15a. The meteorologica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15 compares the set value with the actual detected valu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ightning state is a remote lightning strike or a near lightning strike. In the case of a remote lightning strike, the detection device outputs a lightning strike level signal S1. In the case of near-field lightning, the detection device outputs a lightning warning level signal S2.

이 때 상기 낙뢰 주의 수준 신호(S1)가 입력되는 경우(단계 A12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감시실(13)에 설치된 표시 장치(14) 상에 낙뢰 주의를 표시하고, 필요에 따라서 경고 버저(buzzer) 또는 음성 메시지를 발(發)한다(단계 A13). 이런 방식으로, 낙뢰의 접근을 제어 운전과 관련된 사람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은 낙뢰 주의 수준에서 실시되는 제어 운전은 "낙뢰 제어 운전 1"이라고 지칭한다.At this time, when the lightning strike level signal S1 is input (“No” in step A12),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displays the lightning strike on the display device 14 installed in the monitoring room 13, If necessary, a warning buzzer or a voice message is issued (step A13). In this way, the person involved in the controlled drive is informed of the approach of the lightning strike. The control operation performed at such a lightning strike level is referred to as "lightning control operation 1".

반면에, 낙뢰 경고 수준 신호(S2)가 낙뢰 검출 장치(15a)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입력되는 경우에는(단계 A12의 "Yes"), 건물 주변에서 낙뢰 가능성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카(1) 내의 한 명 이상의 승객에게 표시 장치(6) 또는 어나운스 장치(7)를 사용하여 낙뢰의 접근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중지될 것임을 통지하고, 승객들이 엘리베이터로부터 내릴 것을 재촉한다(단계 A14). 이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카(1)의 주행 상태를 점검한다(단계 A15). 이후 카(1)가 정지한 경우에(단계 A15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카가 낙뢰의 직격 가능성이 가장 낮은 하차층(landing floor), 즉 피난층(8)에 정지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A16). 카(1)가 피난층(8)에 정지해 있는 경우(단계 A16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피난층(8)에서의 운전을 중지하고,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단계 A18).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ning warning level signal S2 is input from the lightning detection device 15a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Yes" in step A12), there is a possibility of lightning strike around the building. In such a case,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will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by approaching a lightning strike using the display device 6 or the announce device 7 to one or more passengers in the car 1. Notify and prompt the passengers to get off the elevator (step A14). Next,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1 checks the running state of the car 1 (step A15). Then, when the car 1 stops (“No” in step A15),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stops at the landing floor, that is, the evacuation floor 8, where the possibility of the lightning strike is the lowest.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re is (step A16). When the car 1 is stopped at the evacuation floor 8 (“No” in step A16),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stops the operation at the evacuation floor 8 and enters the standby state (step A18). ).

또한 카(1)가 피난층(8) 이외의 다른 층에 정지한 경우(단계 A16의 "Ye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목적지 호출을 취소하고, 카(1)를 안전한 피난층(8)으로 이동시키고,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단계 A19). 이 때, 한 명 이상의 승객이 카(1) 내에 아직 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표시 장치(6), 어나운스 장치(7) 등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중지됨을 통지하고, 승객들이 카(1)로부터 내릴 것을 재촉한다.In addition, when the car 1 stops on a floor other than the evacuation floor 8 (" Yes " in step A16),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cancels the destination call and leaves the car 1 in a safe evacuation floor ( Move to 8) and enter the standby state (step A19). At this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passengers are still in the car 1. Therefore,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notifies the service of the elevator is stopped by using the display device 6, the announcement device 7, and the like, and prompts the passengers to get out of the car 1.

또한 카(1)가 주행중인 경우(단계 A15의 "Ye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카(1)가 피난층(8) 방향으로 운행 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 A17). 카(1)가 피난층(8) 방향으로 주행 중인 경우(단계 A17의 "Yes"),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현재의 층에서부터 피난층(8)까지의 층으로부터의 호출을 취소하고, 카(1)를 피난층(8)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한 명 이상의 승객이 카(1) 내에 아직 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표시 장치(6), 어나운스 장치(7) 등을 사용하여 낙뢰의 접근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GOD이 중지됨을 통지하고, 승객들이 카(1)로부터 내릴 것을 재촉한다. 소정의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어 장치는 카(1)의 도어를 폐쇄하고 운전을 중지한다(단계 A21).In addition, when the car 1 is traveling ("Yes" in step A15),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determines whether the car 1 is traveling in the direction of the evacuation floor 8 (step A17). When the car 1 is traveling in the direction of the evacuation floor 8 (“Yes” in step A17),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cancels the call from the floor from the current floor to the evacuation floor 8, The car 1 is moved to the evacuation layer 8. At this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passengers are still in the car 1. Therefore,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1 uses the display apparatus 6, the announce apparatus 7, etc., to notify that the elevator GOD of the elevator is stopped because of the approach of a lightning strike, and prompts passengers to get out of the car 1. .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ntrol device closes the door of the car 1 and stops driving (step A21).

또한 카(1)가 피난층(8)의 반대 방향으로 주행 중인 경우(단계 A17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제 1 목적층에 도착한 이후에 도어를 개방하고, 카(1) 내에 타고 있는 승객들에게 표시 장치(6), 어나운스 장치(7) 등을 사용하여 낙뢰의 접근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중지됨을 통지하고, 승객들이 카(1)로부터 내릴것을 재촉한다. 그후 제어 장치는 호출을 취소하고, 피난층(8)으로의 복귀를 위한 운전을 실시한다. 피난층(8)으로 복귀한 이후에, 소정 시간 이후에 도어를 폐쇄하고, 운전을 중지한다(단계 A20).In addition, when the car 1 is travel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evacuation floor 8 (“No” in step A17),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opens the door after arriving at the first target floor, and the car 1 The passengers in the vehicle are notified of the use of the display device 6, the announcement device 7, and the lik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due to the approach of lightning, and prompt the passengers to get out of the car 1. The control device then cancels the call and performs an operation to return to the evacuation floor 8. After returning to the evacuation floor 8, the door is closed after predetermined time and operation | movement is stopped (step A20).

이와 같은 복귀 운전 중에 카(1) 내에 한 명 이상의 승객이 여전히 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카(1)에 타고 있는 승객들에게 다시 한번 더 표시 장치(6), 어나운스 장치(7) 등을 사용하여 낙뢰의 접근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중지될 것임을 통지하고, 승객들이 카(1)로부터 내릴 것을 재촉한다. 피난층(8)으로 복귀하여 도어를 개방한 이후에, 소정 시간 이후에 카의 도어를 폐쇄하고, 운전을 정지한다. 이와 같은 낙뢰 경고 수준에서 실시되는 제어 운전을 "낙뢰 제어 운전 2"라고 지칭한다.There is a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passengers are still riding in the car 1 during this return driving.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once again informs the passengers in the car 1 that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will be stopped due to the approach of lightning by using the display device 6, the announcement device 7 and the like. , Prompting passengers to get out of the car 1. After returning to the evacuation floor 8 and opening a door, the door of a car is closed after predetermined time, and operation | movement is stopped. Control operation performed at such a lightning warning level is referred to as "lightning control operation 2".

카(1)가 피난층(8)에서 대기하고 있는 동안에도 낙뢰의 상태는 상기 "낙뢰 제어 운전 2"에 의해서 감시된다. 예를 들어, 뇌운이 멀리 가 버리는 등의 경우에, 낙뢰 경고 수준 신호(S2) 또는 낙뢰 주의 수준 신호(S1)가 해제되는 경우(단계 A23의 "Yes"), 소정 시간 동안 아무 것도 감지되지 않으면(단계 A23의 "No"), 통상 운전으로 복귀한다(단계 A24).Even while the car 1 is waiting in the evacuation floor 8, the state of the lightning is monitored by the "lightning control operation 2". For example, when the lightning strike level signal S2 or the lightning strike level signal S1 is released (“Yes” in step A23), for example, when the thundercloud is far away, or when nothing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NO in step A23), the operation returns to normal operation (step A24).

상술한 바와 같이,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낙뢰의 접근이 검출되는 경우에, 건물 주변에 낙뢰의 가능성이 없고 뇌운이 접근하기만 하는 (원거리에서 낙뢰가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제어 운전에 관련된 사람에게 이 사실을 통지하고, 주의를 기울이도록 재촉한다. 반면에, 건물 주변에 낙뢰의 가능성이 있는 (근거리에서 낙뢰가 발생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직접적인 낙뢰의 가능성이 가장 낮은 "서비스 층(serivce floor)"으로 기능하는 피난층(8)으로 옥외에 노출된 카(1)를 이동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낙뢰의 접근 중에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낙뢰에 의한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an outdoor view elevator, when an approach of a lightning strike is detected, when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lightning strike around the building and only a thundercloud approaches (the lightning strike occurs at a long distance), the elevator control device controls Notify people involved in driving and prompt attention.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lightning strikes in the vicinity of the building (the lightning strikes at close range), the elevator control unit is outdoors with an evacuation floor 8 which serves as a "serivce floor" with the lowest likelihood of direct lightning strikes. The car 1 exposed to the body is mov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during the approach of the lightning strike,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equipment by the lightning strike.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제 2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도 1의 구성에서, 본 발명은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 풍속 검출 장치(15b)를 사용하여 풍속을 검출하고, 이 풍속의 값에 따라서 2 단계로 제어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이 운전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FIG. 1,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wind speed using the wind speed detection device 15b provided in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15, and controls the wind speed in two stages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wind speed.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n operation. 4 shows the processing of this oper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의 강풍 제어 운전 처리를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이다.4 is a flowchart showing the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process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엘리베이터의 운전 중에, 상승·하강 중인 카(1) 부근에서의 풍속(wind speed)은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 풍속 검출 장치(15b)에 의해서 검출된다(단계 B11). 상기 풍속 검출 장치(15b)에 의해서 검출된 풍속이 A (m/s) 이하이면(단계 B12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정격 속도 a (m/min)에서 통상 운전을 실시한다(단계 B13). 이 정격 속도 "a"는, 예를 들어 360 m/min이다.During operation of the elevator, the wind speed in the vicinity of the car 1 that is rising and falling is detected by the wind speed detecting device 15b provided in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15 (step B11). If the wind speed detected by the wind speed detection device 15b is equal to or less than A (m / s) (“No” in step B12),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performs normal operation at the rated speed a (m / min). (Step B13). This rated speed "a" is 360 m / min, for example.

여기에서 상기 풍속 검출 장치(15b)에 의해서 검출된 풍속이 A (m/s) 이상인 경우(단계 B12의 "Yes"),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입출력 장치(111)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강풍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에, 풍속 검출장치(15b)에 의해서 몇 단계의 강풍 검출 수준이 설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단계의 강풍 검출 수준이 설정되어 있다. 풍속이 A (m/s) 이상이거나 B (m/s) 이하인 경우(단계 B14의 "No"),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제 1 강풍 수준 신호(S3)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풍속이 B (m/s)인 경우(단계 B14의 "Yes"),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는 제 2 강풍 수준 신호(S4)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풍속 A는 15 m/s이고, 풍속 B는 20 m/s이다.Here, when the wind speed detected by the wind speed detection device 15b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m / s) (“Yes” in step B12),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15 passes the elevator control device through the input / output device 111. The strong wind detection signal is output to (11). In this case, several levels of strong wind detection level may be set by the wind speed detection device 15b. In this embodiment, two levels of strong wind detection levels are set. If the wind speed is more than A (m / s) or less than B (m / s) (“No” in step B14),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15 sends the first strong wind level signal S3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Will output When the wind speed is B (m / s) ("Yes" in step B14),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15 outputs the second strong wind level signal S4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Specifically, the wind speed A is 15 m / s, and the wind speed B is 20 m / s.

강풍 수준 신호(S3)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에 입력된 경우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정격 속도 "a" (m/min)를 소정 속도 b (m/min)로 감속하고, 운전을 계속한다(단계 B15). 속도 "b"는, 예를 들어 정격 속도 "a"의 1/2이며, 구체적으로는 180 m/min이다. 이 경우에, 제 1 강풍 수준 신호(S3)가 검출된 경우에, 카(1)가 정지하게 되면, 다음의 호출에 응답해서 운전을 실시할 때 상기 속도 "b"로 현재의 속도를 변경하여 운전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 1 강풍 수준 신호(S3)가 검출된 경우에, 카(1)가 운전 중이면, 카는 제 1 강풍 수준 신호(S3)를 입력하기 전의 정격 속도 "a"를 유지하면서 현재의 목적 층까지 주행한다. 그리고 카가 목적 층에 도달한 후에, 다음 호출이 행해졌을 때 및 다음 호출이 행해진 이후에는 속도 "b"로 현재의 속도를 전환하여 운전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제 1 강풍 수준에서 실시되는 제어 운전을 "강풍 제어 운전 1"이라고 지칭한다.When the strong wind level signal S3 is input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decelerates the rated speed "a" (m / min) to a predetermined speed b (m / min) and operates. Continue (step B15). The speed "b" is 1/2 of the rated speed "a", for example, specifically 180 m / min. In this case, when the car 1 is stopped when the first strong wind level signal S3 is detected, the current speed is changed to the speed " b " when the driving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next call. Start operation. Also, when the first wind speed level signal S3 is detected, if the car 1 is in operation, the car maintains the rated speed " a " before inputting the first strong wind level signal S3, and the present purpose. Drive to the floor. After the car reaches the destination floor, the operation is started by switching the current speed to the speed "b" when the next call is made and after the next call is made. The control operation performed at this first strong wind level is referred to as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1".

또한 풍속 검출 장치(15b)에 의해서 풍속 B 이상이 검출된 이후에, 상기 제 2 강풍 수준 신호(S4)RK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에 입력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제어 장치(11)는 강풍에 의한 영향이 가장 적은 "서비스 층(serivce floor)"으로 기능하는 피난층(8)으로 카(1)를 이동시킨다(단계 B16). 이 경우에, 제 2 강풍 수준 신호(S4)가 입력되는 경우, 카(1)가 서비스 층으로 복귀하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표시 장치(6), 어나운스 장치(7) 등을 사용하여 승객들에게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중지됨을 통지하고, 소정 시간 동안 카의 도어를 개방한 이후에 카(1)를 피난층(8)으로 이동시킨다.Further, after the wind speed B abnormality is detected by the wind speed detection device 15b, when the second strong wind level signal S4 is input to the RK elevator control device 11,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is driven by the strong wind. The car 1 is moved to an evacuation floor 8 which serves as the "serivce floor" with the least impact (step B16).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strong wind level signal S4 is input, when the car 1 returns to the service floor, the elevator control device uses the display device 6, the announce device 7, or the like. They are notified that the service of the elevator is stopped, and the car 1 is moved to the evacuation floor 8 after opening the door of the car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카(1)가 피난층(8)으로 이동하는 중에도 카(1) 내에 승객들이 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피난층으로 복귀하고 도어를 개방한 이후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표시 장치(6)나 어나운스 장치(7) 등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가 중지됨을 통지한다. 승객이 카로부터 내릴 것을 재촉한 이후에, 소정 시간 이후에 도어를 폐쇄하고, 운전을 정지한다(단계 B17). 제 2 강풍 수준에서 실시되는 이와 같은 제어 운전을 "강풍 제어 운전 2"라고 지칭한다.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passengers are in the car 1 while the car 1 is moving to the evacuation floor 8. In this case, after returning to the evacuation floor and opening the door, the elevator control device notifies that the service of the elevator is stopped by the display device 6, the announcement device 7, or the like. After prompting the passenger to get out of the car, the door is clos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driving is stopped (step B17). This control operation performed at the second strong wind level is referred to as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2".

"강풍 제어 운전 2"에 의해서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중지되더라도,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강풍 검출 장치(15b)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한다(단계 B18). 이어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10 분) 이내에 풍속이 B 이하로 감소된 이후에, 제 2 강풍 수준 신호(S4)RK 해제되면(단계 B19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피난층(8)에서 카(1)의 운전을 속도 "b"로 재개시한다(단계 B20). 이 경우에, 풍속이 계속 A 이상이거나 B 이하인 경우(단계 B21에서 B22로의 "No"), 그대로의 속도 "b"로 운전이 계속된다.Even if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stopped by "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2 ",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monitors the signal from the strong wind detection device 15b (step B18). Then, after the wind speed is reduced to B or les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minutes), when the second strong wind level signal S4 RK is released (“No” in step B19),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evacuates the evacuation floor. In (8), driving of the car 1 is restarted at the speed "b" (step B20). In this case, if the wind speed continues to be above A or below B (" No " from step B21 to B22), the operation continues at the speed " b " as it is.

한편, 풍속이 B 이상인 경우(단계 B22의 "Yes"), 처리는 단계 B16으로 되돌아가고, "강풍 제어 운전 2"에서와 같이 피난층(8)에 도달하기 위한 운전이 재실시된다. 또한 상기 단계 B21에서, A 이상의 풍속이 소정 시간 이내에 검출되지 않으면, 정격 속도 "a"에서의 통상 운전으로 복귀한다(단계 B23).On the other hand, if the wind speed is B or more (" Yes " in step B22), the processing returns to step B16, and the operation for reaching the evacuation layer 8 is repeated as in "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2 ". Further, in the above step B21, if the wind speed of A or more is not detected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he operation returns to the normal operation at the rated speed " a " (step B23).

상술한 바와 같이,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풍속 수준이 임의의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있어서, 통상 속도 보다 낮은 속도로 감속하여 운전이 계속되므로, 운행 중인 카(1)의 흔들림을 억제하여 승객들이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또한 카(1)가 옥외로 노출되거나, 로프(3), 균형추(4) 등이 강풍에 흔들릴 가능성이 있으며, 다른 장비에 로프가 꼬이는 것 때문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검출된 풍속이 상기 풍속 수준 이상의 수준인 경우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강풍에 의한 영향이 가장 적은 "서비스 층(serivce floor)"으로 기능하는 피난층(8)으로 카(1)를 이동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강풍에 의한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utdoor view elevator, when the wind speed level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driving continues by decelerating at a speed lower than the normal speed, so that the passengers can be suppressed by shaking of the car 1 in operation. Do not feel anxious. In addition, the car 1 may be exposed to the outdoors, the rope 3, the counterweight 4, etc. may be shaken by strong winds, and damage may occur due to the twisting of the rope to other equipment. If the detected wind speed is at a level above the wind speed level, the elevator control device moves the car 1 to the evacuation floor 8 which serves as a "serivce floor" with the least influence by the strong win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equipment due to strong winds.

<제 3 실시예>Third Embodiment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제 3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도 1의 구성에서, 본 발명은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를 사용하여 강우 또는 강설량을 검출하고, 이 강우 또는 강설량에 따라서 제어 운전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이 운전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detecting rainfall or snowfall using the rainfall or snowfall detection device 15c, and performing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the rainfall or snowfall amount. do. 5 shows the processing of this opera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의 강우 또는 강설량 제어 운전 처리를 나타내고 있는 플로 차트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rainfall or snowfall control operation processing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진행 중에 있어서,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 내에 설치된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에 의해서 강우 또는 강설량을 검출한다(단계 C11). 상술한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는, 예를 들어 강우 또는 강설량을 측정하기 위한 강우계 또는 강설계를 포함한다. 눈은 히터에 의해서 물로 변환시키고, 이후에 적설량은 강우량으로 환산된다.While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is in progress, the amount of rainfall or snowfall is detected by the rainfall or snowfall detection device 15c provided in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device 15 (step C11). The above-described rain or snow detection apparatus 15c includes, for example, a rain gauge or a snow design for measuring the amount of rainfall or snow. The snow is converted to water by the heater, after which the snow is converted into rainfall.

강우 또는 강설량이 소정의 제 1 수준(예를 들어 10 mm/h) 이상으로 검출된 경우(단계 C11의 "Yes"),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로부터 강우 또는 강설 운전 수준 신호(S5)가 출력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입출력 장치(111)를 통해서 상기 강우 또는 강설 운전 수준 신호(S5)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서 강우 또는 강설의 영향이 가장 적은 "서비스 층(service floor)"으로 기능하는 피난층(8)이 기준 층으로 규정되는 복귀 운전(안전 복귀 운전(home landing operation))으로 현재의 운전을 전환한다(단계 C12). 이와 같은 강우 또는 강설량에 따라 실시되는 복귀 운전은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이라 지칭한다.When the amount of rainfall or snowfall is detected at a predetermined first level or more (for example, 10 mm / h) or more (" Yes " in step C11), the rainfall or snowfall driving level signal S5 from the rainfall or snowfall detection device 15c. Is output.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1 functions as a "service floor" having the least impact of rainfall or snowfall by inputting the rainfall or snowfall driving level signal S5 through the input / output device 111. The current operation is switched to a return operation (home landing operation) in which 8 is defined as the reference floor (step C12). The return operation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infall or snowfall is referred to as "rainfall or snowfall control operation".

상기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에 있어서, 카(1)는 피난층(8)에서 대기하게 된다. 카 또는 복귀층에서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 이와 같은 호출에 응답하여 통상 운전을 실시하고, 카는 이 운전이 종료된 이후에 피난층(8)에서 다시 대기하게 된다. 카 또는 복귀층으로부터 호출이 없은 경우에, 카(1)는 피난층(8)에서 그대로 대기하고, 강우(rainfall)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In the "rainfall or snowfall control operation", the car 1 waits in the evacuation floor 8. When a call occurs in the car or the return floor, normal operatio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such a call, and the car waits again in the evacuation layer 8 after the operation is completed. In the absence of a call from the car or return floor, the car 1 waits as it is in the evacuation floor 8 and is not exposed to rainfall.

또한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 중이라고 하더라도,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에 의해서 강우 또는 강설량의 감시가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10 분) 내에 강우 또는 강설량이 상기 제 1 수준 이상인 경우가 재검출되는 경우(단계 C13의 "N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을 연장한다. 한편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음에도, 제 1 수준 이상의 강우 또는 강설이 검출되지 않으면(단계 C13의 "Yes"), 통상 운전으로 복귀한다(단계 C14).In addition, even during "rainfall or snowfall control operation", the rainfall or snowfall amount monitor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by the rainfall or snowfall detection device 15c. When the case where the amount of rainfall or snowfal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leve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minutes) is detected again (No in step C13),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performs "rainfall or snowfall control operation". Extend.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f no rainfall or snowfall of the first level or more is detected (Yes in step C13), the operation returns to normal operation (step C14).

또한 폭우 또는 폭설이 내려서, 피트부(pit portion)(9)가 침수되는 제 2 수준 이상에 도달하는 경우(단계 C15의 "Yes"), 침수 수준 신호(S6)가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로부터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로 출력된다. 이런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는 승객을 가장 가까운 층으로 내려 놓도록 제어되고, 피난층(8)으로 대피하고, 그리고 나서 운전 정지 상태로 들어간다(단계 C16).In addition, when heavy rain or heavy snow falls, and the pit portion 9 reaches or exceeds the second level at which the pit portion 9 is submerged (“Yes” in step C15), the submersion level signal S6 is the rainfall or snowfall detection device 15c. ) Is output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In this way,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is controlled to lower the passengers to the nearest floor, evacuates to the evacuation floor 8 and then enters the stop mode (step C16).

상술한 바와 같이,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소정량 이상의 강우 또는 강설량이 검출되는 경우에, 피난층(8)이 기준 층으로 규정되는 운전이 실시된다. 카 또는 복귀층으로부터의 호출이 없는 경우에, 카는 피난층(8)에서 대기하게 되고, 이 때 카(1)는 강우(rainfall)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강우 또는 강설량이 상기 피트부가 침수되는 양에 도달하는 경우에, 승객을 내리게 하고, 카(1)는 피난층(8)으로 대피하게 됨으로써 승객의 안전이 보장되며, 침수에 의한 장비의 손상이 방지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utdoor view elevator, when a rain or snowfall amount of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is detected, the operation in which the evacuation layer 8 is defined as the reference floor is performed. In the absence of a call from the car or return floor, the car will wait in the evacuation floor 8, at which time the car 1 will not be exposed to rainfall. 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rainfall or snowfall reaches the amount of flooding the pit part, the passengers are lowered, and the car 1 is evacuated to the evacuation layer 8, thereby ensur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and damaging the equipment by flooding Is prevented.

<제 4 실시예>Fourth Example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각각의 낙뢰 검출 장치(15a), 풍속 검출 장치(15b),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가 사용되는 제어 운전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기 검출 장치(15a 내지 15c)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현재의 기상 환경에 적합한 제어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기상 예측 이외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지진 감지기(16) 및 화재 감지기(17)를 설치하여 제어 운전을 실시할 수도 있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each of the lightning detection device 15a, the wind speed detection device 15b, and the rainfall or snow detection device 15c provided in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15 is used for the control operation. It was described. By using the said detection apparatus 15a-15c, the control operation suitable for a current meteorological environment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control operation may be performed by installing an earthquake detector 16 and a fire detector 17 which are installed for purposes other than weather forecasting.

이하에서는, 기상 정보 검출 장치(15)에 설치된 낙뢰 검출 장치(15a), 풍속 검출 장치(15b),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 및 지진 감지기(16) 및 화재 감지기(17)를 사용한 다양한 기상 정보 및 지진이나 화재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운전이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various types using the lightning detection device 15a, the wind speed detection device 15b, the rainfall or snow detection device 15c, and the earthquake detector 16 and the fire detector 17 provided in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15 will be described. The case where th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earthquake or fire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낙뢰 검출 장치(15a)를 사용하는 제어 운전으로서는, "낙뢰 제어 운전 1"(이 때의 운전은 제어 운전에 관련된 사람에게 낙뢰 경고가 통지된 이후에도 계속된다) 및 "낙뢰 제어 운전 2"(이 때의 운전은 카(1)가 피난층(8)으로 대피한 이후에 정지된다)으로 예시하였다. 또한 풍속 검출 장치(15b)를 사용하는 제어 운전으로서는, "강풍 제어 운전 1"(이 때의 운전은 감속 이후에도 계속된다) 및 "강풍 제어 운전 2"(이 때의 운전은 카(1)가 피난층(8)으로 대피한 이후에 정지된다)으로 예시하였다. 더욱이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장치(15c)를 사용한 제어 운전은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이 때의 안전 복귀 운전은 피난층을 기준층으로 규정하여 실시된다)으로 예시하였다.As described above, as the control operation using the lightning detection device 15a, "lightning control operation 1" (the operation at this time continues even after the lightning warning is notified to the person involved in the control operation) and the "lightning control operation." 2 "(operation at this time is stopped after the car 1 evacuates to the evacuation floor 8). In addition, as a control operation using the wind speed detection device 15b,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1" (operation at this time continues even after deceleration) and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2" (operation at this time evacuates the car 1). Stopped after evacuation to layer 8). Further, the control operation using the rainfall or snow detection apparatus 15c is exemplified as "rainfall or snow control operation" (safe return operation at this time is performed by defining the evacuation floor as a reference floor).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이들 제어 운전과는 달리, 지진 감지기(16)를 사용하는 "지진 제어 운전"과 화재 감지기(17)를 사용하는 "화재 제어 운전"이 있다. 이들 제어 운전의 우선 순위는 우선 순위 테이블(112) 내에 저장되어 있다. 도 6은 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Unlike these control operations involving various weather conditions, there are "earthquake control operations" using the seismic detector 16 and "fire control operations" using the fire detector 17. The priority of these control operations is stored in the priority table 112. 6 shows an example thereof.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의 우선 순위 테이블(112)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순위는 "지진 제어 운전", "화재 제어 운전", "낙뢰 제어 운전 2", "강풍 제어 운전 2" 및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의 순서대로 미리 결정되어 있다. "낙뢰 제어 운전 1" 및 "강풍 제어 운전 1"은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없는 제어 운전이다. 이들 두 개의 제어 운전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른 제어 운전들에 대해 동일한 시간에 실행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표시하는 정보가 부가되어 있다. 도면에서, "○"는 동시 실행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는 동시 실행이 불가능한 것을 나타낸다.6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priority table 112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ority is predetermined in the order of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fire control operation", "lightning control operation 2",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2" and "rainfall or snow control operation". "Lightning control operation 1" and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1" are control operations in which priority cannot be assigned. For these two control operation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y can be executed at the same time for the other control operations described above is added. In the figure, "o" indicates that simultaneous execution is possible, and "x" indicates that simultaneous execution is impossible.

이렇게 구성된 우선 순위 테이블(112)에 있어서,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최상위 우선 순위가 "지진 제어 운전"에 할당된다. "지진 제어 운전"에 있어서, 지진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의 사용은 금지된다(즉 모든 호출이 취소된다). 또한 지진 감지기(16)에 의해서 검출된 지진 수준에 따라서 카(1) 내에 타고 있는 한 명 이상의 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 그 자리에서의 비상 정지나 가장 가까운 층에서의 정지 등이 실시된다. 이어서 "화재 제어 운전"이 실행된다. "화재 제어 운전"에 있어서, 화재 감지기(17)로 화재가 검출된 경우에, 카(1) 내에 타고 있는 승객들을 대피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층으로 복귀하기 위한 운전이 실시된다.In the priority table 11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highest priority is assigned to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In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the use of an elevator is prohibited when an earthquake occurs (ie all calls are canceled). In addition, in order to ensure the safety of one or more passengers in the car 1 according to the earthquake level detected by the earthquake detector 16, an emergency stop on the spot or a stop on the nearest floor is performed. Then, "fire control operation" is executed. In the "fire control operation", when a fire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17, a driving is performed to return to the floor most suitable for evacuating passengers in the car 1.

"낙뢰 제어 운전 2" 및 "강풍 제어 운전 2"는 낙뢰 또는 강풍으로 인한 영향이 가장 적은 피난층(8)으로 카(1)를 이동시키기 위한 운전이다. 따라서 이 운전의 우선 순위는 승객(들)을 구조하거나 내리도록 하는 것이 급선무인 "지진 제어 운전" 또는 "화재 제어 운전"에 뒤처진다. "강우 또는 강설 제어 운전"은 카(1)가 강우에 노출되지 않는 피난층(8)을 기준층으로 하는 통상 운전(service)이 실시되는 운전이다. 따라서 이 운전의 우선 순위는 가장 낮다."Lightning control operation 2" and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2" are operations for moving the car 1 to the evacuation floor 8 with the least impact due to lightning or strong wind. Therefore, the priority of this operation lags behind "earthquake controlled driving" or "fire control driving", which is urgently required to rescue or lower the passenger (s). "Rain or snow control operation" is an operation in which a normal service is performed with the evacuation layer 8 in which the car 1 is not exposed to rainfall. Therefore, this drive has the lowest priority.

또한 "낙뢰 제어 운전 1" 및 "강풍 제어 운전 1"은 자체 운전을 계속하기 위해서 다른 제어 운전이 실행될 때 동시에 실행된다.In addition, "lightning control operation 1" and "strong wind control operation 1" are executed simultaneously when another control operation is executed in order to continue the self-oper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기상 및 지진 또는 화재 제어 운전과 관련된 제어 운전은 이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서 조합되어 실행된다. 이런 방식으로 카(1)가 옥외로 노출된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안전한 운전이 달성된다.As described above, control operations associated with various weather and earthquake or fire control operations are execute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their priorities. In this way, in an outdoor vision elevator in which the car 1 is exposed to the outdoors, safe driving is achieved.

상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낙뢰, 강풍 및 강우 또는 강설과 같은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는 각각 전용 검출 장치(15a 내지 15c)를 사용하여 획득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기상 예측 서비스를 위해서 낙뢰, 강풍, 및 강우 또는 강설과 같은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특정 서버(server)로부터 회득할 수 있다. 이 획득 방법은 인터넷을 통해서 상술한 특정 서버에 접근(access)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말(terminal) 장치가 설치된 구성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외부로부터 획득하는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정보는 건물 주변에서의 기상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각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물주변에서의 기상 정보를 건물 내에 설치된 전용 검출 장치(15a 내지 15c)를 사용하여 확실하게 획득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formation relating to various weather conditions such as lightning, strong winds and rainfall or snowfall is obtained using the dedicated detection devices 15a to 15c, respectively. In other embodiments, for example, by using the Internet, information relating to various weather conditions, such as lightning, strong winds, and rainfall or snowfall, can be obtained from a particular server for weather forecasting services. This obtaining method can be achieved with a configuration in which a terminal device for accessing the above-mentioned specific server is accessible through the Internet, and the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1. However, in such a configuration that obtains various weather related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the information may not match the weather information around the building. Therefore, as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configuration for surely acquiring weather information around the building using dedicated detection devices 15a to 15c installed in the building.

Claims (7)

건물의 외측에 카(car)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an elevator control device for use in an elevator for outdoor view where a car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a building,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기상 정보 검출 수단과,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weather conditions; 상기 기상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상의 변화에 따른 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And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to avoi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 due to the change of the weather,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means.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an elevator control device for use in an outdoor view elevator in which a car i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낙뢰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한 낙뢰 검출 수단과,Lightning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lightning; 원거리 낙뢰의 경우에 상기 낙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낙뢰의 접근 상황에 따라서 주의 또는 경고를 표시하여 운전을 계속하고, 근거리 낙뢰의 경우에 상기 카를 특정 층으로 피난시켜서 운전 정지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In the case of a remote lightning strike, a control means for displaying a warning or warning according to the approach of the lightning strike detected by the lightning detection means and continuing the operation, and evacuating the car to a specific floor in the case of a near-field lightning strike to stop the oper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comprising a.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an elevator control device for use in an outdoor view elevator in which a car i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풍속을 검출하기 위한 풍속 검출 수단과,Wind speed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wind speed, 상기 풍속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풍속이 제 1 풍속 수준 이상이고 제 2 풍속 수준 이하인 경우에 상기 카의 운전 속도를 소정 속도까지 감속시켜서 운전을 계속하고, 상기 풍속이 제 2 풍속 수준 이상인 경우에 상기 카를 특정 층으로 피난시켜서 운전 정지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When the wind speed detected by the wind speed detecting means is above the first wind speed level and below the second wind speed level, driving is continued by decelera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car to a predetermined speed, and when the wind speed is above the second wind speed level, And control means for evacuating the car to a specific floor to bring the vehicle to a stop state.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an elevator control device for use in an outdoor view elevator in which a car i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강우 또는 강설량을 검출하기 위한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수단과,Rain or snow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rainfall or snowfall, 상기 강우 또는 강설 검출 수단에 의해서 제 1 수준 이상의 강우 또는 강설이 검출된 경우에 특정 층을 기준 층으로 정의하는 복귀 운전을 행하고,In the case where rainfall or snowfall of a first level or more is detected by the rainfall or snowfall detecting means, a return operation of defining a specific floor as a reference floor is performed, 상기 강우 또는 강설량이 제 2 수준 이상의 강우 또는 강설량에 도달하여 피트부(pit portion)가 침수되는 경우에 상기 카를 특정 층으로 피난시켜서 운전 정지 상태로 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And control means for evacuating the car to a specific floor and stopping the operation when the pit portion is flooded because the rainfall or snowfall amount reaches a second or more amount of rainfall or snowfall amount. . 건물의 외측에 카가 설치되는 옥외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In an elevator control device for use in an outdoor view elevator in which a car is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낙뢰의 접근, 풍속, 강우 또는 강설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기상 정보 검출 수단과,Weather informa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weather conditions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pproach of lightning, wind speed, rainfall or snowfall, 상기 기상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다양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상의 변화에 따른 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And control means for performing a control operation to avoi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 due to the change of the weather, based on the various weathe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means.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기상 정보 검출 수단과는 별개로 지진을 감지하기 위한 지진 감지 수단과,Earthquak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n earthquake separately from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on means;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 수단을 포함하며,A fire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fire;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상 정보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다양한 기상 정보에 기초하여 기상의 변화에 따른 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제어 운전을 행하고, 상기 지진 감지 수단 및 상기 화재 감지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각각의 정보 항목에 기초하여 지진 중 및 화재 중에 제어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The control means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to avoid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 due to the change of the weather based on various weather information detected by the weather information detecting means, and is detected by the earthquake detecting means and the fire detecting means.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which performs control operation during an earthquake and a fire based on each said information item.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 수단은 다양한 기상과 관련된 제어 운전에 우선하여 지진 및 화재 중에 제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And said control means executes the control operation during earthquakes and fires in preference to control operations associated with various weather conditions.
KR1020037014130A 2002-03-13 2003-03-12 Elevator control device KR1005651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69271A JP4107856B2 (en) 2002-03-13 2002-03-13 Elevator control device
JPJP-P-2002-00069271 2002-03-13
PCT/JP2003/002940 WO2003076323A1 (en) 2002-03-13 2003-03-12 Elevator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115A true KR20030092115A (en) 2003-12-03
KR100565158B1 KR100565158B1 (en) 2006-03-30

Family

ID=27800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130A KR100565158B1 (en) 2002-03-13 2003-03-12 Elevator control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107856B2 (en)
KR (1) KR100565158B1 (en)
CN (1) CN1294064C (en)
MY (1) MY138499A (en)
TW (1) TW590974B (en)
WO (1) WO2003076323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9144B2 (en) 2005-03-22 2011-03-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ar oscillation detecting device for elevator using a set value to judge car oscillation
KR101895907B1 (en) * 2017-09-07 2018-09-07 주식회사 현무 Wireless water level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065B1 (en) * 2004-01-31 2011-10-10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elevator signals
JP2007169029A (en) * 2005-12-26 2007-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control device
CN102070050A (en) * 2010-11-17 2011-05-25 侯英翔 Intelligent voice elevator
CN104169204B (en) * 2012-05-08 2016-05-04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device
JP2014073906A (en) * 2012-10-05 2014-04-24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JP5903055B2 (en) * 2013-02-07 2016-04-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CN104050376B (en) * 2014-06-23 2017-05-17 海南电力技术研究院 Transmission line thunder leading width calculating method based on actually measured lightning stroke data
JP6100317B2 (en) * 2015-06-10 2017-03-2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CN106144823A (en) * 2016-08-24 2016-11-23 森赫电梯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afety steep cliff sightseeing elevator
EP3415622A1 (en) * 2017-06-14 2018-12-19 Evonik Degussa GmbH Method for production of fine chemicals using a corynebacterium secreting modified alpha-1,6-glucosidases
JP6930956B2 (en) * 2018-10-25 2021-09-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Wind power generation equipment and operation method of wind power generation equipment
CN109946547A (en) * 2019-04-15 2019-06-28 南京市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 The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method of elevator control cabinet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immunity test
CN110817635A (en) * 2019-11-19 2020-02-21 亚洲富士电梯股份有限公司 Elevator test system based on self-defined setting
JP7184838B2 (en) * 2020-03-12 2022-12-0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levator control system
US11649138B2 (en) * 2020-05-01 2023-05-16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monitoring and control based on hoistway wind speed
IL279900B (en) * 2020-12-31 2022-04-01 Topaz Daniel Hoist and hoist elevator and control system
CN117602515B (en) * 2023-11-29 2024-05-10 安徽建工集团建筑机械智能制造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on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3075A (en) * 1980-01-18 1981-08-17 Mitsubishi Electric Corp Driving device in case of disaster of elevator
JPS60190777U (en) * 1984-05-28 1985-12-17 フジテツク株式会社 Elevator monitoring device
JPS61174072A (en) * 1985-01-29 1986-08-05 三菱電機株式会社 Driving device for outdoor elevator
JPH0720804B2 (en) * 1985-10-18 1995-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Observatory elevator driving device
JPH08119552A (en) * 1994-10-27 1996-05-14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Water flowing time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00095450A (en) * 1998-09-25 2000-04-04 Hitachi Ltd Elevator controller
JP2002060145A (en) * 2000-08-16 2002-02-26 Toshiba Corp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4642999B2 (en) * 2000-12-28 2011-03-02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JP6129308B2 (en) * 2013-05-27 2017-05-17 昭和電工株式会社 Supported catalyst particles for fuel cell electrodes and uses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9144B2 (en) 2005-03-22 2011-03-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ar oscillation detecting device for elevator using a set value to judge car oscillation
KR101895907B1 (en) * 2017-09-07 2018-09-07 주식회사 현무 Wireless water level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76323A1 (en) 2003-09-18
TW200304895A (en) 2003-10-16
JP4107856B2 (en) 2008-06-25
MY138499A (en) 2009-06-30
JP2003267636A (en) 2003-09-25
CN1294064C (en) 2007-01-10
KR100565158B1 (en) 2006-03-30
CN1509251A (en) 2004-06-30
TW590974B (en) 200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5158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US7594564B2 (en) Elevator system
JP5014623B2 (en) Seismic control operation system for elevator and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method for elevator
JP5660594B2 (e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US20090133963A1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SG193704A1 (en) Control apparatus of elevator
JP5456836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6553233B1 (en) Group management elevator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group management elevator system
JP2014172715A (en) Elevator control device
KR100919548B1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7147900B1 (en) elevator
JP6584448B2 (en) Elevator system
JP2011121694A (en) Voice announcement controller of elevator
SG193706A1 (en) Control apparatus of elevator
JP2002356283A (en) Rope elongation detecting device and safe operating method for elevator
JPS6044228B2 (en)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method for elevators during operation
JP4642999B2 (e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JP2019094214A (en) Safety inspection system for resident evacuation elevator and method thereof
JP7449501B1 (en) elevator
JP2004067295A (en) Hoisting device of elevator control device
CN112141840B (en) Car roof personnel anti-collision device
JP7485220B2 (en) Elevator management system and elevator system
JP2022016918A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2008189424A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vator
JPH05229762A (en) Control operation device for elevator under rainf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