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913A -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과 전기분해조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과 전기분해조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913A
KR20030091913A KR1020030080807A KR20030080807A KR20030091913A KR 20030091913 A KR20030091913 A KR 20030091913A KR 1020030080807 A KR1020030080807 A KR 1020030080807A KR 20030080807 A KR20030080807 A KR 20030080807A KR 20030091913 A KR20030091913 A KR 2003009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osmosis
osmosis membrane
tank
wastewater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030080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1913A/ko
Publication of KR2003009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91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7)과 전기분해조(9)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산폐수의 처리에 있어서 처리대상은 BOD, SS, T-N, T-P, 색도 등이 되며 이중 질소와 색도는 주요 처리대상이 된다. 또한 색도는 민원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역삼투 분리막에 의한 여과와 전기분해는 기본 생물학적 처리등에 비해 T-N 및 색도의 제거효율이 매우 우수하지만 다음과 같은 적용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축산폐수를 원수로 하여 역삼투 분리막(7) 만으로 처리할 경우 초기 처리효율은 좋으나 순환되는 농축수가 농축되면서 수질이 악화되고 처리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농축되는 농축수의 높은 TDS 및 Conductivity 또한 처리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며 이것은 분리막의 막힘에 의한 수명 단축에 크게 기여한다.
반면 전기분해조(9)는 원수의 Conductivity 기준 12000 ㎲/㎝ 이상일 때 처리효율이 높고 효과적으로 처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두 기술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고 축산폐수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이다.
원수조(1)와 원수조(1)로부터 농축조(3)로 원수를 이송하는 수중펌프(2); 수중펌프(2)로부터 원수를 제공받고 역삼투 분리막(7)에서 배제된 농축수가 농축되는 농축조(3); 역삼투 분리막(7)으로 원수를 공급하는 피드펌프(4); 역삼투 분리막(7)으로 유입하는 원수를 전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 필터(5); 역삼투 분리막(7)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고압펌프(6); 원수 중의 오염물질을 배제시키고 처리된 처리수를 생산하는 역삼투 분리막(7); 농축조(3)로부터 전기분해조(9)로 유입되는 농축수를 이송하는 피드펌프(8); 고농도로 농축된 원수를 처리하며 희토류 금속 촉매전극를 채용한 전기분해조(9); 역삼투 분리막(7)과 전기분해조(9)로부터 처리된 처리수를 혼합하여 방류하는 인-라인 믹서(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Description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과 전기분해조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Livestock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removal of T-N and chromatility attached a reverse osmosis membrane block and an electrolysis tank}
본 발명은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7)과 전기분해조(9)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산폐수의 처리에 있어서 처리대상은 BOD, SS, T-N, T-P, 색도 등이 있으며 이중 질소와 색도는 주요 처리대상이 된다. 또한 색도는 민원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역삼투 분리막에 의한 여과와 전기분해는 기본 생물학적 처리등에 비해 T-N 및 색도의 제거효율이 매우 우수하지만 역삼투 분리막(7)의 처리효율은 원수의 TDS에 영향을 받고 전기분해조(9)는 Conductivity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적용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TDS는 Conductivity와 비례관계에 있다.
Conductivity (㎲/㎝) = a x TDS(ppm)
(a : 비례상수)
역삼투 분리막(7)은 매우 미세한 세공으로 인해 오염 물질들에 대해 그 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역삼투 분리막(7)을 통과한 초기 처리수는 충분히 방류 수질을 만족시킨다. 그러나 농축수의 농축률이 높아지면서 처리수의 수질은 악화되고 처리효율도 감소한다. 또한 농축된 농축수 중의 오염 물질들은 분리막 막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그 중 TDS는 분리막의 여과성능을 떨어뜨려 높은 TDS 의 원수의 경우 투과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농축수 중의 TDS 농도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은역삼투 분리막(7)의 여과성능 유지 및 분리막 막힘 방지를 위해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한편 전기분해의 경우 사용되는 전극의 효율이 대상물의 처리효율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또한 원수의 Conductivity 농도가 12000 ㎲/㎝ 이상의 조건에서 전극 사이의 전기분해 작용이 활발히 발생한다. 전기분해에 의하여 BOD, SS, T-N, T-P, 색도는 우수하게 제거되며 이러한 처리 및 제거효율은 전극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촉매의 사용에 의하여 향상될 수 있다. 전기분해조(9)로 유입되는 원수의 Conductivity 농도를 12000 ㎲/㎝ 이상으로 유지하면 전기분해에 의한 처리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축산폐수를 역삼투 분리막(7)으로 처리하고 분리막에 의해 농축된 농축수는 전기분해 기술을 적용해 처리함으로써 각각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는 장치이다. 즉, 역삼투 분리막(7)에 의해 방류수 기준 내의 처리수를 생산하는 한편 농축수가 고농도로 농축되어 TDS 농도가 높아지고 분리막의 처리효율이 떨어지면 농축수는 전기분해조(9) 쪽으로 유입되면서 농축조(3) 내의 TDS와 Conductivity 농도부하는 감소된다. 반대로 Conductivity의 농도가 낮아 전기분해 기술로 직접 처리하기 힘든 원수는 역삼투 분리막(7)에 의하여 농축되어 농축수의 Conductivity 조건이 전기분해에 충분히 적합한 조건이 되면 농축조(3)로부터 전기분해조(9)로 유입되어 고효율의 전기분해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전기분해조(9)의 경우 일반적 전지가 아닌 희토류금속 촉매전지를 채용하여 처리시간을 단축시키고 처리효율을 높게 하였다.
이후 각각의 처리수는 불균형한 염농도의 희석을 위해서 인-라인 믹서(10)에서 혼합되어 방류된다.
이상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역삼투 분리막(7)과 전기분해조(9)의 단점을 서로 보완하고 최대효율의 성능을 내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역삼투 분리막(7) 기술의 단점과 전기분해조(9)의 단점을 서로 보완하고 각각의 최대의 성능을 발휘하게 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처리효율이 높은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 그 목적이 있다.
1. 원수조
2. 수중펌프
3. 농축조
4. 피드펌프
5. 마이크로 필터
6. 고압펌프
7. 역삼투 분리막
8. 피드펌프
9. 전기분해조
10. 인-라인 믹서
본 발명은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7)과 전기분해조(9)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산폐수의 처리에 있어서 질소와 색도는 주요 관심 대상이 되며 이중 색도는 민원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축산폐수를 T-N 및 색도의 처리효율이 좋은 역삼투 분리막(7)광 전기분해조(9)라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으로 처리하여 BOD, SS, T-N, T-P, 색도 등을 제거하고 방류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역삼투 분리막(7)과 전기분해조(9)를 농축조(3) 내부의 Condouctivity 농도에 따라 적절하게 운전함으로써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고 각각의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하여 역삼투 분리막(7)과 전기분해조(9)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시스템은 원수조(1), 수중펌프(2), 농축조(3), 피드펌프(4), 마이크로 필터(5), 고압펌프(6), 역삼투 분리막(7), 전기분해조(9), 인-라인 믹서(1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시스템은 농축조(3) 내부 농축수의 Conductivity 농도가 20000 ㎲/㎝ 이하에서의 역삼투 분리막(7) 장치만의 1단계 운전과 농축조(3) 내부 농축수의 Conductivity 농도가 20000 ㎲/㎝ 이상에서 농축조(3)에서 농축수의 일부를 이송하여 역삼투 분리막(7)으로 처리하고 나머지는 전기분해로 처리하며 처리수의 발생량만큼 원수조(1)로부터 원수가 농축조(3)로 이송되는 2단계 운전으로 가동된다.
먼저 1단계 운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축산폐수 원수를 저장하는 원수조(1)는 농축조(3)로 원수를 이송하는 수중펌프(2)가 포함되어 있다. 원수조(1)로부터 수중펌프(2)에 의해 이송된 원수는 농축조(3)에 2차로 저장되며 이것은 피드펌프(4)에 의해 마이크로 필터(5)로 이송된다. 피드펌프(4)의 흡인으로 농축조(3) 내의 원수가 감소하면 원수조(1) 내의 수중펌프(2)가 작동하여 농축조(3) 내에 원수를 보충함으로써 high level을 유지한다.
피드펌프(4)로 원수를 공급 받은 마이크로 필터(5)는 원수 중의 5㎛ 이상의 고형물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실시한다. 마이크로 필터(5)에 의한 전처리는 후단 역삼투 분리막(7)의 막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물질을 최대한 제거함으로써 역삼투 분리막(7)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세정주기를 길게 하며 역삼투 분리막(7) 운전을 최대한 안정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 필터(5) 후단의 고압펌프(6)는 마이크로 필터(5)를 통과하면서 5㎛ 이상의 고형물이 제거된 원수를 가압하여 역삼투 분리막(7) 여과 운전에 적합한 압력을 발생시킨다. 고압펌프(6)에 의해 원수는 상승된 압력으로 역삼투 분리막(7)에 유입된다.
고압펌프(6)에 의해 이송된 원수는 역삼투 분리막(7) 여과에 의하여 일부는 투과되어 인-라인 믹서(10)로 이송되며 나머지 배제된 원수는 농축조(3)로 이송되어 순환됨으로써 반복적으로 역삼투 여과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투과된 처리수는 역삼투 분리막(7)을 통과하면서 BOD, SS, T-N, T-P, 색도 등이 방류기준 이하로 제거되고 특히 민원의 원인이 되는 색도가 제거된 후 배출된다.
상기 과정은 농축조(3) 내부 농축수의 Conductivity 농도가 20000 ㎲/㎝ 으로 상승할 때까지 계속된다. Conductivity는 TDS와 비례관계에 있으므로 Conductivity를 제어하는 것은 TDS를 제어하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농축조(3) 내부 농축수의 Conductivity 농도가 20000 ㎲/㎝ 이 되면 자동제어로 농축조(3)의 전기분해조(9) 쪽 밸브가 열리고 전기분해조(9) 쪽 피드펌프(8)가 가동하면서 2단계 운전이 시작된다. 그 진행은 다음과 같다.
농축조(3) 내부 농축수의 Conductivity 농도가 20000 ㎲/㎝ 이 되면 전기분해조(9) 쪽의 밸브가 열리며 피드펌프(8)에 의해 농축수는 전기분해조(9)로 이송된다. 이때 역삼투 분리막(7)의 가동은 멈추지 않고 계속되며 역삼투 분리막(7) 쪽 피드펌프(4)와 전기분해조(9) 쪽 피드펌프(8)의 흡인에 의해 농축수조 내의 수면 level이 하강하면 원수조(1)내의 수중펌프(2)가 작동하여 원수를 농축조(3)로 이송함으로써 농축수조내의 수면고를 high level로 유지한다.
전기분해조(9)는 희토류금속 촉매전극을 채용하여 유입된 농축수 중의 BOD, SS, T-N, T-P,색도등을 분해 제거하고 처리된 농축수는 인-라인 믹서(10)로 이송된다. 희토류금속 촉매전극은 일반 전극에 비해 처리효율이 매우 우수하며 이때 수중의 Conductivity가 12000 ㎲/㎝ 이상일 때 효과적으로 처리된다.
이 때 농축조(3)에서 공급되는 역삼투 분리막(7) 쪽 피드량과 전기분해조(9) 쪽 피드량은 각각의 처리수의 양이 7:3 정도가 되게 유지한다.
전기분해조(9)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TDS 농도가 매우 높으며 이것은 방류 지점의 자연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전기분해조(9)에서 처리된 처리수는 인-라인 믹서(10)에서 역삼투 분리막(7) 여과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와 혼합되고 희석되어 방류된다.
상기 2단계 운전은 원수조(1)로부터 농축조(3)로 유입되는 원수가 농축조(3) 내의 Conducivity 농도를 희석시켜 12000 ㎲/㎝으로 떨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농축조(3) 내의 농축수 Conductivity 농도가 12000 ㎲/㎝이 되면 자동제어에 의해 1단계 운전으로 전환되어 전기분해조(9)는 가동을 멈추고 농축조(3)의 전기분해조(9) 쪽 밸브도 잠기게 되며 역삼투 분리막(7) 여과 처리만이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가동형태는 농축조(3)의 Conductivity 농도에 따라 자동 제어되면서 장치를 연속적으로 운전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축산폐수는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7)과 전기분해조(9)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에 의하여 축산폐수 처리의 주요 관심사가 되는 T-N과 색도를 비롯 BOD, SS, T-P등이 효과적으로 처리되어 방류된다.
본 발명은 역삼투 분리막(7) 기술의 단점과 전기분해조(9)의 단점을 서로 보완하고 각각의 최대의 성능을 발휘하게 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전기분해조는 희토류 금속전극을 채용하여 처리효율을 높이고 역삼투 분리막(7)에 의해 전기분해 처리조건에 적합하게 고농도로 농축된 농축수만을 전기분해 처리함으로써 처리시간을 단축시키고 전기분해 장치의 규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농축조(3)의 Conductivity 농도가 12000 ~ 20000 ㎲/㎝로 유지되어 역삼투 분리막(7)의 운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안정된 운전은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농축조(3)의 Conductivity 농도에 의한 자동 제어와 그에 따른 자동 운전 시스템은 시스템 전체의 처리효율을 높이고 활용률을 크게 하여 운전 및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Claims (4)

  1. 축산폐수를 역삼투 분리막(7)으로 처리하고 농축수를 희토류 촉매전극이 채용된 전기분해조(9)로 처리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필터(5)를 거치고 역삼투 분리막(7)을 포함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농축수의 전기분해처리가 농축조(3) 내의 농축수의 Conductivity 농도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역삼투 분리막(7) 여과에 의한 처리수와 전기분해에 의해 처리된 처리수가 인-라인 믹서(10)에 의해 혼합되어 방류되는 장치
KR1020030080807A 2003-11-15 2003-11-15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과 전기분해조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KR20030091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807A KR20030091913A (ko) 2003-11-15 2003-11-15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과 전기분해조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807A KR20030091913A (ko) 2003-11-15 2003-11-15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과 전기분해조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913A true KR20030091913A (ko) 2003-12-03

Family

ID=3238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807A KR20030091913A (ko) 2003-11-15 2003-11-15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과 전기분해조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1913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97B1 (ko) * 2004-04-09 2006-06-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류수 전기분해를 이용한 고도 하폐수처리시스템
CN102260013A (zh) * 2011-05-19 2011-11-30 波鹰(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解和双膜技术的再生水制造装置及其方法
CN102336454A (zh) * 2010-08-26 2012-02-01 隆润新技术发展有限公司 催化内电解法在处理有机硅废水中的应用
CN102765832A (zh) * 2012-08-01 2012-11-07 威洁(石狮)中水回用技术有限公司 一种电镀废水中镍回收处理系统
CN103449632A (zh) * 2013-09-02 2013-12-18 苏州富奇诺水治理设备有限公司 一种酱油废水的处理方法
CN104326592A (zh) * 2014-10-09 2015-02-04 常州大学 一种修复地下水中重金属汞的方法
CN111423017A (zh) * 2020-04-13 2020-07-1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苦咸水淡化处理工艺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497B1 (ko) * 2004-04-09 2006-06-30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류수 전기분해를 이용한 고도 하폐수처리시스템
CN102336454A (zh) * 2010-08-26 2012-02-01 隆润新技术发展有限公司 催化内电解法在处理有机硅废水中的应用
CN102260013A (zh) * 2011-05-19 2011-11-30 波鹰(厦门)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解和双膜技术的再生水制造装置及其方法
CN102765832A (zh) * 2012-08-01 2012-11-07 威洁(石狮)中水回用技术有限公司 一种电镀废水中镍回收处理系统
CN102765832B (zh) * 2012-08-01 2014-07-02 威洁(石狮)中水回用技术有限公司 一种电镀废水中镍回收处理系统
CN103449632A (zh) * 2013-09-02 2013-12-18 苏州富奇诺水治理设备有限公司 一种酱油废水的处理方法
CN104326592A (zh) * 2014-10-09 2015-02-04 常州大学 一种修复地下水中重金属汞的方法
CN111423017A (zh) * 2020-04-13 2020-07-1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苦咸水淡化处理工艺
CN111423017B (zh) * 2020-04-13 2021-07-27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苦咸水淡化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49123A (ja) 海水淡水化方法および海水淡水化装置
KR102032109B1 (ko) 산업 폐기물의 화학적 산소 요구량의 전기화학적 감소를 위한 전극
EP2586748A1 (en) Freshwater-generating device, and freshwater-generating method
KR101956383B1 (ko) 막분리 활성 오니 장치에 의한 유기성 배수의 처리 방법
KR100675375B1 (ko) 해산어 양식장의 수질관리시스템
CN102115272A (zh) 铝氧化漂洗废水的处理及回用方法和设备
CN105417839B (zh) 一种电镀前处理废水的处理系统及方法
KR20030091913A (ko) T-n 및 색도 제거를 위한 역삼투 분리막과 전기분해조가 장착된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CN102381791A (zh) 一种电解-氧化剂联合处理有机废水的设备
CN203360192U (zh) 一种难降解工业废水处理装置
JP2009273973A (ja) 膜処理による海水淡水化システム
KR101122745B1 (ko) 간헐반응과 에너지절감형 내부순환 및 상등수 배출부가 결합된 전해 탈인형 mbr 고도수처리장치
Verrecht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intermittent aeration of a hollow fibre membrane bioreactor
KR100670629B1 (ko) 복수탈염설비 재생폐수의 유기물질 및 질소를 제거하기위한 전기분해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103755105A (zh) 一种海上生活污水的处理系统以及处理方法
US20220127174A1 (en) Wastewater Treatment Membrane Electro Membrane
JP4373871B2 (ja) 活性汚泥処理装置
JPH07155759A (ja) 廃水処理方法
CN203741183U (zh) 一种海上生活污水的处理系统
KR20040035634A (ko) 생물학적처리와 멤브레인과 전기분해조가 조합된축산폐수처리 시스템
KR100360375B1 (ko) 생물반응기 내의 슬러지를 분리하고 분리막을 세정하는장치 및 그 방법
JP4099369B2 (ja) 排水処理装置
KR20170047089A (ko) 분리막 생물 반응조-삼투 미생물 연료 전지 융합 수처리 시스템 및 수처리 방법
JP2005288386A (ja) 廃水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廃水処理方法
JPS61149288A (ja) 塩水の逆浸透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