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381A - 문자 인식방법 및 문자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인식방법 및 문자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381A
KR20030090381A KR1020020028663A KR20020028663A KR20030090381A KR 20030090381 A KR20030090381 A KR 20030090381A KR 1020020028663 A KR1020020028663 A KR 1020020028663A KR 20020028663 A KR20020028663 A KR 20020028663A KR 20030090381 A KR20030090381 A KR 20030090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character
relative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광
도정인
Original Assignee
퍼셉컴(주)
도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셉컴(주), 도정인 filed Critical 퍼셉컴(주)
Priority to KR102002002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381A/ko
Publication of KR2003009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3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58Applying the releas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60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문자를 간단하게 인식하기 위한 문자 인식방법 및 인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자의 각 획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종료점까지의 상대적인 좌표값에 의거한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획의 시작점을 시작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문자 획의 상대적인 값에 의거하여 저장되어 있는 문자의 데이터에서 해당하는 획을 찾아감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문자에 있어서 각 획을 그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으로 나타내어 저장하는 획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제어부와,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 입력되는 문자의 각 획에 있어서 그 시작점에 상대적인 값으로 상기 각 획의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획데이터 저장부를 조회하여 해당하는 획을 순차적으로 찾아감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문자 인식방법 및 문자 인식장치{LETTERS RECOGNITION METHOD AND LETTERS RECOGNI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 특히 손으로 쓰여진 한글을 인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온라인 필기 인식방법은 시계열(時系列)로 들어오는 필기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하는 방법으로 입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 디지타이저 패널 상에서 필기한 각 획을 구성하는 절대적인 좌표와 획 간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문자 인식을 위한 매우 중요한 정보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타블렛이 없는  펜 타입의 입력도구의 경우, 펜-다운(Pen-Down)이 된 상태(시작점)에서 펜-업(Pen-Up(끝점)까지 펜이 움직인 궤적을 구성하는 점들의 좌표를 시작점에  대한  절대적  좌표가  없이  시작점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값으로 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에서는 점들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에 의거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획들의  절대  좌표값  및 획 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문자 인식에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상기 각 점들에 대한 좌표 값을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해서는  절대  좌표값을  인지할  수  있는  타블렛이나  디지타이저  입력장치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장치 및 방법으로 필기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문자 인식장치 및 문자 인식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자음의 필기 모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모음의 필기 모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모드변화, 특수문자 등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4는 본 발명 장치의 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방법을 한글처리에 적용한 경우의 플로우챠트,
도6은 상기 도5의 모음처리에 대한 플로우챠트,
도7은 상기 도5의 자음처리에 대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입력도구 3 : CPU(Central Processing Unit)
4 : 획데이터 저장부5 : 디스플레이(출력장치)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자의 각 획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종료점까지의 상대적인 좌표값에 의거한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획의 시작점을 시작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문자 획의 상대적인 값에 의거하여 저장되어 있는 문자의 데이터에서 해당하는 획을 찾아감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문자는 한글로서, 자음은 한 스트로크로 정의되고 상기 자음의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을 저장되어 있고, 모음은 장단(長短)의 종횡(縱橫)의 2 이상의 직선으로 정의되어 있다.
또한 모음을 구성하는 짧은 직선은 점(點)이다.
또는 문자는 한자(漢字)로서, 각 부수의 각 획에 대하여 그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각 부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입력되는 한자의 각 획의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값에 의거하여 한자의 획을 인식하고 순차적인 획의 순서를 인지하여 한자 인식을 완성해 나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에 있어서 각 획을 그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으로 나타내어 저장하는 획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제어부와,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 입력되는 문자의 각 획에 있어서 그 시작점에 상대적인 값으로 상기 각 획의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획데이터 저장부를 조회하여 해당하는 획을 순차적으로 찾아감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이 사용되기 위한 입력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음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음은 원칙적으로 연속된 한 획으로 구성된다. 다만 ㄲ이나 ㅆ,  ㄸ  등의 자음은 상방을 향하는 직선  다음에  ㄱ이나 ㅅ , ㄷ 에 해당하는 선을 그어 입력한다. 이러한 자음의 입력방법을 도1에 나타낸다. 도면에서 점은 시작을 나타낸다.
다음에 모음은 수직 혹은 수평의 장단(長短) 직선으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ㅏ"이면 긴 수직선 + 짧은 수평선을 입력한다. 이러한 입력방법은 한글창제의 원리인 응용한 것으로서 각 모음에 대한 입력방법을 도2에 나타낸다.
또한 기타 특수키, 숫자, 한영모드의 변환에 대한 입력방법을 도3에 나타낸다. 상기 도1, 도2 및 도3에 나타내는 입력방법은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예에 의한 문자의 입력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다음, 본 발명에 관한 문자 인식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4에 그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다.
1은 사람이 손으로 잡고 문자를 쓰는 펜타입의 입력도구로서, 쓰여지는 문자를 연속된 점으로 인식하여 이를 후술하는 CPU3으로 보낸다.
3은 상용의 CPU로서 1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에 대한 신호를 받아 후술하는 4를 참조하여 문자를 인식한다.
4는 상기한 문자 입력방법에 의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3의 참조에 따라 입력된 문자를 매칭시키는 획데이터 저장부이다. 즉 각 획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는 각 획을 구성하는 점의 좌표가 획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값으로 하여 순차적인 값으로 저장되어 있다.
펜 입력도구를 통하여 펜-다운이 된 상태(시작점)에서 펜-업(끝점)까지 펜이 움직인 궤적을 하나의 획(스트로크라)이라고 하면, 자음과 모음인식에 있어서 하나의 획으로 구성된 자음과 여러 개의 직선획들로 구성된 모음의 각 획들 사이에 어떠한 상대적인 또는 절대적인 위치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필기동작의 획에 대한 값을 저장하고 있다.
즉, 자음은 1획의 필기동작으로 정의된 자음모양의 특징에 대한 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모음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의 직선으로만 구성된 것으로 정의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된 1획의 직선획들과 각 획의 상대적인 길이를 기준으로 모음의 구성형태를 저장하고 있다.
5는 입력된 문자를 인식하여 어떠한 문자가 입력되었는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여 문자 인식방법을 한글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글처리는 초성, 중성, 종성의 한글 자모들을 하나씩 입력으로 받아서 처리하게 되는데, 우선 전체적인 오토마타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부에서 자모를 하나 가져와서 한글의 초, 중, 종성에 해당하는지 본다. 입력된 자모가 한글이 아닌 경우, 한글 버퍼에 한글이 있을 때에 버퍼에 있는 자모들로 한글을 완성하고 현재 인풋된 알파벳으로 영문 처리 루틴으로 들어간다. 버퍼에 자모가 없다면 바로 영문 처리로 들어간다.
만약 입력된 자모가 한글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글 처리 루틴으로 들어간다.
모음일 경우에 모음 처리 루틴으로 넘어가고, 자음일 경우에 자음 처리 루틴으로 넘어간다.(이상 도5)
모음일 경우에는 한글 저장 버퍼를 보면서, 크게 세 가지 경우를 차례로 살펴본다(도6).
먼저, 한글 버퍼에 종성이 있는지를 살펴본다. 종성이 있다면 버퍼의 종성부에 공백을 넣고, 버퍼에 저장된 초성, 중성으로 한글을 완성한다. 그리고 버퍼의 종성부의 자음을 새로이 버퍼의 초성부에 넣고 현재 모음을 버퍼의 중성부에 넣는다. 2-4의 출력상태로 넘어간다.
한글 버퍼에 종성이 없을 경우는 2-2로 넘어간다.
둘째로 한글 버퍼에 중성이 있는지 본다. 중성이 없다면, 현재 모음을 중성부 버퍼에 넣고, 2-4로 넘어간다.
한글버퍼에 중성이 있을 경우는 2-3으로 넘어간다.
셋째로 한글 버퍼의 (종성이 없고, 중성이 있을 경우) 중성부의 모음에, 현재의 모음을 조합하여 이중모음이 되는지 판단한다.
두개의 모음으로 이중모음이 만들어진다면, 만들어진 이중모음을 현재의 중성부 버퍼에 넣는다. 그리고 2-4로 넘어간다.
이중모음이 만들어지지 않을 경우, 버퍼의 종성부에 공백을 삽입하고, 한글버퍼에 있는 자모들을 빼내어 한글조합을 완성한다. 그 후에 현재의 모음을 한글 버퍼의 중성부에 넣고, 2-4로 넘어간다.
2-4에서 현재 상태를 출력하고, 다시 입력부로 돌아가 입력을 기다린다.
다음은 자음처리 오토마타에 대하여 도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자음일 경우, 한글 저장 버퍼를 보면서 크게 네 가지 경우를 차례로 보면서 처리한다.
첫째 한글 버퍼를 보고, 초성과 중성이 둘 다 없는지 본다.
둘 다 없을 경우에 현재의 자음을 한글 버퍼의 초성부에 넣고 3-5.로 넘어간다.
그리고 초성, 중성 둘 중 하나 이상이 존재할 경우, 3-2로 넘어간다.
둘째, 한글 버퍼의 초성, 중성을 보고 초성은 있고 중성은 없을경우에는, 현재 버퍼를 가지고 한글 조합을 완성한 후, 현재의 자음을 버퍼의 초성부에 넣는다. 그 다음 3-5로 넘어간다.
그렇지 않을 경우, 초성, 중성이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3-3으로 넘어간다.
셋째 버퍼의 종성부를 본다. 버퍼에 종성이 없다면, 버퍼의 초성, 중성에 현재 자음을 종성으로 하는 한글을 만들어서 현재 자음이 종성으로서 적합한지 판단한다. 종성으로서 적합한 자음이라면 현재 자음을 종성부에 넣고 3-5로 넘어간다. 적합한 자음이 아니라면 3-4로 간다.
종성이 있다면, 버퍼의 종성부의 자음과 현재의 자음을 합하여 다시 한글 버퍼의 초성, 중성과 결합하여, 합하여진 종성이 적합한지를 판단한다. 합쳐진 종성이 적합하다면, 그 합쳐진 종성을 종성부에 넣고 3-5로 넘어간다. 합쳐진 종성이 적합하지 않다면, 3-4 루틴으로 넘어간다.
넷째, 현재의 버퍼에서 빼내어 한글조합을 완성하고, 현재 자음을 버퍼의 초성부에 넣는다.
그 후 3-5 루틴으로 간다.
최종적으로 3-5에서 현재상태를 출력하고, 입력부로 넘어가 입력을 기다린다.
또한 상기 방법은 한글을 적용한 예이나, 한자 등의 다른 문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획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저장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문자를 인식하기 때문에 필기된 획의 절대적인 좌표값이 없이 처리를 하기 때문에 장치가 간단하게 되고 또한 그 처리속도가 빨라지는 우수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문자의 각 획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종료점까지의 상대적인 좌표값에 의거한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획의 시작점을 시작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문자 획의 상대적인 값에 의거하여 저장되어 있는 문자의 데이터에서 해당하는 획을 찾아감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글로서,
    자음은 한 스트로크로 정의되고 상기 자음의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을 저장되어 있고,
    모음은 장단(長短)의 종횡(縱橫)의 2 이상의 직선으로 정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식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을 구성하는 짧은 직선은 점(點)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한자(漢字)로서,
    각 부수의 각 획에 대하여 그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 각 부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입력되는 한자의 각 획의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값에 의거하여 한자의 획을 인식하고 순차적인 획의 순서를 인지하여 한자 인식을 완성해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인식방법.
  5. 문자에 있어서 각 획을 그 시작점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으로 나타내어 저장하는 획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제어부와,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부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 입력되는 문자의 각 획에 있어서 그 시작점에 상대적인 값으로 상기 각 획의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획데이터 저장부를 조회하여 해당하는 획을 순차적으로 찾아감으로써 문자를 인식하는 문자 인식장치.
KR1020020028663A 2002-05-23 2002-05-23 문자 인식방법 및 문자 인식장치 KR20030090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663A KR20030090381A (ko) 2002-05-23 2002-05-23 문자 인식방법 및 문자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663A KR20030090381A (ko) 2002-05-23 2002-05-23 문자 인식방법 및 문자 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381A true KR20030090381A (ko) 2003-11-28

Family

ID=3238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663A KR20030090381A (ko) 2002-05-23 2002-05-23 문자 인식방법 및 문자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03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59B1 (ko) * 2007-12-04 2010-05-13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문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800B1 (ko) * 1993-12-30 1998-04-02 김광호 한글필기체 온라인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KR19980058361A (ko) * 1996-12-30 1998-09-25 구자홍 한글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9990040811A (ko) * 1997-11-19 1999-06-05 윤종용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KR19990056025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온라인 한글 필기체 문자 인식방법
KR100297815B1 (ko) * 1997-12-29 2001-08-07 윤종용 한글 필기체 문자 인식 시스템
KR100349887B1 (ko) * 2000-10-06 2002-08-24 레이솔루션 주식회사 정보기기용 필기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6800B1 (ko) * 1993-12-30 1998-04-02 김광호 한글필기체 온라인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KR19980058361A (ko) * 1996-12-30 1998-09-25 구자홍 한글 문자 인식 방법 및 시스템
KR19990040811A (ko) * 1997-11-19 1999-06-05 윤종용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KR19990056025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온라인 한글 필기체 문자 인식방법
KR100297815B1 (ko) * 1997-12-29 2001-08-07 윤종용 한글 필기체 문자 인식 시스템
KR100349887B1 (ko) * 2000-10-06 2002-08-24 레이솔루션 주식회사 정보기기용 필기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059B1 (ko) * 2007-12-04 2010-05-13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된 문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시스템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3464B1 (en) Multiple pen stroke character set and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with immediate response
EP15646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digital ink query
JP5897725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情報記憶媒体
CN1609777A (zh) 用于字母识别的装置和方法
WO1995008158A1 (en) Universal symbolic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JPH05324903A (ja) パターン認識装置
US20150248166A1 (en) System for spontaneous recognition of continuous gesture input
JP5897726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情報記憶媒体
KR100349887B1 (ko) 정보기기용 필기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100374339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 인식 장치 및방법
KR20030090381A (ko) 문자 인식방법 및 문자 인식장치
KR100484128B1 (ko) 단획필기체한글입력장치
KR100356037B1 (ko)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방법
ES2305472T3 (es) Presentacion de simbolos escritos a mano reconocidos.
KR100297815B1 (ko) 한글 필기체 문자 인식 시스템
KR101438271B1 (ko) 필기형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 Jabde et al.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Air-written Online Handwritten Recognition
JPH07182462A (ja) 文字認識装置及び方法
JP3782467B2 (ja) 文字入力方法及び装置
KR20100027195A (ko)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JPH04313175A (ja) 手書き入力情報処理装置
KR20090053495A (ko) 한글자음 필기인식과 터치인식 조합을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356038B1 (ko)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
JPH08235317A (ja) ペン・コンピュータ用の拡張型自己区切りデータ入力方法
JPH06150066A (ja) 手書き文字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