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128B1 - 단획필기체한글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단획필기체한글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128B1
KR100484128B1 KR1019970061291A KR19970061291A KR100484128B1 KR 100484128 B1 KR100484128 B1 KR 100484128B1 KR 1019970061291 A KR1019970061291 A KR 1019970061291A KR 19970061291 A KR19970061291 A KR 19970061291A KR 100484128 B1 KR100484128 B1 KR 100484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me
hangul
state
consonant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811A (ko
Inventor
오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6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128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6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 G06V30/226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using word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자소가 단획 필기체 형태로 이루어진 한글을 입력하는 장치 및 인식된 단획 필기체 문자로부터 한글 자소를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단획 필기체 한글을 문자 단위로 결합하여 필기할 때, 사용자가 필기한 단획 필기체 한글을 각각의 자소별로 일련의 공간좌표 리스트를 생성하는 입력수단; 입력수단으로부터 공간좌표 리스트를 입력받고, 한글 자소 코드를 생성하는 자소인식수단; 및 자소인식수단으로부터 한글 자소 코드를 입력받아 한글문자를 조합하고, 조합된 한글문자에 대응하는 2바이트 한글 코드를 생성하는 한글오토마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자연스럽게 필기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기형태에 약간의 제약의 주는 반면 종래의 필기체 방식보다 상당히 높은 한글 인식률을 얻을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구성은 종래의 한글 필기체 입력장치에 비하여 간단하여 처리시간이 짧고,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Apparatus for inputting unistroke korean language}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한글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자소가 단획 필기체 형태로 이루어진 한글을 입력하는 장치 및 인식된 단획 필기체 문자로부터 한글 자소를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는 주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키보드를 입력장치로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소형화 추세에 상당한 제약이 되고 있다. 즉, 포켓용 컴퓨터와 같은 소형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그 크기의 제약 때문에 하드웨어 키보드를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할 수는 있더라고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소형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장치로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드웨어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융통성이 있으나, 입력 작업과 조작에 있어서 그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소프트웨어 키보드에는 각각의 한글 자소에 할당되는 공간에 작아, 그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데스크탑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을 사용하는 기존의 컴퓨터 사용자들에 있어서는 키보드가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익숙한 입력장치이지만, 새로이 컴퓨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 키보드의 사용법을 익혀야만 하는 부담을 갖는다. 이와 같은 초보 컴퓨터 사용자들은 좀더 자연스러운 입력 방식을 요구하게 되고,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음성 인식 및 필기체 입력장치가 점차 확산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머지않아 음성 인식 및 필기체 입력장치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준이 될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한글 필기체 입력장치는 디지타이저(digitizer)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위에 쓰여진 한글을 인식하여 현재 커서 위치에 입력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런데, 이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자연스런 필기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필기한 경우에는 필기 형태의 변화가 심하게 되어 문자의 인식율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둘째, 입력 효율이 낮다는 점이다. 한글의 경우, 문자의 형태가 복잡하여 사용자가 정확하게 문자를 쓰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한글 인식 장치가 복잡하여 메모리의 사용이 많으며 인식 속도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종래의 한글 필기체 입력장치에 있어서는, 한글 필기체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한글 자소간의 경계를 찾기가 어렵고, 판별이 어려워 많은 예외적인 경우를 고려하여야 하는 등 한글 필기체를 인식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넷째, 한글을 문자 단위로 입력하고 인식하는 경우, 문자의 쓰기가 종료되었는지 계속 진행 중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부하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획 자소(unistroke) 입력 방식을 사용한다.
영어에 있어서, 단획 자소 입력 방식은 영어의 각 자소를 축약 형태의 기호로 나타내고, 입력시 축약 형태의 기호를 입력하면 인식 시스템은 그 모양을 인식하여 해당하는 영문 알파벳으로 전환하여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영어 알파벳 A는 3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A를 쓸 때, 각각의 획을 그을 때마다 펜을 떼어 움직이고 긋는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입력에 대한 인식을 언제 시작하여야 하는지 분간하기가 어렵다. 이에, A를 축약하여 ↑기호(여기에서 화살표는 펜을 긋는 방향을 표시한다)로 나타내면, 사용자가 윗 방향으로 줄을 긋고 펜을 뗄 때 인식 시스템은 곧 바로 인식을 시작하여 A를 디스플레이하면 된다. 이와 같이, 모든 알파벳을 한획의 기호로 나타내면 인식 시스템의 인식 효율은 크게 증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획 자소 방식은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그런데, 축약형 한글 자소를 개발하는 데에는 다음 사항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1. 자소의 형태가 단순하여야 한다(단순성).
2. 인식 알고리듬이 각 자소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형태의 독자성을 유지하여야 한다(독자성).
3. 사용자가 쉽게 배울 수 있도록 기억하기 쉬워야 한다(용이성).
4. 사용자가 필기할 때 쓰는 것과 같이 자연스럽게 쓰여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자연성).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네가지 사항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쉽지 않다. 지나치게 단순성을 취하다 보면 독자성이 문제가 되고, 지나치게 자연성을 추구하면 자소의 단순성과 독자성이 모두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자연성을 최대한 살리면 배움의 용이성은 높아진다. 본 발명은 필기 형태에 약간의 제한을 둠으로써 사용자가 사전에 필기 형태를 숙지한 다음 필기하여야 하지만, 그 제한을 최소화하여 자연성을 살리고, 동시에 단순성과 독자성을 부여하여 문자 인식의 정확성을 기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개발되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들이 자연스럽게 필기할 수 있고, 한글 인식률이 높고, 그 구성이 간단한 단획 필기체 형태로 이루어진 한글을 입력하는 장치 및 인식된 단획 필기체 문자로부터 한글 자소를 판별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단획 필기체 한글을 문자 단위로 결합하여 필기할 때, 상기 사용자가 필기한 단획 필기체 한글을 각각의 자소별로 일련의 공간좌표 리스트를 생성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공간좌표 리스트를 입력받고, 한글 자소 코드를 생성하는 자소인식수단; 및 상기 자소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한글 자소 코드를 입력받아 한글문자를 조합하고, 상기 조합된 한글문자에 대응하는 2바이트 한글 코드를 생성하는 한글오토마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소 단위로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는 사용자가 단획 필기체 한글을 자소별로 분리하여 필기할 때, 상기 사용자가 필기한 단획 필기체 한글을 각각의 자소별로 일련의 공간좌표 리스트를 생성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공간좌표 리스트를 입력받고, 한글 자소 코드를 생성하는 자소인식수단; 및 상기 자소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한글 자소 코드를 입력받아 한글문자를 조합하고, 상기 조합된 한글문자에 대응하는 2바이트 한글 코드를 생성하는 한글오토마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문자 인식 시스템을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방식은 크게 다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로는 한글을 문자 단위로 결합하여 필기하는 방식(이하에서는 "문자 종속 필기 방식"이라 한다)이다. 즉, "강나루"를 입력할 때, '강', '나', '루'의 각각의 문자의 구성을 사용자가 생각하면서 한 문자씩 필기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각 단획 기호는 입력의 자연성을 위하여 각각의 자소의 연결관계가 고려되어 설계되어야 한다.
두 번째로는 한글을 자소별로 분리하여 필기하는 방식(이하에서는 "문자 독립 필기 방식"이라 한다)이다. 이 방식은 키보드를 통해 한글을 입력하는 것처럼 앞 뒤 자소의 연결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각각의 자소를 순차적으로 필기하는 방식이다. 즉, '강'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ㄱ', 'ㅏ', 'ㅇ'의 자소들을 차례로 입력한다. 이 경우, 각각의 자소에 대응하는 단획 문자는 자소들의 특징을 최대한 살려, 사용자들이 외우기 쉽고 입력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각 자소에 대응하는 단획 기호들은 가능하면 단순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문자 종속 필기 방식의 단획 한글 자소는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겹자음(ㄲ, ㄸ, ㅃ, ㅆ, ㅉ), 수직모음(ㅏ, ㅑ, ㅓ, ㅕ, ㅣ, ㅐ, ㅒ, ㅔ, ㅖ), 수평모음(ㅗ, ㅛ, ㅜ, ㅠ, ㅡ)에 대응하는 단획의 기호들을 구비한다. 이는 한글 키보드에 대응하는 것으로써, 키보드 입력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문자 종속 필기 방식의 단획 필기체 한글의 각각의 자소는 자연스런 필기를 위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필기 형태를 배제하고, 자음 및 겹자음으로 구성된 제1 자소그룹, 수직모음으로 구성된 제2 자소그룹 및 수평모음으로 구성된 제3 자소그룹로 분류할 때, 각 자소그룹 내의 각각의 자소는 상호 독립된 단획 기호이다. 특히, 자음 'ㄱ', 수직모음 'ㅓ' 및 수평모음 'ㅜ'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자음 'ㄴ', 수직모음 'ㅏ' 및 수평모음 'ㅗ'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겹자음 'ㄲ', 수직모음 'ㅔ' 및 수평모음 'ㅠ'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자음 'ㅁ' 및 수평모음 'ㅛ'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다.
예를들면, 키보드를 통해 '강'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ㄱ', 'ㅏ', 'ㅇ'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되지만, 필기체 문자 인식에서는 '강'이라는 문자를 필기하게 될 것이므로 가능하면 완성된 한글을 매끄럽게 필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여러번의 실험 결과, 'ㄱ', 'ㄴ', 'ㅇ'으로 문자를 구성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필기하기가 쉬웠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가 '강'을 필기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하면 된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는 입력수단(300), 자소인식수단(310) 및 한글오토마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수단(300)은 사용자가 단획 필기체 한글을 문자 단위로 결합하여 필기할 때, 사용자가 필기한 단획 필기체 한글을 각각의 자소별로 일련의 공간좌표 리스트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디지타이저 또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소인식수단(310)은 입력수단(300)으로부터 상기 공간좌표 리스트를 입력받고, 한글 자소 코드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자소인식부(312), 자소위치판별부(314), 동일모양자소판별부(316) 및 자소코드생성부(318)를 구비한다.
자소인식부(312)는 입력수단(300)으로부터 좌표 리스트를 입력받고, 각각의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를 인식한다.
자소위치판별부(314)는 입력수단(300)으로부터 좌표 리스트를 입력받고,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소간의 위치관계를 판별한다.
동일모양자소판별부(316)는 자음 'ㄱ', 수직모음 'ㅓ', 수평모음 'ㅜ', 자음 'ㄴ', 수직모음 'ㅏ', 수평모음 'ㅗ', 자음 'ㅁ', 수평모음 'ㅛ', 겹자음 'ㄲ', 수직모음 'ㅔ' 및 수평모음 'ㅠ'를 자소인식부(312)에서 인식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자소 및 자소위치판별부(314)에서 판별된 상기 자소간의 위치관계에 의해 판별한다.
자소코드생성부(318)는 동일모양자소판별부(316)에서 판별된 각각의 자소 및 상기 자소인식부(312)에서 인식된 독립된 모양의 자소를 입력받고, 한글 자소 코드를 생성한다.
이하에서, 동일모양자소판별부(316)에서 동일 모양의 단획 기호로부터 한글 자소를 판별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의하면, 한글 모아쓰기의 조합형태는 8가지로 분류된다.
그리고, 도 5는 한글 문자 쓰기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오른쪽 화살표는 어떤 획을 쓴 후에 다음에 쓰는 획이 우측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내고, 아래로 향하는 화살표는 다음에 쓰는 획이 하측으로 이동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여기에서 "이동"의 의미는 각 자소를 꽉 채우는 사각형을 만들었을 때, 그 사각형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했는가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맑'이라는 문자를 쓰기 위해서는 'ㅁ'을 쓰고, 그 우측에 'ㅏ'을 쓰고, 다음에 아래측 왼쪽에 'ㄹ'을 쓰고, 그 우측에 'ㄱ'을 쓰게 된다. 이상의 과정은 도 5의 S3에서 종결된다.
도 5에 의하면, 필기체 문자의 초성, 중성, 종성은 휴리스틱(Heuristic)하게 결정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하면, 단획 필기체 자소들이 인식될 때 문자 단위를 구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흙'이라는 문자를 도 1에 도시된 문자 종속 필기 방식의 단획 한글을 사용하여 필기한 경우, 인식 시스템은 '흙'을 필기한 것인지 또는 '흐러'를 필기한 것인지 분간하여야 한다.
따라서, 동일모양자소판별부(316)에서 동일 모양의 단획 기호로부터 한글 자소를 판별하는 과정은 문자 단위 판별방법에 따라 다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문자분리기호에 의해 구분하는 방법이다. 즉, 사용자는 각각의 문자마다 모아쓰기를 완성한 경우, 도 1에 도시된 문자분리명령을 완성한 문자 다음에 쓴다.
도 6에 의하면, 문자분리기호, 자소인식부(312)에 의해 인식된 자소 및 자소위치판별부(314)에 의해 판별된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에 의해 한글 자소를 판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는 앞 자소를 쓴 후에 다음에 쓴 자소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경우를 표시하고, ↓는 다음에 쓴 자소가 아래로 이동한 경우를 표시한다. 그리고, (x,y)/(x',y')은 x,y로 인식된 자소가 x',y'으로 판별되어 출력되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모양자소판별부(316)는 초기상태, 제1상태, 제2상태, 제3상태, 제4상태, 제5상태, 제6상태 등 7가지 상태로 전이하며, 인식된 자소를 판별한다.
초기상태(S0)에서는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있으면, 항상 자음으로 간주하여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한 다음 제1상태(S1)로 이동한다.
제1상태(S1)에서는 새로운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를 확인하여, 하측이동이면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수평모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수평모음 자소로 판별한 다음 제2상태(S2)로 이동하고, 우측이동이면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수직모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수직모음 자소로 판별한 다음 제3상태(S3)로 이동한다.
제2상태(S2)에서는 새로운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를 확인하여 우측이동이면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수직모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수직모음 자소로 판별한 다음 제4상태(S4)로 이동하고,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ㄹ'에 대응하는 단획 필기체 자소이면 'ㄹ'로 판별한 다음 제5상태(S5)로 이동한다.
제3상태(S3)에서는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ㄹ'에 대응하는 단획 필기체 자소이면, 'ㄹ'로 판별한 다음 제5상태(S5)로 이동하고, 그 이외의 기호는 자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한 다음 제6상태(S6)로 이동한다.
제4상태(S4) 및 제5상태(S5)에서는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자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한 다음 제6상태(S6)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문자분리기호이면, 초기상태(S0)로 이동하여 새로운 인식된 문자를 처리한다.
두 번째는 한글 필기체 입력 특성을 이용하여 휴리스틱하게 판단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문자분리기호를 문자마다 추가하여야 할 필요가 없다. 반면에 특수한 복모음에 대해 별도의 단획 필기체 기호가 추가로 정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음 표는 어떤 펜의 움직임이 다음 문자를 쓰기 위한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들을 분류한 것이다. 이러한 펜 이동의 상태를 인식하면, 즉시 이전까지 쓴 자소들로 문자를 완성시키고 새로이 인식된 자소들은 새로운 문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식하면 된다.
한글 문자간 구별을 위한 휴리스틱한 법칙
새 문자를 시작하기 위한 펜의 움직임 의미
좌측 이동 한글에서 문자를 쓸 때 각 자소를 쓰는 순서는 상측 또는 좌측 자소부터 먼저 쓴다.
상측 이동 상동
(자+직모)후의 우측이동 자음과 직모를 쓴 후에 우측이동을 하면 새로운 문자의 시작이 된다(예, 가ㅈ).
(자+직모+자)후의 하측이동 자음, 수직모음, 그리고 자음을 쓴 후에 하측으로 이동하면 새로운 문자의 시작이 된다(예, 각 ㅅ).
(자+평모+직모)후의 우측이동 (예, 과ㅅ)
(자+평모+자)후의 하측이동 (예, 홀 ㄱ)
4획을 쓰고 난 후의 이동 한글은 키보드에 대응하는 33자소 중 최대 4자소로 구성된다.
표 1에서 "새 문자를 시작하기 위한 펜의 움직임"으로 표현되는 열은 한글쓰기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펜의 이동을 나타내는 것이다.
표 1의 방식으로도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주어 문자를 다시 쓰게 한다.
그런데, 정상적인 문자 필기의 흐름을 따르고 있으나, 어떤 획이 다음 글자의 시작인지, 같은 글자 내에 속하는 획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글 세로쓰기의 경우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된 경우, 인식 시스템은 인식 경우 1의 "가수나" 또는 인식 경우 2의 "갓과" 중 어느 경우로 인식할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정상적인 한글 세로쓰기는 제한하고, 한글 가로쓰기 및 한글 겹쳐쓰기 만을 허용하기로 한다.
다음, 글자간의 구별문제를 살펴본다.
'ㄱ', 'ㅓ' 및 'ㅜ' 그리고 'ㄴ', 'ㅏ' 및 'ㅗ'에 같은 모양의 단획 기호를 할당함으로써 그 구분이 불명료한 경우가 있다. 기본적으로는, 한글 문자의 처음에 오는 자소는 자음이고, 자음 뒤에 오는 자소는 모음이라는 사실과 수평모음과 수직모음은 그 위치관계에 의해 구별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
1) 'ㅗ' 뒤에 쓰는 'ㄴ'이 'ㅏ'인지 'ㄴ'인지를 구별하기 어렵다.
예) '과'와 '고ㄴ'
2) 'ㅜ' 뒤에 쓰는 'ㄱ'이 'ㅓ'인지 'ㄱ'인지를 구별하기 어렵다.
예) '궈'와 '구ㄱ'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합 모음 'ㅘ'와 'ㅝ'에 대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단획 기호를 설정한다.
따라서, 복합 모음 'ㅘ'와 'ㅝ'에 대해서는 동일모양자소판별부(316)에서 복합 모음을 두 개의 자소로 나누어 판별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 1에 의하면, 'ㅝ'에 대응하는 단획 기호와 'ㅠ'에 대응하는 단획 기호는 상호 유사하고, 'ㅘ'에 대응하는 'ㅛ'에 대응하는 단획 기호는 상호 유사하나, 먼저 필기된 자음과의 위치관계를 고려하여 구별할 수 있다.
도 9에 의하면, 자소인식부(312)에 의해 인식된 자소, 자소위치판별부(314)에 의해 판별된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 및 상기 설명된 휴리스틱한 한글 자소 필기 법칙에 의해 한글 자소를 판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동일모양자소판별부(316)는 초기상태, 제1상태, 제2상태, 제3상태, 제4상태, 제5상태, 제6상태, 제7상태 등 8가지 상태를 화살표를 갖는 방향선에 따라서 전이하며, 인식된 자소를 판별한다.
초기상태(S0)에서는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있으면, 항상 자음으로 간주하여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한 다음 제1상태(S1)로 이동한다.
제1상태(S1)에서는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ㅘ' 또는 'ㅝ'에 대응하는 단획 필기체 자소이면 'ㅗ' 및 'ㅏ' 또는 'ㅜ' 및 'ㅓ'로 판별한 다음 제7상태(S7)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를 확인하여 하측이동이면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수평모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수평모음 자소로 판별한 다음 제2상태(S2)로 이동하고, 우측이동이면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수직모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수직모음 자소로 판별한 다음 제3상태(S3)로 이동한다.
제2상태(S2) 내지 제5상태(S5)에서의 동작은 도 6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다만, 도 9의 제4상태(S4)에서는 복합 모음 'ㅘ'와 'ㅝ'는 형성되지 않는다.
제7상태(S7)에서는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자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6상태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상태에서는 상기한 한글 문자간 구별을 위한 휴리스틱한 법칙을 적용하여 새로운 문자 필기의 시작으로 판단되면, 초기상태(S0)로 이동하여 새로운 인식된 문자를 처리한다.
도 3에 의한 한글 오토마타(320)는 자소인식수단(310)으로부터 한글 자소 코드를 입력받아 한글문자를 조합하고, 조합된 한글문자에 대응하는 2바이트 한글 코드를 생성한다.
도 10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문자 독립 필기 방식의 단획 한글 자소는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겹자음(ㄲ, ㄸ, ㅃ, ㅆ, ㅉ), 모음(ㅏ, ㅑ, ㅓ, ㅕ, ㅣ, ㅐ, ㅒ, ㅔ, ㅖ, ㅗ, ㅛ, ㅜ, ㅠ, ㅡ)에 대응하는 단획의 기호들을 구비하는데, 각각의 자소들은 상호 독립된 단획의 기호들이다.
도 10에 의한 문자 독립 필기 방식의 단획 한글 자소는 도 1에 의한 문자 종속 방식의 단획 한글 자소와는 달리 자연성보다는 입력의 용이성과 형태의 단순성에 중점을 두어 설계된 것이다. 즉, 개개의 자소는 필기하기 용이한 모양으로 작성되나, 동일한 모양이라 하더라도 획의 진행방향에 따라 인식결과가 다르다. 예를 들면, 도 10의 ㄱ에 대응하는 단획 한글 자소는 ㄲ에 대응하는 단획 한글 자소와 동일한 모양이나, 획의 진행방향이 서로 달라 구분된다.
도 11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소 단위로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는 입력수단(1100), 자소인식수단(1110) 및 한글오토마타(1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수단(1100)은 사용자가 단획 필기체 한글을 자소별로 분리하여 필기할 때, 상기 사용자가 필기한 단획 필기체 한글을 각각의 자소별로 일련의 공간좌표 리스트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디지타이저, 터치 스크린 또는 적외선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일련의 공간좌표 리스트를 상기 자소인식수단에 전달하는 전자펜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자소인식수단(1110)은 입력수단(1100)으로부터 공간좌표 리스트를 입력받고, 한글 자소 코드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자소인식부(1112) 및 자소코드생성부(1114)를 구비한다.
자소인식부(1112)는 입력수단(1100)으로부터 좌표 리스트를 입력받고,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를 인식한다. 이때, 인식되는 각각의 단획 필기체 기호들은 자소별로 상호 독립이므로, 별도의 자소판단부가 필요하지 않다.
자소코드생성부(1114)는 자소인식부(1112)에서 인식된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에 대응하는 한글 자소 코드를 생성한다.
한글오토마타(1120)는 도 3에 도시된 한글오토마타(320)와 같이, 자소인식수단(1110)으로부터 한글 자소 코드를 입력받아 한글문자를 조합하고, 조합된 한글문자에 대응하는 2바이트 한글 코드를 생성한다.
도 12는 문자 종속 필기 방식에서 분리명령을 사용할 경우와 분리명령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입력 형태를 예를들어 비교한 것이고, 도 13은 문자 독립 필기 방식에서의 입력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들이 종래의 문자단위 인식에서와 같이 자연스럽게 문자를 필기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필기 방식에 약간의 제한을 주지만 종래의 필기체 방식보다 훨씬 높은 한글 인식률을 얻을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구성은 종래의 한글 필기체 입력장치에 비하여 간단하여 처리시간이 짧고,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문자 종속 필기에 사용되는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 기호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문자 종속 필기 형태의 단획 필기체 한글로 쓰여진 문자 '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한글 모아쓰기에서 초성, 중성, 종성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한글 모아쓰기의 진행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문자분리기호를 구비한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 판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단획 필기체 한글에 의한 문자 세로쓰기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문자분리기호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추가 설정되는 복합모음의 단획 기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자소간의 위치관계에 의한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 판별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10은 문자 독립 필기에 사용되는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 기호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자소 단위로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문자 종속 필기 방식에서 분리명령을 사용할 경우와 분리명령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입력 형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문자 독립 필기 방식에서의 입력 형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Claims (17)

  1.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한글 입력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획 필기체 한글을 문자 단위로 결합하여 필기할 때, 상기 사용자가 필기한 단획 필기체 한글을 각각의 자소별로 일련의 공간좌표 리스트를 생성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공간좌표 리스트를 입력받아 단획 필기체 한글의 각각의 자소를 인식하고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자소간의 위치관계를 판별하며 상기 인식된 자소 및 상기 판별된 위치관계를 바탕으로 한글 자소 코드를 생성하는 자소인식수단; 및
    상기 자소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한글 자소 코드를 입력받아 한글문자를 조합하고, 상기 조합된 한글문자에 대응하는 2바이트 한글 코드를 생성하는 한글오토마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디지타이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필기한 단획 필기체 한글은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겹자음(ㄲ, ㄸ, ㅃ, ㅆ, ㅉ), 수직모음(ㅏ, ㅑ, ㅓ, ㅕ, ㅣ, ㅐ, ㅒ, ㅔ, ㅖ), 수평모음(ㅗ, ㅛ, ㅜ, ㅠ, ㅡ)에 대응하는 단획의 자소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획 필기체 한글의 각각의 자소는
    상기 자음 및 상기 겹자음으로 구성된 제1 자소그룹, 상기 수직모음으로 구성된 제2 자소그룹 및 상기 수평모음으로 구성된 제3 자소그룹로 분류할 때, 상기 각 자소그룹 내의 각각의 자소는 상호 독립된 단획 기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획 필기체 한글의 각각의 자소 중에서
    자음 'ㄱ', 수직모음 'ㅓ' 및 수평모음 'ㅜ'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자음 'ㄴ', 수직모음 'ㅏ' 및 수평모음 'ㅗ'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겹자음 'ㄲ', 수직모음 'ㅔ' 및 수평모음 'ㅠ'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자음 'ㅁ' 및 수평모음 'ㅛ'가 같은 모양의 기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소인식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좌표 리스트를 입력받고, 각각의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를 인식하는 자소인식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좌표 리스트를 입력받고, 한글문자를 구성하는 자소간의 위치관계를 판별하는 자소위치판별부;
    자음 'ㄱ', 수직모음 'ㅓ', 수평모음 'ㅜ', 자음 'ㄴ', 수직모음 'ㅏ', 수평모음 'ㅗ', 자음 'ㅁ', 수평모음 'ㅛ', 겹자음 'ㄲ', 수직모음 'ㅔ' 및 수평모음 'ㅠ'를 상기 자소인식부에서 인식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자소 및 상기 자소위치판별부에서 판별된 자소간의 위치관계에 의해 판별하는 동일모양자소판별부; 및
    상기 동일모양자소판별부에서 판별된 각각의 자소 및 상기 자소인식부에서 인식된 독립된 모양의 자소를 입력받고, 한글 자소 코드를 생성하는 자소코드생성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획 필기체 한글은
    문자 단위를 구분하기 위한 문자분리기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일모양자소판별부는 상기 문자분리기호에 의해 문자 간의 구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획 필기체 한글은
    복합모음 'ㅝ' 및 'ㅘ'에 대응하는 별도의 단획 기호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일모양자소판별부는 한글 자소 필기 법칙에 의해 문자 간의 구별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단위로 결합되어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10.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한글 입력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획 필기체 한글을 자소별로 분리하여 필기할 때, 상기 사용자가 필기한 단획 필기체 한글을 각각의 자소별로 일련의 공간좌표 리스트를 생성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공간좌표 리스트를 입력받아 상기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를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에 대응하는 한글 자소 코드를 생성하는 자소인식수단; 및
    상기 자소인식수단으로부터 상기 한글 자소 코드를 입력받아 한글문자를 조합하고, 상기 조합된 한글문자에 대응하는 2바이트 한글 코드를 생성하는 한글오토마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소 단위로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디지타이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소 단위로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소 단위로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적외선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일련의 공간좌표 리스트를 상기 자소인식수단에 전달하는 전자펜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소 단위로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필기한 단획 필기체 한글은
    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겹자음(ㄲ, ㄸ, ㅃ, ㅆ, ㅉ), 수직모음(ㅏ, ㅑ, ㅓ, ㅕ, ㅣ, ㅐ, ㅒ, ㅔ, ㅖ), 수평모음(ㅗ, ㅛ, ㅜ, ㅠ, ㅡ)에 대응하는 자소들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자소들은 상호 독립된 단획의 기호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소 단위로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소인식수단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좌표 리스트를 입력받고, 상기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를 인식하는 자소인식부; 및
    상기 자소인식부에서 인식된 상기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에 대응하는 한글 자소 코드를 생성하는 자소코드생성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소 단위로 필기된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16. 자음 'ㄱ', 수직모음 'ㅓ' 및 수평모음 'ㅜ'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자음 'ㄴ', 수직모음 'ㅏ' 및 수평모음 'ㅗ'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겹자음 'ㄲ', 수직모음 'ㅔ' 및 수평모음 'ㅠ'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자음 'ㅁ' 및 수평모음 'ㅛ'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문자분리기호를 구비한 단획 필기체 한글의 소정의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자소 및 상기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에 의해 한글 자소를 판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초기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자음으로 보고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1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상태에서 새로운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를 확인하여, 하측이동이면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수평모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수평모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2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상태에서 새로운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를 확인하여, 우측이동이면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수직모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수직모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3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2상태에서 새로운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를 확인하여, 우측이동이면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수직모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수직모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4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2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ㄹ'에 대응하는 단획 필기체 자소이면, 'ㄹ'로 판별하고, 제5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3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ㄹ'에 대응하는 단획 필기체 자소이면, 'ㄹ'로 판별하고, 제5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3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자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6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4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자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6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5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자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6상태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문자분리기호이면, 상기 초기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분리기호를 구비한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 판별방법.
  17. 자음 'ㄱ', 수직모음 'ㅓ' 및 수평모음 'ㅜ'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자음 'ㄴ', 수직모음 'ㅏ' 및 수평모음 'ㅗ'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겹자음 'ㄲ', 수직모음 'ㅔ' 및 수평모음 'ㅠ'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자음 'ㅁ' 및 수평모음 'ㅛ'가 같은 모양의 기호이고, 복합모음 'ㅝ' 및 'ㅘ'에 대응하는 별도의 단획 기호를 더 구비한 단획 필기체 한글의 소정의 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자소 및 상기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에 의해 한글 자소를 판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초기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자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1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상태에서 새로운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를 확인하여, 하측이동이면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수평모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수평모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2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상태에서 새로운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를 확인하여, 우측이동이면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수직모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수직모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3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1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ㅘ' 또는 'ㅝ'에 대응하는 단획 필기체 자소이면, 'ㅗ' 및 'ㅏ' 또는 'ㅜ' 및 'ㅓ'로 판별하고, 제7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2상태에서 새로운 자소간의 위치관계정보를 확인하여, 우측이동이면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수직모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수직모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4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2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ㄹ'에 대응하는 단획 필기체 자소이면, 'ㄹ'로 판별하고, 제5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3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가 'ㄹ'에 대응하는 단획 필기체 자소이면, 'ㄹ'로 판별하고, 제5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3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자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6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4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자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6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5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자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6상태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7상태에서, 새로이 인식된 기호를 자음으로 보아 각각 대응하는 한글 자음 자소로 판별하고, 제6상태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상태에서 한글 문자간 구별 규칙에 의해 새로운 문자가 필기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초기상태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소간의 위치관계에 의한 단획 필기체 한글의 자소 판별방법.
KR1019970061291A 1997-11-19 1997-11-19 단획필기체한글입력장치 KR100484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291A KR100484128B1 (ko) 1997-11-19 1997-11-19 단획필기체한글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291A KR100484128B1 (ko) 1997-11-19 1997-11-19 단획필기체한글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811A KR19990040811A (ko) 1999-06-05
KR100484128B1 true KR100484128B1 (ko) 2005-09-30

Family

ID=3730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291A KR100484128B1 (ko) 1997-11-19 1997-11-19 단획필기체한글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1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74B1 (ko) * 2012-05-12 2014-07-22 봉래 박 한글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038B1 (ko) * 1999-11-24 2002-10-18 김영식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349887B1 (ko) * 2000-10-06 2002-08-24 레이솔루션 주식회사 정보기기용 필기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KR100588461B1 (ko) * 2001-07-12 2006-06-09 주식회사 윈디소프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및 이를 이용한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0381A (ko) * 2002-05-23 2003-11-28 퍼셉컴(주) 문자 인식방법 및 문자 인식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4684A (ja) * 1983-10-14 1985-05-14 Canon Inc 文字認識方式
KR930014164A (ko) * 1991-12-28 1993-07-22 이헌조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 방법
KR930023867A (ko) * 1992-05-29 1993-12-21 이헌조 온라인 한글 필기체 문자의 인식방법
KR940015910A (ko) * 1992-12-21 1994-07-22 이헌조 온라인 필기체 인식 시스템
KR950003955A (ko) * 1993-07-06 1995-02-17 김광호 수서 기본획의 인식을 통한 문자입력 코드 발생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4684A (ja) * 1983-10-14 1985-05-14 Canon Inc 文字認識方式
KR930014164A (ko) * 1991-12-28 1993-07-22 이헌조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 방법
KR930023867A (ko) * 1992-05-29 1993-12-21 이헌조 온라인 한글 필기체 문자의 인식방법
KR940015910A (ko) * 1992-12-21 1994-07-22 이헌조 온라인 필기체 인식 시스템
KR950003955A (ko) * 1993-07-06 1995-02-17 김광호 수서 기본획의 인식을 통한 문자입력 코드 발생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274B1 (ko) * 2012-05-12 2014-07-22 봉래 박 한글 자소 입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811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33732A1 (en)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US6493464B1 (en) Multiple pen stroke character set and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with immediate response
KR102121487B1 (ko) 실시간 필기 인식 관리
US58898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ediate respons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that handles multiple character sets
KR100593993B1 (ko) 문자인식장치 및 방법
EP151305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WO2006104322A1 (en) Metho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using chinese alphabet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same
KR100651396B1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CN101984389B (zh) 输入汉语字符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2109951A (zh) 一种输入字符和背景隐含字符组合输入汉字的方法
KR100484128B1 (ko) 단획필기체한글입력장치
KR10050623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4598045A (zh) 五宫格输入法
KR20090035409A (ko) 문자입력장치
JP2007213615A (ja)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タッチ式キー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356037B1 (ko)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방법
AU2020103527A4 (en) IPDN- Read Handwriting: Intelligent Process to Read Handwriting Using Deep Learning and Neural Networks
JPS6111891A (ja) 手書き文字図形認識装置
JP3075808B2 (ja) 文書処理装置
KR100297815B1 (ko) 한글 필기체 문자 인식 시스템
WO200609040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odating variability in chunking the sub-word units of online handwriting
JPH08190603A (ja) 文字認識装置及びその候補文字表示方法
JPH06208660A (ja) オンライン文字認識装置
JPH08235317A (ja) ペン・コンピュータ用の拡張型自己区切りデータ入力方法
KR20230005718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