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4164A -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4164A
KR930014164A KR1019910024905A KR910024905A KR930014164A KR 930014164 A KR930014164 A KR 930014164A KR 1019910024905 A KR1019910024905 A KR 1019910024905A KR 910024905 A KR910024905 A KR 910024905A KR 930014164 A KR930014164 A KR 930014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recognition
strokes
recognize
recogn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4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828B1 (ko
Inventor
강민석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1019910024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828B1/ko
Publication of KR930014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4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스트로크 매칭으로 인식하므로써 인식되어져야 할 문자를 저장해야 하므로 많은 메모리를 차지함과 아울러 스트로크 매칭에 많은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자모를 분리하여 인식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식틀과 인식속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자음과 모음의 각 흘림체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수용할수 있도록 하여 쉽고 신속하게 입력토록하여 키보드 입력장치를 대체 할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의 한글인식 처리 흐름도.
제3도는 확장된 획의 굴곡 방향에 의한 분류표.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스트로크 및 그 인식 코드표.

Claims (6)

  1. 입력되는 스트로크 정보를 거리 필터링, 각 필터링 및 후크제거등을 수행하여 인식시에 필요없는 데이타를 제거하는 전처리단계와, 이 전처리된 데이타에 대해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와, 이 추출된 특징점에 의한 스트로크를 회전방향에 따라 분류하는 스트로크 분류단계와, 이 분류된 스트로크를 특징값에 의해 인식하도록 하는 스트로크 인식단계와, 이 인식된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초, 중, 종성을 인식하도록 한 자소인시 단계와, 이 자소인식에 의해 잘못인식된 문자를 보정하여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하는 오인식 보정단계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인식은 초성 인식에서 인식을 하고 남은 스트로크 열을 받아 스트로쿠를 젯수별로 나누어 인식하도록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는 획의 굴곡방향에 따라 인식스트로크를 분류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필기체 한글인식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인식은 스트로크 코드와 모양에 따라 인식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필기체 한글인식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분류는 시작각, 끝각, 축적각 및 특성값을 이용하여 23개의 스트로크를 인식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인식은 시작 스트로크에 따라서 나올수 있는 초성의 종류를 트리로 만든후 각 시퀀스에 따라 인식하도록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24905A 1991-12-28 1991-12-28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 방법 KR940003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905A KR940003828B1 (ko) 1991-12-28 1991-12-28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4905A KR940003828B1 (ko) 1991-12-28 1991-12-28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4164A true KR930014164A (ko) 1993-07-22
KR940003828B1 KR940003828B1 (ko) 1994-05-03

Family

ID=1932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4905A KR940003828B1 (ko) 1991-12-28 1991-12-28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128B1 (ko) * 1997-11-19 2005-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획필기체한글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128B1 (ko) * 1997-11-19 2005-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단획필기체한글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828B1 (ko) 1994-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4855A (en) Method and system using meta-classes and polynomial discriminant functions for handwriting recognition
Agnihotri Offline handwritten Devanagari script recognition
Kavallieratou et al. An integrated system for handwritten document image processing
Manke et al. A connectionist recognizer for on-line cursive handwriting recognition
Belaïd et al. Human reading based strategies for off-line Arabic word recognition
Lajish et al. Online handwritten Devanagari stroke recognition using extended directional features
Srimany et al. Holistic recognition of online handwritten words based on an ensemble of SVM classifiers
KR930014164A (ko) 온라인 필기체 한글인식 방법
KR20090111202A (ko) 한글의 기본 구성요소인 수평선, 수직선, 사선, 원의개수와 특성치를 이용한 한글인식 방법 및 장치
Izadi et al. A new segmentation algorithm for online handwritten word recognition in Persian script
Mashiyat et al. Bangla off-lin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using superimposed matrices
KR930012141B1 (ko) 온라인 필기체 문자인식방법
KR940015910A (ko) 온라인 필기체 인식 시스템
KR940007345B1 (ko) 온라인 한글 필기체 문자의 인식방법
KR950005533B1 (ko) 온라인 문자인식 시스템
KR950020298A (ko) 한글필기체 온라인 문자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930018417A (ko) 사용자 적응형 온라인 한글필기체 문자인식방법 및 장치
KR100414051B1 (ko) 문자의획인식방법
Govindaraju et al. Paradigms in handwriting recognition
KR940001739B1 (ko) 스트로크인식을 통한 온라인 필기체 문자인식방법
Jayaram et al. An overview of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systems research on telugu language
KR930010780A (ko) 자소 오토마타를 이용한 온라인 필기체 문자인식 방법
Kim et al. Off-line handwritten Korean character recognition based on stroke extraction and representation
KR960013818B1 (ko) 다중획인식을 이용한 한글조합인식장치
JP2851865B2 (ja) 文字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