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461B1 -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및 이를 이용한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및 이를 이용한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8461B1
KR100588461B1 KR1020010042118A KR20010042118A KR100588461B1 KR 100588461 B1 KR100588461 B1 KR 100588461B1 KR 1020010042118 A KR1020010042118 A KR 1020010042118A KR 20010042118 A KR20010042118 A KR 20010042118A KR 100588461 B1 KR100588461 B1 KR 100588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angu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403A (ko
Inventor
상 희 박
규 동 장
춘 구 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디소프트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디소프트,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디소프트
Priority to KR102001004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4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multilanguage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본어, 중국어 등 이종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용이하게 한글문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한글문자로 된 뉴스정보, 문화정보 등 각종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이는 소정 통신망과 접속된 외부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조합형 코드로 이루어진 서비스분야별 한글정보 및 상기 한글정보를 판독 및 표시하도록 된 소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동작루틴에 따라 상기 한글정보에 포함된 각 글자를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로 구분인식하며, 인식된 각 글자의 자소를 직선선분의 조합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패널에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Hangu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 조합형 한글의 자소별 코드값을 나타낸 코드대응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의 기본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벡터폰트 방식에 의한 한글문자 표시방식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정보서버(20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한글서비스정보의 정보구성을 나타낸 패킷구성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a, 10b,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초성, 중성, 종성 한글자소별 벡터좌표값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 표시되는 한글문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정보서버, 20 : 이동통신사서버,
30(301~30n) : 이동통신단말기, 100(1001~100p) : 제1 정보서버,
200 : 제2 정보서버, 210 : 네트워크접속부,
220 : 제어부, 221 : 서비스관리부,
222 : 소스정보처리부, 223 : 서비스정보처리부,
230 : 단말프로그램저장부, 240 : 데이터베이스,
250 : 운용자단말기, CL :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CL1 : 한글인식부, CL2 : 한글표시부,
CL3 : 링크해독부.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이 일본어, 중국어 등 이종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용이하게 한글문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한글문자로 된 뉴스정보, 문화정보 등 각종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먼저 대한민국의 국어인 한글의 구성체계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한글은 다음 표 1에 나타난 것처럼 기본적으로 14개의 기본자음(子音)과 10개의 기본모음(母音) 그리고 5개의 쌍자음과 11개의 복자음 및 11개의 복모음이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19 자소의 초성(初聲), 21 자소의 중성(中聲), 27 자소의 종성(終聲)을 이루어 한글문자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구분 자소
기본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기본모음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
복자음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
복모음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
초성 기본자음+쌍자음 (19개)
중성 기본모듬+복모음 (21개)
종성 기본자음+복자음+쌍자음(ㄲ, ㅆ) (27개)
예컨대 "닭"이라는 글자를 표시하고자 할 경우 초성 "ㄷ"과, 중성 "ㅏ", 종성 "ㄺ"을 합성하여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종래 개인휴대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나 핸드셋(Handset)등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한 한글문자의 표시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LCD 패널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영어의 알파펫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주지된 ASCII 코드와 그 코드규격에 따른 폰트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처럼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문자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조합형(組合形) 코드 또는 완성형(完成形) 코드와 해당 코드규격에 따른 폰트데이터가 요구된다.
상기 조합형코드 또는 완성형코드는 한글문자 표시를 위해 제작된 코드규격으로서 각각 다양한 코드규격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조합형코드는 KSSM 코드, 상기 완성형코드는 KSC5601 코드가 대한민국 표준으로 채택되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완성형코드는 한글문자 중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한글 2352자에 대해 각각 대응되는 코드값을 지정한 것이고, 상기 조합형코드는 상기한 초성, 중성, 종성 자소 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5 비트 코드값을 지정하고, 각 자소의 조합을 통해 소리로 표현되는 모든 글자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LCD 패널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완성형코드나 조합형코드로 이루어진 한글문자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각각 완성형폰트나 조합형폰트를 구비해야 하고, 그 폰트형식은 일반적으로 비트맵(Bit Map) 폰트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대한민국 내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 내부 메모리에 상기 완성형폰트나 조합형폰트 데이터를 구비하고 비트맵 폰트로서 한글문자를 표시하고 있다.
즉 상기한 것처럼 각 국가에서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자국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내부 메모리에 문자표시를 위한 소정 폰트데이터를 고정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비영어권 국가의 경우 자국의 문자 표시를 위한 폰트데이터는 물론 영어 알파벳문자 표시를 위한 폰트데이터를 추가로 구비하게 된다.
그러나 예컨대 16×16 폰트로 이루어진 한글문자를 표시하고자 할 때 상기 완성형폰트의 경우 대략 75Kbytes 용량의 폰트데이터가 요구되고, 상기 조합형폰트의 경우 대략 21Kbytes 용량의 폰트데이터가 요구되는 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가용 메모리 용량을 감안하게 되면, 대한민국을 제외한 국가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한글문자를 표시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메모리 용량이 충분한 경우에 있어서도 대한민국을 제외한 국가에서 한글문자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직접 해당 이동통신사업자의 고객관리센터나 단말기대리점에 방문하여 한글표시를 위한 프로그램, 즉 완성형/조합형 코드표와 완성형/조합형 폰트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이종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이동통신시스템을 직접 변경시키지 않고도 그 국가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한글문자를 표시할 수 있도록 된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은 상기 한글표시방법을 이용하여 이종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이동통신단말기로 한글문자로 된 각종 서비스정보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통신망과 접속된 외부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조합형 코드로 이루어진 소정 한글정보 및 상기 한글정보를 판독 및 표시하도록 된 소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동작루틴에 따라 상기 한글정보에 포함된 각 글자를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로 구분인식하며, 인식된 각 글자의 자소를 직선선분의 조합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패널에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통신망과 접속된 외부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소정 한글정보의 수신여부를 선택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정보를 판독 및 표시하도록 된 소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저장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제3 단계, 상기 정보서버로부터 서비스가입자의 선택에 따른 소정 한글정보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제4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상기 한글정보의 조합형 코드값을 판독하여 상기 한글정보에 포함된 각 글자를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로 인식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인식된 각 글자의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 벡터좌표값을 조회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패널로 상기 한글정보를 표시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은 인터넷과 이동통신망 사이에 통신접속되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소정 서비스정보를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사서버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자바기반의 각종 자바 애플릿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통신사서버를 통해 다운받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며, 인터넷에 접속되어 한글문자로 이루어진 서비스분야별 소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1 정보서버와 상기 이동통신사서버 사이에 통신접속되어 상기 제1 정보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분야별 소스정보를 근거로 작성된 소정 한글서비스정보와 이를 판독 및 표시하기 위한 자바기반의 소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2 정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정보 제공방법은 인터넷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서버로부터 서비스분야별 한글정보로 이루어진 소정 소스정보가 제2 정보서버로 전송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2 정보서버로부터 서비스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한글정보를 판독 및 표시하기 위한 소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전송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정보서버로부터 서비스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소스정보를 근거로 작 성된 소정 한글서비스정보가 전송되는 제3 단계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상기 한글서비스정보에 포함된 각 글자의 조합형 코드값을 근거로 각 글자를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로 인식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인식된 각 글자의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 벡터좌표값을 조회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패널에 상기 한글서비스정보를 표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의 기본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 10은 일본어, 중국어 등 이종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이동통신단말기로 한글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서버이고, 20은 인터넷(1)과 이동통신망(2) 사이에 통신접속되어 인터넷(1)을 통해 상기 정보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한글정보를 이동통신망(2)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이동통신사업자서버이며, 30은 일본어, 중국어 등 이종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이다.
도 2에서 상기 정보서버(1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로 제공되는 소정 한글정보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로부터의 소정 전송요구에 따라 상기 한글정보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되어 한글정보를 판독 및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예컨대 썬 마이크로시스템사(Sun Microsystem)의 Java1 또는 Java2를 근간으로 한 CLDC(Connected Limited Device Configuration) 형태로 프로그램 구성되어 진다.
상기 CLDC는 자바(Java)의 최대 장점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식성을 극도로 자원(Source)이 억제된 핸드셋(Handset)이나 개인휴대단말기(PDA)등 이동통신단말기로 도입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기술의 하나이다. 상기 CLDC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의 내부 메모리에 응용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필요없이 무선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 : Wairless Application Protocol)이나 일본국의 i-mode 서비스와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로 응용 소프트웨어를 전송 및 실행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인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주지된 자바 애플릿(Java Applet) 형태로 제공되며, 이는 프로그램 실행 후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30)에 저장 또는 삭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규모는 대략 10Kbytes의 정도의 소규모 용량을 가지게 되는 바, 이동통신단말기(30)에 메모리 부담을 주지 않고 이식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도 2의 정보서버(1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한글정보를 자소단위로 인식함과 아울러 인식된 각 글자를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하여 각 성에 해당되는 자소별로 후술하는 벡터좌표값을 출력하고, 이 벡터좌표값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의 LCD 패널(도시되지 않음)로 한글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도 2의 정보서버(10)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로 제공되는 한글정보는 조합형 한글로 구성되고, 상기 벡터좌표값은 도 1에 도시된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진 조합형 한글의 자소별 코드값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이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의 LCD 패널(도시되지 않음)에서 해당되는 한글자소를 직선선분의 조합으로 표시하기 위한 소정 직선좌표값과 한글자소중 "ㅁ"을 표시하기 소정 대칭좌표값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초성, 중성, 종성을 나타내는 한글자소별 벡터좌표값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벡터좌표값에 따라 한글문자를 표시하는 예컨대, 벡터폰트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인 벡터폰트 방식의 경우 도 3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한글자소의 윤곽선(a)을 먼저 그린 후, 윤곽선 안쪽(b)을 칠하는 아웃라인(Out Line) 폰트방식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벡터폰트 방식의 경우 이동통신단말기(30)의 LCD 패널(도시되지 않음)에서 한글출력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한글자소를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직선선분(선분1, 선분2)의 조합으로 표시하고, 각 직선선분의 시점과 종점의 좌표를 연결하여 한글자소를 나타내게 된다.
즉 도 3의 (B)와 같이 한글자소 "ㄱ"은 시점 C1과 종점 C2의 좌표를 직선으로 연결한 선분1과, 시점 C3와 종점 C4의 좌표를 직선으로 연결한 선분2의 조합으로 표시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벡터좌표값중 한글자소 "ㅁ"을 표시하기 위한 대칭좌표값은 도 3의 (C)에 도시된 것처럼 "ㅁ"을 형성하는 4 개의 좌표(C5~C8)중 좌표 C5, C6로 구성되고, 좌표 C7, C8은 상기 좌표 C5, C6와의 대칭관계를 이용하여 구 해진다. 역으로 상기 대칭좌표값을 C7, C8로 지정하고, C5, C6은 그 대칭관계를 이용하여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한글자소 "ㅁ"을 상기 대칭좌표값을 이용하지 않고, "ㅁ"을 구성하는 4 개의 직선좌표값을 그대로 지정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2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30)는 상기한 CLDC 기반의 자바 애플릿 프로그램인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시킬 수 있는 예컨대 자바폰(Java Phone)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자바폰은 최근 미국의 모토롤라(Motorola), 일본국의 NTT DoCoMo를 필두로 하여 개발출시되고 있는 자바기반의 핸드폰으로서, 이는 자바 애플릿을 다운로드 및 실행시킬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기(PDA)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4 및 도 10a, 10b, 10c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의 이동통신단말기(30)의 동작전원이 온(ON)된 후(ST401 단계), 서비스가입자가 한글정보를 전송받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가입자는 자신의 이동통신단말기(30)에 구비된 웹브라우저를 조작하여 한글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서버(10)에 통신접속하게 된다. 이때 도 2의 이동통신사서버(20)는 해당 서비스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30)와 정보서버(10) 간의 인터넷(1) 및 이동통신망(2)을 통한 호접속처리를 실행하게 된다.(ST402 단계)
이후 도 2의 정보서버(10)에 호접속된 이동통신단말기(30)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소프프웨어를 조회하여 한글정보를 판독 및 표시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이때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저장유무 판단은 예컨대 정보서버(10)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동일한 서비스코드를 할당하고 도 2의 이동통신단말기(30)가 정보서버(10)에 호접속되었을 때 정보서버(10) 또는 이동통신사서버(20)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 서비스코드와 이동통신단말기(3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의 등록된 서비스코드를 비교하는 방식등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ST403 단계)
한편 상기 ST403 단계에서 도 2의 이동통신단말기(30)에 한글정보 판독 및 표시를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 이동통신단말기(30)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위한 소정 전송요구정보를 도 2의 정보서버(1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전송요구정보를 수신한 정보서버(10)는 도 2의 이동통신사서버(20)를 통해 해당 서비스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30)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게 된다.(ST404 단계)
이후 도 2의 정보서버(10)는 서비스가입자가 전송받고자 하는 소정 한글정보를 선택한 경우 해당되는 한글정보를 내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서비스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하게 된다.(ST405 단계)
그리고 상기 ST403 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30)의 내부 메모리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ST405 단계로 이동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글정보는 초성, 중성, 종성의 자소를 조합하여 한글을 표시하는 조합형 한글이 전송되어 진다.
한편 상기 ST405 단계에 따라 도 2의 이동통신단말기(30)에 소정 한글정보가 전송된 경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도 1에 도시된 조합형 한글의 자소별 코드대응표를 근거로 도 2의 정보서버(10)로부터 전송된 한글정보의 각 글자를 표 2에 도시된 것처럼 초성, 중성, 종성으로 구분하여 인식하게 된다.(ST406 단계)
이후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전송된 한글정보의 초성, 중성, 종성에 해당되는 자소별 폰트정보, 즉 상술한 벡터좌표값을 조회하여 한글정보에 포함된 각 글자를 이동통신단말기(30)의 LCD 패널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구비되는 벡터좌표값은 중성, 종성의 위치 및 유무에 따라 그 좌표값이 상이하게 설정된 8종의 초성 벡터좌표값, 종성의 위치 및 유무와 글자모양에 따라 그 좌표값이 상이하게 설정된 4종의 중성 벡터좌표값, 중성의 위치 및 글자모양에 따라 그 좌표값이 상이하게 설정된 4종의 종성 벡터좌표값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한글자소별 벡터좌표값은 초성(19자소×8종), 중성(21자소×4종), 종성(27자소×4종)별로 합산하게 되면, 총 345 한글자소에 대한 벡터좌표값으로 구성된다. 이하 도 10a, 10b, 10c에 도시된 초성, 중성, 종성별 한글자소의 벡터좌표값과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한글표시방법의 일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한글문자 "각"을 표시하는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각"을 형성하는 조합형 한글코드를 판독하여 이를 초성 "ㄱ", 중성 "ㅏ", 종성 "ㄱ"으로 구분인식한 후, 초성, 중성, 종성의 위치·유무·글자모양을 근거로 해당되는 초성, 중성, 종성 벡터좌표값을 조회하게 된다.
즉 도 10a, 10b, 10c는 각각 "각"의 형태로 된 한글문자를 예컨대 16×16 해 상도로 표시할 때 이용되는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 벡터좌표값을 나타낸 것으로서, 초성 "ㄱ"의 벡터좌표값은 도 10a의 참조부호 D1에 도시된 것처럼 Ln:(0,1)(6,1), Ln:(6,2)(6,6)으로 이루어지고, 중성 "ㅏ"의 벡터좌표값은 도 10b의 참조부호 D2에 도시된 것처럼 Ln:(8,6)(8,0), Ln:(9,3)(10,3)으로 이루어지며, 종성 "ㄱ"의 벡터좌표값은 도 10c의 참조부호 D3에 도시된 것처럼 Ln:(1,8)(8,8), Ln:(8,9)(8,1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벡터좌표값의 표시형식인 Ln:(x1,y1)(x2,y2)은 상기 벡터좌표값중 직선좌표값을 나타내고, (x1,y1)은 한글문자를 표시하는 직선선분의 시점, (x2,y2)는 그 직선선분의 종점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는 바, 도 2의 이동통신단말기(30)에 구비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수신된 한글문자 "각"을 16×16 해상도로 표시하게 되면, 도 11과 같이 표시되고, 도 11에서 사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초성, 중성, 종성 한글자소를 표시하는 각 직선선분의 시점좌표와 종점좌표를 의미한다. 한편 한글자소 "ㅁ"을 표시하는 대칭좌표값은 예컨대 Re:(x1,y1)(x2,y2)와 같이 상기 직선좌표값과 유사한 형태로 표시되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대칭좌표값을 근거로 좌표(x1,y1)와 좌표(x2,y2)를 대각선으로 하는 직사각형을 이동통신단말기(30)의 LCD 패널에 표시하게 된다.(ST407, ST408 단계)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일본이나 중국등 이종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도 그 국가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한글문자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자바 애플릿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접속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기저장된 한글정보를 수시 로 호출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도 5에서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서 참조번호 100(1001~100p)은 일본, 중국 등 이종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이동통신단말기(30)로 제공되는 뉴스정보, 문화정보, 쇼핑정보등 한글문자로 된 각종 소스정보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서버이고, 200은 상기 제1 정보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소스정보를 서비스분야별로 구분저장한 후, 이동통신단말기(30)로부터의 전송요구에 따라 상기 소스정보를 근거로 작성되는 소정 한글서비스정보와 상기 한글서비스정보를 판독 및 표시하기 위한 소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도 6의 이동통신사서버(2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하기 위한 제2 정보서버이다.
도 5에서 상기 제1 정보서버(100)로부터 제2 정보서버(200)로 전송되는 상기 소스정보는 뉴스정보, 문화정보, 쇼핑정보 등의 한글정보와 각 한글정보의 소정 메뉴정보와 링크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스정보는 예컨대 인터넷등 소정 통신망을 통해 파일전송프로토콜(FTP : File Transfer Protocol)로 전송되며, 이외에도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전송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메뉴정보와 링크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 정보서버(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상기 제2 정보서버(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접속부(210), 제어부(220), 단말프로그램저장부(230), 데이터베이스(240) 및 운용자단말기(2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6에서 상기 네트워크접속부(210)는 라우터(Router), 허브(Hub) 등 네트워크장비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정보서버(1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제1 정보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소스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 서비스분야별로 구분저장함과 아울러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30)로부터의 전송요구에 따라 상기 소스정보를 근거로 작성된 한글서비스정보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전송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 상기 제어부(220)는 도 5의 제1 정보서버(100) 또는 이동통신사서버(20)와의 통신접속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서비스관리 및 운용자단말기(250)와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관리부(221)와,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소스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 서비스분야별로 구분저장하기 위한 소스정보처리부(222)와, 이동통신단말기(30)로부터의 전송요구에 따라 해당되는 소스정보를 상기 한글서비스정보로 작성 및 전송처리함과 아울러 이를 판독 및 표시하기 위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의 전송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정보처리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6에서 상기 소스정보처리부(222)는 상기 제1 정보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소스정보의 한글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소스정보가 예컨대, 완성형 한글로 작성된 경우 이를 조합형 한글로 변환저장함과 아울러 소정 주기마다 서비스분야별 신규 소스정보의 목록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6에서 상기 서비스정보처리부(223)는 이동통신단말기(30)로부터 서비스분야별 신규 서비스정보 목록조회요구가 있는 경우 해당 이동통신단말기(30)로 상기 신규 소스정보의 목록정보를 목록조회정보로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서 상기 단말프로그램저장부(230)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30)에서 상기 한글서비스정보를 판독 및 표시하기 위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7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나타낸 기능블록도이다.
도 7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은 상기 한글서비스정보에 포함된 조합형 한글정보의 각 글자를 초성, 중성, 종성의 자소별로 구분인식하기 위한 한글인식부(CL1)와, 상기 한글인식부(CL1)를 통해 구분인식된 초성, 중성, 종성 한글자소의 상술한 벡터좌표값을 출력하고, 이 벡터좌표값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30)의 LCD 패널(도시되지 않음)로 한글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글표시부(CL2)와, 상기 한글서비스정보에 포함되는 소정 링크정보 중에서 선택된 링크정보를 해독하여 해당 정보출처(예컨대, URL(Uniform Resources Locator) 주소)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해독부(CL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 른 실시예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상기 링크해독부(CL3)가 추가된 것으로서, 상기 링크정보는 인터넷 웹페이지에서 제공되는 하이퍼링크(Hyperlink)와 같이 현재 제공된 한글서비스정보의 관련정보/상세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링크정보는 해당 한글서비스정보에 링크된 적어도 하나의 URL 주소로 구성되게 된다.
도 8은 상기 한글서비스정보의 정보구성을 나타낸 패킷구성도로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한글서비스정보는 뉴스정보, 문화정보, 쇼핑정보 등 서비스분야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코드(A1)와, 해당 한글서비스정보의 데이터량을 나타낸 서비스정보량(A2)과, 해당 한글서비스정보의 항목별 메뉴구성을 나타낸 메뉴정보(A3)와, 상기한 링크정보(A4)와, 상기 정보코드(A1)에 대응되게 구비된 뉴스정보 등의 한글문자로 된 서비스정보(A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8에서 상기 정보코드(A1)는 도 5의 제1 정보서버(100)별로 부여되는 소정 식별코드를 이용하고, 제1 정보서버(100)별로 뉴스정보 등 서비스분야별 정보를 각각 제공받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도 8에서 상기 메뉴정보(A3)와 링크정보(A4)는 제1 정보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소스정보에 포함된 메뉴정보와 링크정보를 그대로 이용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40)는 상기 제1 정보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소스정보와 소정 주기마다 작성된 신규 소스정보의 목록정보를 서비스분야별로 구분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운용자단말기(250)는 키보드등의 데이터 입력수단과 모니터등의 데이터 출력수단을 구비하여 운용자가 제2 정보서버(200)의 운용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40)는 본 제2 정보서버(200)내에 포함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상기 소스정보량이 방대할 경우 이를 별도의 파일서버로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서버(100)는 뉴스정보 등의 한글정보와 그 메뉴정보 및 링크정보를 포함한 소스정보를 작성한 후, 작성된 소스정보를 파일전송프로토콜(FTP)를 이용하여 제2 정보서버(200)로 전송하게 된다.(ST901 단계)
이후 도 5의 제2 정보서버(100)는 수신된 소스정보의 한글코드 형태를 판독하여 예컨대 상기 소스정보가 완성형 한글로 작성된 경우 이를 조합형 한글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240)에 구분저장하고, 조합형 한글로 작성된 경우 코드변환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스정보에 제1 정보서버(100)별로 부여된 소정 식별코드를 포함시키고, 이를 근거로 서비스분야별 소스정보를 구분저장하는 것도 바람직 할 것이다.(ST902~ST904 단계)
그리고 일본이나 중국과 같이 이동통신단말기(30)에 한글폰트가 내장되지 않은 국가에서 한글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서비스가입자는 이동통신단말기(30)에 구비된 웹브라우저를 조작하여 도 5의 이동통신사서버(20)로 한글서비스를 제공하 는 제2 정보서버(200)로의 통신접속을 요구하게 되고, 이동통신사서버(20)는 해당 서비스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30)와 제2 정보서버(200) 간의 인터넷(1) 및 이동통신망(2)을 통한 호접속처리를 실행하게 된다.(ST905, ST906 단계)
이후 도 9a의 ST907 내지 ST909 단계에서 도 5의 이동통신단말기(30)는 제2 정보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의 구비여부에 따른 소정 전송요구 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이는 도 4의 ST403, ST404 단계의 동작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 따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이 전송 및 저장된 이동통신단말기(30)는 제2 정보서버(200)를 통해 서비스가입자가 선택한 서비스분야별로 신규한 서비스정보가 있는지 조회하게 되고(ST910 단계), 제2 정보서버(200)는 선택된 서비스분야별로 신규 서비스정보 목록(목록조회정보)을 해당 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하게 된다.(ST911 단계)
도 6의 이동통신단말기(30)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CL)은 상기 목록조회정보를 근거로 현재 이동통신단말기(30)에 저장되어 있는 한글서비스정보를 제외한 신규 서비스정보의 존재여부를 이동통신단말기(30)의 LCD 패널(도시되지 않음)로 표시하게 된다. 이 경우 LCD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표시되는 메시지는 예컨대 "5건의 신규 뉴스정보가 있습니다." 등과 같이 표시되어 진다.(ST912 단계)
따라서 서비스가입자는 이동통신단말기(30)를 조작하여 신규 서비스정보, 즉 한글서비스정보의 다운로드 여부를 선택하게 되고(ST913 단계), 이에 따라 서비스가입자가 신규 서비스정보를 다운로드 받고자 하는 경우 제2 정보서버(200)는 해당 이동통신단말기(30)로부터의 소정 전송요구정보를 근거로 선택된 서비스분야의 소스정보를 독출하여 도 8과 같은 한글서비스정보를 작성하고(ST914, ST915 단계), 이를 해당 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처리하게 된다.(ST916 단계)
이후 이동통신단말기(30)로 전송된 한글서비스정보의 표시과정인 ST917 단계는 도 4의 ST406 내지 ST408 단계의 동작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전송된 한글서비스정보에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해당 서비스정보의 메뉴정보(A3)와 링크정보(A4)가 포함되어 있으며, 메뉴 또는 링크의 선택이 있는 경우 그 선택정보는 이동통신단말기(30)와 이동사업자서버(20)를 경유하여 제2 정보서버(200) 또는 해당 URL 주소를 갖는 웹사이트로 전송되고, 이에 따라 제2 정보서버(200) 또는 해당 웹사이트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30)로 관련된 한글정보가 전송되게 된다.(ST917 단계)
따라서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일본이나 중국등 이종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이동통신단말기로 한글문자로 된 각종 서비스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종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이동통신시스템을 직접 변경시키지 않음은 물론 이동통신단말기에 메모리 부담을 주지 않고도 해당 국가의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용이하게 한글문자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종 언어를 사용하는 국가의 이동통신단말기로 한 글문자로 된 각종 서비스정보를 서비스가입자의 선택에 따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통신망과 접속된 외부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조합형 코드로 이루어진 소정 한글정보 및 상기 한글정보를 판독 및 표시하도록 된 소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동작루틴에 따라 상기 한글정보에 포함된 각 글자를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로 구분인식하며, 인식된 각 글자의 자소를 직선선분의 조합으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패널에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
  2.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 통신망과 접속된 외부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소정 한글정보의 수신여부를 선택하는 제1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한글정보를 판독 및 표시하도록 된 소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저장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정보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제3 단계,
    상기 정보서버로부터 서비스가입자의 선택에 따른 소정 한글정보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는 제4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상기 한글정보의 조합형 코드값을 판독하여 상 기 한글정보에 포함된 각 글자를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로 인식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인식된 각 글자의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 벡터좌표값을 조회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LCD 패널로 상기 한글정보를 표시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벡터좌표값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진 조합형 한글의 자소별 코드값에 대응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벡터좌표값은 인식된 각 글자의 초성, 중성, 종성 자소를 적어도 하나의 직선선분의 조합으로 표시하기 위한 직선좌표값과 한글자소중 "ㅁ"을 표시하기 위한 대칭좌표값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직선좌표값은 적어도 하나의 Ln:(x1, y1)(x2, y2)로 표시되며, 상기 (x1, y1)은 한글자소를 표시하는 직선선분의 시점좌표를 나타내고, 상기 (x2, y2)는 그 직선선분의 종점좌표를 나타내며,
    상기 대칭좌표값은 Re:(x3, y3)(x4, y4)로 표시되며,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x1, y1)과 상기 (x2, y2)의 좌표를 연결하는 직선선분의 조합과 상기 (x3, y3)과 상기 (x4, y4)의 좌표를 연결하는 직선선분을 대각선으로 하는 직사각형을 이동통신단말기의 패널로 표시하여 한글문자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 상기 벡터좌표값은 중성, 종성 자소의 위치 및 유무와 그 좌표값이 상이하게 설정된 8종의 초성 벡터좌표값과 종성의 위치 및 유무와 글자모양에 따라 그 좌표값이 상이하게 설정된 4종의 중성 벡터좌표값과 중성의 위치 및 글자모양에 따라 그 좌표값이 상이하게 설정된 4종의 종성 벡터좌표값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자바 애플릿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
  8. 인터넷과 이동통신망 사이에 통신접속되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소정 서비스정보를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다수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동통신사서버를 구비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자바기반의 각종 자바 애플릿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통신사서버를 통해 다운받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며,
    인터넷에 접속되어 한글문자로 이루어진 서비스분야별 소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서버,
    인터넷을 통해 상기 제1 정보서버와 상기 이동통신사서버 사이에 통신접속되어 상기 제1 정보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분야별 소스정보를 근거로 작성된 소정 한글서비스정보와 이를 판독 및 표시하기 위한 자바기반의 소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2 정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정보는 서비스분야별 한글정보와 각 한글정보의 메뉴구성을 나타내는 메뉴정보 및 각 한글정보와 관련된 정보출처의 URL 주소를 나타내는 링크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한글서비스정보는 상기 한글정보의 서비스분야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코드, 상기 한글정보의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서비스정보량, 상기 정보코드에 대응되 는 서비스분야별 소스정보인 서비스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서비스가입자의 키조작에 따라 상기 메뉴정보중 선택된 메뉴로 이동하여 관련된 한글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링크정보중 선택된 링크의 URL 주소로 이동하여 관련된 한글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서버는 상기 제1 정보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소스정보의 한글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소스정보가 완성형 한글로 작성된 경우 이를 조합형 한글로 변환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서비스분야별로 구분저장함과 아울러 소정 주기마다 서비스분야별 신규 소스정보의 목록정보를 작성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서비스정보 목록조회요구가 있는 경우 해당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신규 소스정보의 목록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상기 한글서비스정보에 포함된 조합형 한글정보의 각 글자를 초성, 중성, 종성 한글자소로 구분인식하기 위한 한글인식부,
    상기 한글인식부를 통해 구분인식된 초성, 중성, 종성 한글자소의 벡터좌표값을 조회하고 조회된 벡터좌표값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LCD 패널로 한글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한글표시부,
    상기 한글서비스정보에 포함되는 소정 링크정보중 선택된 링크정보를 해독하여 해당 정보출처의 URL 주소로 이동하기 위한 링크해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12. 인터넷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정보서버로부터 서비스분야별 한글정보로 이루어진 소정 소스정보가 제2 정보서버로 전송되는 제1 단계,
    상기 제2 정보서버로부터 서비스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한글정보를 판독 및 표시하기 위한 소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전송되는 제2 단계,
    상기 제2 정보서버로부터 서비스가입자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상기 소스정보를 근거로 작성된 소정 한글서비스정보가 전송되는 제3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상기 한글서비스정보에 포함된 각 글자의 조합형 코드값을 근거로 각 글자를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로 인식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인식된 각 글자의 초성, 중성, 종성 자소별 벡터좌표값을 조회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LCD 패널에 상기 한글서비스정보를 표시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로의 한글서비스정보 제공방법.
KR1020010042118A 2001-07-12 2001-07-12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및 이를 이용한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8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118A KR100588461B1 (ko) 2001-07-12 2001-07-12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및 이를 이용한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118A KR100588461B1 (ko) 2001-07-12 2001-07-12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및 이를 이용한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403A KR20030006403A (ko) 2003-01-23
KR100588461B1 true KR100588461B1 (ko) 2006-06-09

Family

ID=2771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118A KR100588461B1 (ko) 2001-07-12 2001-07-12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및 이를 이용한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190A (ko) * 2002-05-17 2003-11-21 주식회사 큐라이프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KR100818978B1 (ko) * 2006-11-30 2008-04-04 삼성네트웍스 주식회사 왑 페이지의 한글 표시 및 한글 입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단말장치 및 한글 입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서비스 서버
KR100899275B1 (ko) * 2007-05-28 2009-05-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애플릿으로 터치 패드의 구현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터치 패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622A (ko) * 1993-04-08 1994-11-18 김진형 한글 필기체 문자 인식장치 및 방법
KR19990006320A (ko) * 1997-12-31 1999-01-25 김승현 전화기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KR19990040811A (ko) * 1997-11-19 1999-06-05 윤종용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KR20010008728A (ko) * 1999-07-02 2001-02-05 윤종용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문자 폰트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56886A (ja) * 1999-11-24 2001-06-08 Nec Corp 無線携帯端末
KR20010059872A (ko) * 1999-12-30 2001-07-06 구자홍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10073976A (ko) * 2000-10-06 2001-08-04 이종하 정보기기용 필기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4622A (ko) * 1993-04-08 1994-11-18 김진형 한글 필기체 문자 인식장치 및 방법
KR19990040811A (ko) * 1997-11-19 1999-06-05 윤종용 단획 필기체 한글 입력장치
KR19990006320A (ko) * 1997-12-31 1999-01-25 김승현 전화기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KR20010008728A (ko) * 1999-07-02 2001-02-05 윤종용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문자 폰트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56886A (ja) * 1999-11-24 2001-06-08 Nec Corp 無線携帯端末
KR20010059872A (ko) * 1999-12-30 2001-07-06 구자홍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10073976A (ko) * 2000-10-06 2001-08-04 이종하 정보기기용 필기체 인식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403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2612B2 (en) Method of connecting network URL addresses through cellular network
US7543227B2 (en) Numeric/voice name Internet access architecture and methodology
EP1606922B1 (en) System,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information utilizing a variable-string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CN100571050C (zh) 通过显示对应于输入按键的数字和字符串提供所选服务的方法及系统
JP5143851B2 (ja) 無線通信端末
US200801650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Customizing Keyboard Map Variants
CN1534924A (zh) 移动通信终端和在其上显示html文档的方法
NO331349B1 (no) Grafisk layout for mapping av et tastatur pa displayomrader
US6964020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construction of a canned message in a microbrowser environment
US7149981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election of a portion of non-focusable object presented by a browser application
JP2003015806A (ja) 文字入力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EP2003536A1 (en) Character input assist method, character input assist system, character input assist program, user terminal, character conversion method and character conversion program
JP2005513647A (ja) ハイパーメディアにおけるアクセス機能
GB2372117A (en) Data lookup
JP5595252B2 (ja) 連携支援装置、プログラム、連携支援方法、連携支援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KR100588461B1 (ko) 이종 언어폰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표시방법및 이를 이용한 한글서비스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EP107102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markup flows into discrete screen displays
JP2002215490A (ja) アドレス変換システムおよびアドレス変換方法
CN100459742C (zh) 基于短信文本的多任务信息交互方法
CN102087550B (zh) 一种硬件设备中进行输入的方法、系统及硬件设备
KR20010100414A (ko) 바코드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
CN100490453C (zh) 在无线应用协议-无线标识语言浏览器电话中显示动画的方法和系统
KR20030020101A (ko) 단축 기호를 이용한 단말 응용프로그램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84739A (ko) 숫자입력을 이용한 인터넷 검색 및 접속 방법
JP2002183126A (ja) 仮名漢字変換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辞書サー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