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370A -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370A
KR20030089370A KR1020020027556A KR20020027556A KR20030089370A KR 20030089370 A KR20030089370 A KR 20030089370A KR 1020020027556 A KR1020020027556 A KR 1020020027556A KR 20020027556 A KR20020027556 A KR 20020027556A KR 20030089370 A KR20030089370 A KR 20030089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jaw
safety
safety spr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하
Original Assignee
박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하 filed Critical 박진하
Priority to KR102002002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9370A/ko
Publication of KR20030089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37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과압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사용 시, 국물이 넘치거나 바람이 불거나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된 후 가스가 계속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너(20)의 일 측에 위치되어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와, 상기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으로 자력이 발생하여 가스의 통로를 개폐토록 되어 있는 마그네트차단장치(30)를 구성하여,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되었을 때 자동으로 가스공급을 차단시켜 가스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에 있어서, 복사열 등으로 가스용기(5)의 내압이 상승하여 위험압력(5~7kg/㎠ or 4~6kg/㎠)에 도달하면 가스의 흐름을 차단시켜 소화시키는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과압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가버너(40)에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일 측은 가버너(40)의 주입구(41)와 연통된 유입로(43)가 형성되고 공간내부에는 감압조정실(42)과 연통된 유출로(45)가 형성되며 타 측은 개방된 수평공(44)과; 상기 수평공(44)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일 측은 개방되고 공간내부에는 유로(71)와 걸림턱(73)이 형성되며 타 측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기공(72)이 형성된 밸브하우징(70)과; 상기 밸브하우징(70)의 내부에 삽입되어 후술될 밸브부재(50)를 탄성 지지하여 가스용기(5)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압축되는 안전스프링(60)과; 상기 안전스프링(6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일 측에 형성된 전면턱(51)에는 유로홈(52)과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타 측에는 후면턱(57)과 안전스프링(60)의 지지턱(56)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후술될 밀폐링(58)과 차단링(59)이 외삽되어 안전스프링(60)의 압축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밸브부재(50)와; 상기 밸브부재(50)의 외주에 외삽되어 유로(71)와 안전스프링(60)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링(58)과; 상기 밸브부재(50)의 외주에 외삽되어 가스용기(5)의 내부압력이 설정된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안전스프링(60)의 압축에 의해 밸브하우징(70)의 공간내부에 형성된 걸림턱(73)에 밀착되어 가스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링(59)으로 구성된다.
즉, 가스용기(5)를 가버너(40)의 주입구(41)에 장착하면 가스용기(5)내의 가스는 유입로(43)와 유로홈(52)을 통하여 밸브하우징(70)의 내부로 유입되고, 밸브하우징(70)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은 유로(71)와 유출로(45)를 통하여 감압조정실(42)로 이동되고, 감압조정실(42)에서 감압된 가스는 마그네트차단장치(30)가 구성된 소화안전장치실을 통하여 버너(20)로 이동되어 점화장치(9)에 의하여 점화된다. 한편, 복사열 등으로 가스용기(5)의 내압이 위험압력(5~7kg/㎠ 또는 4~6kg/㎠)에 도달하여 안전스프링(60)의 탄성력을 이기게 되면, 안전스프링(60)의 압축에 의해 밸브부재(50)가 이동됨에 따라 차단링(59)이 밸브하우징(70)의 걸림턱(73)에 밀착되어 가스흐름을 막아 유로(71)를 차단함으로써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된다. 불꽃이 소화되면, 버너(20)의 일측에 위치되어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이 없어져 자력이 상실되어 마그네트차단장치(30)에 의해 소화안전장치실의 가스 배출통로가 차단된다. 즉, 가스용기(5)의 내압이 설정된 위험압력 이하로 낮아져, 안전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밸브부재(50)가 복원되어 차단링(59)이 밸브하우징(70)의 걸림턱(73)을 벗어나 유로(71)가 개방되어 가스가 감압조정실(42)로 이동되어도, 소화안전장치의 마그네트차단장치(30)에 의해 소화안전장치실의 가스 배출통로가 차단된 상태이므로, 가버너(40) 내부의 가스는 더 이상 버너(20)로 이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과압안전장치는, 종래의 가버너(40)에 구성된 과압차단장치에 연동되어 작동토록 별도로 부설된 용기이탈장치나 유로복귀장치가 필요 없는 것이 특징이며, 이로 인한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A over-pressure safety system for portable gas range}
본 발명은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과압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사용 시, 국물이 넘치거나 바람이 불거나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된 후 가스가 계속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너(20)의 일 측에 위치되어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와, 상기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으로 자력이 발생하여 가스의 통로를 개폐토록 되어 있는 마그네트차단장치(30)를 구성하여,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되었을 때 자동으로 가스공급을 차단시켜 가스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에 있어서, 복사열 등으로 가스용기(5)의 내압이 상승하여 위험압력(5~7kg/㎠ or 4~6kg/㎠)에 도달하면 가스의 흐름을 차단시켜 소화시키는 과압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는 야외나 실내에서 간단하게 고기를 굽거나 취사기구를 가열할 때 사용되는 휴대용 조리기구로서, 휴대성과 간편함으로 그 사용자 및 사용용도의 범위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각종 안전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사용 중에는 가스용기(5)로부터 가스가 가스레인지로 기화되어 공급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는 증발잠열에 의하여 가스용기(5)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함으로 온도상승에 의한 용기폭발의 우려는 낮다.
그러나,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상부에 사용하는 과대한 냄비나 조리기구를 사용하면, 그 하부로부터 발생되는 과대한 복사열이 가스용기(5)에 전달되는데, 가스의 기화열로 인하여 빼앗기는 증발잠열보다 복사열이 클 경우에는 그 복사열과 증발잠열의 차이만큼 가스용기(5)에 부가 누적되어 온도상승에 따른 가스팽창으로 가스용기(5)의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가스안전공사의 법규에 의하면 가스용기(5)의 내압이 5~7kg/㎠ 범위 내에서 가스흐름이 자동 차단되어 소화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가스용기의 내압이 4~6kg/㎠ 범위 내에서 가스흐름이 자동 차단되어 소화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과압안전장치에는 가스용기(5)의 내압이 5~7kg/㎠ 범위 내에서 가스용기(5)가 가버너(40)의 주입구(41)로부터 이탈되어 가스흐름을 차단토록 한 용기이탈식 과압안전장치가 있으며, 또한 가스용기(5)의 내압이 4~6kg/㎠ 범위 내에서 가버너(40)내의 유로가 차단되어 가스흐름을 차단토록 한 유로차단식 과압안전장치가 대표적이며, 주로 용기이탈식은 국내에서 유로차단식은 일본에서 적용하고 있다.
상기 두 가지의 과압안전장치는 가스의 기화열로 인하여 빼앗기는 증발잠열보다 복사열이 클 경우에 그 복사열과 증발잠열의 차이만큼 가스용기(5)에 부가 누적되어 온도상승에 따른 가스팽창으로 내압이 상승하여 위험압력(5~7kg/㎠ or 4~6kg/㎠)에 도달하면 가스의 흐름을 조기에 차단하여 더 이상의 복사열 상승을 억제하여 가스용기(5)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과압안전장치이다.
더 상세하게는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에 사용되는 가스용기(5)의 정상압력은 2~3kg/㎠ 범위이며, 가스용기(5)의 1차 변형압력은 13kg/㎠이고 2차 파열압력은 15kg/㎠로써, 즉 가스용기(5)는 내압이 13kg/㎠가 될 때까지 용기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또한 내압이 15kg/㎠가 될 때까지는 용기의 파열 또는 폭발이 일어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어, 복사열 등으로 가스용기(5)의 내압이 상승할 경우에 5~7kg/㎠ 범위 내에서 조기에 가스흐름을 차단하여 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내압이 폭발임계범위까지 상승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가스용기(5)의 폭발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소화안전장치는 국물이 넘치거나 바람이 불거나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된 후 가스가 계속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너(20)의 일 측에 위치되어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열전대(10)와, 상기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으로 자력이 발생하여 가스의 통로를 개폐토록 되어 있는 마그네트차단장치(30)를 구성하여,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되었을 때 자동으로 가스 배출통로를 차단시켜 가스의 외부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또 다른 안전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과압안전장치는 전술한 기존의 용기이탈식 과압안전장치나 유로차단식 과압안전장치를 그대로 적용하여 상기 과압안전장치에 연동되어 부설된 용기이탈장치나 유로복귀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수밖에 없어 구성이 복잡하여 기능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높은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소화안전장치와 용기이탈식 과압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경우에는, 복사열 등으로 가스용기(5)의 내압이 위험압력에 도달하여 가버너몸체(40)의 내부에 구성된 과압안전장치가 작동하여도, 상기 과압안전장치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용기이탈장치, 착탈레버연결편, 착탈레버, 용기가이드연결편 및 용기가이드 등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에는 가스용기(5)가 이탈되지 않아, 가스흐름이 차단되지 않고 불꽃이 지속되어, 가스용기(5)의 내압이 계속 상승되어 화염을 동반한 용기폭발사고의 우려가 있다. 즉,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다리가 복사열로 인하여 녹아내려 용기가이드의 노출된 밑면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용기가이드가 이동되지 않는 경우,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하단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착탈레버연결핀이 바닥면의 어떠한 돌출부에 지지되어 하강하지 않는 경우,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전면 우측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앞판이 복사열 등으로 용융되어 손잡이앞판에 구성되어 있는 착탈레버의 통로가 막혀 착탈레버가 위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 및 착탈레버연결핀이나 용기가이드연결핀이 이물질이나 부식으로 인하여 작동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등에는 가버너(40)의 내부에 구성된 과압안전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도 가스용기(5)가 이탈되지 않고 버너(20)의 불꽃이 지속되어 용기폭발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최근 끊이지 않고 발생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가스용기(5) 폭발사고 중에서 화상을 동반한 용기폭발 사고는 대부분 전술한 요인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에 있어서, 복사열 등으로 가스유기(5)의 내부압력이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가버너(40) 내부에 구성된 과압안전장치의 작동만으로 가스흐름을 차단하여 소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과압안전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과압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사용 시, 국물이 넘치거나 바람이 불거나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된 후 가스가 계속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너(20)의 일 측에 위치되어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와, 상기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으로 자력이 발생하여 가스의 통로를 개폐토록 되어 있는 마그네트차단장치(30)를 구성하여, 버너(10)의 불꽃이 소화되었을 때 자동으로 가스공급을 차단시켜 가스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수 있는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에 있어서, 복사열 등으로 가스용기(5)의 내압이 상승하여 위험압력(5~7kg/㎠ or 4~6kg/㎠)에 도달하면 가버너(40) 내부에 구성된 안전장치만으로 가스의 흐름을 차단시켜 소화시킬 수 있는 과압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기존의 과압안전장치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전술한 별도의 용기이탈장치나 유로복귀장치가 필요 없이 가버너(40) 내부에 구성된 과압안전장치만으로 가스용기(5)가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가스흐름을 차단시켜 소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과압안전장치를 제공하여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상품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소화안전장치에 구성된 마그네트차단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압안전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가스용기의 과압에 따른 도 3의 작용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 구성된 밸브부재의 측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가스용기 9 : 점화장치
10 : 열전대 20 : 버너
30 : 마그네트 차단장치 31 : 이동부재
32 : 금속편 33 : 개폐링
34 : 스프링 35 : 전선
40 : 가버너 41 : 주입구
42 : 감압조정실 43 : 유입로
44 : 수평공 45 : 유출로
50 : 밸브부재 51 : 전면턱
52 : 유로홈 53 : 차단링 지지턱
54 : 차단링 삽입홈 55 : 밀폐링 삽입홈
56 : 안전스프링 지지턱 57 : 후면턱
58 : 밀폐링 59 : 차단링
60 : 안전스프링 70 : 밸브하우징
71 : 유로 72 : 배기공
73 : 걸림턱 74 : 안전스프링 지지턱
75 : 밀봉링 76 : 결합부
90 : 가스조절손잡이 100 : 휴대용 가스레인지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앞서, 도 1의 종래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를 도시한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사용시, 국물이 넘치거나 바람이 불거나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된 후 가스가 계속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너(20)의 일 측에 위치되어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와, 상기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으로 자력이 발생하여 가스의 통로를 개폐토록 되어 있는 마그네트차단장치(30)를 구성하여,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되었을 때 자동으로 가스공급을 차단시켜 가스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소화안전장치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소화안전장치에 구성되는 마그네트차단장치(30)는 열전대(10)와 연결된 전선(35), 외부의 힘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부재(31),이동부재(31)의 일 측에 삽입되어 마그네트차단장치실의 가스배출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링(33), 이동부재(31)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는 스프링(34), 스프링(34)과 개폐링(33) 사이에 위치하는 금속편(32)과,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에는 버너(20)의 불꽃에 의해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으로 자력이 발생되는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마그네트차단장치(30)와 이를 이용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소화안전장치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은, 일 측은 가버너(40)의 주입구(41)와 연통된 유입로(43)가 형성되고 공간내부에는 감압조정실(42)과 연통된 유출로(45)가 형성되며 타 측은 개방된 수평공(44)과; 상기 수평공(44)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일 측은 개방되고 공간내부에는 유로(71)와 걸림턱(73)이 형성되며 타 측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기공(72)이 형성된 밸브하우징(70)과; 상기 밸브하우징(70)의 내부에 삽입되어 후술될 밸브부재(50)를 탄성 지지하여 가스용기(5)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압축되는 안전스프링(60)과; 상기 안전스프링(6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일 측에 형성된 전면턱(51)에는 유로홈(52)과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타 측에는 후면턱(57)과 안전스프링(60)의 지지턱(56)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후술될 밀폐링(58)과 차단링(59)이 외삽되어 안전스프링(60)의 압축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밸브부재(50)와; 상기 밸브부재(50)의 외주에 외삽되어 유로(71)와 안전스프링(60)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링(58)과; 상기 밸브부재(50)의 외주에 외삽되어 가스용기(5)의 내부압력이 설정된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안전스프링(60)의 압축에 의해 밸브하우징(70)의 공간내부에 형성된 걸림턱(73)에 밀착되어 가스흐름을차단하는 차단링(59)으로 구성된다.
즉, 가스용기(5)를 가버너(40)의 주입구(41)에 장착하면 가스용기(5)내의 가스는 유입로(43)와 유로홈(52)을 통하여 밸브하우징(70)의 내부로 유입되고, 밸브하우징(70)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은 유로(71)와 유출로(45)를 통하여 감압조정실(42)로 이동되고, 감압조정실(42)에서 감압된 가스는 마그네트차단장치(30)가 구성된 소화안전장치실을 통하여 버너(20)로 이동되어 점화장치(9)에 의하여 점화된다. 한편, 복사열 등으로 가스용기(5)의 내압이 위험압력(5~7kg/㎠ 또는 4~6kg/㎠)에 도달하여 안전스프링(60)의 탄성력을 이기게 되면, 안전스프링(60)의 압축에 의해 밸브부재(50)가 이동됨에 따라 차단링(59)이 밸브하우징(70)의 걸림턱(73)에 밀착되어 가스흐름을 막아 유로(71)를 차단함으로써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된다. 불꽃이 소화되면, 버너(20)의 일측에 위치되어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이 없어져 자력이 상실되어 마그네트차단장치(30)에 의해 소화안전장치실의 가스 배출통로가 차단된다. 즉, 가스용기(5)의 내압이 설정된 위험압력 이하로 낮아져, 안전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밸브부재(50)가 복원되어 차단링(59)이 밸브하우징(70)의 걸림턱(73)을 벗어나 유로(71)가 개방되어 가스가 감압조정실(42)로 이동되어도, 소화안전장치의 마그네트차단장치(30)에 의해 소화안전장치실의 가스 배출통로가 차단된 상태이므로, 가버너(40) 내부의 가스는 더 이상 버너(20)로 이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과압안전장치는, 종래의 가버너(40)에 구성된 과압차단장치에 연동되어 작동토록 별도로 부설된 용기이탈장치나 유로복귀장치가 필요 없는 것이 특징이며, 이로 인한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압안전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가스용기의 과압에 따른 도 3의 작용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 구성된 밸브부재의 측면도로서,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가버너(40)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은,
가버너(4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지되, 일 측은 가버너(40)의 주입구(41)와 연통된 유입로(43)가 형성되고 공간내부에는 감압조정실(42)과 연통된 유출로(45)가 형성되며 타 측은 개방된 수평공(44);
상기 수평공(44)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일 측은 개방되고 공간내부에는 유로(71)와 걸림턱(73)이 형성되며 타 측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기공(72)이 형성된 밸브하우징(70); 상기 걸림턱(73)은 후술될 차단링(59)과 대응되게 형성되되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공(72)은 가스용기(5)의 과압에 의해 안전스프링(60)이 압축될 때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로(71)와 유출로(45) 사이에 해당하는 밸브하우징(70)의 외경은 수평공(4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가스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되, 형성된 가스통로의 좌측과 우측에는 밀봉링으로 밀봉하여야 한다.
상기 밸브하우징(70)의 내부에 삽입되어 후술될 밸브부재(50)를 탄성 지지하여 가스용기(5)의 내부 압력이 설정된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압축되는 안전스프링(60); 상기 안전스프링(60)의 탄성력은 가스용기(5)의 내부압력이 위험압력(5~7kg/㎠ 또는 4~6kg/㎠)에 도달하면 압축될 수 있도록 설계 취부 되어야 한다.
상기 안전스프링(6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일 측에 형성된 전면턱(51)에는 유로홈(52)과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타 측에는 후면턱(57)과 안전스프링(60)의 지지턱(56)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후술될 밀폐링(58)과 차단링(59)이 외삽되어 안전스프링(60)의 압축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밸브부재(50); 상기 밸브부재(50)의 일 측은 전면턱(51)이 형성되며, 전면턱(51)의 중앙 내부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되 유입로(43)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턱(51)의 일 측에는 평상시의 가스통로 역할을 할 수 있는 유로홈(52)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부재(50)의 외주에는 후술될 차단링(70)파 밀폐링(80)이 외삽되어 안착할 수 있는 차단링삽입홈(54)과 밀폐링삽입홈(55)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링삽입홈(54)의 일 측에 형성된 차단링지지턱(53)의 외경은 밸브하우징(70)의 공간내부에 형성된 걸림턱(73)의 내경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부재(50)의 타 측에는 안전스프링지지턱(56)과 후면턱(57)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턱(57)의 외경은 안전스프링(60)의 내경 보다는 작되 근접되게 형성되어 안전스프링(60)의 흔들림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부재(50)의 외주에 외삽되어 유로(71)와 안전스프링(60)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링(58); 상기 밀폐링(58)은 오링(O-ring) 형상의 고무재질이 바람직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브부재(50)의 외주에 외삽되어 가스용기(5)의 내부압력이 설정된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안전스프링(60)의 압축에 의해 밸브하우징(70)의 공간내부에 형성된 걸림턱(73)에 밀착되어 가스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링(59)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링(59)은 오링(O-ring) 형상의 고무재질이 바람직하다.
즉, 가스용기(5)를 가버너(40)의 주입구(41)에 장착하면 가스용기(5)내의 가스는 유입로(43)와 유로홈(52)을 통하여 밸브하우징(70)의 내부로 유입되고, 밸브하우징(70)의 내부로 유입된 가스은 유로(71)와 유출로(45)를 통하여 감압조정실(42)로 이동되며, 감압조정실(42)에서 감압된 가스는 마그네트차단장치(30)가 구성된 소화안전장치실을 통하여 버너(20)로 이동되어 점화장치(9)에 의하여 점화된다. 한편, 복사열 등으로 가스용기(5)의 내압이 위험압력(5~7kg/㎠ 또는 4~6kg/㎠)에 도달하여 안전스프링(60)의 탄성력을 이기게 되면, 안전스프링(60)의 압축에 의해 밸브부재(50)가 이동됨에 따라 차단링(59)이 밸브하우징(70)의 걸림턱(73)에 밀착되어 가스흐름을 막아 유로(71)를 차단함으로써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된다. 불꽃이 소화되면, 버너(20)의 일측에 위치되어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이 없어져 자력이 상실되어 마그네트차단장치(30)에 의해 소화안전장치실의 가스 배출통로가 차단된다. 즉, 가스용기(5)의 내압이 설정된 위험압력 이하로 낮아져, 안전스프링(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밸브부재(50)가 복원되어 차단링(59)이 밸브하우징(70)의 걸림턱(73)을 벗어나 유로(71)가 개방되어 가스가 감압조정실(42)로 이동되어도,소화안전장치의 마그네트차단장치(30)에 의해 소화안전장치실의 가스 배출통로가 차단된 상태이므로, 가버너(40) 내부의 가스는 더 이상 버너(20)로 이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과압안전장치는, 종래의 가버너(40)에 구성된 과압차단장치에 연동되어 작동토록 별도로 부설된 용기이탈장치나 유로복귀장치가 필요 없이, 가버너(40) 내부에 구성된 과압안전장치만으로 가스흐름을 차단하여 소화시키는 것이 특징이며, 또한 이로 인한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사용 시, 국물이 넘치거나 바람이 불거나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된 후 가스가 계속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너(20)의 일 측에 위치되어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와, 상기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으로 자력이 발생하여 가스의 통로를 개폐토록 되어 있는 마그네트차단장치(30)를 구성하여,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되었을 때 자동으로 가스공급을 차단시켜 가스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에 있어서, 복사열 등으로 가스용기(5)의 내압이 상승하여 위험압력(5~7kg/㎠ or 4~6kg/㎠)에 도달하면 가버너(40) 내부에 구성된 과압안전장치만으로 가스의 흐름을 차단시켜 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과압안전장치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별도의 용기이탈장치나 유로복귀장치가 필요 없이 가버너(40) 내부에 구성된 과압안전장치만으로 가스용기(5)가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가스흐름을 차단시켜 소화시킬 수 있어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상품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국물이 넘치거나 바람이 불거나 또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된 후 가스가 계속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버너(20)의 일 측에 위치되어 불꽃의 점화여부를 감지하는 열전대(10)와, 상기 열전대(10)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전력으로 자력이 발생하여 가스의 통로를 개폐토록 되어 있는 마그네트차단장치(30)를 구성하여, 버너(20)의 불꽃이 소화되었을 때 자동으로 가스공급을 차단시켜 가스유출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소화안전장치가 구성된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가버너(40) 내부에 일 측은 가버너(40)의 주입구(41)와 연통된 유입로(43)가 형성되고 공간내부에는 감압조정실(42)과 연통된 유출로(45)가 형성되며 타 측은 개방된 수평공(44)과;
    상기 수평공(44)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일 측은 개방되고 공간내부에는 유로(71)와 걸림턱(73)이 형성되며 타 측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기공(72)이 형성된 밸브하우징(70)과;
    상기 밸브하우징(70)의 내부에 삽입되어 후술될 밸브부재(50)를 탄성 지지하여 가스용기(5)의 내부압력이 설정된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압축되는 안전스프링(60)과;
    상기 안전스프링(60)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일 측에 형성된 전면턱(51)에는 유로홈(52)과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타 측에는 후면턱(57)과 안전스프링(60)의지지턱(56)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후술될 밀폐링(58)과 차단링(59)이 외삽되어 안전스프링(60)의 압축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밸브부재(50)와;
    상기 밸브부재(50)의 외주에 외삽되어 유로(71)와 안전스프링(60)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링(58)과;
    상기 밸브부재(50)의 외주에 외삽되어 가스용기(5)의 내부압력이 설정된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안전스프링(60)의 압축에 의해 밸브하우징(70)의 공간내부에 형성된 걸림턱(73)에 밀착되어 가스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링(59)으로 구성되어 가스용기(5)의 내부압력이 설정된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100)의 과압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일 측은 전면턱(51)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턱(51)의 중앙 내부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되 유입로(43)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턱(51)의 일 측에는 평상시의 가스통로 역할을 할 수 있는 유로홈(52)이 형성되며, 외주에는 차단링(59)과 밀폐링(58)이 외삽되어 안착할 수 있는 차단링삽입홈(54)과 밀폐링삽입홈(55)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링삽입홈(54)의 일 측에 형성된 차단링지지턱(53)의 외경은 밸브하우징(70)의 공간내부에 형성된 걸림턱(73)의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며, 타 측에는 안전스프링지지턱(56)과 후면턱(57)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턱(57)의 외경은 안전스프링(60)의 내경 보다는 작되 근접되게 형성되어 안전스프링(6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부재(50).
KR1020020027556A 2002-05-17 2002-05-17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20030089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556A KR20030089370A (ko) 2002-05-17 2002-05-17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556A KR20030089370A (ko) 2002-05-17 2002-05-17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370A true KR20030089370A (ko) 2003-11-21

Family

ID=32383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556A KR20030089370A (ko) 2002-05-17 2002-05-17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93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920A (ko) * 2002-05-23 2003-12-01 박진하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유로차단식 과압안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4152A (ja) * 1992-09-03 1994-03-25 Hitachi Ltd 回転磁気ヘッド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不つりあい修正装置
JPH07260156A (ja) * 1994-03-25 1995-10-13 Hayakawa Seisakusho:Kk ガスボンベの異常圧安全装置
JPH1019264A (ja) * 1996-06-29 1998-01-23 Asahi Technos:Kk カセットガス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4152A (ja) * 1992-09-03 1994-03-25 Hitachi Ltd 回転磁気ヘッド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不つりあい修正装置
JPH07260156A (ja) * 1994-03-25 1995-10-13 Hayakawa Seisakusho:Kk ガスボンベの異常圧安全装置
JPH1019264A (ja) * 1996-06-29 1998-01-23 Asahi Technos:Kk カセットガス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920A (ko) * 2002-05-23 2003-12-01 박진하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유로차단식 과압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7704B2 (ja) 携帯用ガスコンロの安全装置及びその安全装置の作動方法
US7207346B2 (en) 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KR100431590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KR20030089370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101410057B1 (ko) 휴대용 가스버너 및 이의 제어방법
AU1531701A (en) Portable gas cooking range
KR20030088150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20030088151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20030088149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200373491Y1 (ko) 휴대용 안전 가스렌지
KR101300062B1 (ko) 안전성을 강화시킨 조리장치
KR20030091112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유로차단식 과압안전장치
KR100636840B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가스통 폭발 방지 장치
KR100399766B1 (ko)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KR20030008259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유로차단식 안전장치
TW593928B (en) 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KR100585213B1 (ko) 압력변화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제어방법
KR20030091114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유로차단식 과압안전장치
KR20030090920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유로차단식 과압안전장치
KR200352166Y1 (ko) 압력변화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100642843B1 (ko) 실내 사용이 가능한 용기 이탈식 휴대용 가스렌지
KR200355937Y1 (ko) 스위치 접촉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용자동점화장치
KR20030091113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유로차단식 과압안전장치
KR100609021B1 (ko) 스위치 접촉에 의한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용자동점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200336213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