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9107A -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 Google Patents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9107A
KR20030089107A KR1020020027150A KR20020027150A KR20030089107A KR 20030089107 A KR20030089107 A KR 20030089107A KR 1020020027150 A KR1020020027150 A KR 1020020027150A KR 20020027150 A KR20020027150 A KR 20020027150A KR 20030089107 A KR20030089107 A KR 20030089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eter
bladder
shield
opening
ur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3299B1 (ko
Inventor
나공찬
Original Assignee
나공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공찬 filed Critical 나공찬
Priority to KR10-2002-002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2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8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2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42Urinary blad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28/00Surgery
    • Y10S128/25Artificial sphincter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urinary incontine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방광의 요관이행부의 이상에 의해서 소변이 방광에 가득차 방광으로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압력에 의하여 소변이 요관을 타고 신장쪽으로 역류하는 방광요관역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는, 압력의 방향으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막으로 구성되어, 상기 막의 외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이 요관개구부의 요관 근육 또는 방관의 근육과 결합 부착되며, 요관에서 방광으로의 소변 흐름 또는 방광 내에서의 소변에 의한 압력의 방향 중 큰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요관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개복 수술이 필요 없이 방광경을 이용한 외래시술을 가능케 하여 시술을 용이하게 하며, 환자에게는 외과적인 수술없이 진행됨으로 시술 시간 단축과 시술과정에서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은, 또한, 요관에서 방광으로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한으로 하여 시술 후에도 신장으로부터 방광으로 이동되는 소변의 흐름, 즉 소변의 배출은 유지시켜주면서, 방광요관역류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An apparatus for preventing vesicoureteral reflux}
본 발명은 방광의 요관이행부의 이상에 의해서 소변이 방광에 가득차 방광으로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압력에 의하여 소변이 요관을 타고 신장쪽으로 역류하는 방광요관역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소변은 신장에서 생성되어 요관을 따라 방광에 저장되었다가 요도를 통해 체외로 배출되며, 방광과 요관에서 소변의 흐름은 신장으로부터 방광으로의 일 방향 흐름을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병적인 상태에서는 이러한 생리적인 소변의 흐름이 깨어져서 방광에서 요관내로 소변이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상태를 "방광요관역류(Vesicoureteral reflux)" 한다.
상술한 방광요관역류는 신장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해 소변의 생성과 배출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장기간 방치되는 경우 신장이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인 경우 소변을 본 후에는 방광이 비어있게 되나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경우에는 잔 뇨가 남아있게 되어, 세균이 자라는 것이 용이해지고 감염된 소변이 계속 역류되는 것이 반복되므로 잦은 요로 감염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신장조직까지 감염된 소변의 역류가 있다면 신장의 반흔과 위축이 생겨서 신장의 손상이 오게 된다. 이 때문에 단백뇨, 고혈압, 신장 기능의 저하가 초래되고 결국에는 만성 신부전증까지 올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요관 역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국 특허제4,531,933호에는 이동 및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각 단부에 나선형 코일을 갖는 요관 스텐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된 국내 특허 공보 특1999-0067352에는 환자의 요관 내에서 환자의 방광으로의 소변의 유동을 도와주는 요관 스텐트로서, 요관 내의 표면을 따라 소변을 이송시키는 크기 및 형상을 취하는 긴 외부 소변 이송 표면을 갖는 얇은 가요성의 긴 부재를 포함하는 스텐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에서 요관 역류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국내 등록 특허 10-0252584호에는 바늘은 방광경을 통하여 유도되고, 역류하는 요관의 요도하의 방광근육 영역내에 삽입되어, 벌룬을 운반하는 카테르, 또는, 유사한 유동장치를 요도하의 방광근육 조직영역 내에 삽입한 후, 불활성 생융화성 물질로 충진시켜서 팽창시킨 다음, 밀봉하고, 벌룬은 분리되어 포켓에 잔류됨으로써, 방광 및 요관의 전이부가 재성형되어 역류를 방지하도록 하는 분리 벌룬성 카테르가 방광경 바늘과 같은 내시경 기구에 포함되어 있는 방광요관 역류 치료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하지만, 상술한 미국 특허 제4,531,933호에 개시된 스텐트나, 국내 특허 10-0252548호에 게재된 치료방법은, 요관의 직경을 감소하여 역류되는 소변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요관직경의 감소로 인하여 신장에서 방광으로 배출되는 소변 역시 원할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며, 요관의 역류 및 신장에서 방광으로 배출되는 소변의 양방향의 균형점에서 시술을 행해야하므로, 요관역류 현상을 완벽하게 제거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게된다.
또한, 시술된 후에는 스텐트의 이동에 의하여 신장 및 요관의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에게 불의의 통증을 발생시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스텐트의 양 말단부에 와형 꼬리부를 형성하나, 이는 요관 스텐트의 시술을 복잡하게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한다.
상술한 시술이외에도, 요관에서 소변의 역류가 심한 경우에는 방광요관역류를 억제하기 위하여 개복에의한 외과적인 수술을 시행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개복 시술 방법은 인체를 절개한 후 방광벽의 근육조직에서 요관이 삽입되는 길이를 길게 하도록 외과적인 시술을 수행함으로써, 방광의 압력이 요관으로 많이 전달되도록 하고, 또한, 길어진 길이에 의하여 요관의 역류를 억제하고자 하는 것이나, 시술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소아, 성인에 관계없이 환자는 외과적인 수술에 의한 고통을 감수해야 하며, 소아의 경우에는 그러한 고통이 성인에 비해 극심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요관, 방광, 및 요관개구부에 별도의 성형 작용없이 차폐부와 지지부로 구성된 방광요관역류 방지구의 지지부를 요관벽에 외과적인 수술이 없이 내시경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방광요관역류 현상을 방지하고 치료할 수 있는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요관과 방광과 신장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요관의 방광내 요관개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요관역류방지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요관역류 방지구가 요관개구부에 시술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에 따르는 요관역류 방지구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지지부가 꺽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가 시술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차폐부와 지지부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연결부가 더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차폐부가 압력의 의하여 오목부를 형성하여 요관개구부를 차폐하거나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방광요관역류 방지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상기 도 8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가 시술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도 8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에서 지지부가 상기 차폐부의 면상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차폐부가 계란형의 타원반형으로 구성되며, 차폐부의 외주에서 비대칭축의 양 방향으로 지지부가 형성되어 방광요관역류 방지구를 요관개구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차폐부는 상기 지지부와의 결합 점에서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로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가 시술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방광요관역류방지구
4 : 요관개구부
10 : 차폐부20 : 지지부
21 : 걸림부22 : 연결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방광 요관역류 방지구는, 방광내 요관개구부에 부착되어 요관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압력의 방향으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막으로 상기 막의 외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이 상기 요관개구부의 요관 근육 또는 방관의 근육과 결합 부착되며, 요관에서 방광으로의 소변 흐름 또는 방광내에서의 소변에 의한 압력의 방향 중 큰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요관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로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는,
상기 막은 방광내 요관개구부를 차폐시키는 차폐부를 형성하며, 상기 차폐부와 일측단에 결합되고 다른 측단은 방광벽, 요관벽 또는 어느 하나의 근육조직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차폐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부는, 압력에 의하여 오목부를 형성한 후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모양으로 변형되도록 일 방향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차폐부 및 지지부는 실리콘(silico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생체적합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재질의 개발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치환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는 각각의 요관역류방지구(100)는 그 모양에 관계없이 도면 부호 100으로 표시한다.
도 1은, 요관(1)과 방광(2)과 신장(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요관(1)의 방광내 요관개구부(4)를 확대 도시한 도면(A)이다. 도 1내지 도 2는 인체의 요관과 방광과 신장의 일반적인 모양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는 도 2의 요관개구부(4)의 외주 모양과 유사한 모양을 가지도록 성형된 차폐부(10)와 상기 차폐부(10)를 고정 지지하도록 차폐부(10)의 외주의 일 점에서 일 단부가 부착되고, 타 단부는 방광(2) 또는 요관(1) 등의 조직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부(20)를 가지고 구성된다. 차폐부(10)와 지지부(20)는 동일 물질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차폐부(10)와 지지부(20)사이에 차폐부(10)가 요관개구부(4)로 향하도록일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하는 연결부(22)(도 8 참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지지부(20)는 요관벽, 또는, 방광벽의 인체 조직에 삽입 구성이 용이하도록 띠편형, 또는 막대형, 원통봉형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말단부는 인체의 조직내에서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를 고정 지지하도록 걸림부(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요관역류 방지구(100)가 요관개구부(4)에 시술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요관역류 방지구(100)는 차폐부(10)가 요관개구부(4)를 닫는 곳에 위치하도록 지지부(20)가 요관(1)의 근육 조직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차폐부(10)는 지지부(20)에 의하여 방광(2)에서 요관개구부(4)로 향하는 일방향의 탄성을 가지게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소변이 신장(3)에서 방광(2)으로 유출되는 경우, 신장(3)에서 방광(2)으로의 소변 흐름에 의하여 차폐부(10)가 방광(2)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요관개구부(4)가 열리도록 구성된다. 소변의 하류 흐름이 멈추고 소변을 배출하여 방광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 차폐부(10)는 요관개구부(4)로 향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요관개구부(4)를 차폐한다.
방광(2)에 소변이 모이게되어 방광의 외벽으로 소변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차폐부(10)는 방광(2)내의 소변으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에 의하여요관개구부(4)를 차폐하고 있는 상태에서 요관 방향으로 힘을 받게되고, 이로 인해 차폐부(10)가 요관개구부(4)에 더욱 밀착 고정되어 소변의 방광요관역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탄성력은 차폐부(10)와 지지부(20)의 연결점에서 차폐부(10)가 이동되는 방향에서 각각 서로 다른 밀도 구성을 가지도록 차폐부(10)와 지지부(20)로 구성된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 자체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달성하는 방법, 또는 연결점에서 상기 차폐부(10)가 상기 지지부(20)에 고정되어 요관개구부(4)를 대향하는 방향의 직선상에서만 전후로 자유 이동되어 연결점을 중심으로 여닫힘이 일어나도록 고정하고, 차폐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서 차폐부(10)가 요관개구부(4)로 향하며, 요관개구부(4)와 밀착된 후에는 더 이상의 탄성력을 차폐부(10)에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연결부(22)를 더 구성하는 방법 차폐부를 고정한 후 적용 재질 고유의 탄성과 형상 기억 특성을 이용하는 방법 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연결부(22)는 도 7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상술한 차폐부(10)의 탄성복원력은 일방향성의 특징을 가짐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차폐부(10)가 요관개구부(4)와 밀착되는 위치에서는 더이상 탄성이 없는 강성을 가지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탄성력은 차폐부(10)가 요관개구부(4)와 밀착되어 있는 위치에서는 더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지 않고 지지부(20) 및 요관 개구부의 요관벽에 의하여 강성이 작용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요관개구부(4)를차폐한 차폐부(10)가 방광(2)내에 모여진 소변에 의하여 압력을 받는 경우, 요관(1)내로 과도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술한 차폐부(10)의 외형은 사람에 따라, 그 구조가 달리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0)에 의하여 상기 차폐부(10)에 전달되는 탄성복원력, 또한, 신장(3)에서 방광(2)으로 유입되는 소변의 양에 따라 각각 사람마다 차이가 있게 됨으로, 사전에 각각의 사람에 적합하도록 설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 복원력은 신장(3)에서 방광(2)으로 유입되는 소변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조정 설계되어야 한다.
즉, 상술한 탄성력은 차폐부(10)가 요관개구부(4)로 복원될 수 있을 정도의 최소의 복원력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가 요관 외부에서 요관의 조직내로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부(20)가 변형 구성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6은, 도 5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가 요관개구부(4)에 시술된 것을 나타낸다.
도 5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는 도 3 내지 도 4와 지지부(20)에서 차이를 가진다. 도 5의 지지부(20)는 요관역류방지구(20)가 요관개구부(4)에 위치하도록, 요관의 외부의 근육 조직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꺽여진 모양을 가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폐부(10)는 요관개구부(4)에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꺽여진 모양에 의하여 지지부(20)는 요관개구부(4) 및 요관(1)에 방해됨이 없이 요관(1)의 외부의 근육조직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시술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상기 도5에서 상기 지지부(20)가 꺽여진 방향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차폐부(10)와 지지부(20)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연결부(22)가 더 구성된 것을 나타낸다. 연결부(22)는 차폐부(10)를 요관개구부(4)로 향하도록 하고, 차폐부(10)가 요관개구부(4)와 밀착된 후에는 더 이상의 탄성력을 차폐부(10)에 제공하지 않도록 차폐부(10)와 지지부(20)의 사이에 부착되어 소변에 의해 요관개구부가 열리도록 이동된 차폐부(10)를 요관개구부(4)로 복원되도록 한다.
도 8은, 본원 발명에 따르는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9는 도 8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가 방광(2)내 요관개구부(4)에 시술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방관요관역류 방지구(100)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오목부를 형성하는 막으로 구성된 차폐부(10), 및, 상기 차페부(10)의 외부둘레의 일점에서 일단이 연결되고, 일 타단은 요관개구부(4)의 요관근육 또는 방광근육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차폐부(10)를 요관 개구부(4)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20)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는, 차폐부(10)와 상기 차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차폐부(10)는 변형이 용이한 막으로 구성되며, 상기 막은 막의 면을 향하는 일방향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의 진행방향으로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8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가 요관개구부(4)에 시술되어 고정되면, 요관(1)에서 소변의 흐름이 생기는 경우, 소변의 흐름방향으로 오목부를 형성하게 되고, 소변이 흐름이 요관(1)에서 방광(2)으로 흐르는 경우, 방광으로 오목부를 형성하여, 차폐부(10)가 요관개구부(4) 열게됨으로, 소변이 요관(1)에서 방광(2)으로 용이하게 흐르게 되고, 방광(2)에 소변이 가득 참으로서, 소변에 의한 압력이 방광에 전해지는 경우, 상기 차폐부(10)에는 요관(1)으로 향하는 압력이 작용하여 요관방향으로 오목하게 변형되어 요관개구부(4)를 차폐하도록 동작된다.
상술한 동작에 의하여, 도 8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가 방광요관역류 현상을 방지한다.
이와는 달리 도 8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의 또 다른 일 특성으로, 상기 차폐부(10)가 일방향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도면에 미도시)(100)가 가지는 일방향 탄성이라 함은, 상기 지지부(20)가 차폐부(10)의 면상에 일 단부가 결합되고 방사형으로 다수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일 타 단부는 요관근육, 또는, 방광 근육에 삽입 고정됨으로서 방광요관역류방지구(100)를 요관개구부(4)에 고정하고, 신장(3)에서 방광(2)으로의 소변 흐름은 항상 유지하다가 방광의 압력이 증가하여 역행하는 흐름이 발생하면, 상기 흐름에 의하여 상기 차폐부(10)가 요관(1) 방향으로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서 볼록부가 요관개구부(4)를 막게되어 소변이 방광에서 요관으로 역행하는 흐름을 막아주고, 소변이 배출된 후 방광의 압력이 줄어들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말한다.
도 8 및 도 9의, 상기 차폐부(10)가 일 방향 탄성을 가지는 경우, 지지부(20)의 일 단이 상기 차폐부(10)의 요관개구부(4)를 향하는 면상에 부착되고 타 단은 요관(1)근육 또는 방광(2) 근육내에 삽입 고정되도록 다수의 지지부가 형성되어 요관 개구부(4)에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는 다수의 지지부(20)에 의하여 요관개구부(4)에 고정되며, 차폐부(10)는 방광(2)의 내부로 향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접시 모양으로 형성되도록 일방향 탄성을 가지고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차폐부(10)는 방광내에서 방광의 외부(방광의 내벽)로 향하는 소변에 의한 압력이 없는 경우에는 요관개구부(4)를 항상 열고 있도록 고정되어, 신장(3)으로 부터 요관(1)을 통해 방광(2)으로 유입되는 소변의 흐름은 원활하게 하고, 역으로 방광(2)에 소변이 가득차 방광(2)의 벽을 향하는 소변에 의한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압력에 의하여 차폐부(10)가 요관개구부(4)의 내부로 볼록하도록 변형되어, 상기 요관개구부(4)를 막음으로서 방광요관역류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변이 신체의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차폐부(10)는 일방향 탄성에 의하여, 방광(2)의 내부로 향하도록 볼록하게 변형됨으로써, 요관개구부(4)를 열게 된다.
도 11은, 차폐부(10)가 계란형의 타원반형으로 구성되며, 차폐부(10)의 외주에서 비대칭 축의 양 방향으로 지지부(20)가 형성되어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를 요관개구부(4)에 고정시키고, 상기 차폐부(10)는 상기 지지부(20)와의 결합점에서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는 요관역류 방지구(100)가 도시되고, 도 12에는 상기 도 11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100)가 요관개구부(4)에 시술되어 있는 것이 도시된다.
상술한 도 11 및 도 12의 요관역류 방지구(100)는, 타원반형의 차폐부(10)와 상기 차폐부(10)의 비대칭 축 양방향에서 일단이 상기 차폐부(10)의 외부 둘레의 일점에서 결합되고, 일 타단은 요관근육 또는 방광 근육에 삽입되어 상기 차폐부(10)를 고정하며, 상기 차폐부(10)와 상기 지지부(20)의 결합점은 상기 차폐부(10)가 상기 비대칭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요관(1)에서 방광(2)으로 향하는 a 방향의 소변의 흐름이 있는 경우에는 차폐부(10)가 요관개구부(4)를 열게되며, 반대로, 방광(2)에서 요관(1)내로 향하는 b 방향으로 소변의 압력에 의한 힘이 작용되면, 차폐부(10)가 회전 이동되어 요관개구부(4)를 차폐하게 되어 소변의 방광요관역류 현상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원 발명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는 현재 사용 중인 방광경을 이용한 기능적 도구들의 첨단부에 장착하여 방광요관이행부를 시술자의 육안으로 확인 후 안전하게 장치할 수 있으며 설치 후 일정 시간 정도 방광경으로 관찰하여 시술의 성공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개복 수술이 필요 없이 방광경을 이용한 외래시술을 가능케 하여 시술을 용이하게 하며, 환자에게는 외과적인 수술없이 진행됨으로 시술 시간 단축과 시술과정에서의 고통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은, 또한, 요관에서 방광으로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한으로 하여 시술 후에도 신장으로부터 방광으로 이동되는 소변의 흐름, 즉 소변의 배출은 유지시켜주면서, 방광요관역류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7)

  1. 요관개구부를 차폐시키는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와 일측단에 결합되고 다른 측단은 방광벽 또는 요관벽 중 어느 하나의 근육조직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차폐부로 일 방향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소변의 흐름 방향에 대한 저항치보다 더 큰 소변의 흐름에 역행하는 흐름에 대한 저항치를 가지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서,
    상기 차폐부를 상기 요관개구부로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와 지지부는 하나의 물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4. 압력의 방향으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막으로 구성되어, 상기 막의 외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이 요관개구부의 요관 근육 또는 방관의 근육과 결합 부착되며, 요관에서 방광으로의 소변 흐름 또는 방광 내에서의 소변에 의한 압력의 방향 중 큰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요관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오목부를 형성하는 막으로 구성된 차폐부이며, 상기 차페부의 외주둘레의 일점에서 일단이 연결되고, 일 타단은 요관개구부의 요관근육 또는 방광근육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차폐부를 요관개구부에서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6.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가,
    상기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진 방향으로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변형된 후, 상기 외부 압력이 제거된 후에는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일방향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7. 타원반형의 차폐부; 및,
    상기 차폐부의 비대칭 축 양방향에서 각각 일단이 상기 차폐부의 비대칭 축이 만나는 외주 둘레의 일점에서 결합되고, 일 타단은 요관근육 또는 방광 근육에 삽입되어 상기 차폐부를 고정하는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차폐부와 상기 지지부의 결합점은 상기 차폐부가 상기 비대칭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KR10-2002-0027150A 2002-05-16 2002-05-16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KR100443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150A KR100443299B1 (ko) 2002-05-16 2002-05-16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150A KR100443299B1 (ko) 2002-05-16 2002-05-16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107A true KR20030089107A (ko) 2003-11-21
KR100443299B1 KR100443299B1 (ko) 2004-08-09

Family

ID=3238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150A KR100443299B1 (ko) 2002-05-16 2002-05-16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2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413A (ko) * 2020-12-15 2022-06-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역류 요관 스텐트
RU2817664C1 (ru) * 2023-05-19 2024-04-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о-Запад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И.И. Мечник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илеоцистоанастомоза с созданием антирефлюксного механизм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1795A (en) * 1984-11-19 1987-06-09 Mulchin William L Permanent/retrievable ureteral catheter
SK7295A3 (en) * 1992-07-21 1995-05-10 Siegfried Erber Louvre-type roller shutter
JP3214733B2 (ja) * 1992-08-07 2001-10-02 エスエムエー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尿道ステント
EP0859644B1 (en) * 1995-11-07 2007-04-25 Boston Scientific Limited Ureteral stent with small bladder tail(s)
US5902832A (en) * 1996-08-20 1999-05-11 Menlo Care, Inc. Method of synthesizing swollen hydrogel for sphincter augment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5413A (ko) * 2020-12-15 2022-06-2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역류 요관 스텐트
RU2817664C1 (ru) * 2023-05-19 2024-04-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о-Западны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медицин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И.И. Мечникова" Министерства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илеоцистоанастомоза с созданием антирефлюксного механизм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3299B1 (ko) 2004-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8730B2 (en) Urethral stent and bladder control assembly comprising such a urethral stent
JP3786314B2 (ja) 尿管用ステント
EP1420720B1 (en) Stent and applicator
JP4916079B2 (ja) 体内の圧力波を減衰させ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5807356A (en) Catheter with valve
JP2005312897A (ja) 輸尿管ステント
JP2006263470A (ja) 固定部材付き皮下注入ポート
JPH10507090A (ja) 膀胱鏡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2005312894A (ja) 可撓性要素を有するステント
US20030163204A1 (en) Stent
JP2005312896A (ja) 腎部カール付きステント
HU225202B1 (en) An access member and a system for catheterization of the urinary bladder
WO2018200060A1 (en) Dynamic length ureteral stent for improved patient comfort
JP2003526449A (ja) 女性の失禁防止器具
JP2004528134A (ja) 身体植え込み管
KR100443299B1 (ko)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CN102363060B (zh) 一种输尿管支架管
US6558312B2 (en) Intraurethral device for incontinence
US20220087852A1 (en) Stent devices and methods to increase patency of a body opening
JP2009538166A (ja) 前立腺ステント
JP2003180821A (ja) 導尿カテーテル
JP2024509617A (ja) 十二指腸排除および胃容量低減の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5013710A (ja) 身体アクセスポート
CN216417433U (zh) 一种防反流防移位金属覆膜输尿管支架
CN111050832A (zh) 导管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