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413A - 항역류 요관 스텐트 - Google Patents

항역류 요관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413A
KR20220085413A KR1020200175456A KR20200175456A KR20220085413A KR 20220085413 A KR20220085413 A KR 20220085413A KR 1020200175456 A KR1020200175456 A KR 1020200175456A KR 20200175456 A KR20200175456 A KR 20200175456A KR 20220085413 A KR20220085413 A KR 20220085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ureteral stent
expandable member
ureter
reflu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440B1 (ko
Inventor
소홍윤
조정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7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4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413A/ko
Priority to KR1020230035191A priority patent/KR102639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61M27/002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 A61M27/008Implant devices for drainage of body fluids from one part of the body to another pre-shaped, for use in the urethral or ureteral tr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76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5/0075Valve means
    • A61M2025/0076Unidirectional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61M2025/0079Separate user-activated means, e.g. guidewires, guide tubes, balloon catheters or sheaths, for sealing off an orifice, e.g. a lumen or side holes, of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33Valve comprising a resilient or deformable element, e.g. flap valve, deformable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78Urinary tract
    • A61M2210/1089Ureth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이 방광에서 신장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항역류 요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요관 스텐트는 요관 내부에 설치되고, 신장으로부터 생성된 소변이 방광 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요관과 상기 본체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소변의 역류시 상기 소변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하며 상기 요관에 밀착되는 팽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역류 요관 스텐트{Antireflux ureteral stent}
본 발명은 소변이 방광에서 신장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항역류 요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텐트 본체의 외부에 소변의 역류시 팽창되며 요관에 밀착되는 팽창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소변이 신장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기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Stent)는 신체의 장기나 혈관의 협착이나 동맥류, 식도 및 위장관의 협착, 담도의 협착, 요관의 협착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임상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혈관, 담도, 요관 등에서 혈액과 같은 유체와 각종 효소 등의 흐름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흐름이 원활하지 못한 부위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혈관, 담도, 요관 등에 삽입된 스텐트는 삽입된 부위를 강제적으로 확장하게 되고, 이로 인해 유체, 효소 등은 원활한 흐름을 가지게 된다.
한편, 요관의 협착을 방지하기 위한 요관 스텐트의 경우, 요관의 특성상 금속제 스텐트의 사용이 어려워 플라스틱 재질의 double-J 스텐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double-J 스텐트는 양 끝단이 'J' 자 형상으로 말려 있어 방관 내벽에 밀착하기 어려운 구조여서, 스텐트 외벽을 따라 소변의 역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변의 역류가 발생하면 스텐트를 통과한 소변이 요관과 연결된 신장으로 다시 유입될 수 있고, 이는 신기능을 저하시켜 신우신염, 수신증 등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시술된 후에는 스텐트의 이동에 의하여 신장 및 요관의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환자에게 불의의 통증을 발생시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19-0031841 (2019.03.17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스텐트 본체의 외부에 소변의 역류시 팽창되며 요관에 밀착되는 팽창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소변이 신장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신기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배뇨시 스텐트 본체에 결합된 팽창부재가 요관 내벽에 밀착되어 스텐트 본체가 소변의 압력으로 인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뇨시 스텐트의 설치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요관 스텐트는 요관 내부에 설치되고, 신장으로부터 생성된 소변이 방광 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요관과 상기 본체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소변의 역류시 상기 소변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하며 상기 요관에 밀착되는 팽창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감싸며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방광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결합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신장 측으로 역류되는 소변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의 역류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소변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되며 상기 요관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중앙부위가 상기 요관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의 폭은 상기 결합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요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광 측으로 흐르는 소변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팽창부재의 외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소변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는 복수의 필라멘트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적층하는 3D 프린팅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소변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필라멘트들의 계면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감싸며 결합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방광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첩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신장 측으로 역류되는 소변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신장으로부터 상기 방광 측으로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부에 의하여 상기 팽창부재의 외측부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폭 및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방광 측으로 흐르는 소변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방광 측에 위치한 상기 본체부의 말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소변이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소변의 흐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변의 역류시 상기 볼은 상기 바디부 내에 저장된 소변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유로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 및 측부에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제공된 소변이 흐를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의 직경은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부와 요관 사이에 배치된 팽창부재가 소변의 역류시 팽창하며 요관 내벽에 밀착됨에 따라 방광에서 신장측으로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소변의 역류로 인한 신기능 저하를 방지하여 신우신염이나 수신증 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배뇨시 팽창부재가 요관 내벽에 밀착되는 구조로 인하여 본체부가 소변의 압력으로 인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스텐트의 설치로 인하여 배뇨시 발생하는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팽창부재가 복수의 필라멘트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적층하는 3D 프린팅 방법으로 제조됨에 따라, 필라멘트들의 계면을 이용하여 팽창부재의 표면에는 소변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 홈의 방향을 조절하는 경우 소변의 흐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차폐부재를 구비하여 팽창부재와 함께 소변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요관 스텐트의 역류방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역류 요관 스텐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항역류 요관 스텐트가 요관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소변이 정상적으로 흐를 때의 팽창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소변이 신장 측으로 역류될 때의 팽창부재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역류 요관 스텐트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팽창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재의 사시도.
도 7(a)는 소변이 정상적으로 흐를 때의 팽창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소변이 신장 측으로 역류될 때의 팽창부재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소변이 정상적으로 흐를 때의 차폐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소변이 신장 측으로 역류될 때의 차폐부재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재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역류 요관 스텐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역류 요관 스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항역류 요관 스텐트가 요관 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a)는 소변이 정상적으로 흐를 때의 팽창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소변이 신장 측으로 역류될 때의 팽창부재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항역류 요관 스텐트(100)는 요관(10) 내부에 설치되어 소변이 방광(30)에서 신장(2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 및 팽창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요관(10) 내부에 설치되고, 신장(20)으로부터 생성된 소변이 방광(30) 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의 일단은 신장(20)에 결합되고 타단은 방광(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양 끝단이 'J' 자 형상으로 말려 있는 double-J 스텐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팽창부재(120)는 요관(10)과 본체부(110) 사이에 제공되고, 소변의 역류시 소변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하며 요관(10)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뇨시 방광(30)의 수축으로 인해 방광(30)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는 경우 소변은 본체부(110)와 요관(10) 사이의 틈으로 역류될 수 있는데, 이때 역류되는 소변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부재(120)가 팽창하며 요관(10)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팽창부재(120)가 소변의 역류시 팽창하며 요관(10) 내벽에 밀착됨에 따라 방광(30)에서 신장(20)측으로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소변의 역류로 인한 신기능 저하를 방지하여 신우신염이나 수신증 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배뇨시 팽창부재(120)가 요관(10) 내벽에 밀착되는 구조로 인하여 본체부(110)가 소변의 압력으로 인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스텐트의 설치로 인하여 배뇨시 발생하는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팽창부재(120)는 팽창 및 복원이 용이하도록 탄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팽창부재(120)는 에코플렉스(Exoflex),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천연고무, 실리콘 (silico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ly methacrylate, PMMA), 폴리우레탄(polyurethane,PU),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알콜폴리머(ethylene-vinylacetate alcohol polymer, EVAL polym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아세틸셀룰로오스 (acetyl cellulos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팽창부재(120)는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 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팽창부재(120)가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설치된 팽창부재(120)의 개수만큼 역류 방지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팽창부재(120)를 과도하게 설치하는 경우 제조 단가가 증가하고, 무게가 증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감을 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부재(120)는 결합부(121)와, 확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1)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부(110)의 둘레를 감싸며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121)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결합할 수 있다.
확장부(122)는 결합부(121)의 일측 단부로부터 방광(30)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이 결합부(121)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본체부(110)와의 사이에 신장(20) 측으로 역류되는 소변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간(122a)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변의 역류시 확장부(122)는 유입공간(122a)으로 유입된 소변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되며 요관(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확장부(122)는 중앙부위가 요관(10)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풍선 형상으로 제공되어, 확장부(122)의 중앙부위가 요관(10)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소변이 신장(20)에서 방광(30) 측으로 정상적으로 흐를 때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은 본체부(110)의 유로(110a)를 따라 정상적으로 흐를 수 있다. 반대로, 소변이 방광(30)에서 신장(20) 측으로 역류될 때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122)의 유입공간(122a)으로 소변이 유입될 수 있고, 이러한 소변의 압력으로 인해 확장부(122)가 팽창되며 요관(10)의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부(122)의 폭은 결합부(121)의 폭보다 크고 요관(1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확장부(122)의 폭이 요관(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면 확장부(122)가 처음부터 요관(10)의 내벽에 밀착되는 구조여서, 신장(20)에서 생성된 소변이 본체부(110)의 유로(110a)가 아닌 본체부(110)와 요관(1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었을 때, 소변이 방광(30) 측으로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
팽창부재(120)는 3D 프린팅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3D(Three Dimension) 프린팅 방법은 기 설정된 조형물의 3차원 CAD 모델(모델링 데이터)을 기반으로 플라스틱, 금속 및 이들의 복합 재료 등을 소결 및 적층하여 3차원의 입체적인 형상물을 제조하는 기술로서, 종래의 적삭가공 및 이를 통해 가공된 부품을 접합 또는 조립하는 공정과는 다르게 조립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팽창부재(120)는 복수의 필라멘트(P)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적층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팽창부재(120)가 필라멘트(P)를 적층시키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팽창부재(120)의 표면에는 소변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방광(30) 측으로 흐르는 소변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팽창부재(120)의 외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역류 요관 스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팽창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a)는 소변이 정상적으로 흐를 때의 팽창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소변이 신장 측으로 역류될 때의 팽창부재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는 소변이 정상적으로 흐를 때의 차폐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b)는 소변이 신장 측으로 역류될 때의 차폐부재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항역류 요관 스텐트(200)는 본체부(110)와, 제2 팽창부재(220), 및 차폐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팽창부재(220)는 소변의 역류시 소변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하며 요관(10)에 밀착되는 것으로서, 제2 결합부(221)와, 제2 확장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221)는 본체부(110)의 둘레를 감싸며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확장부(222)는 제2 결합부(221)의 일측 단부로부터 방광(30)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첩부(222a)가 형성되어 본체부(110)와의 사이에 신장(20) 측으로 역류되는 소변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간(222b)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확장부(222)는 신장(20)으로부터 방광(30) 측으로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방광(30) 측으로 흐르는 소변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2 확장부(222)의 외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슬롯(222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110)가 양단이 'J' 자 형상으로 말려 있는 double-J 스텐트 형상인 경우, 구조상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은 유로(110a) 뿐 아니라 본체부(110)와 요관(10) 사이로도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확장부(222)의 외측면에 슬롯(222c)을 형성해 줌으로써 소변의 원활한 배출을 돕는 것이다. 이러한 슬롯(222c)은 2개의 절첩부(222a)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고, 슬롯(222c)의 폭 및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신장(20)에서 방광(30) 측으로 흐르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팽창부재(220)는 일부가 요관(10) 내벽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제2 확장부(222)에 소변이 통과할 수 있는 슬롯(222c)이 형섬됨에 따라 제2 팽창부재(220)는 일부가 요관(10) 내벽에 밀착될 수 있고, 이는 본체부(110)가 요관(10) 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스텐트의 설치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팽창부재(220)의 끝단이 평평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이 라운드진 꽃잎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팽창부재(220)는 복수의 필라멘트(P)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적층하는 3D 프린팅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팽창부재(220)가 3D 프린팅 방법으로 제조됨에 따라, 제2 팽창부재(220)의 표면에는 소변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222d)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필라멘트(P)들의 계면에 의하여 가이드 홈(222d)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필라멘트(P)들의 적층 방향을 조절하는 경우 소변의 흐름 방향 및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P)들을 횡방향으로 위치시켜 적층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홈(222d) 또한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여서 소변의 흐름을 느리게 제어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멘트(P)들을 종방향으로 위치시켜 적층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홈(222d) 또한 종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여서 소변의 흐름을 빠르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소변은 가이드 홈(222d)을 따라 안내되므로, 가이드 홈(222d)의 기울기에 따라 소변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홈(222d)이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만 설명하였으나, 사선 방향 및 나선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차폐부재(130)는 본체부(110)의 말단에 결합되어 본체부(110)의 유로(110a)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것으로서, 바디부(131) 및 볼(13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31)는 방광(30) 측에 위치한 본체부(110)의 말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변이 흐를 수 있는 유로(131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31)는 방광(30)측으로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는 소변이 통과 및 저장될 수 있는 유로(131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31)의 일단은 본체부(110)에 결합되고, 타단 및 측부에는 본체부(110)로부터 제공된 소변이 흐를 수 있도록 관통공(131b)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31b)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볼(132)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로 구형성될 수 있다.
볼(132)은 바디부(131)의 내부에 제공되고, 소변의 흐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유로(110a)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31)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볼(132)의 직경은 관통공(131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소변의 역류시 볼(132)은 바디부(131) 내에 저장된 소변의 압력에 의해 본체부(110)의 유로(110a)를 차폐할 수 있다.
즉, 소변이 정상적으로 흐를 때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32)은 본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소변의 압력에 의하여 본체부(110)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소변이 신장(20) 측으로 역류될 때에는 바디부(131)의 유로(131a)에 역류되는 소변이 유입 및 저장되어 바디부(131) 내에는 신장(20) 측으로 유압이 발생하고, 이러한 유압에 의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132)이 본체부(110)의 유로(110a)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팽창부재(220)와 더불어 차폐부재(130)가 소변의 역류를 방지함에 따라, 항역류 요관 스텐트(200)의 역류 방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항역류 요관 스텐트(100, 200)는 본체부(110)와 요관(10) 사이에 배치된 팽창부재(120)가 소변의 역류시 팽창하며 요관(10) 내벽에 밀착됨에 따라 방광(30)에서 신장(20)측으로 소변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소변의 역류로 인한 신기능 저하를 방지하여 신우신염이나 수신증 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배뇨시 팽창부재(120)가 요관(10) 내벽에 밀착되는 구조로 인하여 본체부(110)가 소변의 압력으로 인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스텐트의 설치로 인하여 배뇨시 발생하는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팽창부재(120)가 복수의 필라멘트(P)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적층하는 3D 프린팅 방법으로 제조됨에 따라, 필라멘트(P)들의 계면을 이용하여 팽창부재(120)의 표면에는 소변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222d)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가이드 홈(222d)의 방향을 조절하는 경우 소변의 흐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10)의 유로(110a)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는 차폐부재(130)를 구비하여 팽창부재(120)와 함께 소변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요관 스텐트의 역류방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본체부
120: 팽창부재
121: 결합부
122: 확장부
130: 차폐부재
220: 제2 팽창부재
221: 제2 결합부
222: 제2 확장부

Claims (17)

  1. 요관 내부에 설치되고, 신장으로부터 생성된 소변이 방광 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요관과 상기 본체부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소변의 역류시 상기 소변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하며 상기 요관에 밀착되는 팽창부재;
    를 포함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감싸며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방광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결합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신장 측으로 역류되는 소변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의 역류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유입공간으로 유입된 소변의 압력에 의하여 팽창되며 상기 요관에 밀착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중앙부위가 상기 요관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항역류 요관 스텐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폭은 상기 결합부의 폭보다 크고 상기 요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광 측으로 흐르는 소변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팽창부재의 외측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항역류 요관 스텐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소변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함몰 형성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복수의 필라멘트를 기설정된 방향으로 적층하는 3d 프린팅 방법으로 제조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의 표면에는 상기 소변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필라멘트들의 계면에 의하여 제공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감싸며 결합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방광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첩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상기 신장 측으로 역류되는 소변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는 제2 확장부를 포함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신장으로부터 상기 방광 측으로 폭이 넓어지는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제공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에 의하여 상기 팽창부재의 외측부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의 폭 및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방광 측으로 흐르는 소변의 유량을 제어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방광 측에 위치한 상기 본체부의 말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소변이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소변의 흐름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볼을 포함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의 역류시 상기 볼은 상기 바디부 내에 저장된 소변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유로를 차폐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일단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타단 및 측부에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제공된 소변이 흐를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볼의 직경은 상기 관통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항역류 요관 스텐트.
KR1020200175456A 2020-12-15 2020-12-15 항역류 요관 스텐트 KR102520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456A KR102520440B1 (ko) 2020-12-15 2020-12-15 항역류 요관 스텐트
KR1020230035191A KR102639918B1 (ko) 2020-12-15 2023-03-17 항역류 요관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456A KR102520440B1 (ko) 2020-12-15 2020-12-15 항역류 요관 스텐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191A Division KR102639918B1 (ko) 2020-12-15 2023-03-17 항역류 요관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413A true KR20220085413A (ko) 2022-06-22
KR102520440B1 KR102520440B1 (ko) 2023-04-11

Family

ID=822165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456A KR102520440B1 (ko) 2020-12-15 2020-12-15 항역류 요관 스텐트
KR1020230035191A KR102639918B1 (ko) 2020-12-15 2023-03-17 항역류 요관 스텐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191A KR102639918B1 (ko) 2020-12-15 2023-03-17 항역류 요관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04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107A (ko) * 2002-05-16 2003-11-21 나공찬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US20140012180A1 (en) * 2012-05-01 2014-01-09 Nidus Medical, Llc Peritoneal drain and infusion
KR101415578B1 (ko) * 2013-01-28 2014-07-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JP2018167047A (ja) * 2013-03-14 2018-11-01 バルブ メディカル リミテッド 臨時バルブおよび臨時バルブフィルタ
JP2019025315A (ja) * 2017-07-28 2019-02-21 ジャイラス・エーシーエムア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尿管ステント
KR20190031841A (ko) 2017-09-18 2019-03-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세스 시스
WO2020082321A1 (zh) * 2018-10-26 2020-04-30 新银健康有限公司(新加坡) 防尿液逆流的止流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107A (ko) * 2002-05-16 2003-11-21 나공찬 방광 요관이행부에서의 방광요관역류 방지구
US20140012180A1 (en) * 2012-05-01 2014-01-09 Nidus Medical, Llc Peritoneal drain and infusion
KR101415578B1 (ko) * 2013-01-28 2014-07-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류 방지 기능을 가지는 스텐트
JP2018167047A (ja) * 2013-03-14 2018-11-01 バルブ メディカル リミテッド 臨時バルブおよび臨時バルブフィルタ
JP2019025315A (ja) * 2017-07-28 2019-02-21 ジャイラス・エーシーエムア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尿管ステント
KR20190031841A (ko) 2017-09-18 2019-03-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엑세스 시스
WO2020082321A1 (zh) * 2018-10-26 2020-04-30 新银健康有限公司(新加坡) 防尿液逆流的止流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083A (ko) 2023-03-30
KR102639918B1 (ko) 2024-02-23
KR102520440B1 (ko)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1378B2 (en) Anti-reflux drainage devices and methods
US8088170B2 (en) Ureteral stent
US7041139B2 (en) Ureteral stents and related methods
CN109875733B (zh) 输尿管支架
EP3434308B1 (en) Ureteral stent
US6887215B2 (en) Compressible ureteral stent for comfort
EP1513467B1 (en) Anti-reflux ureteral stents
JP2024091659A (ja) 間欠的尿道カテーテル
JPH0317505B2 (ko)
JP2004505690A (ja) 無バルーン型尿道カテーテル
KR101501445B1 (ko) 요관 스텐트 및 요관 스텐트의 제조방법
JP2024071402A (ja) 尿管ステント
KR102520440B1 (ko) 항역류 요관 스텐트
CN109688974B (zh) 全弓设计
US20140052272A1 (en) Comfort stents
US11224502B2 (en) Ureteral st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80078265A (ko) 스텐트 내부에 원통형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수축-팽창가능형 스텐트
KR19980017609A (ko) 역류 방지수단을 갖춘 스텐트
JP2003135590A (ja) 医療用チューブ
CN113842251A (zh) 一种抗返流的输尿管支架
WO2006037336A1 (en) A medical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enlarged drainage pa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