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8353A -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88353A KR20030088353A KR10-2003-0030068A KR20030030068A KR20030088353A KR 20030088353 A KR20030088353 A KR 20030088353A KR 20030030068 A KR20030030068 A KR 20030030068A KR 20030088353 A KR20030088353 A KR 200300883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fan
- exhaust port
- passage
- case
- 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E03D9/052—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using incorporated f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탈취 장치 내의 전동 팬의 2차측에서 난류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전동 팬(230)과 배구 구멍(144)을 평행하게 설치하여, 유로에 굴곡부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탈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인체의 국부(항문 및 비데)를 세정하는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에는 배설시에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악취를 탈취하는 탈취 장치를 병설하고 있다. 그리하여, 종래의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탈취 장치는 변기의 후방부에 고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획정되어 흡입구 및 배기구를 갖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 내에서 상기 흡입측에 배치된 탈취제와, 상기 통로부 내에서 상기 배기구측에 배치된 전동 팬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 팬 구동시 악취 기체가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탈취제에 흡인되어 무취 기체가 되고, 상기 무취 기체는 상기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팬은 케이스 내에서는 수직 설치의 태양으로 설치되어 있고, 배기구는 케이스의 바닥부에 형성되어 있어, 전동 팬으로부터 이송되어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무취 기체가 통과하는 유로는 대략 역L자형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외부로 배기되어야 할 무취 기체가 통과하는 유로는 대략 역L자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유로의 구석부에 무취 기체가 충돌하여 난류가 발생하고, 전동 팬의 효율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이 야기되지 않는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일실시 태양의 설명을 위해 한 쪽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2는 도1의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다른 쪽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3은 도1의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블럭도.
도4는 도1의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한 쪽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5는 도1의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다른 쪽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6은 케이스 내에 있어서의 호스의 보유 지지 태양을 설명한 도면.
도7은 탈취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8은 탈취 장치에 있어서의 전동 팬의 설치 태양을 설명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변기
14 : 케이스
38 : 기판
40 : 전자 밸브
42 : 급수부
44 : 호스
50 : 온수 탱크
52 : 히터
100 : 드레인 포트(드레인부)
110 : 드레인관(드레인부)
144 : 배기 구멍
200 : 탈취 장치
202 : 통로부
206 : 흡입구
208 : 탈취제
230 : 전동 팬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구한 기술적 수단은 변기의 후방부에 고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획정되어 흡입구 및 배기구를 갖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 내에서 상기 흡입측에 배치된 탈취제와, 상기 통로부 내에서 상기 배기측에 상기 배기구와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전동 팬을 구비하고, 상기 전동 팬 구동시, 악취 기체가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탈취제로 흡입되어 무취 기체가 되고, 상기 무취 기체는 상기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온수 세정 변기 시트장치의 탈취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도1 내지 도8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탈취 장치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10)는 변기(12)의 후방부 상면에 고정되는 케이스(14)를 구비한다. 케이스(14) 내에는 제1 제어 기구(20), 제2 제어 기구(30), 전자 밸브(40), 히터(52)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저류하는 온수 탱크(50) 및 노즐 기구(60)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14)의 내부의 한 쪽측에 배치되는 전자 밸브(40)는 호스(42)를 거쳐서 급수원(70)과, 호스(44)를 거쳐서 온수 탱크(50)와 각각 연결되어 있고, 제1 제어 기구(20)의 작용에 의해 전자 밸브(40)가 개방되면, 온수 탱크(50) 내의 온수를 절환 밸브(66)를 거쳐서 항문 세정용 노즐(62)[비데 세정 노즐(64)]에 공급되고, 항문 세정용 노즐(62)[비데 세정 노즐(64)]을 변기(12) 내로 신장하여, 이 온수가 알려진 바와 같이 항문 세정용 노즐(62)[비데 세정 노즐(64)]로부터 분사되어 사용자의 항문(비데)을 세정한다. 어떤 노즐에 온수가 공급되는지는 절환 밸브(66)의 작용 위치에 의거한다.
온수 탱크(50)는 케이스(14) 내부의 다른 쪽측에 배치된다. 온수 탱크(50) 내의 물은 히터(52)에 의해 가열된다. 수온은 온수 센서(54)에 의해 항상 검지되고 있고, 상기 온도가 신호로서 제2 제어 기구(30)의 CPU(32)로 이송된다. CPU(32)는 수온이 소정치에 달하면 트라이액(34)을 단속시켜 전원(90)으로부터 히터(52)로의 통전 제어를 이루고, 항상 수온을 소정치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온수 탱크(50)는 호스(44), 전자 밸브(40) 및 호스(42)를 거쳐서 급수원(70)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급수원(70)과 호스(42) 사이에는 파이프(72)가 배치되어 있고, 이 파이프(72)의 일단부가 급수원(70)에, 타단부가 호스(42)의 단부(42a)(도3 및 도4)에 직교하는 태양으로 접속되어 있다. 호스(42)는 온수 탱크(50)의 급수부로 되어 있다. 그리하여, 도1, 도2 및 도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파이프(72) 및 호스(42)의 개구부(42a)는 케이스(14)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4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탱크(50)의 우측에는 드레인 포트(10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드레인 포트(100)에는 밸브(도시 생략)가 달린 역L자형의 드레인 파이프(110)(도2에 도시됨)의 한 쪽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드레인 파이프(110)는 케이스(14)의 바닥벽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연장 돌출된다. 드레인 파이프(110)의 타단부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고, 그 하부에 양동이(도시 생략)를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드레인 파이프(110)의 타단부 하부에 양동이를 배치한 후, 밸브를 개방하면 온수 탱크(50) 내의 물이 배출된다. 그리하여, 드레인 파이프(110)의 타단부는 케이스(14)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케이스(14)도 좌측에 위치하는 급수용 파이프(72)와는 반대측에 설치하였으므로, 물 빠짐시에 드레인 파이프(110)의 타단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양동이가 급수용 파이프(72)나 전원 코드(도시 생략)와 간섭하는 일 없이, 물 빠짐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온수 탱크(50)는 2개 부분(50A 및 50B)의 개구 플랜지부(50X 및 50Y)가 서로용착하여 형성되지만, 2개 부분(50A 및 50B)의 접합부 즉 서로 용착된 개구 플랜지부(50X 및 50Y)에 의해 둘러싸이는 면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초래하게 되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즉, 온수 탱크(50)를 구성하는 부분(50A)(50B)은 형 성형되므로, 개구 플랜지부(50X)(50Y) 전체를 투영했을 경우[개구 플랜지부(50X)(50Y)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위를 직각 방향으로부터 투영한 경우], 개구 플랜지부(50X)(50Y)에 있어서 투영 면적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부분(50A)(50B)의 형상을 케이스(14)의 내부 형상이나 케이스(14)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의 형상 및 배치 태양에 따라서 감축 방향으로 변경하여, 무효 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4)의 상면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는, 부분(50A)의 대향 부분을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제어 기구(30)의 CPU(32), 트라이액(34) 및 다른 전자 소자(36)는 기판 케이스(80)에 수용된 기판(38) 상에 고정되어 있다. 트라이액(34) 및 다른 전자 소자(36)를 가교하는 방열판(82)은 단면 역ㄷ자형을 이루고 있고, 이 역ㄷ자형 부분에서 케이스(14) 내부의 한 쪽측으로부터 다른 쪽측으로 연장하여 전자 밸브(40)와 온수 탱크(50)를 연결하는 호스(44)가 협지되어 있다. 그리하여, 트라이액(34) 및 CPU(32) 및 다른 전자 소자(36)는 각각 섭씨 60도 및 40도의 발열을 이루므로, 이 열이 온수 탱크(50) 내로 공급되는 물로 방열된다. 이리하여, 온수 탱크(50) 내로 압송되는 물은 냉수가 아닌 소정 온도까지 높아지고 있으므로, 온수 탱크(50)로부터 토출되어 노즐(62)(64)로부터 분사되는 온수 온도의 저하 시간이 빨라지지 않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냉수가 호스(44)를 통과함으로써 내외 온도차에 의해 야기되는 결로의 염려가 불식되고, 결로에 의해 초래하게 되는 전자 소자류로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4, 도7 및 도8에 의거하여, 탈취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탈취 장치(200)는 통로부(202)를 구비한다. 통로부(202)는 커버(204)를 케이스(14)의 베이스 플레이트(142)의 좌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커버(204)와 베이스 플레이트(142) 사이에 형성된다. 커버(204)에는 변기(12)의 내부측에 위치하는 흡입구(206)가 형성되어 있고, 이 흡입구(206)에는 카트리지형의 탈취제(208)가 삽입 분리 가능하게 장전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42)의 좌측에는 복수의 구멍(144)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144)은 변기(12)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고 있다. 이들의 구멍(144)은 통로부(202)의 배기구를 구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42)의 좌측에는 구멍(144)을 포위하는 태양으로 선단부가 핀(220)으로 된 다이 시트(222)가 복수개 일체 형성되어 있고, 핀(220) 위에는 전동 팬(230) 본체(232)의 주변에 형성된 구멍(234)이 장착된다. 이에 의해, 전동 팬(230)은 배기구인 구멍(144)과 소정의 거리[다이 시트(222)의 높이]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탈취 장치(200)는 케이스(14) 내에 획정되고 또한 흡입구(206) 및 배기구(144)를 갖는 통로부(202)와, 통로부(202) 내에서 흡입구(206)측에 배치된 탈취제(208)와, 통로부(202) 내에서 배기구(144)측에 배기구(144)와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전동 팬(230)을 구비하고 있다. 전동 팬(230)과 탈취제(208) 사이는 1차측 유로(202A)가 되고, 전동 팬(230)과 배기 구멍(144) 사이는 2차측 유로(202B)가 된다.
그리하여, 상기한 노즐 기구(60)의 작동에 의한 국부 세정이 이루어진 후, 도시하지 않은 탈취 스위치가 켜지면, 전동 팬(230)이 구동한다. 그리고, 악취 기체가 흡기구(206)로부터 탈취제(208)에 흡인되어 무취 기체가 되고, 이 무취 기체는 배기구인 구멍(114)으로부터 외부[변기(12)의 내부 공간]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탈취 장치(200)에 있어서는, 기체 흐름의 경로는 흡입구(206) ⇒ 탈취제(208) ⇒ 1차측 유로(202A) ⇒ 전동 팬(230) ⇒ 2차측 통로(202B) ⇒ 배기 구멍(144) ⇒ 화장실 공간이 되지만, 2차측 통로(202B)는 대략 통형으로 되어 있어, 굴곡하여 구석부가 없으므로 기체의 흐름이 난류가 되지 않아 흐름이 원활해지고, 전동 팬(230)에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또한, 배기 구멍(144)이 하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전동팬(230)의 작동음이 주로 변기(12) 방향으로만 전파되어, 화장실 공간에 미치는 일이 적어, 조용한 화장실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구멍(144)을 케이스(14)의 측부에 설치하여, 이와 같은 배기 구멍(144)과 평행하게 전동 팬(230)을 설치해도 좋다.
청구항 1의 발명에 따르면, 전동 팬에 의해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되는 무취 기체는 전동 팬과 배기 구멍 사이에서 난류가 되지 않으므로, 전동 팬에 부하를 부여하여 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Claims (4)
- 변기의 후방부에 고정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획정되어 흡입구 및 배기구를 갖는 통로부와, 상기 통로부 내에서 상기 흡입측에 배치된 탈취제와, 상기 통로부 내에서 상기 배기구측에, 상기 배기구와 대략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전동 팬을 구비하고, 상기 전동 팬 구동시 악취 기체가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탈취제에 흡인되어 무취 기체가 되고, 상기 무취 기체는 상기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탈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통로에는 전동 팬과 탈취제 사이의 1차측 유로와, 전동 팬과 배기 구멍 사이의 2차측 통로가 있고, 2차 통로는 통형으로 되어 있어, 무취 기체를 배출할 때에 난류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탈취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배기구의 일단부와 평행해지도록 전동 팬이 배치되고, 배기구의 타단부는 변기 내부와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탈취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배출구는 변기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하고 있고, 그 배기구의 단부는 케이스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의 탈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137298A JP2003328419A (ja) | 2002-05-13 | 2002-05-13 | 温水洗浄便座装置 |
JPJP-P-2002-00137298 | 2002-05-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8353A true KR20030088353A (ko) | 2003-11-19 |
Family
ID=29699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30068A KR20030088353A (ko) | 2002-05-13 | 2003-05-13 |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30229938A1 (ko) |
JP (1) | JP2003328419A (ko) |
KR (1) | KR20030088353A (ko) |
CN (1) | CN146075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67897A1 (en) * | 2005-09-23 | 2007-03-29 | Graham Richard D Ii |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bowls |
US7676856B1 (en) | 2005-09-23 | 2010-03-16 | Graham Ii Richard D | Deodorizing device for toilet bowls |
DE102012112752A1 (de) * | 2012-12-20 | 2014-06-26 | Duravit Aktiengesellschaft | WC mit einem WC-Körper sowie einer Duscheinrichtung |
US9332885B1 (en) | 2013-10-04 | 2016-05-10 | Felton Todd | Toilet deodorizing device |
DE102021114199A1 (de) | 2020-08-28 | 2022-03-03 | Hamberger Industriewerke Gmbh | Technikbox und WC-Sitzgarnitur |
JP2023183688A (ja) * | 2022-06-16 | 2023-12-28 | Toto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59857A (en) * | 1976-12-20 | 1977-11-29 | Poister Clarence E | Free standing toilet stool ventilating device |
US4558473A (en) * | 1982-03-17 | 1985-12-17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Sanitary cleaning equipment |
DE4132350C2 (de) * | 1990-09-29 | 1996-09-12 | Aisin Seiki | Sanitäre Vorrichtung |
DE69117263T2 (de) * | 1990-11-19 | 1996-09-19 |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 Deodoriervorrichtung und Toilette versehen mit der Vorrichtung |
US5345617A (en) * | 1993-11-12 | 1994-09-13 | Jahner James F | Toilet seat air freshener |
US5454122A (en) * | 1994-04-22 | 1995-10-03 | Bergeron; Donald J. | Toilet ventilator with room air freshener and comfort heater |
-
2002
- 2002-05-13 JP JP2002137298A patent/JP2003328419A/ja active Pending
-
2003
- 2003-05-13 CN CN03123463A patent/CN1460755A/zh active Pending
- 2003-05-13 KR KR10-2003-0030068A patent/KR20030088353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5-13 US US10/436,293 patent/US20030229938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30229938A1 (en) | 2003-12-18 |
JP2003328419A (ja) | 2003-11-19 |
CN1460755A (zh) | 2003-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7114298A1 (ja) |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 |
KR20030088353A (ko) | 온수 세정 변기 시트 장치 | |
JP2008025172A (ja) | 便器 | |
JP2010065455A (ja) | 衛生洗浄装置 | |
KR20130002392A (ko) | 탈취장치를 갖는 양변기 | |
JPH0678858A (ja) | 足洗器 | |
KR20060088521A (ko) |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 |
RU96107472A (ru) | Туалетное сиденье | |
KR200163621Y1 (ko) | 비데의 건조기 구조 | |
JP2007215874A (ja) | 壁付手洗器の取付構造 | |
JP2007285113A (ja) |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 |
JP2010090620A (ja) | 衛生洗浄装置 | |
JPH042139B2 (ko) | ||
JP3361415B2 (ja) | 便 器 | |
JP7205140B2 (ja) | 衛生洗浄装置 | |
JP2000144855A (ja) | 衛生洗浄装置 | |
JPH084080A (ja) | 温水洗浄装置付き便器 | |
JPH0643268Y2 (ja) | 排臭型洋風便器 | |
JPH0444691Y2 (ko) | ||
JPH0616176Y2 (ja) | 温水洗浄便器の電磁弁の構造 | |
JP3518003B2 (ja) | 人体局部洗浄装置の温風乾燥装置 | |
JP2004150122A (ja) | 温水洗浄便座装置 | |
KR20200132297A (ko) | 메인 pba 방수 기능을 갖는 비데 본체 및 비데 본체가 적용된 비데 장치 | |
KR200146941Y1 (ko) | 비데의 에티켓 벨 장치 | |
JP2004089465A (ja) | 泡式シャワー浴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SUBM |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