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4967A - 배선통합형 차량용 백미러 - Google Patents

배선통합형 차량용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4967A
KR20030084967A KR10-2003-7011698A KR20037011698A KR20030084967A KR 20030084967 A KR20030084967 A KR 20030084967A KR 20037011698 A KR20037011698 A KR 20037011698A KR 20030084967 A KR20030084967 A KR 20030084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view mirror
assembly
head
base
piv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쉬우르만스마아텐
길버트로버트
Original Assignee
쉐페낙커 비젼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PR3953A external-priority patent/AUPR395301A0/en
Priority claimed from AUPR3955A external-priority patent/AUPR395501A0/en
Application filed by 쉐페낙커 비젼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쉐페낙커 비젼 시스템즈 오스트레일리아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8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49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에 착설되는 백미러조립체(10)에 관한 것으로,
이는 거울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한 외갑체(36)를 갖는 백미러 헤드(30)와, 외갑체(36)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1내부발포체(37)와, 차량에 착설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또한 백미러 헤드(30)에 연결되거나 백미러 헤드(30)에 일체로 구성되는 백미러 베이스(20)와, 그리고 제1내부발포체(37)내에 배치된 다수의 전도체(32)로 구성되고, 전도체(32)가 발포체(37)내의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배열구성된다.

Description

배선통합형 차량용 백미러 {VEHICLE EXTERNAL MIRROR WIRING INTEGRATION}
다양한 백미러 하우징조립체(mirror housing assembly)의 구성이 많이 알려져있다. 하나의 새로운 백미러 구성이 본원 출원인의 국제특허출원 PCT/AU00/00054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국제특허출원에 기술된 발명은 백미러 하우징 또는 백미러 헤드(head)를 형성토록 내부발포체를 갖는 얇은 플라스틱성형 외갑체를 이용한다. 무게와 코스트를 줄이기 위하여, 발포체 밀도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밀도가 낮으면 발포체내의 응력이 발포체의 지나친 변형 또는 파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내부발포체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하중분산체를 기술하고 있는 상기 언급된 국제특허출원에 의하여 해결된다. 이러한 하중분산체는 발포체내의 응력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백미러조립체, 특히 백미러 헤드는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람이 백미러 헤드에 기대거나 백미러 헤드가 어떠한 물체(기둥과 같은 장애물)에 부딪칠 수 있다.
백미러 헤드의 구조는 베이스(base)와 헤드가 단일 구성체인 간단한 구조로부터 베이스와 헤드가 하나 이상의 협소한 네크(neck)부분으로 분리된 백미러조립체, 또는 헤드가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는 백미러조립체까지 매우 다양하다.
발포체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백미러내의 응력을 조절하는 것은 발포체가 부분적으로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중요하다. 모든 백미러조립체의 구조에서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지만, 이러한 문제점은 네크부분에서 보다 심각하며 또한 베이스에 대하여 헤드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피봇트연결구(pivot connector)가 사용되는 경우에 보다 심각하게 나타난다.
최근의 백미러는 백미러의 거울각도를 조절하는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이러한 전력은 지시등 또는 기타 조명등과 같은 다른 구성을 위해서도 요구된다. 차량본체에 연결되는 배선기구는 전형적으로 외부 백미러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백미러 헤드가 회전형인 경우에, 백미러 배선기구는 피봇트축의 중심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지나게 된다.
피봇트기구는 가능한 한 콤팩트하게 하고 가능한 한 자체수용형으로 구성하여 백미러의 조립이 용이하고 피봇트에 의하여 회전되는 백미러조립체의 부분이 가능한 한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부분의 백미러 구조에서는 백미러가 피봇트기구를 내장하는 것이 좋으므로 가능한한 작은 피봇트기구를 갖는 것이 좋다.
백미러의 배선기구가 제공되고 이러한 배선기구가 백미러조립체의 내부에 이를 통하여 수용되어야 하는 필요성 때문에 백미러조립체는 복잡해지고 코스트가 상승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에 착설되는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발포체로 지지되는 외갑체를 갖는 차량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조립체의 배면측으로부터 본 개략적인 내부구성도.
도 2는 도 1의 백미러조립체의 피봇트조립체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피봇트조립체를 더욱 상세히 보인 분해사시도.
도 4a는 도 1에서 보인 조립체의 반조립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b와 도 4c는 도 4a에서 보인 것과는 다른 조립체의 반조립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 보인 조립체의 반조립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6은 도 1에서 보인 백미러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조립체의 배면측으로부터 본 개략적인 내부구성도.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의 적어도 일부를 극복 또는 개선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성이 적은 백미러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통합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의하면, 차량의 외부에 착설되는 백미러조립체가 제공되는 바, 이 백미러조립체는 거울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외갑체를 갖는 백미러 헤드와, 외갑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1내부발포체와, 차량에 착설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백미러 헤드에 연결되거나 백미러 헤드에 일체로 구성되는 백미러 베이스와, 그리고 제1내부발포체내에 배치된 다수의 전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전도체가 발포체내의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배열되고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도체는 기다란 금속스트립(metal strip)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헤드고정형의 백미러와 베이스에 대하여 헤드가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는 헤드회전형 백미러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헤드고정형 백미러조립체가 사용되는 경우, 백미러조립체는 백미러 헤드와 백미러 베이스를 함께 연결해주는 네크부분을 가지고 있고, 내부발포체와 전도체가 이 네크부분을 통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회전형 백미러조립체가 사용되는 경우, 백미러조립체는 제각기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백미러 헤드와 백미러 베이스를 함께 연결해주는 피봇트조립체를 가지며, 여기서 전도체가 피봇트조립체로부터 발포체측으로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백미러조립체는 내부발포체내에 배치된 전도체를 백미러 베이스내의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봇트조립체는 정지기구를 제공토록 작용하고, 또한 피봇트조립체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발포체내에 배치된 전도체를 백미러 베이스내의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상호 대향된 경사면을 갖는 베이스부분과 헤드부분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의하면, 차량용 백미러조립체가 제공되는 바, 이 차량용 백미러조립체가 차량에 착설할 수 있게 된 백미러 베이스와, 거울을 지지할 수 있게 된 백미러 헤드와, 그리고 백미러 베이스에 인접한 차량배선기구단자와 백미러 헤드 내부의 전기적인 구성부분 사이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전달조립체로 구성되고, 전력전달조립체가 적어도 두개의 전력라인을 가지며, 각 전력라인이 중앙의 기다란 전력전달부와, 전력전달부로부터 연장되고 배선기구단자에 연결될 수 있게 된 제1단자부와, 그리고 전력전달부로부터 연장되고 전기적인 구성부분에 연결될 수 있게 된 제2단자부로 구성되고, 각 전력라인이 연속된 금속구성부분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의하면, 차량용 백미러조립체가 제공되는 바, 이 백미러조립체가 차량에 착설할 수 있게 된 백미러 베이스와, 거울을 지지할 수 있게 된 백미러 헤드와,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백미러 헤드와 백미러 베이스를 연결하는 피봇트조립체와, 그리고 백미러 베이스에 인접한 차량배선기구단자와 백미러 헤드에 착설된 전기적인 구성부분 사이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전달조립체를 가지며, 전력전달조립체가 적어도 두개의 전력라인을 가지며, 각 전력라인은 베이스 세그먼트(base segment)와 헤드 세그먼트로 구성되고, 각 베이스 세그먼트가 제1전력전달부와 제1전력전달부로부터 연장되고 배선기구단자에 연결될 수 있게 된 제1단자부로 구성되며, 각 헤드 세그먼트는 제2전력전달부와 제2전력전달부로부터 연장되고 전기적인 구성부분에 연결될 수 있게 된 제2단자부로 구성되고, 각 세그먼트가 연속된 금속구성부분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의하면, 차량용 백미러조립체가 제공되는 바, 이 백미러조립체가 차량에 착설할 수 있게 된 백미러 베이스와, 거울을 지지할 수 있게 된 백미러 헤드와, 그리고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백미러 헤드와 백미러 베이스를 연결하는 피봇트조립체를 가지며, 피봇트조립체가 백미러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게 된 베이스부분과, 백미러 헤드에 결합될 수 있게 된 헤드부분과, 스프링조립체와, 헤드부분이 베이스부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분과 헤드부분을 통하여 연장된 피봇트 핀과, 그리고 베이스부분과 헤드부분상의 내부결합정지장치로 구성되며, 스프링조립체가 정지장치를 탄지하고, 피봇트 핀이 단일체핀(solid pin)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차량의 외부에 착설되는 백미러조립체(10)는 베이스(20)에 착설되는 헤드(30)로 구성된다. 피봇트연결구(50)가 베이스(20)를 헤드(30)에 연결토록 제공되어 이들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백미러 헤드(30)는 내부에 발포체(37)로 채워지는 외갑체(36)로 구성된다. 모터기구(40)가 발포체(37)에 의하여 백미러 헤드(30)내에 고정된다. 이 모터기구(40)는 거울(도시하지 않았음)을 지지하고 헤드에 대하여 거울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특히, 차량의 전기시스템에 의하여 전력이 공급되는 모터(42)가 수평 및 수직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거울을 구동시킴으로써 운전자가 그의 후방시계(rear view)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최종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백미러 헤드(30)에는 또한 전기적인 악세서리를 꽂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6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콘센트는 램프나 기타 악세서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깜박이등, 차량보안등, 원격처리인터페이스 시스템, 위치추적시스템 항법보조기구, 비디오 카메라 및/또는 레이더와 같은 근접감지장치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피봇트연결구(50)로부터는 도 1 및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은 전도체(22)(32)가 연장되어 있다. 이들 전도체는 두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로 이들은 백미러 헤드내의 전기부품(모터기구 40내의 모터 42)에 전력을 공급하고, 둘째로 이들은발포체(27)내의 응력을 분산한다. 이는 특히 피봇트연결구(50)의 부분에서는 중요하다.
전도체(22)(32)는 전도성이며 약간 경질인 물질로 구성된다. 이는 이들이 발포체로부터 연결구(50)측으로 하중을 전달하여 발포체(27)(37)내에서 일어나는 지나친 응력집중을 방지한다. 또한 전도체(22)(32)는 다른 배선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하며, 또한 백미러 베이스(20)와 백미러 헤드(30)내에서 발포체(27)(37)를 통하여 통로 또는 도관을 연장시킬 필요가 없게 한다.
전도체(22)(32)는 프레스(press)된 금속스트립 또는 바아(bar)의 형태로 구성된다. 발포체에 대하여 접할 수 있는 지지면이 큰 단면을 갖는 전도체가 바람직하다. 이는 발포체내에서 최대응력레벨을 낮추는데 도움을 주며 발포체와의 접착을 양호하도록 한다.
도 2에서, 캡(16)(17)은 발포체가 피봇트연결구(5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도 2에서는 도면을 간단히 표현하기 위하여 전도체(22)(32)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3에서, 피봇트연결구(50)가 4개의 구성부분, 즉 상부디스크(51), 하부디스크(21), 축(55) 및 디스크 스프링(58)으로 구성된 것을 볼 수 있다.전도체(32)(22)는 각각 상부디스크(51)와 하부디스크(21)로부터 연장된다. 전도체(32)(22)의 방향과 길이는 특정한 백미러조립체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확히 배향된 전도체(32)(22)는 피봇트연결구(50)로부터의 하중을 각각 베이스와 헤드의 발포체(27)(37)측으로 분산시킬 것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전도체의 길이를 특정한 사양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통공을 갖는 전도체의 반조립체를 보이고 있다. 도 4c는 전도체가 연신된 상태에 있음을 보이고 있다. 통공(도 4b와 도 4c에서 보임)들은 피봇트연결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전도체의 유연성이 최종조립체에서 피봇트 축선으로부터 멀리 떨어질 수록 감소되도록 한다. 전도체(22)는 단부(23)에서 끝난다. 이들 단부는 표준형의 차량용 전기연결플러그의 형태로 되어 있다.
전도체(32)와 전도체(22)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은 경사면(57)(52)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경사면은 또한 사용위치에서 상부 및 하부 디스크(51)(21)를 일정한 각도로 배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정지기구를 제공한다. 백미러가 "제켜지거나" 또는 "주차위치"에 놓이는 경우에 상부디스크(51)와 하부디스크(21)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회전이 일어나는 경우, 두 구성부분도 역시 이들이 경사면을 따라서 미끄럼운동할 때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백미러가 "제켜지거나" 또는 "주차위치"에 놓이는 경우, 전도체(32)(22)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차단된다. 그러나, 이는 백미러가 제켜지거나 또는 주차위치에 놓이는 경우 백미러 헤드내의 전기적인 구성부분이 사용될 필요가 없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백미러가 사용위치로 복귀될 때 일측 경사면이 타측 경사면에 대하여 미끄럼운동함으로써 두 면 사이의 양호한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정지장치/전기연결구성은 통상적으로 상하 디스크(51)(21)를 연결하는 원통형의 피봇트 핀을 요구하는 배선기구와 배선기구도관의 필요성이 없도록 한다. 단일체의 피봇트 핀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 2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보다 콤팩트하게 모듈화된 피봇트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 보인 백미러조립체(10)를 구성하는 한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금속시이트의 블랭크를 타발하여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은 형상으로 프레싱한다. 이러한 반조립체에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 단계에서 전도체(22)(32)가 결합된다. 이후의 제작단계에서, 스탬핑 또는 컷팅하여 전도체를 분리하도록 한다.
도 4a에서, 하부디스크(21)는 전도체(22)(32)의 둘레에 "인써트 몰딩(insert moulding)"된다. 경사면(52)은 노출되게 남는다. 다른 구성이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통공(24)들이 전도체(22)내에 형성된다(인써트 몰딩전이 가장 편리함). 여기에서는 전도체(22)가 중앙의 하부디스크(21)로부터 당기어져 연신됨으로써 전도체의 길이가 연장되어(도 4c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들이 결합되는 백미러조립체에 맞추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하중분산체인 전도체의 강도가 피봇트 핀으로부터 멀어질 수록 감소한다.
도 6은 백미러조립체(10)를 분해하여 보인 것이다.
전도체가 결합되는 백미러조립체(10)의 구조와 제작방법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얇은 외갑체(26)(36)는 내부발포체(27)(37)와 함께 사용되며, 이들 발포체는 외갑체를 지지하고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외갑체의 두께는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외갑체가 가벼운 압력하에서도 눌리거나 굽혀질 수 있을 정도이다. 또한 외갑체 부분은 간단히 발포체를 피복하는 정도의 간단한 필름형태의 재질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백미러의 상세한 구성과 그 개선점 그리고 제작방법이 본원 출원인의 국제특허출원 PCT/AU00/00054 및 PCT/AU01/00664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백미러조립체내의 전통적인 배선기구를 연속된 기다란 중간구성부분으로 대체함으로써 설계상 상당한 융통성이 있을 수 있다. 구성부품의 수가 감소됨은 물론 전기적인 연결부의 수도 감소된다. 전통적인 배선기구는 연결구가 단부에 프레스되거나 그밖의 방법으로 부착되는 스트랜드 배선(stranded wiring)을 포함한다. 이와는 반대로 연속형의 금속스트립을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연결부를 생략할 수 있다.금속스트립은 이들의 양단부가 일측단부에서는 차량의 주배선기구에 직접 꽂을 수 있고, 타측단부에서는 백미러 헤드내의 모터기구 또는 램프 또는 기타 다른 악세서리에 직접 꽂을 수 있는 연결구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정형화 되어 있다.
도 7은 회전형이 아닌 고정형의 백미러 헤드가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형태에서, 기다란 금속스트립의 형태인 전력라인은 백미러 베이스에 인접하여 배치된 배선기구단자로부터 백미러 헤드내의 전기적인 구성부분에 직접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미러조립체내의 전통적인 배선기구를 전력라인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기다란 금속스트립으로 대체함으로써 백미러구성에 상당한 이점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전기적인 연결부의 수도 줄일 수 있으며, 전력라인은 발포체의 유무에 관계없이 구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오스트레일리아 특허출원 PR3955 "Vehical external mirror wiring integration"에는 베이스로부터 헤드측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정지장치의 표면에 착설된 접점을 갖는 피봇트조립체가 기술되어 있다. PR3955에 기술된 이들 구성과 다른 구성들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으며, PR3955의 기술내용은 그 전체가 본 발명에 인용된다.
오스트레일리아 특허출원 PR3953 "Modular pivot using central pivot pin"에는 단일체의 피봇트 핀을 이용하는 피봇트기구가 기술되어 있다. PR3953에 기술된 이들 구성과 다른 구성들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으며, PR3953의 기술내용은 그 전체가 본 발명에 인용된다.
오스트레일리아 특허출원 PR8300 "External vehicle mirror having self-loading pivot"에는 백미러 베이스에 대한 백미러 헤드의 초기회전이 스프링의 프리-로딩(pre-loading)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기로딩(self-loading)형의 피봇트기구를 갖는 백미러조립체가 기술되어 있다. PR8300에 기술된 이들 구성과 다른 구성들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으며, PR8300의 기술내용은 그 전체가 본 발명에 인용된다.
국제특허출원 PCT/AU00/00413 "Method of producing a plastic moulded part including a film covering"에는 접착형의 성형외갑체로서, 그 외부에 얇은 필름구성부분을 접착시킨 성형구성물을 구성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중공형의 구성부분(예를 들어 헤드와 베이스의 외갑체)을 성형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그 내용 전체가 본 발명에 인용된다.
오스트레일리아 특허출원 PR6683 "Foldable vehicle external mirror having auxiliary mirror"에는 백미러 헤드의 단부측에 착설되는 보조거울을 갖는 차량용백미러가 기술되어 있다. 보조거울은 백미러 헤드가 접힌 상태에서 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한다. PR6683에 기술된 이들 구성과 다른 구성들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으며, PR6683의 기술내용은 그 전체가 본 발명에 인용된다.
오스트레일리아 특허출원 PR6204 "Mirror heater"에는 거울의 표면을 가열하여 제빙 또는 제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히팅조절시스템과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히팅과정은 차량엔진의 시동시에 개시되고, 사전에 설정된 시순(time sequence)과 거울의 실측 온도에 따라서 시행된다. 이들 구성과 다른 구성들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으며, PR6204의 기술내용은 그 전체가 본 발명에 인용된다.
또한 백미러 베이스(취부브라킷트(mounting bracket)) 및/또는 백미러 헤드에 다른 구성요소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로서는 차량의 백미러가 어떠한 장애물에 근접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감지와, 외부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움직임 검출기와 같은 차량보안시스템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감지기와 같은 전자감지기들을 포함한다. 다른 여러 전자장비, 예를 들어 차량의 둘레를 조명하는 램프, 또는 지향성 조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차량내부에서 램프를 움직일 수 있도록 조절되는 램프 등이 백미러 베이스(취부브라킷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차량외부의 사람들과 통화하는데 사용되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이 결합될 수도 있고 또한 이동전화, GPS 장치 및 기타 다른 무선통신장치용 안테나가 결합될 수도 있다. 그외에도, 차고의 문과 같은 외부물체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추적 또는 위치추적에 이용되는 무선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송신기가 취부브라킷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각종 통행료지불 전자등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통행료지불시스템 또는 원격처리시스템과 같은 전자장치가 취부브라킷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전후를 주시하여 연속적으로 디지털이미지를 기록하고 명령에 따라서 또는 사고발생시 그 결과로서 이들 이미지를 저장하는 카메라가 백미러 베이스(취부브라킷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가속도계와 같은 운동감지기가 사고발생을 검출하도록 사용되어 사고전후의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수정실시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차량의 외부에 착설되는 백미러조립체에 있어서, 이 백미러조립체가 거울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외갑체를 갖는 백미러 헤드와, 외갑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제1내부발포체와, 차량에 착설될 수 있게 되어 있고 백미러 헤드에 연결되거나 백미러 헤드에 일체로 구성되는 백미러 베이스와, 그리고 제1내부발포체내에 배치된 다수의 전도체로 구성되고, 전도체가 발포체내의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배열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전도체가 기다란 금속스트립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미러조립체가 백미러 헤드와 백미러 베이스를 연결하는 네크부분을 더 가지며, 내부발포체와 전도체가 이 네크부분을 통하여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백미러조립체가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백미러 헤드와 백미러 베이스를 연결하는 피봇트연결구를 더 가지며, 전도체가 피봇트조립체로부터 발포체측으로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백미러조립체가 내부발포체내에 배치된 전도체를 백미러 베이스내의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피봇트조립체가 정지기구를 제공토록 작용하고, 또한 피봇트조립체를 통하여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부발포체내에 배치된 전도체를 백미러 베이스내의 전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상호 대향된 경사면을 갖는 베이스부분과 헤드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7. 제4항-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백미러 베이스가 제2내부발포체를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백미러 베이스의 제2내부발포체내에 배치되는 다수의 전도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9. 제6항-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봇트조립체가 헤드부분이 베이스부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분과 헤드부분을 통하여 연장되는 피봇트 핀을 더 포함하며, 피봇트 핀이 단일체 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피봇트 핀이 단일체의 원통형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11. 차량용 백미러조립체에 있어서, 이 차량용 백미러조립체가 차량에 착설할 수 있게 된 백미러 베이스와, 거울을 지지할 수 있게 된 백미러 헤드와, 그리고 백미러 베이스에 인접한 차량배선기구단자와 백미러 헤드내부의 전기적인 구성부분 사이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전달조립체로 구성되고, 전력전달조립체가 적어도 두개의 전력라인을 가지며, 각 전력라인이 중앙의 기다란 전력전달부와, 전력전달부로부터 연장되고 배선기구단자에 연결될 수 있게 된 제1단자부와, 그리고 전력전달부로부터 연장되고 전기적인 구성부분에 연결될 수 있게 된 제2단자부로 구성되고, 각 전력라인이 연속된 금속구성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전력라인이 기다란 금속스트립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백미러 헤드와 백미러 베이스를 연결하는 네크부분을 더 포함하고, 전력전달부가 이 네크부분을 통하여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백미러 헤드가 외갑체와 이 외갑체를 지지하는 내부발포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발포체내에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기다란 금속스트립이 배열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16. 차량용 백미러조립체에 있어서, 이 백미러조립체가 차량에 착설할 수 있게 된 백미러 베이스와, 거울을 지지할 수 있게 된 백미러 헤드와,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백미러 헤드와 백미러 베이스를 연결하는 피봇트조립체와, 그리고 백미러 베이스에 인접한 차량배선기구단자와 백미러 헤드에 착설된 전기적인 구성부분 사이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전달조립체를 가지며, 전력전달조립체가 적어도 두개의 전력라인을 가지며, 각 전력라인은 베이스 세그먼트와 헤드 세그먼트로 구성되고, 각 베이스 세그먼트가 제1전력전달부와, 제1전력전달부로부터 연장되고 배선기구단자에 연결될 수 있게 된 제1단자부로 구성되며, 각 헤드 세그먼트는 제2전력전달부와, 제2전력전달부로부터 연장되고 전기적인 구성부분에 연결될 수 있게 된 제2단자부로 구성되고, 각 세그먼트가 연속된 금속구성부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17. 제2항에 있어서, 피봇트조립체가 정지기구를 제공토록 작용하고, 또한 이 피봇트조립체를 통하여 전력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도체들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상호 대향된 경사면을 갖는 베이스부분과 헤드부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전력라인이 기다란 금속스트립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19. 제18항에 있어서, 백미러 헤드가 외갑체와 이 외갑체를 지지하는 내부발포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발포체내에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기다란 금속스트립이 배열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21. 제16항에 있어서, 피봇트조립체가 헤드부분이 베이스부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분과 헤드부분을 통하여 연장되는 피봇트 핀을 더 포함하며, 피봇트 핀이 단일체 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22. 제21항에 있어서, 피봇트 핀이 단일체의 원통형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스프링조립체가 하나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24. 차량용 백미러조립체에 있어서, 이 백미러조립체가 차량에 착설할 수 있게 된 백미러 베이스와, 거울을 지지할 수 있게 된 백미러 헤드와, 그리고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백미러 헤드와 백미러 베이스를 연결하는 피봇트조립체를 가지며, 피봇트조립체가 백미러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게 된 베이스부분과, 백미러 헤드에 결합될 수 있게 된 헤드부분과, 스프링조립체와, 헤드부분이 베이스부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베이스부분과 헤드부분을 통하여 연장된 피봇트 핀과, 그리고 베이스부분과 헤드부분상의 내부결합정지장치로 구성되며, 스프링조립체가 정지장치를 탄지하고, 피봇트 핀이 단일체 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피봇트 핀이 단일체의 원통형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스프링조립체가 하나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조립체.
KR10-2003-7011698A 2001-03-26 2002-03-26 배선통합형 차량용 백미러 KR200300849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R3953A AUPR395301A0 (en) 2001-03-26 2001-03-26 Modular pivot using central pivot pin
AU?PR3953? 2001-03-26
AUPR3955A AUPR395501A0 (en) 2001-03-26 2001-03-26 Vehicle external mirror wiring integration
AU?PR3955? 2001-03-26
PCT/AU2002/000352 WO2002076791A1 (en) 2001-03-26 2002-03-26 Vehicle external mirror wiring integ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4967A true KR20030084967A (ko) 2003-11-01

Family

ID=2564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698A KR20030084967A (ko) 2001-03-26 2002-03-26 배선통합형 차량용 백미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94443B2 (ko)
EP (1) EP1373020A4 (ko)
JP (1) JP2004533953A (ko)
KR (1) KR20030084967A (ko)
WO (1) WO2002076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PR602101A0 (en) 2001-07-02 2001-07-26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Auto dimming vehicle mirror
NL1019524C2 (nl) 2001-12-07 2003-06-11 Iku Holding Montfoort Bv Spiegelverstelmechanisme met elektrische verbinding.
WO2004035351A1 (en) * 2002-10-15 2004-04-29 Schefenacker Vision Systems France S.A. Rearview mirror assembly
US20090128352A1 (en) * 2003-11-10 2009-05-21 Urick Kirk B Automated hands-free event initiation in response to position or operational status of vehicle
US8220866B1 (en) 2006-05-22 2012-07-17 Ifm Limited, Llc Assembly for vehicles including adjustable mirrors
US7963590B2 (en) * 2006-05-22 2011-06-21 Ifm Limited, Llc Assembly for vehicles including adjustable mirrors
NL1034697C2 (nl) * 2007-11-14 2009-05-20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Montageconstructie voor een buitenspiegeleenheid.
EP2399778B1 (de) * 2010-06-28 2013-01-02 SMR Patents S.à.r.l. Außenrückblickspiegelanordnung
US11135976B2 (en) * 2019-09-20 2021-10-05 Honda Motor Co., Ltd. Vehicle door mirr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18365U (de) * 1972-08-31 Hohe Kg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Kraftfahrzeuge
DE2826974A1 (de) * 1978-05-12 1980-01-17 Licentia Gmbh Aussenspiegel fuer kraftfahrzeuge
DE4429604A1 (de) * 1994-08-20 1996-02-22 Mekra Rangau Plastics Außenspiegel für Kraftfahrzeuge
DE29722304U1 (de) 1996-12-20 1998-04-16 Hohe Gmbh & Co Kg Spiegelbaugruppe
CA2198267C (en) * 1997-02-21 2001-02-06 Heinrich Lang External mirror for motor vehicles
AUPP849099A0 (en) * 1999-02-05 1999-02-25 Britax Rainsfords Pty Ltd Vehicle external mirror housing
US6483048B1 (en) * 2000-07-25 2002-11-19 Textron Automotive Company, Inc. Automotive trim panel with electrical wiring incorporated there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90690A1 (en) 2004-05-13
EP1373020A4 (en) 2005-10-26
JP2004533953A (ja) 2004-11-11
US6994443B2 (en) 2006-02-07
EP1373020A1 (en) 2004-01-02
WO2002076791A1 (en) 200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8528B2 (en) Vehicular rearview mirror assembly with spring-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6146003A (en) Mod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7858905B2 (en) Vehicular mirror with heater circuit module
US6007222A (en) Modular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6139083A (en) Sliding core visor
KR20030084967A (ko) 배선통합형 차량용 백미러
EP0331744A1 (en) Apparatus for driving remote-control vehicular mirror
CN108749974B (zh) 智能自行车车把及其中控装置
US20020063978A1 (en) Adjus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mirror with contactor
JPS5937396Y2 (ja) 自動車のアウタ−ミラ−の角度調整装置
KR20010040013A (ko) 자동차용 내부 백미러
KR20030084985A (ko) 자기로딩형의 피벗과 단부정지부를 갖는 차량용 백미러
KR20030079984A (ko) 백미러 취부조립체
US11377011B2 (en) Vehicle holding unit
JP2003503265A (ja) ダッシュボードサブアセンブリ、特に自動車のダッシュボードコンソールの製造方法
US20040160123A1 (en) Combined four way and seven way connector assembly for use with a vehicle and for accommodating a trailer tow package and which in particular incorporates circuit protection and power switching capability
AU2002240712B2 (en) Vehicle external mirror wiring integration
EP1128986B1 (en) Electrically controlled mirror for a motor vehicle
AU2002240712A1 (en) Vehicle external mirror wiring integration
CN107089196B (zh) 用于车辆后视装置的后视元件的调节系统
JP2004503436A (ja) 車両ミラー制御回路装置
US20050141116A1 (en) Mirror adjustment mechanism with electrical connection
CN220798420U (zh) 一种摄像模组、监测装置及车辆
CN220186478U (zh) 监控设备
US20050146802A1 (en) Modular pivo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