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329A - 차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329A
KR20030083329A KR1020020021816A KR20020021816A KR20030083329A KR 20030083329 A KR20030083329 A KR 20030083329A KR 1020020021816 A KR1020020021816 A KR 1020020021816A KR 20020021816 A KR20020021816 A KR 20020021816A KR 20030083329 A KR20030083329 A KR 20030083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microprocessor
information
li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5124B1 (ko
Inventor
김영애
Original Assignee
김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애 filed Critical 김영애
Priority to KR10-2002-002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1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8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내의 각 부품의 수명과 고장정도를 미리 예측하여 운전자 또는 차량 관리자에게 알려줌과 더불어 운전자의 운전습관 및 운전자의 운전경로를 분석하여 운전자 또는 차량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한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각 전기계 및 전자계통에 공급되는 전원 및 신호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차량의 속도와 이동거리 및 회전을 감지하는 가속도/자이로 모듈; 상기 측정수단 및 가속도/자이로 모듈로부터의 신호 및 상기 차량내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전처리를 행하는 신호 전처리수단; 멀티플렉서를 통해 교번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신호 전처리수단 및 가속도/자이로 모듈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다수의 신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의 상태 및 수명을 예측한 후에 그 예측된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고, GPS모듈로부터의 차량의 현재 위치 신호 및 상기 가속도/자이로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상대 이동거리와 속도변화량과 회전각도 및 운전방향변화량을 산출한 후에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운전패턴 및 습관을 분석하여 그 분석된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의 상태 및 수명에 관한 예측 정보와 상기 운전자의 운전패턴 및 습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수단을 구비하여, 각 부품의 수명과 고장정도를 미리 예측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전 사고및 고장으로 인한 시간손실 및 도로체증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차량 관리 시스템{Vehicle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을 관리하기 위한 차량 상태 감시기능 및 이력기록과 차량의 수리 및 검사 등을 편리하게 하는 안내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며, 운전자의 운전습관 및 운전자의 운전경로를 분석하여 안내하는 기능 및 차량의 현재위치와 가까운 타깃장소를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관리기는 차량의 주행거리나 사용시간을 이용하여 차량의 소모품을 일괄적으로 관리 교체하여 아직 쓸 수 있는 부품들은 낭비하게 하고, 많이 망실된 부품들은 안전에 문제를 일으키게 하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 등장한 차량 진단기들은 확정적인 고장 상태에 대해서만 그 내용을 알 수 있어 부품을 미리 교체 할 수가 없어 불편함이 있고, 그로 인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가 어렵다.
또한,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분석하여 안내하는 기능을 가진 차량 관리기는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미리 차량내의 각 부품의 수명과 고장정도를 예측하여 운전자 또는 차량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한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운전습관 및 운전자의 운전경로를 분석하여 운전자 또는 차량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며,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가장 가까운 타깃장소(주유소, 정비소 등)안내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채용되는 차량의 전기배선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압/전류 센싱부에서 행해지는 신호채취 동작을 설명하는데 적용되는 일예의 회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압/전류 센싱부에서 행해지는 신호채취 동작을 설명하는데 적용되는 다른 예의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채용되는 차량의 운전궤적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채용되는 전조등램프의 전원공급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채용되는 전조등 수명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채용되는 과도 전압공급상태에서의 기준전압과 과도전압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채용되는 정상적인 전원공급시의 차량 수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 채용되는 과도상태에 의한 차량 수명단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압/전류 센싱부12 : 트로틀 각도센서
14 : 온도센서16 : 속도센서
18 : 타이머20 : 연료량 측정센서
22 : GPS 모듈24 : 가속도/자이로 모듈
26 : 신호전처리부28 : 멀티플렉서
30 : A/D컨버터32 : 음성인식/합성부
34 : 스피커/마이크36 : 디스플레이부
38 : 키입력부40 : 외부통신부
42 : 메모리44 :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각 전기계 및 전자계통에 공급되는 전원 및 신호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차량의 속도와 이동거리 및 회전을 감지하는 가속도/자이로 모듈; 상기 측정수단 및 가속도/자이로 모듈로부터의 신호 및 상기 차량내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전처리를 행하는 신호 전처리수단; 멀티플렉서를 통해 교번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신호 전처리수단 및 가속도/자이로 모듈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다수의 신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의 상태 및 수명을 예측한 후에 그 예측된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고, GPS모듈로부터의 차량의 현재 위치 신호 및 상기 가속도/자이로 모듈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상대 이동거리와 속도변화량과 회전각도 및 운전방향변화량을 산출한 후에 상기 차량의 운전자의 운전패턴 및 습관을 분석하여 그 분석된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의 상태 및 수명에 관한 예측 정보와 상기 운전자의 운전패턴 및 습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가속도/자이로 모듈과 GPS모듈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관리 시스템을 좀더 정확하고 폭넓게 활용하기 위하여 별도로 부가되는 구성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차량의 부하 전원 공급선 또는 제어신호선에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차량의 각 전기계 및 전자계통에 공급되는 전원 및 신호의 상태를 측정하는 전압/전류 센싱부(10); 트로틀 밸브의 개방 각도를 센싱하는 트로틀 각도센서(12); 차량내의 온도를 센싱하되, 그 센싱된 값은 차량내에 설치되는 각각의 센서의 값에 대한 보정치로 사용되는 온도센서(14); 차량의 주행 속도를 센싱하는 속도센서(16); 시간데이터를 제공하는 타이머(18); 차량에 현재 잔존하는 연료량을 측정하는 연료량 측정센서(20); 차량의 현재 주행 위치를 감지하는 GPS모듈(22); 차량의 속도와 이동거리 및 회전을 감지하는 가속도/자이로 모듈(24); 상기 전압/전류 센싱부(10)와 트로틀 각도센서(12)와 온도센서(14)와 속도센서(16)와 연료량 측정센서(20) 및 가속도/자이로 모듈(24)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전처리를 행하는 신호 전처리부(26); 신호 전처리부(26)에서 출력되는 다수 채널의 신호를 교번적으로 입력받아 출력하는 멀티플렉서(28); 멀티플렉서(28)를 통해 교번적으로 입력되는 신호 전처리부(26)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30); 스피커/마이크(34)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소정의 음성을 인식하고 외부로 출력시키기 위해 생성한 알림용 음성메시지를 합성하여 스피커/마이크(34)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인식/합성부(32); 소정의 알림용 문자메시지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36); 각 부품, 전기계 및 전자계통에 공급되는 전원 및 신호의 정상적인 값을 입력하거나 또는 주차위반 사항이나 주차료관리, 벌금, 차량검사 등과 같이 차량상태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정보들을 키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38); 각 부품, 전기계동 및 전자계통에 공급되는 전원 및 신호의 정상적인 값이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차량의 각 부품의 상태 및 수명에 대한 예측정보가 저장되고 차량 운전자의 운전패턴 및 습관에 대한 분석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42); 상기 A/D컨버터(30)를 통해 입력되는 다수의 신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차량의 각 부품의 상태 및 수명을 예측한 후에 그 예측된 정보를 메모리(42)에 저장하고 필요 시 또는 위급 시에 출력하고, 가속도/자이로 모듈(24) 및 GPS모듈(22)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상대 이동거리와 속도변화량과 회전각도 및 운전방향변화량을 산출한 후에 차량 운전자의 운전패턴 및 습관을 분석하여 그 분석된 정보를 메모리(42)에 저장하고 필요시에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4);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44)와 차량내 각 전자제어장치(ECU) 사이에 설치되어 OBDII, RS232프로토콜 또는 CAN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차량내 각 전자제어장치(ECU)의 진단포트를 통해 입력되는 차량의 고장상태 정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게로 전달하는 외부통신부(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전압/전류 센싱부(10)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각 부하의 상태 및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근거 신호를 출력한다. 먼저, 접촉식으로 각 부하의 상태 및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근거 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각 전기계통 부하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원의 비반전단자(+)에 해당하는 배터리 전원(Vbat)과 반전단자(-)에 해당하는 공통(COMMON)접지선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차량의 각 부하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퓨즈를 통해 구동 스위치를 거쳐서 부하를 통과하여 공통접지선으로 연결되는 폐루프를 이룬다.
도 2의 배선도를 보면, 각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Vbat)은 부하(Load)와 구동 스위치, 퓨즈, 배선에 걸리는 전압강하의 합과 같다. 아래 모든 식은 구동 스위치가 닫혔을 때를 나타낸다.
Vb = Vl + Vf + Vs + Vh
여기서, Vb은 밧데리 공급전압이고, Vl은 부하의 전압강하이며, Vf는 퓨즈의 전압강하이고, Vs는 스위치 전압강하이며, Vh는 하네스(harness)(배선과 커넥터) 전압강하를 나타낸다.
그리고 전체 폐회로에 흐르는 전류(I)는 각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총합과 같다.
I = Il1+Il2+..............+Iln
여기서, 각 부하전류는 Ili, i=1,2,3,...,n 이다.
차량의 각 부품의 손상이나 경화는 사용시간이 많아서 자연 경화되거나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과도하거나 이상이 생길 때 및 기계적인 충격 등에 의해 망실된다.
그리고, 손상되거나 경화의 결과는 전기적인 주요특성인 부하의 저항(교류,직류 특성포함)변화로 나타난다.
따라서, 각 부하의 상태와 수명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각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Vbat)의 상태와 변화량, 각 부하의 저항상태와 변화량을 알아야 한다.
도 2의 배선도를 보면,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Vbat)의 상태가 변화하거나 각 부하의 저항상태가 변화하면 각 부하에 연결된 폐회로에 흐르는 전류(Ili)가 바뀐다. 즉, 각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Vbat)의 상태와 변화량, 각 부하의 저항상태와변화량을 알기 위해서는 각 부하의 폐회로에 흐르는 전류/전압의 상태와 변화량을 측정하면 된다.
도 3은 도 2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전기배선도에서 각 부하의 상태를 알기 위하여 퓨즈의 전/후에 분압회로와 가산기(A)를 연결하여 전원의 상태 및 신호의 상태를 채취하는 회로도로서, 도 2에 나타낸 여러 부하(L1,L2,....,Ln)의 폐회로 중 하나만을 따로 표현한 것이다. 나머지도 원리는 같다.
먼저, 상술한 수학식(1)에서 스위치와 커넥터에 걸리는 전압강하 Vs 와 Vh가 아주 작다고 가정하면 수학식(1)은 수학식(3)으로 표현된다.
Vb = Vl + Vf
그리고, 도 3에서 출력식을 유도해보면 수학식(4) 및 수학식(5)가 된다.
Vo = Vo1 + Vo2
Vo1 = [R2/(R1+R2)]*(Vl+Vf)
= [R2/(R1+R2)]*Vb
= K1*Vb
여기서 K1=[R2/(R1+R2)]이다.
Vl = [Rl/(Rl+Rf)]*Vb
여기서, Rl은 부하저항이고, Rf는 퓨즈저항으로도 표현되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Vo2 = [R4/(R3+R4)]*(Vl)
= [R4/(R3+R4)]*[Rl/(Rl+Rf)]*Vb
= K2*K3*Vb
여기서 K2=[R4/(R3+R4)]이고,K3=[Rl/(Rl+Rf)]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수학식(1)에서 수학식(6)까지의 식을 이용하여 표현하면 수학식(8)이 된다.
Vo = K1*Vb + K2*K3*Vb
= (K1 + K2*K3)*Vb
이제부터는, 부하의 상태와 수명에 영향을 주는 전원전압의 변동과 경화나 충격에 따른 부하의 저항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설명한다.
첫 번째는, 부하의 변동은 없고 전원전압의 변동이 있을 때를 고려한다. 즉, Vb가 Vb ±b 로 변한다고 가정할 때 전압/전류센싱부의 가산기출력 상태를 본다.
상술한 수학식(8)에서 Vb의 값이 Vb ±Vb 로 변화하므로 이를 그대로 대입하면 그 변화량이 되며, 하기의 수학식(9)으로 나타낼 수 있다.
Vb)
= K1*(Vb ±Vb) + K2*K3*(Vb ±Vb)
= (K1 + K2*K3)*Vb ±(K1 + K2*K3)*Vb
상기 수학식(9)에 의하여 정상적인 상태에 비하여 ±(K1+K2*K3)*Vb 만큼의 변화가 측정됨을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전원전압은 정상적이고 부하저항의 변화에 따른 출력의 변화를 살펴본다. 즉 Rl, Rf가 각각 Rl ±Rl , Rf ±Rf로 변했다고 가정한다. Rf의 변화량은 퓨즈의 저항 변화로 조금씩 경화되는 것이 아니고 정상 상태일 때는 일정저항을 유지하다가 과부하시는 끊어져서 무한대로 변하므로 먼저 Rl가 Rl ±Rl로 변화 할 경우를 살펴보고 퓨즈 단선 시 출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적용해본다.
정상상태일 때 부하에 흐르는 전류는 하기의 수학식(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Il = Vb/(Rl+Rf)
여기서 Il은 부하에 흐르는 전류이다.
Rl이 Rl ±Rl로 변화하면 부하로 흐르는 전류Il는 Il ±Il로 변화하며 이를 대입하면 수학식(11)이 된다.
Il = Vb/(Rl ± Rl + Rf)
이때, 수학식(6)에 있는 부하에 걸리는 전압 Vl을 보면 하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Vl =(Rl ± Rl)/(Rl ± Rl + Rf)
즉, 부하에 걸리는 전압강하의 양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의 회로도에서 Rl ±Rl의 전압강하는 아래 식과 같이 표현이 가능하다.
Vl = (Il ± Il)*(Rl ± Rl)
우변항을 다시 정리하면 하기 식과 같다.
Vl = (Il*Rl) ±(Il* Rl + Il*Rl ± Il* Rl)
상기 수학시(14)에서 다음과 같은 식이 도출될 수가 있다.
Vl = (Il*Rl),
±Vl = ±(Il*Rl +Il*Rl ±Il*Rl)
이제, 상기 전압/전류 센싱부(10)의 출력을 살펴본다. 수학식(5),수학식(7),수학식(8)에 유도된 식들을 적용하면 공급전압 Vbat은 일정하므로 Vf의 변화분(Vf ±Vf)과 Vl의 변화분(Vl ±Vl)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그러므로, Vo1= K1*Vb 이고, Vo2는 부하저항의 변화로 인하여 Vl는 Vl ±Vl로 변화하고, K3 또한 부하저항의 변화로 K3 ±K3로 변화한다. 각 변화량을 고려하여 수학식(8)에 적용하면 변화된 Vo2는 아래의 식과 같다.
Vl
= [K2*(K3 ±K3)]*Vb
= K2*K3*Vb ±(K2*K3)*Vb
그러므로 최종 출력Vo는 아래와 같다.
Vo = Vo1 + Vo2
= K1*Vb + K2*K3*Vb ±(K2*K3)*Vb
= (K1+K2*K3)Vb ±(K2*K3)*Vb
즉, 정상치에서 ±(K2*K3)*Vb의 변화가 측정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각 부품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 및 부품의 상태를 알기 위한 전압/전류 센싱부(10)에서의 접촉식 신호채취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번에는, 상기 전압/전류 센싱부(10)에서 제어용신호를 비접촉식으로 채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압/전류 센싱부(10)에서는 제어신호선에서 비접촉식 자계센서를 사용하여 신호를 채취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전압/전류 센싱부(10)는 C.T.(Currenttransformer)(전류변환기)와 Hall센서와 같은 자계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자계센서의 센싱원리는, 제어신호선 또는 부하 전원 공급(전원)선을 통과하는 전류의 변화량에 따라 자계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발생된 자계를 코일이나 반도체형 자계감지소자를 이용하여 전압으로 출력한다. 흐르는 전류와 자계, 자계와 유기된 전류/전압관계는 맥쓰웰방정식에 따른다. 하기 수학식(18)은 그 제어신호선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따른 자계센서의 출력전압식을 나타낸다.
Vo = -dΦ/dt
여기서, Vo는 유기되는 전압, dΦ는 루프를 관통하는 자속쇄교수를 나타내며 부하로 흐르는 전류값과 주파수에 비례한다.
상기의 자계센서로 된 전압/전류 센싱부(10)에 의한 출력신호의 채취결과는 앞에서 설명한 접촉식센싱 방법의 결과와 동일하다.
전압/전류 센싱부(10)의 출력신호는 신호 전처리부(26)에서 정형화되고, 그 신호 전처리부(26)에서 출력되는 정형화된 신호는 멀티플렉서(28)를 통해 A/D컨버터(30)에서 디지털신호화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게로 입력된다.
그리고, 가속도/자이로 모듈(24)은 물리량인 가속도와 각가속도를 측정하는 모듈로서, 각 물리량의 변화는 아래의 식에 의해 표현되며, 각각의 가속도와 각가속도의 물리량을 전압으로 출력한다.
a = dv/dt
여기서, a는 가속도, dv는 속도 변화량, dt는 시간변화량이다.
v = ds/dt
여기서, v는 속도, ds는 이동거리 변화량을 나타낸다.
α= dω/dt
여기서, α는 각가속도, dω는 각속도변화량이다.
ω= dθ/dt
여기서, ω는 각속도, dθ는 각변위 변화량을 나타낸다.
상기 가속도/자이로 모듈(24)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가속도와 각가속도에 해당하는 전압으로서, 이를 이동거리와 회전각도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이중적분이나 차분방정식을 사용한다.
도 5는 운전궤적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자이로출력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보면, θ1, θ2, θ3 가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실제 차량운전 시 차량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속도/자이로 모듈(24)의 구성요소인 자이로센서의 출력신호를 이중적분하거나 차분시키면 그 값이 일치됨을 알 수 있다.
S=∬a(t) dt
θ=∬α(t) dt
즉, 가속도/자이로 모듈(24)의 구성요소인 가속도센서의 출력에 의해서 차량의 상대 이동거리 및 속도변화량을 알 수 있으며, 자이로센서의 출력값을 통하여 차량의 회전각도 및 운전방향변화량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의 운전습관이 가/감속이 잦은지 회전 시 속도를 줄이는지 아니면 지그재그 운전을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메모리(42)에 저장된 후에 운전자의 운전 패턴 및 운전 습관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된다.
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6)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4)의 제어에 의해 운전자의 운전습관을 평가하는 지수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운전습관 평가방법은, 운전습관을 평가하는 지수를 1에서 10으로 놓고 평가하면 그 식은 아래와 같다. 이때, 보조신호로서 트로틀 각도 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의지(운전자가 급가속을 하려는지, 급감속을 하려는지 또는 높은 속도로 회전을 하려는지 등의 운전자의 어떻게 운전을 하려는 것인지와 같은 운전습관에 따른 운전성향)를 아는데 사용한다. 즉 내리막길에서는 페달을 띤 상태에서도 속도가 크므로 운전 습관을 고려할 때 그 트로틀 각도 신호가 중요하다.
운전습관 평가지수 = w1*Vd + w2*θd + w3*Fd
여기서, w1, w2, w3는 가중치
여기서, 각각의 값은 절대값의 누적값을 나타낸다.
Vd =∑| a |는 속도변화량의 누적량이고,
θd =∑| α |는 회전량변화량의 누적량이며,
Fd =∑| (F(i+1) - F(i)) |는 연료변화량의 누적량을 나타낸다.
여기서, F(i+1)는 이전의 연료량, F(i)는 현재 연료량이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는 지리정보(GIS)가 별도로 내장되어 있는데, 그 지리정보는 그 메모리(42)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통상적으로, 지리정보(GIS)는 드래프트 포맷(DRAFT FORMAT)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대표적이며, 이는 지도를 그래픽으로 나타내기 위한 표준포맷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도를 상세한 그래픽으로 나타낼 필요가 없으므로 원하는 타깃(주유소, 정비소, 차량검사소 등)의 좌표데이타만 내장되어 있는 지리정보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GIS라기 보다는 필요한 타깃의 좌표만 있는 DB이다. 그리고, 그 지리정보는 필요 시 통신포트를 통하여 업데이트(update)된다.
그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GPS모듈(22)로부터 GPS신호를 받아 운전자의 현재 위치와 운전궤적(이동궤적, 이동거리, 지형의 고저 등)을 내부에서 계산/저장한다. 운전자는 필요 시 현재위치에서 필요한 곳의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운전자는 디스플레이부(36)를 통해 출력되는 현재위치에서 타깃(주유소, 정비소, 차량검사소 등)까지의 거리와 방향 및 전화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문자로 안내받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의 부품의 수명시간및 고장상태를 예측/진단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각 부품의 수명은 각 부품의 평균 수명시간과 관계가 크지만,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그 망실이나 경화 정도가 다르다. 특히, 운전 습관이나 도로상태, 도로조건, 운행거리, 공회전시간, 부품의 교체주기에 따라 달라진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부품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와 신호의 상태를 채취하여 분석하고, 또한 운전습관이나 도로조건 등을 고려하여 부품의 수명 및 교환시기를 예측한다.
부품의 수명시간은 아래의 수학식과 같이 정의한다.
잔여수명 = (기본수명) - (사용시간+수명단축시간)
수명단축시간 = [w4*(부품상태) + w5*(운행조건)]
여기서, w4, w5는 가중치를 나타내지만, 각 부품에 따라 가중치는 다르게 적용되며, 기본 수명은 각 부품의 생산 시 표준규격에 통과한 보장수명시간을 말하며, 부품상태는 부품에 가해지는 과전압/과전류, 과부하,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된 정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운행조건은 운전습관, 도로조건, 운행거리, 공회전시간, 도로의 경사도 등을 나타낸다.
먼저, 운전자 또는 차량 관리자가 현재 차량의 각 부품별 수명시간을 키입력부(38)를 이용하여 입력한다. 상기의 입력된 각 부품별 수명시간은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 의해 메모리(42)에 저장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타이머(18)로부터의 시간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시간을 카운트한다.
상기한 각 부품 동일차량에는 동일한 부품이 장착이 되므로 이러한 부품의 수명시간은 미리 메모리(42)에 저장시켜 운전자 또는 차량관리자가 키입력부(38)를 이용하여 직접입력하지 않아도 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각 부품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전류의 상태를 도 3에서와 같은 접촉식 회로 및 도 4의 비접촉식 자계센서를 이용하는 센싱부(10)를 이용하여 파악하는데,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과전압/과전류의 지속시간 및 부품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여 그 값에 가중치를 곱하여 부품상태에 따른 수명단축시간을 구하고, GPS모듈(22)로부터의 GPS정보를 이용하여 도로조건, 도로 경사도, 운행거리에 따른 운행조건에 가중치를 곱하여 운행조건에 따른 수명단축시간을 각각 구한 뒤 상술한 수학식(26)에 적용하여 잔여수명시간을 예측한다.
부품의 수명을 예측/진단하는 방법 중에서 부품상태를 알아내는 방법이 가장 중요하며, 도로조건에 따른 값은 얼마든지 가중치를 조정 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의 수명을 예측/진단하는 방법 중에서 부품상태를 알아내는 방법을 전조등 램프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량의 각 부품수명은 KS규격에 의해 규정되며, KS규격에 각 부품의 시험조건을 만족해야만 부품으로 승인을 받는다, 본 발명에서는 각 부품의 평균 수명이 메모리(42)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즉. KS규격의 시험조건정도의 상태로 차량이 운행되면 각 부품의 규정된 수명동안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조건을 넘어서면 부품의 수명은 감소한다.
그런데, 차량 운행 시 운행조건에 따라 부품에 전해지는 하중(혹은 부하조건)이나 전원의 공급상태는 KS규격의 시험조건을 넘어서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하여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가지는 특정부분의 잦은 사용에 따라 그 부분의 수명이 일찍 단축되어 다른 부품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차량내의 많은 부품 중에서 전조등(헤드램프)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운전자가 시동 후 전조등 스위치를 켜면 전조등에 불이 들어오는 전기회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발전기(얼터네이터)나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원(전압/전류)이 퓨즈를 거쳐서 시동스위치(IG SW)를 통하여 전조등(헤드램프) 릴레이를 거쳐서 램프에 공급되어 불이 켜지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센서 1과 센서 2 및 센서 3은 전원의 공급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통상의 전조등 계통도에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것이다. 그 센서 1은 발전기와 배터리 사이에 설치되어 얼터네이터의 발전전압과 전류 상태 및 배터리 전압과 전류 상태를 감지하고, 그 센서 2는 전조등 램프 릴레이(헤드램프 릴레이)와 퓨즈 사이에 설치되어 전조등 램프에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 상태를 감지하며, 그 센서 3은 전조등 릴레이(헤드램프 릴레이)와 라이트 스위치 등 사이에 설치되어 그 전조등 릴레이의 동작 상태 및 그 전조등 릴레이에 공급되는 전압 및 전류 상태를 감지한다.
통상적으로, 램프의 평균수명은 전조등 램프에 12.8[V]공급시 약 200[시간]을 사용할 수 있는 시험조건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그 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은 발전기, 배터리, 전조등 릴레이,하네스(harness)(전선 및 커넥터) 등의 상태에 따라 공급전압이 12.8[V]이상이 공급되기도 한다. 전원이 규정치 이상 과도하게 공급되면 램프의 수명은 평균감소시간보다 빠르게 감소하게 되어 평균수명이 단축된다. 도 7은 전조등 및 램프류의 평균수명곡선을 나타낸 것으로서, 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전압이 100[%]을 넘어서면 수명은 100[%] 이내로 줄어들고 공급전압이 낮으면 수명은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곡선은 y = k/x 형태의 곡선이며, 여기서 y는 공급전압, x는 수명, k는 일정한 상수 값이 된다. 그 곡선의 식을 다시 쓰면 k = xy 로 나타낼 수 있다. 그 공급전압 y 즉, 전조등 램프에 공급되는 전압/전류는 센서 1, 센서 2, 센서 3에 의해서 알 수 있다. 즉, 과도공급전압시간이 길수록 램프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사용수명을 알아내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원 및 신호를 측정하는 센서에 대하여 설명한 뒤 이를 사용하여 어떻게 전원상태를 측정하는지,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수명을 알아내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의 수학식(9)와 수학식(17)의 전압/전류 센싱부(10)의 출력신호는 신호 전처리부(26)를 통하여 신호가 정형화된 후에 멀티플렉서(28)를 통해 A/D컨버터(30)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후에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게로 입력된다.
이때, 부품이 망가져서 타버렸거나, 단락되었거나, 배선이 끊어졌거나, 퓨즈가 끊어진 경우는 Vo = K1*Vb 로 나타난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입력되는신호를 분석해 보면 부품의 확정적인 고장과 망실을 알 수 있다.
이제, 마이크로 프로세서(44)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받아들인 신호에 근거하여 수명이 단축되는 양을 계산하고 남은 수명을 예측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각 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상태 및 신호의 상태에 대해, 도 6의 센서1, 센서 2, 센서 3 등과 같이 각 부하와 관계되어 있는 부하 전원(공급)선 및 제어신호선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에서 입력된 신호를 A/D컨버터(30)를 통하여 제공받는다. 이때,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그 받아들인 신호를 적분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전조등 램프에 과도전압이 공급되고 있을 경우에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전압공급상태를 보이게 되는데, 도 8을 보면 기준전압(12.8[V])이상의 전압이 약1.4[ms]동안 공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1.4[ms]동안 수명이 더욱 감소됨을 짐작할 수 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기준단위시간을 1로 정한다. 단위시간동안의 전압의 크기는 정상적인 전압상태를 100으로 정한다. 즉, 12.8[V]를 100으로 한다. 이렇게 결정한 뒤에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단위시간을 x축으로 하고, 전압의 크기를 y축으로 하여 이것에 의한 면적의 크기를 다음의 수학식(28)에서와 같은 안정도로 결정한다.
안정도 = 단위시간 * 전압의 크기(백분율)
=∫y(t)dt
여기서, 전압의 크기 = [(기준전압-현재전압)/기준전압)] * 100
상술한 바와 같이, 과도전압과 수명의 관계는 y = k/x 의 관계이며, 수명은 과도전압이 발생된 시간 동안에 받은 손실에 반비례한다. 그리고, k = xy 와 같이 공급전압의 어느 한계치 이하에서는 과도전압과 수명의 곱이 일정한 상수임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과도전압이 발생한 시간동안 적분된 양을 안정도라고 할 때, 이 (안정도*수명도)는 일정한 상수를 갖는다. 이를 수명지수라 하면 도 7의 수명곡선 특성에 따라 수명지수는 부품의 한계환경(파괴, 망실) 이내에서 일정하다. 즉 수명지수는 수학식(29)와 같이 각 단위시간별 (안정도*수명)의 합으로 표현된다.
수명지수=∑(안정도*수명)
즉,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수명은 도 9a와 같고, 이때의 수명지수는 100*200=20000이다. 그러나, 도 9b의 경우도 수명지수는 20000이므로 과도현상에 의해 안정도가 100이상인 구간이 있어서 도 9b의 점선면적만큼 수명이 200보다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9a 및 도 9b에서 총면적이 수명지수이며, 중간에 과도현상에 의해 증가된 면적만큼 수명이 감소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이렇게 해서 남은 수명을 알 수 있게 된다.
다시 한번 정리하면, 전조등램프의 수명은 평균 수명이 200시간이라고 하면 여기에서 정상적인 전압(12.8[V])을 공급받은 상태에서 램프의 사용시간(Ts)과 과도전압에 의한 사용시간(Tu)을 고려하여 안정도를 구하고 수명지수에서 안정도변화량에 의한 면적을 계속 감하면 남은 수명이 된다. 여기서, Ss(Ts),Su(Tu)는 정상상태와 과도상태의 안정도를 나타낸다.
사용수명지수 = Ss(Ts) + Su(Tu)
남은 수명지수 = 평균수명지수 - 사용수명지수
= 20000 - [Ss(Ts) + Su(Tu)]
남은 수명 = 남은 수명지수/100
= (평균수명지수 -∑(안정도*수명))/100
이와 같이 하여, 부품의 수명예측 중 부품상태에 따른 수명단축 원인을 인지하고 예측하는 방법 즉, 부품의 고장 및 수명단축시간 그리고 이를 통한 수명 예측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수학식(26) 및 수학식(27)에 있는 또 다른 항목인 운행조건에 따른 수명의 단축은 그 가중치가 적으나 운전시 가/감속변화량이 크거나, 산길주행, 짧은 거리 반복주행, 도심지 주행, 공회전시간의 과다, 장시간 연속주행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곱한 뒤 수명단축시간에 더하고, 이를 기본수명에서 빼면 수학식(26) 및 수학식(27)에 의한 실제 부품의 수명예측이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수학식(9) 및 수학식(17)의 전압/전류 센싱부(10)로부터의 신호가 신호 전처리부(26)에서 정형화된 뒤에 멀티플렉서(28)를 통해 A/D컨버터(30)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 입력되는데,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그 입력된 디지털신호에 근거하여 각 부품의 고장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이때, 부품이 망가져서 타버렸거나, 단락되었거나, 배선이 끊어졌거나, 퓨즈가 끊어진 경우는 부하의 저항상태가 무한대 값을 가지므로 출력신호는 Vo = K1*Vb로 나타난다.
즉, 신호의 출력을 보면 부품의 확정적인 고장과 망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위급상태 시 각 부품의 중요도에 따라 부품수명이 80%, 90%, 100%에 도달하면 음성인식/합성부(32) 또는 디스플레이부(36)를 제어하여 이를 운전자에게 음성이나 문자로 알린다.
다시 간략하게 정리하면, 먼저 차량의 각 전기계 및 전자계통에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와 신호의 형태를 전압/전류 센싱부(10)가 접촉/비접촉식으로 센싱한 후, 신호 전처리부(26)와 멀티플렉서(28) 및 A/D컨버터(30)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게로 인가한다. 그와 더불어 외부통신부(40)를 통해 OBDII, RS232프로토콜 또는 CAN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차량내 각 전자제어장치(ECU)로부터 차량의 고장상태 정보를 제공받기도 한다.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그 인가되는 신호의 형태 및 특성을 분석한 정보와 연료량 측정센서(20), 속도센서(16), 트로틀 각도센서(12), 온도센서(14) 등에서 채취한 신호를 내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종합분석 한 뒤에, 각 부품의 상태 및 수명을 예측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그 예측된 부품의 상태 및 수명에 대해서 음성인식/합성부(32) 및 디스플레이부(36)를 제어하여 화면 및 음성으로 운전자나 차량관리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가속도/자이로 모듈(24)에서 채취된 신호와 GPS모듈(22)에서 채취한 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 및 운전자의 운전경로를 메모리(42)에 저장 및 분석하여 운전자나 차량관리자에게 알려준다.
그리고, 키입력부(38)에 의해 주차위반사항이나 주차료관리, 벌금, 차량검사 등 차량상태와 직접관련이 없는 정보들이 마이크로 프로세서(44)에게로 입력되기도 하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그 입력된 주차위반사항이나 주차료관리, 벌금, 차량검사 등 차량상태와 직접관련이 없는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36)상에 디스플레이시켜 주기도 한다.
그리고,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44)는 필요 시 혹은 비상 시 GPS정보와 메모리(42)에 내장된 GIS정보를 이용하여 인근의 각 정비업체 및 주유소의 위치를 디스플레이부(36)상에 디스플레이시켜서, 편리하게 부품교체 및 연료공급을 받을 수 있게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각 전기계 및 전자계통에 공급되는 전원 및 신호의 상태를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측정하고 이들 데이터의 정상적인 값과 측정된 값의 변화량으로서 각 부품의 상태 및 수명을 예측한 후에 그 예측된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리 각 부품의 수명과 고장정도를 예측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게 하고, 가속도/자이로 모듈 및 GPS에서 채취한 값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 및 운행경로 등을 가중치로서 적용하여 각 부품의 수명을 예측하는 데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각 부품의 수명을 예측할 수가 있으므로 각 부품이 고장 또는 망실되기 전에 미리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하고 또한 고장으로 인한 시간손실 및 도로체증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GPS와 연계된 지리정보 안내 시스템을 이용하여 부품교체 및 고장 수리 그리고 연료를 충진할 수 있는 장소를 안내하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보다 편리성 및 안정성을 제공한다.
또한, 주차위반사항이나 주차료관리, 벌금, 차량검사, 차량에 사용된 운영비 또는 연료소비 등 차량상태와 직접관련이 없는 데이터를 한번에 관리해 줌으로써, 경제적인 차량운영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15)

  1. 차량의 각 전기계 및 전자계통에 공급되는 전원 및 신호의 상태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측정수단으로부터의 신호 및 상기 차량내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전처리를 행하는 신호 전처리수단;
    멀티플렉서를 통해 교번적으로 입력되는 상기 신호 전처리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다수의 측정된 신호의 값과 정상적인 신호의 값과의 변화량을 계산하여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의 상태 및 수명을 예측한 후에 그 예측된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의 상태 및 수명에 관한 예측 정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배터리 전원과 공통접지선 사이에 병렬로 접속시킨 각 전기계통 부하의 앞단에 설치된 퓨즈의 전단 및 후단에 분압회로와 가산기를 연결하여 상기 전원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제어신호선에 비접촉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어신호선을 통과하는 전류의 변화량에 따라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센서는 전류 변환기 또는 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수단은, 소정의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또는 소정의 문자를 디스플레이부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음성과 문자를 동시에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내 각 전자제어장치의 진단포트로부터의 차량의 고장상태 정보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게로 전송하는 외부통신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 시스템에 속도와 이동거리 및 회전을 감지하는 가속도/자이로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에 의하여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신호 전처리수단을 입력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 시스템에 현재 주행 위치를 감지하는 GPS모듈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별도의 지리정보를 내장하고서 상기 GPS모듈로부터 주행 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그 주행 위치 신호에 상응하는 인근 정비업체 및 주유소의 위치가 상기 알림수단에 의해 문자로 안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 시스템에 현재 주행 위치를 감지하는 GPS모듈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별도의 지리정보를 내장하고서 상기 GPS모듈로부터 주행 위치 신호가 입력되면 그 주행 위치 신호에 상응하는 인근 정비업체 및 주유소의 위치가 상기 알림수단에 의해 문자로 안내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관리 시스템에 속도와 이동거리 및 회전을 감지하는 가속도/자이로 모듈을 추가로 구비하여 이에 의하여 감지되는 신호가 상기 신호 전처리수단을 입력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 시스템.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의 수명 및 정상적인 신호의 값을 입력하거나, 또는 차량의 상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정보들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게로 입력시키는 키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의 정보들을 저장한 후 상기 알림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들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의 수명 및 정상적인 신호의 값을 입력하거나, 또는 차량의 상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정보들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게로 입력시키는 키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의 정보들을 저장한 후 상기 알림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들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의 수명 및 정상적인 신호의 값을 입력하거나, 또는 차량의 상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정보들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게로 입력시키는 키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의 정보들을 저장한 후 상기 알림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들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각 부품의 수명 및 정상적인 신호의 값을 입력하거나, 또는 차량의 상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정보들을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게로 입력시키는 키입력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키입력수단으로부터의 정보들을 저장한 후 상기 알림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저장된 정보들을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15.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품의 수명예측을 가속기/자이로 모듈 및 GPS모듈에서 측정된 운전습관 및 운행정보에 대한 정보에 가중치를 곱하여 수명단축을 계산하는 것을 이용하여 수명예측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KR10-2002-0021816A 2002-04-20 2002-04-20 차량 관리 시스템 KR100485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816A KR100485124B1 (ko) 2002-04-20 2002-04-20 차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816A KR100485124B1 (ko) 2002-04-20 2002-04-20 차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329A true KR20030083329A (ko) 2003-10-30
KR100485124B1 KR100485124B1 (ko) 2005-04-20

Family

ID=3237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816A KR100485124B1 (ko) 2002-04-20 2002-04-20 차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12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20B1 (ko) * 2007-03-05 2008-09-10 (주)율시스템즈 운전자 운전습관 측정 시스템 및 활용방법
KR101360566B1 (ko) * 2012-11-22 2014-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 패턴 분석 장치
KR101387421B1 (ko) * 2012-09-17 2014-04-22 카맨아이 주식회사 차량의 접지 레벨 신호를 이용한 차량상태 검사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683242B1 (ko) * 2015-10-15 2016-12-07 주식회사 카이즈 차량 상태 진단 및 운전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107242A (ko) * 2016-12-12 2018-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퓨즈를 위한 진단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KR20190037658A (ko)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컨텍터의 고장률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1259A (ko)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컨택터 코일 전류를 이용한 컨택터 수명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2198725B1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주행안전부품 자가진단 장치
WO2022065213A1 (ja) * 2020-09-23 2022-03-3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寿命予測装置及び寿命予測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7190A (en) * 1991-08-12 1993-10-26 Crane Harold E Interactive dynamic realtime management system for powered vehicles
KR100205974B1 (ko) * 1996-03-06 1999-07-01 박동규 원격고객차량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37958A (ko) * 1998-12-03 2000-07-05 최태섭 차량 관리 시스템
KR20000012606A (ko) * 1999-12-14 2000-03-06 이승후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점검장치
KR20010085265A (ko) * 2000-02-25 2001-09-07 정헌욱 차량 원격 진단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KR20000059088A (ko) * 2000-07-13 2000-10-05 민종진 이동통신기기와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차 진단과정비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JP2002042196A (ja) * 2000-07-31 2002-02-08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管理システム
JP2002269260A (ja) * 2001-03-08 2002-09-20 Sony Corp 車両の管理方法、車両の管理方法のプログラム及び車両の管理装置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20B1 (ko) * 2007-03-05 2008-09-10 (주)율시스템즈 운전자 운전습관 측정 시스템 및 활용방법
KR101387421B1 (ko) * 2012-09-17 2014-04-22 카맨아이 주식회사 차량의 접지 레벨 신호를 이용한 차량상태 검사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1360566B1 (ko) * 2012-11-22 2014-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 패턴 분석 장치
KR101683242B1 (ko) * 2015-10-15 2016-12-07 주식회사 카이즈 차량 상태 진단 및 운전자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107242A (ko) * 2016-12-12 2018-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퓨즈를 위한 진단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US11307254B2 (en) 2017-09-29 2022-04-19 Lg Energy Solution, Ltd. Contactor failure rate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KR20190037658A (ko) 2017-09-29 2019-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컨텍터의 고장률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1259A (ko) 2017-10-12 2019-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컨택터 코일 전류를 이용한 컨택터 수명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11287476B2 (en) 2017-10-12 2022-03-29 Lg Energy Solution, Ltd.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contactor lifetime by using contactor coil current
KR102198725B1 (ko) *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글로비즈 자동차 주행안전부품 자가진단 장치
WO2022065213A1 (ja) * 2020-09-23 2022-03-31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寿命予測装置及び寿命予測方法
JP2022052370A (ja) * 2020-09-23 2022-04-0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寿命予測装置及び寿命予測方法
JP7279695B2 (ja) 2020-09-23 2023-05-23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寿命予測装置及び寿命予測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124B1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987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expected consumption value of a motor vehicle
US6599243B2 (en) Personalized driver stress prediction using geographical databases
US11348384B2 (en) Method for determining indicators regarding the polluting nature of mobility taking real usage into account
US20110060495A1 (en) Method of predicting energy consumption, apparatus for predicting energy consumption, and terminal apparatus
JP2005259116A (ja) 交通情報算出装置、交通情報算出方法、交通情報表示方法および交通情報表示装置
US9643589B2 (en) Vehicula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6942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vice provision and driving condition diagnosis
US20110276257A1 (en) Navigation device, prob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at storing probe information transmission program, and traffic information generation device
CN101644568B (zh) 坡路检测方法和坡路检测装置
KR100485124B1 (ko) 차량 관리 시스템
CN101795919A (zh) 燃料节省驾驶辅助设备
JP2002298281A (ja) 交通量予測装置、交通量予測方法、交通情報センターおよび車載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9541833A (ja) 車両の回転限界を判断する方法
CN103568947A (zh) 后侧方警报系统及方法
CN109131343B (zh) 一种摩擦片的使用状态确定方法和系统
CN112734242B (zh) 一种车辆运行轨迹数据的可用度分析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07478289B (zh) 获取平均油耗的方法和装置
CN111465972A (zh) 用于计算交通工具传感器数据的错误概率的系统
CN106248392A (zh) 一种无人车变道时间的测试方法及装置
KR20140042281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소모량에 관련된 가중치 정보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와 그 방법
JP2006038469A (ja) 交通状況予測装置および方法
GB2368905A (en) Street lighting inspection
JP2007188340A (ja) 通過時間提供装置
JP2011220834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を利用した充電設備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KR101783859B1 (ko) 디지털 운행기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로교통 정보와 운전습관 알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