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923A - 에어백 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82923A KR20030082923A KR10-2003-0024509A KR20030024509A KR20030082923A KR 20030082923 A KR20030082923 A KR 20030082923A KR 20030024509 A KR20030024509 A KR 20030024509A KR 20030082923 A KR20030082923 A KR 200300829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lator
- housing
- airbag cushion
- airbag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동차(10)용 에어백 모듈(130; 230)이 개시된다. 상기 모듈(130; 230)은 바닥 벽(131; 231)과 이 바닥 벽(131; 231)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만입형 프로파일의 저장 상자를 사이에 형성하는 측벽(133, 135; 233, 235)을 포함하는 하우징(132; 232)을 구비한다. 가스 방출용 팽창기(136; 236)가 상기 측벽 사이에 상기 하우징(132; 232)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팽창기(136; 236)와 유체 연통된 팽창 가능한 에어백 쿠션(134; 234)은, 제1 부분(170; 270)이 팽창기(136; 236)에 대해 들린 상태로 측벽(133, 135; 233, 235) 사이에서 하우징(132; 23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제2 부분(172; 272)이 팽창기(136; 236)에 실질적으로 나란히 인접 위치하면서 만입형 프로파일의 저장 상자 내부에 접힌 상태로 배치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132; 232) 내부에 접혀 저장된다. 또한, 에어백 모듈을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팽창기가 있는 하우징 구조체와 이 하우징 구조체 내에 저장되는 팽창 가능한 에어백 쿠션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은 제1 부분이 하우징의 상부를 가로질러 접힌 채로 저장되고 제2 부분이 실질적으로 팽창기와 나란하게 접힌 채로 저장됨으로써, 먼저 제1 부분이 팽창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전개되고 그 후에 제2 부분이 점진적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나오면서 전개된다.
충돌 발생시 차량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팽창 가능한 에어백 쿠션을 비롯한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대체로 에어백 모듈은 미리 정해진 수준의 차량 감속 또는 다른 측정 가능한 조건이 발생하면 에어백 큐션을 팽창시키도록 팽창 매체를 방출하기 위한 팽창기를 포함한다.
팽창기와 에어백 쿠션은 대체로 하우징 구조체 내부에 저장되는데, 에어백 쿠션은 실질적으로 팽창기 위층에 접힌 상태로 채워진다. 이와 같이 배치되면, 팽창기가 활성화되면 팽창 가스는 전체 쿠션을 향하게 됨으로써 압력을 발생시켜 에어백 쿠션이 위쪽의 커버를 밀치고 나아가게 한다. 그 후 에어백 쿠션은 완전히 팽창될 때까지 하우징의 외부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확장된다. 비록 이러한 확장이 실질적인 보호 이익을 탑승자에게 제공하지만, 해방된 에어백 쿠션에 압력이 처음 형성되는 초기 팽창 단계 동안 에어백 쿠션이 팽창기에 직접 대향한 상태로상향으로 대체로 탑승자의 두부를 향해 확장되어 충분한 팽창이 달성될 때까지 두부를 보호하면 바람직하다. 일부 자동차 설계와 여러 가지 경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충분히 팽창된 긴장된 에어백 쿠션의 세그먼트를 초기에는 계기판의 일부를 덮는 상태로 저장 위치로부터 전개하고 그 후에는 충분히 팽창된 구조로 점진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과거에는, 주로 에어백 쿠션을 위한 적절한 형태를 선택하고 이와 함께 적절한 형태의 속박 요소(tethering element)를 사용하여 에어백 쿠션의 전개 특성을 제어하였다. 그와 같은 제어의 실행은 에어백의 전개 특성을 소정 정도로 제어하는데는 유용하지만, 그 자체가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초기의 팽창 단계 중에 쿠션의 충분히 팽창된 부분이 저장 공간으로부터 돌출하면서 에어백 쿠션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하우징에서 나오도록 하기 위해 에어백 쿠션을 하우징 내에 매우 효과적으로 포장하는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기하학적 형상과 속박 특성에 대한 종래기술의 핵심보다 뛰어난 여러 가지 장점과 대안을 제공한다. 에어백 쿠션의 충분한 확장은 완전히 팽창되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포장 구성(packaging arrangement)은 에어백 쿠션의 기하학적 형상 및 속박 실행의 선택과 연계되거나 단독으로 사용되어 쿠션 전개 특성의 제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비롯한 차량 내부의 승객측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예시적인 에어백 모듈의 부분 측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모듈에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의 초기 및 최종 전개 특성을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 조립체의 제1 실시예의 부분 단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조립체에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의 초기 및 최종 특성을 나타내는 도 3과 유사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 조립체의 제2 실시예의 부분 단부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30, 230: 에어백 모듈131, 231: 바닥 벽
132, 232: 하우징133, 135, 233, 235: 측벽
136, 236: 팽창기134, 234: 에어백 쿠션
170, 270: 쿠션의 제1 부분172, 272: 쿠션의 제2 부분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따르면, 유리한 전개 특성은 실질적인 부분이 팽창기와 나란하게 접힌 팽창 가능한 에어백 쿠션과 유체 연통되게 팽창기를 지지하는 하우징 형상을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팽창 가능한 쿠션의 다른 부분은 팽창기 위층에 놓이는 종래의 방식으로 접힐 수 있다. 팽창할 때, 팽창기 위층에 접힌 에어백 쿠션의 일부는 초기의 활성화 단계 중에 초기의 우선적인 팽창과 하우징으로부터의 전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초기 팽창을 수행하는 에어백 쿠션의 일부는 그 후에 확장이 완성될 때 팽창 가능한 쿠션의 잔여부를 점진적으로 하우징 밖으로 꺼낸다. 팽창 과정 중에 하우징으로부터 방출된 에어백 쿠션의 세그먼트와 하우징 내부에 계속 유지되는 세그먼트 사이에 형성되는 동적 평형은 대체로 낮은 프로파일 전개 특성을 초래하며, 에어백 쿠션의 초기에 팽창된 부분은 긴장된 상태로 하우징 밖으로 나와 초기의 전개 단계에서 보호될 탑승자의 흉부를 향해 에어백 쿠션을 돌출시키기 위한 동적 반응 표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전개 특성은 여러 경우에 유용할 것이다. 따라서, 개선된 모듈 구성은 팽창기와 쿠션의 상대적인 방향 배치(orientation) 및 포장 구성을 이용하여 전개 특성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주어진 차량에 적용하기 위한 적절한 에어백 시스템의 설계에 고도의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하기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위와 같이 도시되고 개략적으로 설명된 본 발명은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되지만, 전술한 개략적인 설명과 도시 및 설명될 특정한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시 및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넓게 구현할 수 있는 대체물, 수정물 및 균등물이 모두 본 발명에 포함된다.
참조되는 여러 도면에서는 가능한 한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도시된 대응 구성요소들을 지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은 대체로 앞면유리(18) 아래에 위치한 계기판(16)에 대체로 대향된 차량 승객 등의 탑승자(14)를 지지하는 좌석 구조체(12)를 포함한다. 참조번호 30으로 지시된 에어백 모듈은 계기판(16)의 표면 아래층에 가려져 있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구성을 갖는 예시적인 모듈(30)은 피륙 또는 다른 적절한 가요성 소재의 접힌 에어백 쿠션(34)을 가스 방출용 팽창기(36)에 겹쳐진 상태로 저장하는 하우징(32)을 포함한다.
급격한 감속 등의 미리 정해진 차량 조건이 발생하면, 팽창기(36)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불꽃점화식 폭죽 또는 다른 장치 등의 기폭약(38)에 의해 활성화된다. 가스 방출용 팽창기(36)는 팽창 가스를 에어백 쿠션(34) 안으로 전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스 방출용 개구(40)를 포함한다. 대체로, 가스 방출용 개구(40)로부터 팽창 가스가 방출될 때 팽창기(36)와 에어백 쿠션(34)이 서로 유체 연결되어 에어백 쿠션(34)이 팽창하도록, 팽창기(36)와 에어백 쿠션(34)은 방향(orientation)이 정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기(36)가 활성화되면, 위층의 에어백 쿠션(34)은 통상 초기 가압을 받아 계기판(16) 아래층의 최초의 한정된 저장 위치로부터 빠져나온다. 보통 이와 같은 빠져나옴은 계기판(16)을 가로질러 선택적으로 약하게 처리한 패턴에 의해 형성된 미리 정해진 탈출 위치(42)에서 발생한다. 에어백 쿠션(34)은 팽창기(36)에 겹쳐져 접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체인 부분 팽창된 덩어리로서 계기판(16)을 밀치고 나간다.
계기판(16)의 아래층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뒤따르는 전개의 초기 단계에서 에어백 쿠션(34)은 실질적으로 억제되지 않은 팽창 가능한 챔버(실선으로 도시)이며, 챔버는 앞면유리(18)에 대해 반발한 후 확장된 최종 형상(점선으로 도시)을 마침내 갖게될 때까지 동시에 모든 방향으로 외측으로 확장하여 계기판(16)으로부터 즉각 돌출한다. 이와 같은 신속한 다방향 확장에 의해 에어백 쿠션(34)은 초기 단계에서 대체로 상향 돌출한다. 긴장된 확장이 더 진행하면, 에어백 쿠션(34)은 수그러진 위치로 회전한다.
에어백 쿠션이 실질적으로 단계적인 전개를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을 생각할 수 있다. 단계적 전개에서, 팽창기에서 나오는 팽창 가스는 에어백 쿠션의 일부를 먼저 팽창시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게 하며, 팽창 가스가 더 유입되면 충분한 팽창이 이루어질 때까지 팽창 가능한 쿠션의 잔여부가 잇달아 빠져나온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형상과는 상이하게, 에어백 쿠션은 더욱 제어된 방식으로 점진적으로 빠져나와 팽창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제1 실시예가 도 4에 도시되며, 이전에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100씩 증가한 참조번호로 지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에어백 모듈 조립체(130)는 팽창 가능한 에어백 쿠션(134)이 팽창기(136)와 유체 연통되게 저장된 하우징(132)을 구비한다. 하우징(132)은 바닥 벽(131)과 측벽(133, 135)을 포함하며, 이들 측벽(133, 135)은 바닥 벽(131)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그 사이에 실질적으로 상자 형태인 저장 구획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팽창기(136)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대체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데,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다른 어떤 형상도 이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기(136)에 인접한 측벽(135)은 팽창기(136)의 프로파일과 합치하도록 만곡되어 조립 중에 팽창기에 대한 지지를 강화하고 팽창기의 적절한 방향 배치를 촉진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132)은 부착 다리(144, 145)를 포함하며, 이들 부착 다리(144, 145)는 (도시 생략된) 교차형 차량지지프레임(cross-vehicle support frame)에 고정 설치되어 하우징(132)과 부착된 구성요소를 계기판 아래의 차량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하우징(132)은 성형 플라스틱 또는 압출 금속과 같은 소재로 된 실질적인 단일 부품이면 바람직하다. 경량 형강 또는 알루미늄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우징(132)의 단부는 측벽의 단부 둘레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된 나사 수용 개구(146)에 적절하게 부착되는 짝이 되는 단부 플레이트(도시 생략)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2)은 차량 교차 방향(cross-vehicledirection)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로드 수용 채널(148)을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이들 로드 수용 채널(148)은 봉쇄 로드(150)를 이용하여 에어백 쿠션(134)을 팽창기(136)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방식으로 적절히 고정하는데, 상기 봉쇄 로드(150)는 에어백 쿠션(134) 내부의 입구와 접하는 루프 구조체(152)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이들 루프 구조체(152)는 봉쇄 로드(150)가 그 안에 삽입되면 로드 수용 채널(148) 내부에 확실히 유지된다. 물론, 에어백 쿠션(134)을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어떠한 다른 구성도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132)은 팽창기(136)를 유지하는 제1 섹션(160)과 비교적 깊은 만입형 저장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섹션(162)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되며, 에어백 쿠션(134)은 상당한 부분이 상기 제2 섹션(162) 내에 팽창기(136) 부근에 접혀 있다. 하우징(132)은 팽창기(136)를 유지하는 제1 섹션(160)이 제2 섹션(162)에 비해 차량 내부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차량 내부에 바람직하게 방향 배치된다. 즉, 제2 섹션(162)은 팽창기(136)와 보호할 탑승자 사이에 배치된다. 물론, 필요한 경우, 도시된 것과 반대인 것을 비롯한 다른 방향 배치를 이와 마찬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활용되는 실제의 방향 배치와는 무관하게, 에어백 쿠션(134)은 쿠션(134)의 제1 부분(170)이 팽창기(136)에 대해 들린 상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132)을 가로질러 접히도록 하우징(132) 내부에 접혀 저장될 것이다. 에어백 쿠션(134)의 제1 부분(170)은 팽창기(136)가 활성화되면 에어백 쿠션(134)의 제1 부분(170)이 실질적으로 즉각적이고도 완전한 팽창을 수행하도록 팽창기(136)의 가스방출구(140)와 실질적으로 직접 유체 연통되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134)은 팽창기(136)의 측면에 구불구불하게 접혀 하우징(132)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나란한 상태를 달성하는 제2 부분(172)을 더 포함하면 바람직하다. “나란한 상태”라는 용어는 차량 내의 하우징(132)의 방향 배치와 무관한, 하우징(132) 내부의 인접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그와 같은 나란한 상태는 하우징이 차량 내부에서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되더라도 존재할 수 있으며 도시된 수평 방향을 조건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134)의 제1 부분(170)이 팽창기(136)에 대해 “들린 상태” 또는 들어올려진 상태에 있다는 것은, 하우징(132) 내부의 제1 부분(170)과 팽창기(136)의 상대적 위치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팽창기(136)와 하우징 개구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 부분(170)을 배치하는 것은 모두 들린 상태를 구성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그와 같은 들린 상태는 하우징이 차량 내부에서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되더라도 존재할 수 있으며 도시된 수평 방향을 조건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에어백 쿠션(134)의 여러 부분을 접어 배치하면 에어백 쿠션(124)의 팽창 특성을 소정 정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에어백 쿠션(134)의 제1 부분(170)과 팽창기(136) 사이가 실질적으로 직접 유체 연통되고 또한 에어백 쿠션(134)의 제2 부분(172)이 팽창기(137)에 대해 나란한 상태로 접히면, 제2 부분(172)은 제1 부분(170)이 팽창된 후에만 팽창되고 그에 따라 하우징(132)으로부터 빠져나온다.
도 4에 도시된 배치로부터 기인하는 초기 단계 전개 특성이 도 5에 도시된다. 에어백 쿠션(1340)의 제1 부분(170)을 팽창기(136) 위에 직접 유체 연통되게포장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70)은 실질적으로 완전히 팽창하여 하우징(132)으로부터 돌출되는 충분히 팽창된 장벽(실선으로 도시)을 이루는 반면 제2 부분(172)은 여전히 하우징(132) 내에 접혀 있다. 초기의 팽창된 상태에서 제1 부분(170)은 에어백 쿠션(134)의 제2 부분(172)이 점차 하우징(132)의 제2 섹션(162)으로부터 나옴에 따라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134)이 완전히 전개될 때까지 제2 부분과의 상호 작용을 위한 팽창된 동적 반응 표면을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제2 부분(172)의 하향 회전을 초래하는 반응 표면은 앞면유리(118)로부터 탑승자(114) 쪽으로 이동하여 앞면유리(118)와의 반응 가능성을 피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임의의 수효의 다른 변형 실시예에 반영될 수 있다. 대체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는데 이는 한정이 아닌 단지 예시일 뿐이며,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200씩 증가한 대응하는 참조번호로 지시된다. 도 6에 도시된 에어백 모듈 조립체(230)에서, 하우징(232)은 팽창기(236)의 안쪽 표면 둘레에 팽창기를 얹은 상태(cradling relation)로 상향 연장된 내부 지지암(265)을 포함한다. 지지암 또는 크레이들암(265, cradling arm)은 팽창기(236)가 조립시 크레이들암(265)과 맞은편 둥근 측벽(267) 사이의 위치로 활주하지만 그 후에 짝이 되는 단부 플레이트 구조체(도시 생략)가 부착되면 적소에 고정 유지되도록 구성되면 바람직하다. 크레이들암(265) 이외에도, 도 6에 도시된 구성은 팽창기(236)에 대한 에어백 쿠션(234)의 접힌 방향이 도 4에 도시된 구성과 상이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에어백 쿠션(234)은 제1 부분(270)이하우징(232)의 실질적으로 전체 폭을 가로질러 팽창기(236)에 대해 들린 상태로 접히도록 포개진다. 그와 같은 구성은 초기 단계 팽창부의 형성에 사용되는 추가의 소재를 규정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접는 구성에서와 같이, 에어백 쿠션(234)의 제1 부분(270)은 실질적으로 즉각적이고도 완전한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팽창기(236)와 실질적으로 직접 유체 연통되면 바람직하다. 에어백 쿠션(234)의 제2 부분(272)은 도 5에 도시된 구성에 대해 설명한 동일한 점진적인 긴장된 전개 특성을 촉진하도록 접혀 실질적인 구불구불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겹쳐 접는 구성에 의해 에어백 쿠션(234)의 더 큰 부분이 초기에 팽창되지만, 다른 모든 면에서 전개 특성은 도 4에 대해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에 도시된 접는 구성은 원하는 적용범위 특성을 제공하도록 실질적인 깊이의 계기판 형상을 구현하는 자동차 내부 설계에 유용한데, 이는 한정이 아니고 단지 예시일 뿐이다.
도 4 및 6이 두 가지의 가능한 접는 구성을 제시하지만, 에어백 쿠션의 비율을 초기에 즉각 팽창되는 제1 부분에서 다소 증감할 수 있으므로, 설계자는 초기 단계의 전개 특성을 실질적으로 조절하여 주어진 자동차 내부 구성을 위한 원하는 적용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팽창 가능한 에어백 쿠션은 일부가 팽창기와 나란하게 접히면서 유체 연통되고, 다른 부분은 팽창기 위층에 놓여 접힌다. 초기의 팽창 단계 중에 쿠션의 충분히 팽창된 부분이 저장 공간으로부터 돌출하면서 에어백 쿠션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하우징에서 나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에어백 쿠션의 기하학적 형상과 속박 특성에 대한 종래기술의 핵심보다 뛰어난 여러 가지 장점과 대안을 제공한다. 에어백 쿠션의 충분한 확장은 완전히 팽창되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포장하는 것은, 에어백 쿠션의 기하학적 형상 및 속박 실행의 선택과 연계되거나 단독으로 사용되어 쿠션 전개 특성의 제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여러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 및 공정에 대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그와 같은 실시예, 구성 및 공정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범위 내에서 수정물과 변형물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전체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원리를 넓게 구체화하는 그와 같은 수정물과 변형물을 포함한다.
Claims (17)
- 보호할 탑승자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향된 상태로 자동차(10) 내부에 배치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130; 230)에 있어서,바닥 벽(131; 231)과 이 바닥 벽(131; 231)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만입형 프로파일의 저장 상자를 사이에 형성하는 측벽(133, 135; 233, 235)을 포함하는 하우징(132; 232);상기 측벽(133, 135; 233, 235) 사이의 상기 하우징(132; 232)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가스 방출용 팽창기(136; 236); 및상기 팽창기(136; 236)와 유체 연통된 팽창 가능한 에어백 쿠션(134; 234)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1 부분(170; 270)은 팽창기(136; 236)에 대해 들린 상태로 측벽(133, 135; 233, 235) 사이에서 하우징(132; 23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132; 232) 내부에 접혀 저장되고,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2 부분(172; 272)은, 팽창기(136; 236)가 활성화되면 에어백 쿠션(134; 234)의 상기 제1 부분(170; 270)이 초기에 가압되어 팽창기(136; 236)로부터 돌출하고 그 후에 팽창이 계속됨에 따라 에어백 쿠션(134; 234)의 상기 제2 부분(172; 272)이 점진적으로 만입형 프로파일의 저장 상자로부터 나오도록, 팽창기(136; 236)에 실질적으로 나란히 인접 위치하면서 만입형 프로파일의 저장 상자 내부에 접힌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136; 236)는 상기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2 부분(127; 272)에 대해 상기 자동차(10) 내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측벽들 중의 하나의 측벽(135; 235)을 따라 상기 하우징(132; 232)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136; 236)는 긴 원통형 구조이며, 상기 측벽(135; 235)은 팽창기(136; 236)를 얹기 위한 둥근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32)의 바닥 벽(231)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보충의 크레이들암(cradling arm) 구조체(265)를 구비하며, 상기 크레이들암 구조체(265)는 상기 팽창기(236)가 상기 둥근 표면과 크레이들암 구조체(265) 사이에 얹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기(236)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234)의 제1 부분(270)은 상기 에어백 쿠션(272)의 제2 부분과 상기 팽창기(236) 양쪽을 실질적으로 덮도록 상기 측벽(233, 235)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232)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2 부분(172; 272)은 실질적인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겹쳐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 보호할 탑승자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향된 상태로 자동차(10) 내부에 배치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130; 230)에 있어서,바닥 벽(131; 231)과 이 바닥 벽(131; 231)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만입형 프로파일의 저장 상자를 사이에 형성하는 측벽(133, 135; 233, 235)을 포함하는 하우징(132; 232);상기 측벽(133, 135; 233, 235) 사이의 상기 하우징(132; 232)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가스 방출용 팽창기(136; 236); 및상기 팽창기(136; 236)와 유체 연통된 팽창 가능한 에어백 쿠션(134; 234)을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1 부분(170; 270)은 팽창기(136; 236)에 대해 들린 상태로 측벽(133, 135; 233, 235) 사이에서하우징(132; 23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지르면서 팽창기(136; 236)로부터 돌출하는 다층의 접힌 구성으로 배치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132; 232) 내부에 접혀 저장되고,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2 부분(172; 272)은, 팽창기(136; 236)가 활성화되면 에어백 쿠션(134; 234)의 상기 제1 부분(170; 270)이 초기에 가압되어 팽창기(136; 236)로부터 돌출하고 그 후에 팽창이 계속됨에 따라 에어백 쿠션(134; 234)의 상기 제2 부분(172; 272)이 점진적으로 만입형 프로파일의 저장 상자로부터 나오도록, 팽창기(136; 236)에 실질적으로 나란히 인접 위치하면서 만입형 프로파일의 저장 상자 내부에 접힌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136; 236)는 상기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2 부분(127; 272)에 대해 상기 자동차(10) 내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측벽들 중의 하나의 측벽(135; 235)을 따라 상기 하우징(132; 232)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136; 236)는 긴 원통형 구조이며, 상기 측벽(135; 235)은 팽창기(136; 236)를 얹기 위한 둥근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32)의 바닥 벽(231)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보충의 크레이들암(cradling arm) 구조체(265)를 구비하며, 상기 크레이들암 구조체(265)는 상기 팽창기(236)가 상기 둥근 표면과 크레이들암 구조체(265) 사이에 얹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기(236)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234)의 제1 부분(270)은 상기 에어백 쿠션(272)의 제2 부분과 상기 팽창기(236) 양쪽을 실질적으로 덮도록 상기 측벽(233, 235)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232)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 보호할 탑승자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향된 상태로 자동차(10) 내부에 배치되는 에어백 모듈(130; 230)을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a) 바닥 벽(131; 231)과 이 바닥 벽(131; 231)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만입형 프로파일의 저장 상자를 사이에 형성하는 측벽(133, 135; 233, 235)을 포함하는 하우징(132; 232)을 제공하는 단계;(b) 측벽(133, 135; 233, 235) 사이의 하우징(132; 232) 내부의 소정 위치에 가스 방출용 팽창기(136; 236)를 배치하는 단계;(c) 에어백이 팽창기와 유체 연통되도록 체결 위치의 적소에 팽창 가능한 에어백 쿠션(134; 234)을 고정하는 단계;(d)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1 부분(170; 270)이 팽창기(136; 236)에 대해 들린 상태로 측벽들 사이에서 하우징(132; 23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제1 부분(170; 270)을 접는 단계;(e) 팽창기(136; 236)가 활성화되면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1 부분(170; 270)이 초기에 가압되어 팽창기(136; 236)로부터 돌출하고 그 후에 팽창이 계속됨에 따라 에어백 쿠션(134; 234)의 상기 제2 부분(172; 272)이 점진적으로 만입형 프로파일의 저장 상자로부터 나오도록,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2 부분(172; 272)을 팽창기(136; 236)에 실질적으로 나란히 인접 위치하면서 만입형 프로파일의 저장 상자 내부에 접히도록 포장(packing)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팽창기(136; 236)는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2 부분(127; 272)에 대해 자동차(10) 내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측벽들 중의 하나의 측벽(135; 235)을 따라 하우징(132; 232)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팽창기(136; 236)는 긴 원통형 구조이며, 측벽(135; 235)은 팽창기(136; 236)를 얹기 위한 둥근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하우징(232)은 하우징(232)의 바닥 벽(231)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보충의 크레이들암(cradling arm) 구조체(265)를 더 포함하며, 크레이들암 구조체(265)는 팽창기(236)가 둥근 표면과 크레이들암 구조체(265) 사이에 얹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창기(236)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에어백 쿠션(234)의 제1 부분(270)은 에어백 쿠션(272)의 제2 부분과 팽창기(236) 양쪽을 실질적으로 덮도록 측벽(233, 235) 사이에서 하우징(232)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단계(e)에서, 에어백 쿠션(134; 234)의 제2 부분(172; 272)은 실질적인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겹쳐져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0/125,183 | 2002-04-18 | ||
US10/125,183 US20030197358A1 (en) | 2002-04-18 | 2002-04-18 | Air bag module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82923A true KR20030082923A (ko) | 2003-10-23 |
KR100574758B1 KR100574758B1 (ko) | 2006-04-28 |
Family
ID=2921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4509A KR100574758B1 (ko) | 2002-04-18 | 2003-04-17 | 에어백 모듈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30197358A1 (ko) |
EP (1) | EP1359062A1 (ko) |
JP (1) | JP2003312423A (ko) |
KR (1) | KR10057475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53403A1 (de) * | 2002-11-15 | 2004-06-24 |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 Baugruppe bestehend aus Fahrzeugkarosserieteil und einem Gassackmodul |
US6991253B2 (en) * | 2003-04-11 | 2006-01-31 | Delphi Technologies, Inc. | Air bag assembly having controlled cushion deployment |
US7185914B2 (en) * | 2003-09-24 | 2007-03-06 | Autoliv Asp, Inc. | Inflatable curtain with pleats |
JP2007091177A (ja) * | 2005-09-30 | 2007-04-12 | Nippon Plast Co Ltd | 車両用のエアバッグ及びそれを搭載したエアバッグ装置 |
JP4909556B2 (ja) * | 2005-10-04 | 2012-04-04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エアバッグ |
JP2008114721A (ja) * | 2006-11-06 | 2008-05-22 | Autoliv Development Ab | エアバッグ装置 |
JP5465117B2 (ja) | 2010-07-13 | 2014-04-09 | タカタ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 |
JP5943464B2 (ja) | 2011-05-06 | 2016-07-05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エアバッグ及びその折り畳み方法 |
WO2015025630A1 (ja) * | 2013-08-23 | 2015-02-26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 |
JP6581422B2 (ja) * | 2015-08-04 | 2019-09-25 |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構造 |
JP6423394B2 (ja) * | 2016-08-04 | 2018-11-1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84939A (en) * | 1995-09-22 | 1999-03-23 | Toyo Tire & Rubber Co., Ltd. | Air bag system for automotive passenger seat |
DE19733143A1 (de) * | 1996-08-02 | 1998-02-05 | Denso Corp | Airbag-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alten eines Airbags |
US5676393A (en) * | 1996-08-06 | 1997-10-14 | Morton International, Inc. | Protective cover for airbag module |
US5873598A (en) * | 1996-08-27 | 1999-02-23 | Toyo Tire & Rubber Co., Ltd. | Air bag device |
DE19736065C2 (de) * | 1997-08-20 | 2001-05-10 | Porsche Ag | Verfahren zum Falten eines Gassackes |
GB2334242B (en) * | 1998-02-14 | 2002-02-13 |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 Air bag module |
US6422589B1 (en) * | 1998-12-18 | 2002-07-23 | Delphi Technologies, Inc. | Recyclable airbag module housing |
US6286858B1 (en) * | 1999-07-29 | 2001-09-11 | Delphi Technologies, Inc. | Energy absorbing air bag module |
US6361064B1 (en) * | 1999-12-28 | 2002-03-26 | Delphi Technologies, Inc. | Inflator seal retainer for an air bag module |
US6565113B2 (en) * | 2001-02-09 | 2003-05-20 | Delphi Technologies, Inc. | Air bag module |
US6626455B2 (en) * | 2001-03-13 | 2003-09-30 | Delphi Technologies, Inc. | Deformable air bag module housing |
DE20106599U1 (de) * | 2001-04-17 | 2001-08-23 |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73553 Alfdorf | Gassackmodul |
-
2002
- 2002-04-18 US US10/125,183 patent/US2003019735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
- 2003-03-31 EP EP03075919A patent/EP1359062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3-04-17 KR KR1020030024509A patent/KR1005747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4-18 JP JP2003113592A patent/JP2003312423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74758B1 (ko) | 2006-04-28 |
US20030197358A1 (en) | 2003-10-23 |
EP1359062A1 (en) | 2003-11-05 |
JP2003312423A (ja) | 2003-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624019B2 (ja) | 出力適応型インフレータ | |
US8353532B2 (en) | Airbag and airbag apparatus | |
US20050151351A1 (en) | Fabric knee airbag for high internal pressures | |
US20050082797A1 (en) | Expanding net integral with an inflatable airbag curtain | |
EP2537717B1 (en) | Airbag device and airbag folding method | |
JP2007161167A (ja) | 乗員保護装置 | |
JPH03281460A (ja) |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 |
KR100574758B1 (ko) | 에어백 모듈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 |
US6619691B1 (en) | Passenger-side airbag device | |
JP2013006489A5 (ko) | ||
KR20120047956A (ko) | 보행자 보호 에어백 장치 | |
JP2013006489A (ja) | エアバッグ装置 | |
WO2001081127A1 (fr) | Systeme d'airbag | |
JP2007161163A (ja) | 乗員保護装置 | |
CN108025696B (zh) | 侧面安全气囊装置 | |
CN108698552B (zh) | 膝部安全气囊模块 | |
KR20120095845A (ko) | 에어백 장치 | |
US6802528B2 (en) | Air bag cushion energy diverter | |
JPH0790744B2 (ja) | 乗員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 |
JP2005075143A (ja) | 車両用のニーエアバッグ装置 | |
JPH10338096A (ja) |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 |
KR101177810B1 (ko) | 저위험 전개 운전자 에어백 시스템 | |
WO2020036048A1 (ja) |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 |
JP5473821B2 (ja) |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 |
KR101867061B1 (ko) |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