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2079A -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2079A
KR20030082079A KR1020020020617A KR20020020617A KR20030082079A KR 20030082079 A KR20030082079 A KR 20030082079A KR 1020020020617 A KR1020020020617 A KR 1020020020617A KR 20020020617 A KR20020020617 A KR 20020020617A KR 20030082079 A KR20030082079 A KR 20030082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battery
engine
voltage
electronic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진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2079A/ko
Publication of KR2003008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07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기의 고장을 신속하게 진단하여 발전기의 고장으로 인한 배터리의 과도한 사용 방지하고,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자동차의 운행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엔진이 작동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발전기의 전압을 검출하여 발전기의 전압이 설정전압보다 낮은 경우, 발전기가 고장임을 판단하는 단계; 발전기가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각각의 전장품들의 사용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각각의 전장품들이 사용중인 경우, 각각의 전장품들에 공급되는 전기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전기가 고장이라고 판단하는 단계 다음에, 엔진이 작동중이 아닌 경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전기가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Method for preventing an automobile battery from being discharged}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기의 고장을 신속하게 진단하여 발전기의 고장으로 인한 배터리(battery)의 과도한 사용 방지하고, 배터리의 방전으로 인한 자동차의 운행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원은 배터리를 사용한다. 배터리는 계속적으로 충전을 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에, 서서히 배터리의 능력이 저하되어 결국은 사용 불능 상태로 된다. 따라서, 배터리는 사용할 때마다 가능한 신속하게 충전될 필요가 있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엔진은 자가 시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시동을 걸때는배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은 스타터(starter)의 외력에 의해 크랭크 축이 회전된다. 다음, 이 크랭크 축에 연결된 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발전기가 구동된다. 즉, 배터리는 시동장치, 점화 플러그 등을 작동시키며, 소모된 전원은 자동차의 주행중에 엔진에 의하여 가동되는 발전기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게 된다. 자동차의 발전기는 통상 13.4∼15V정도의 전압을 발생시켜 자동차의 각 전장품에 공급하고, 발전기가 고장일 때에는 배터리의 전원에 의해 자동차가 주행하는데 필요한 전기를 공급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즉, 시동시 스타터를 이용해 엔진을 타력으로 구동시키느라 소모된 배터리의 전력을 주행중 발전기가 보충시켜 줘야 하는데, 발전기의 고장으로 주행중 충전이 되지 않게 되는 경우에 충전없이 배터리의 전력으로 모든 차량의 전장품을 작동시키다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발전기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발전기의 고장을 신속히 감지하여 배터리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배터리의 방전 현상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에 따른 전원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제어부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방전 방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엔진이 작동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발전기의 전압을 검출하여 발전기의 전압이 설정전압보다 낮은 경우, 발전기가 고장임을 판단하는 단계; 발전기가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각각의 전장품들의 사용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각각의 전장품들이 사용중인 경우, 각각의 전장품들에 공급되는 전기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전기가 고장이라고 판단하는 단계 다음에, 엔진이 작동중이 아닌 경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전기가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의 방전 방지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엔진의 작동상태 여부를 판단한다(S1).
다음단계로, 엔진이 작동중인 경우 엔진의 크랭크 축의 풀리에 연결된 발전기가 구동하게 되고, 이 발전기에 설치된 전압센서는 축전지로 공급되는 전압을 검출하고(S2), 검출된 전압이 설정전압, 즉, 13.4V 이하인지 판단한다(S3).
여기서, 일반적인 발전기의 전압기준은 다음과 같다. 즉, 발전기의 출력전압은 상온에서 대략 14.4V정도이지만, 발전기 주변의 온도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여름철 엔진이 뜨거운 상태라면 13.4V까지 떨어지고, 반대로 한 겨울 아침이라면 15V까지 올라간다. 따라서, 발전기의 정상적인 출력전압은 대략 13.4∼15V정도이다. 여기서, 발전기의 고장여부는 발전기에 50%가량의 부하(예를들면, 대략 전조등과 에어콘을 작동시키는 정도의 부하)를 준 상태에서 엔진을 2500RPM까지 올렸을 때, 13.4∼15V정도의 전압이 나오면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그러므로, 발전기의 출력전압이 13.4V이하라면 발전기가 고장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S4단계에서는, 발전기 전압이 설정전압, 즉, 13.4V 이하이면 발전기의 고장이라고 판단하고, 운전자에게 발전기 고장을 경고를 하기 위해 1차로 경고등을 깜박거리도록 점멸시킨다.
발전기가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S5)하여 엔진이 작동중인가를 판단한다(S6). 이때, 엔진이 정지한 경우에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시킨다(S7). 여기서, 차량의 엔진이 작동중인 경우에는 배터리의 갑작스런 전원차단은 차량에 큰 위험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엔진이 정지된 상태에서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반면, 엔진이 작동중인 경우에는 S8, S9, S10 및 S11단계에서 각각의 전장품들이 사용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고, 각각의 전장품들이 사용중인 경우에는 배터리의 갑작스런 전원 차단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전장품들에 공급되는 전기를 순차적으로 차단하게 된다(S12).
즉, 카스테레오의 전원이 켜진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8). 이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 전기공급을 차단하고 S2 단계로 리턴하게 된다(S12). 동일한 방법으로 S2-S6단계를 실시하고, 에어컨, 히터, 팬 등이 켜져 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S9). 이 전원이 켜져 있는 경우 전기공급을 차단하고 S2 단계로 리턴하게 된다(S12). 또한, 시가잭, 와이퍼 등이 켜져 있는가를 판단한다(S10). 마찬가지로,전조등이 켜져 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S11). 이때, 각 전기 장치는 수동으로 재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발전기가 고장인 상태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경우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불필요한 전장품들로의 전기 공급을 순차적으로 차단하게 된다(S12).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전장품들의 차단 순서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할 수 있다.
운행중 모든 전장품의 전원이 꺼진 상태로 측정한 발전기 전압이 설정전압 이하인 경우에는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보하기 위해 2차로 경고등을 점멸이 아니라 점등시킨다(S13).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주행중 자동차의 발전기의 고장을 감지하여 운행에 불필요한 전장품들을 순차적으로 차단하여 배터리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자동차의 운행 불가 및 배터리의 방전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엔진이 작동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발전기의 전압을 검출하여 발전기의 전압이 설정전압보다 낮은 경우, 발전기가 고장임을 판단하는 단계;
    발전기가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각각의 전장품들의 사용여부를 순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각각의 전장품들이 사용중인 경우, 각각의 전장품들에 공급되는 전기를 순차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가 고장이라고 판단하는 단계 다음에, 엔진이 작동중이 아닌 경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발전기가 고장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기 위해 경고등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KR1020020020617A 2002-04-16 2002-04-16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KR20030082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617A KR20030082079A (ko) 2002-04-16 2002-04-16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617A KR20030082079A (ko) 2002-04-16 2002-04-16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079A true KR20030082079A (ko) 2003-10-22

Family

ID=3237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617A KR20030082079A (ko) 2002-04-16 2002-04-16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20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0056A2 (en) * 2005-06-27 2008-03-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inding a user of an unattended device in a vehic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6799A (ja) * 1993-03-15 1994-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充電系統制御装置
KR970004219A (ko) * 1995-06-17 1997-01-29 박상록 차량용 밧데리의 방전방지장치
JPH104605A (ja) * 1996-06-13 1998-01-06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
KR19980026959A (ko) * 1996-10-12 1998-07-15 박병재 교류발전기 고장시 전자식 리타더 제한 장치
KR19990008680A (ko) * 1997-07-03 1999-02-05 홍종만 차량 발전기의 고장 자동 진단 회로
KR20000001081U (ko) * 1998-06-19 2000-01-15 정병천 배터리 방전 방지 및 미등과 안개등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6799A (ja) * 1993-03-15 1994-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充電系統制御装置
KR970004219A (ko) * 1995-06-17 1997-01-29 박상록 차량용 밧데리의 방전방지장치
JPH104605A (ja) * 1996-06-13 1998-01-06 Toyota Motor Corp ハイブリッド車両
KR19980026959A (ko) * 1996-10-12 1998-07-15 박병재 교류발전기 고장시 전자식 리타더 제한 장치
KR19990008680A (ko) * 1997-07-03 1999-02-05 홍종만 차량 발전기의 고장 자동 진단 회로
KR20000001081U (ko) * 1998-06-19 2000-01-15 정병천 배터리 방전 방지 및 미등과 안개등 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00056A2 (en) * 2005-06-27 2008-03-1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inding a user of an unattended device in a vehicle
EP1900056A4 (en) * 2005-06-27 2009-12-16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ATTRACTING THE ATTENTION OF A USER TO THE PRESENCE OF AN OBJECT LEAVED WITHOUT MONITORING IN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86687A (ja) 電圧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20010061998A (ko) 자동차용 전기 공급 장치
KR20030082079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방법
KR100445860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100536334B1 (ko)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가진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시스템
KR100232352B1 (ko) 자동차 발전기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130068419A (ko) 차량의 배터리 방전 장치 및 방법
KR20050023481A (ko) 자동차용 충방전시스템의 자기진단 방법
KR102203288B1 (ko) Isg 제어방법
KR100233295B1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 감시 장치
KR102276014B1 (ko) 암전류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암전류 제어 시스템
KR100187177B1 (ko) 알터네이터 출력부족 감지 장치
JP2000316300A (ja) 車両用発電装置
JP3580835B2 (ja) 車両の外部表示灯点灯システム
KR101655574B1 (ko) 배터리 경고등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2001135495A (ja) 放電灯点灯装置
KR100536324B1 (ko)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35420B1 (ko) 차량용 42v 시스템의 전원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960007752Y1 (ko) 자동차엔진의 시동모우터 전원 제어장치
JP2004072874A (ja) オルタネータの発電制御装置
KR100350270B1 (ko) 자동차의 파워 소켓 사용시 자동 부하 조절장치
KR200295193Y1 (ko) 축전지경고장치
KR20050008105A (ko) 차량용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80084926A (ko) 차량의 전기적 과부하 경보방법 및 장치
KR19980022973A (ko) 차량의 밧데리의 자동 방전 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