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324B1 -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324B1
KR100536324B1 KR10-2004-0033158A KR20040033158A KR100536324B1 KR 100536324 B1 KR100536324 B1 KR 100536324B1 KR 20040033158 A KR20040033158 A KR 20040033158A KR 100536324 B1 KR100536324 B1 KR 10053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output voltage
generator
voltag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8101A (ko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324B1/ko
Publication of KR20050108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과, 상기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으로 입력되는 배터리 출력 전압 정보를 기 설정된 배터리의 정규전압과 비교하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과방전상태인 경우 엔진 RPM 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배터리의 출력전압이 과충전상태인 경우 엔진 RPM 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로틀 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엔진 회전수를 증감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ECU 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통해 구현되는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BATTERY CHARGINH CONTROLLONG APPARATUS AND METHOD OF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출력 전압 레벨에 따라 엔진 회전수(RPM)나 차량 부하의 동작범위를 제어하여 배터리가 과충전 또는 과방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기관의 기동장치나 점화장치를 비롯하여 램프류, 에어컨장치등 많은 전기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 배터리(battery)와 발전기(alternator)가 있다. 발전기는 통상 벨트에 의하여 엔진에 연결되어 구동되며, 그 발전량은 엔진의 회전수(RPM)에 따라 다르고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배터리가 전원이 되어 일시방전한다.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발전기만으로 모든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고 배터리도 발전기에 의해 충전된다.
배터리는 가솔린 자동차, 디젤 자동차 등 모든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엔진을 기동할 때의 점화, 조명등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배터리는 각각 다른 금속으로 만든 양극과 음극의 전극과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극을 도체로 각 전극의 작용물질과 전해액이 가지는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배터리는 자동차의 각종 전기장치와 연결되어 각 장치의 사용에 따라 방전되어 소모된다. 과부하상태가 지속되어 자동차의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다면 차량의 재시동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배터리가 발전기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과충전되는 경우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과방전 방지기술이 알려져 있는 데, 발전기의 발전량이 차량 부하량보다 적어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차량 부하의 동작범위를 규제하여 차량 부하에서 소비되는 부하전력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과방전 제어 기술은 소비전력량의 감소를 위해 운전자가 필요로 하는 차량 전기제품을 사용을 규제하는 수동적 제어기술로서, 운전자에게 불편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터리의 출력 전압 레벨에 따라 엔진 회전수(RPM)을 제어하여 발전기의 발전전력을 조절하고 이에 대응하여 차량 부하의 동작범위를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배터리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배티러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과, 상기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으로 입력되는 배터리 출력 전압 정보를 기 설정된 배터리의 정규전압과 비교하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과방전상태인 경우 엔진 RPM 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배터리의 출력전압이 과충전상태인 경우 엔진 RPM 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로틀 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엔진 회전수를 증감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ECU 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가 과방전 상태에 있는 경우, 조정된 엔진 RPM 이 충전 한계 회전수인 경우에 차량 부하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가 인식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과, 발전기의 회전여부를 감지하는 발전 고장감지부와, 발전기의 고장 사실을 운전자가 인식가능한 신호로 출력하는 발전기 고장경고 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으로 부터 배터리 출력 전압 정보를 인식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 인식 단계; 상기 배터리 출력 전압 단계에서 인식된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기 설정된 정규전압과 비교하여, 배티러 출력 전압이 배터리 정규전압 최소 한계 이하, 정규 전압 범위 인지 여부, 또는 배터리 정규 전압 최대 한계 초과 인지를 판단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정규전압 최소 한계 이하여서 배터리 과방전 상태로 판단되면 엔진 회전수가 기 설정된 엔전수 만큼 증가되도록 ECU 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RPM 상승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정규 전압 범위에 있는 경우 현 상태의 엔진 RPM 를 유지하는 엔진 RPM 유지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 정규전압 최대 한계를 초과하여 배터리 과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엔진 회전수가 기 설정된 엔진수 만큼 하강되도록 ECU 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RPM 하강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배터리가 과방전 상태로 판단되어 엔진 RPM 상승단계가 수행된 후에는, 엔진 회전수가 충전 한계 회전수 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엔진 회전수가 충전 한계 회전수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차량 부하를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ECU 는 주행엔진 모드로 엔진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판단단계는,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 정규전압 최소 한계 이하인지 판단하여 배터리 과방전을 판단하는 단계;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정규전압 범위인지 판단하여 배터리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배터리 출력 전압이 상기 단계들에 속하지 않는 경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정규 전압 최대 한계를 초과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배터리 과충전 상태로 인식하는 배터리 과충전 인식 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배터리 출력 전압 인식 단계에 앞서서,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으로부터 발전기 출력 전압 정보를 인식하는 발전기 출력 전압 인식 단계를 더 포함하여, 발전기의 최대 전압이 전압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된 규제전압인 경우에 차량 부하 제어단계로서, 차량 부하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과충방전을 제어한다.
또한, 발전기의 회전 유무를 감지하는 발전기 회전여부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여, 엔진의 구동에도 불구하고 발전기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발전기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발전기 고장 경고 단계가 수행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출력전압을 샘플링하여 제어부(50)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20)과,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감지하여 제어부(50)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40)을 구비하고,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20) 및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40)으로 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제어부(50)와, 제어부(50)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엔진 스로트밸브의 열림각을 제어하여 엔진의 회전수(RPM)를 제어하는 ECU(60) 및 제어부(50)에 의해 동작범위가 제어되는 차량 부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2) 또는 발전기(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제어부(50)와 배터리(2) 사이에는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20)이 설치되어 배터리(2)의 출력전압이 제어부(50)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50)에 입력된다. 한편, 엔진(10)에 연결되어 엔진(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30)와 제어부(50) 사이에는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40)이 설치되어 발전기(30)의 출력전압이 제어부(50)가 처리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50)에 입력된다. 이때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20) 및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40)은 볼트미터(22,42; voltmeter)와, 볼트미터(22,42)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가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24,44)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발전기(30)와 제어부(50) 사이에는 발전기 고장감지부(45)가 설치된다. 발전기 고장감지부(45)는 제어부(50)에 의해 발전기의 정상작동여부가 체크가능하도록 발전기의 전압을 분해(발전기 전압 1/5)하여 TTL 레벨(0V~5V)로 조정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차량 부하(80)는 일반적인 연결구성과 동일하게 배터리 및 발전기에 연결되어 있고, 발전기(30)와 배터리(2) 간에는 도선이 연결되어 발전기의 발전전력이 배터리에 충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발전기(30)에는 과도한 전압을 차단하여 차량의 전기부하와 배터리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전압 레귤레이터(32; voltage regulator)가 설치되어 있다. 잔압 레귤레이터(32)에 의해 발전기의 회전수가 증가하더라도, 발전기 출력전압은 규제전압인 14.5V 를 초과하지 않는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구비한 제어부(50)는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20) 및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40)으로 정보를 입력받아 ECU(60) 및 차량 부하(8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50)는 ECU로부터 엔진의 회전수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을수 있도로 구성된다. 제어부(50)는 발전기 고장감지부(45)로부터 입력되는 발전기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발전기의 고장여부를 체크한다. 발전기(30)는 엔진(10)의 구동력으로 구동되어 회전하면서 전력을 생산하게 되므로 엔진(10)이 구동되는 경우 전압을 출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발전기(30)가 고장난 경우 엔진(10) 구동에도 불구하고 발전기(30)는 회전하지 않고 전압을 출력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제어부(50)는 발전기 고장감지부(45)를 통해 입력되는 출력전압을 통해 발전기(30)의 회전여부를 판단하고, 발전기(3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발전기의 고장상태로 판단하여 경고등(미도시)을 통해 운전자가 이를 인식하여 필요한 조처를 취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50)는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20) 및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40)으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배터리(2)의 과충방전이 방지되도록 ECU(60) 및 차량 부하(8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40)을 통해 제어부(50)에 입력된 발전기(30)의 출력전압이 14.5V 인 경우에(14.5V 는 엔진의 회전에 연동된 발전기 회전수가 높아서 전압 레귤레이터(32)에 의해 조정된 값을 의미한다) 제어부(50)는 ECU (60)가 통상의 주행 엔진 모드로 엔진을 제어하도록 하고, 차량 부하(80)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과충방전을 방지한다.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20)에 의해 샘플링 되어 제어부(50)에 입력되는 배터리(2)의 출력전압 정보는 제어부에 기설정된 배터리(2)의 정규전압과 비교되어 배터리의 과방전, 정상, 과충전 상태로 판단되는 데, 배터리(2)의 정규전압은 하한치 및 상한치를 가지는 일정한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배터리와 차량 부하의 특성을 고려할 때, 배터리(2)의 정규전압은 10.8V ~ 13.5V 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배터리 및 차량 부하의 특성에 이러한 값들은 변경가능하다. 이때 10.8V 를 배터리 정규 최소 전압, 13.5V 를 배터리 정규 최대 전압으로 지칭한다. 즉, 배터리(2)는 배터리 정규 최소 전압과 배터리 정규 최대 전압 사이에서 출력전압을 가질 때 정상상태로 판단된다.
배터리(2)의 출력전압이 10.8V 이하인 경우 배터리(2)는 과방전 상태로 판단되고, 제어부(50)는 배터리(2)의 과방전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ECU(60)에 엔진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도록 RPM 상승제어신호를 출력한다. ECU(60)는 이러한 제어신호에 따라 스로틀 액츄에이터(6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로틀 밸브의 열림각을 조절함으로써 엔진 회전수를 증대시킨다. 엔진(10)의 회전수가 증대되면 엔진(10)에 연동된 발전기(30)의 회전수가 증대됨으로 발전기(30)의 출력전압이 증대된다. 이때, 제어신호에 따라 증대되는 엔진 회전수는 50RPM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2)의 출력전압이 10.8V ~ 13.5V 인 경우에는 배터리는 정상상태로 판단되고, 이 경우에 ECU(60)는 현 상태의 엔진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한다.
배터리(2)의 출력전압이 13.5V 초과인 경우에는 배터리(2)는 과충전상태로 판단되고 제어부(50)는 배터리(2)의 과충전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ECU(60) 에 엔진의 회전수를 감소키도록 RPM 하강제어신호를 출력한다. ECU(60) 는 이러한 제어신호에 따라 스로트 액츄에이터(6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로틀 밸브의 열림각을 조절함으로써 엔진(10)의 회전수를 감소시킨다. 엔진(10)의 회전수가 감소되면 엔진(10)에 연결된 발전기(30)의 회전수가 감소됨으로 발전기의 출력전압이 감소된다. 이때 제어신호에 따라 감소되는 엔진 회전수는 50RPM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터리(2)의 과방전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제어부(50)가 ECU(60)에 RPM 상승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제어부(50)는 상승된 RPM에 의해 발전기(30)에서 생산되는 전압이 볼트 레귤레이터(32)에 의해 조정된 14.5V 인지를 판단한다. 발전기 출력전압이 14.5V인경우 발전기(30)의 회전수가 높아서 전압 레귤레이터(32)에 의해 조정된 값이므로, 엔진(10)의 회전수를 상승시켜도 발전기(30)에서 생산되는 전압이 증가될 수 없다. 이 경우에 제어부(50)는 차량 부하의 동작범위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부하 제어 상태로 판단하여, 엔진 ECU(50) 가 통상의 주행 엔진 RPM 모드로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하고, 차량 부하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가능하도록 한다. 예컨대, 블로워 모터의 부하를 조정하여 에어컨의 단수를 1단 하향 조정하고, 쿨링 팬의 소모전력을 하향 조정하고 LCD 패널 블랙 램프의 조도를 하향 제어하여 차량 부하에 의해 전력 소모를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의 과방전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전기 회전여부 판단 단계(S10)와, 발전기 출력전압이 규제전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배터리 출력전압 인식 단계(S30)와, 배터리의 과방전 여부 판단 단계(S40)와, 배터리의 정상 여부 판단 단계(S50)와, 배터리의 과충전 인식 단계(S60)를 포함한다.
먼저, 발전기 회전 여부 판단 단계(S10)에서는, 엔진(10) 구동에 따라 발전기(30)가 회전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발전기의 고장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판단 결과 발전기(30)가 고장여부로 판단되면 발전기 고장 경고 단계(S15)에서는, 경고등 등의 경고수단을 통해 운전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발전기 출력전압이 규제전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에서는,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40)을 통해 입력되는 발전기 출력전압이 전압 레귤레이터(32)에 의해 조정된 값인 14.5V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는 전압 레귤레이터(32)에 의해 조정되어 발전기에서 출력가능한 최대 전압인 14.5V 를 규제전압으로 지칭한다. 규제전압은 14.5V 로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차량 부하 및 배터리 특성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발전기 출력전압이 규제전압인 14.5V 로 판단되면, 제어부(50)는 엔진 구동에 연동된 발전기의 회전수가 높은 상태임을 인식한다. 이 경우에는 ECU는 통상의 주행 엔진 모드로 엔진을 제어하게 되고, 제어부(50)에 의해 차량 부하가 제어되게 된다.
이어서, 배터리 출력 전압 인식 단계(S30)에서는,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20)에 의해 감지된 배터리 출력전압이 제어부(50)에 입력되어 배터리의 출력전압을 감지한다. 상기 단계에서 감지된 배터리 출력전압은 제어부(50)에 기 설정된 배터리(2)의 정규전압 범위와 비교되어 배터리(2)의 충방전 상태를 인식가능하게 한다. 즉, 배터리의 과방전 여부 판단 단계(S40)에서, 배터리(2)의 출력전압이 배터리 정규 최소 한계인 10.8V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배터리(2)의 출력전압이 10.8V 이하인 경우에는 배터리(2)의 과방전상태로 인식된다. 또한 배터리의 정상 여부 판단 단계(S50)에서는 배터리(2)의 출력 전압이 10.8V ~ 13.5V 인지 판단한다. 배터리(2)의 출력전압이 상기 범위에 있는 경우 배터리(2)는 정상적인 충방전 상태로 판단된다. 또한, 배터리 과충전 여부 인식 단계(S60)에서는,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상기 판단들의 결과 13.5V 초과인 경우로 인식하여 배터리를 과충전 상태로 인식된다.
배터리 과방전 여부 판단 단계(S40)에서, 제어부(50)는 ECU(60) 가 스로틀 액추에이터(62)를 제어하여 엔진 RPM 을 소정값 상승시키도록 RPM 상승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엔진 RPM 상승단계(S42)에서 엔진 RPM 이 상승된다. 이때, ECU(60)는 제어부에 엔진 회전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부(50)는 엔진 회전수가 충전 한계 회전수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발전기(30)의 출력전압 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되는 발전기 출력전압으로부터 엔진이 충전 한계 회전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엔진의 회전수 상승에 의해 엔진 회전수가 상승되면서 발전기의 회전수가 상승하여 출력이 규제전압인 14.5V 가 되는 경우 제어부(50)는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부하를 제어한다. 한편, 엔진 ECU(60) 는 통상의 주행엔진 모드로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게 된다.
배터리 정상 여부 판단 단계(S50)에서 배터리(2)의 출력전압이 정규전압 10.8V~13.5V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배터리를 정상 상태이므로, 현 상태의 엔진 회전수가 유지된다.
배터리 과충전 인식 단계(S60)에서는, 배터리(2)가 과충전 상태 또는 정상 상태가 아니므로, 배터리가 과충전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제어부(50)는 ECU(60) 가 스로틀 액추에이터(62)를 제어하여 엔진 RPM 을 소정값 하강시키도록 RPM 하강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엔진 RPM 하강단계(S62)에서 엔진 RPM 이 소정값 하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출력 전압에 따른 제어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 면, 제어부 내부에 설정된 타이머가 작동하면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후에 발전기 출력전압이 규제전압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로 복귀되어 순차적으로 다시 제어가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의 출력 전압 레벨에 따라 엔진 회전수(RPM)을 제어하여 발전기의 발전전력을 조절하고 이에 대응하여 차량 부하의 동작범위를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배터리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장치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장치의 보다 구체화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배터리 10; 엔진
20;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 30; 발전기
32; 전압 레귤레이터 40;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
45; 발전기 고장감지부 50; 제어부
60; ECU 62; 스로트 액츄에이터
80; 차량 부하

Claims (11)

  1.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과,
    상기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으로 입력되는 배터리 출력 전압 정보를 기 설정된 배터리의 정규전압과 비교하여,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과방전상태인 경우 엔진 RPM 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배터리의 출력전압이 과충전상태인 경우 엔진 RPM 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로틀 액츄에이터를 제어하여 엔진 회전수를 증감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ECU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가 과방전 상태에 있는 경우, 조정된 엔진 RPM 이 충전 한계 회전수인 경우에 차량 부하를 제어하여 소비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발전기의 출력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가 인식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는 발전기의 출력 전압이 전압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된 규제전압이고, 차량 부하의 소비전력을 제어하여 배터리의 과 충방전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발전기의 회전여부를 감지하는 발전 고장감지부와,
    발전기의 고장 사실을 운전자가 인식가능한 신호로 출력하는 발전기 고장경고 수단을 더 구비하여,
    제어부는 엔진 구동에도 불구하고 발전기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발전기 고장 경고수단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장치.
  5. 배터리 출력전압 감지수단으로 부터 배터리 출력 전압 정보를 인식하는 배터리 출력 전압 인식 단계;
    상기 배터리 출력 전압 단계에서 인식된 배터리의 출력 전압을 기 설정된 정규전압과 비교하여, 배티러 출력 전압이 배터리 정규전압 최소 한계 이하, 정규 전압 범위 인지 여부, 또는 배터리 정규 전압 최대 한계 초과 인지를 판단하여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정규전압 최소 한계 이하여서 배터리 과방전 상태로 판단되면 엔진 회전수가 기 설정된 엔전수 만큼 증가되도록 ECU 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RPM 상승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정규 전압 범위에 있는 경우 현 상태의 엔진 RPM 를 유지하는 엔진 RPM 유지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 정규전압 최대 한계를 초과하여 배터리 과충전 상태로 판단되면 엔진 회전수가 기 설정된 엔진수 만큼 하강되도록 ECU 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RPM 하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배터리 정규전압 최소 한계 이하인지 판단하여 배터리 과방전을 판단하는 단계;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정규전압 범위인지 판단하여 배터리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배터리 출력 전압이 상기 단계들에 속하지 않는 경우 배터리의 출력 전압이 정규 전압 최대 한계를 초과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배터리 과충전 상태로 인식하는 배터리 과충전 인식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출력전압의 정규전압 최소 한계는 10.8V 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출력전압의 정규전압 최대 한계는 13.5V 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방법.
  9.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배터리가 과방전 상태로 판단되어 엔진 RPM 상승단계가 수행된 후에는, 엔진 회전수가 충전 한계 회전수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엔진 회전수가 충전 한계 회전수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차량 부하를 제어하여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고 ECU 는 주행엔진 모드로 엔진을 제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방법.
  10.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배터리 출력 전압 인식 단계에 앞서서,
    발전기 출력전압 감지수단으로부터 발전기 출력 전압 정보를 인식하는 발전기 출력 전압 인식 단계를 더 포함하여,
    발전기의 최대 전압이 전압 레귤레이터에 의해 조정된 규제전압인 경우에 차량 부하 제어단계로서, 차량 부하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과충방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발전기의 회전 유무를 감지하는 발전기 회전여부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여, 엔진의 구동에도 불구하고 발전기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발전기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발전기 고장 경고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방법.
KR10-2004-0033158A 2004-05-11 2004-05-11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3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158A KR100536324B1 (ko) 2004-05-11 2004-05-11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158A KR100536324B1 (ko) 2004-05-11 2004-05-11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101A KR20050108101A (ko) 2005-11-16
KR100536324B1 true KR100536324B1 (ko) 2005-12-12

Family

ID=37284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158A KR100536324B1 (ko) 2004-05-11 2004-05-11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835B1 (ko) * 2012-12-18 2018-07-27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과충전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101A (ko)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7725B2 (en) Power source system for vehicle
KR100498733B1 (ko) 하이브리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6979977B2 (en) Power controller for a vehicle
US6844634B2 (en) Vehicular electric power generation control apparatus
US20040164705A1 (en) Onboard power supply system
CN107630758B (zh) 发动机怠速转速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7330015B2 (en) Power generation controller
KR101887748B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1252020B (zh) 一种能量协调控制方法、系统及车辆
KR100536324B1 (ko) 자동차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294491B1 (ko) 전압 변환 장치를 이용한 알터네이터 발전 제어 시스템
JP3972762B2 (ja) 車両の発電制御装置
KR100215659B1 (ko) 차량의 에어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536334B1 (ko) 충전상태 표시기능을 가진 자동차 배터리의 충방전 시스템
WO2008106875A1 (fr) Procédé et appareil permettant d'empêcher une lampe de véhicule de s'allumer de manière erronée
US11260740B2 (e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JP6936683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及び車両用電源システムの制御装置
KR20180028158A (ko) 엔진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배터리 방전제어방법과 이를 적용한 엔진 시스템 및 차량
KR100193230B1 (ko) 자동차의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장치
KR20050023481A (ko) 자동차용 충방전시스템의 자기진단 방법
JPH06245324A (ja) 電気自動車用エンジン駆動発電機の制御装置
JP2661052B2 (ja) 車両の充電制御装置
JP2001352691A (ja) 車両用電源装置
KR100311133B1 (ko) 배터리 상태 확인 및 보상 장치
JPH07194021A (ja)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