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1521A - 서랍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서랍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1521A
KR20030081521A KR10-2003-7011945A KR20037011945A KR20030081521A KR 20030081521 A KR20030081521 A KR 20030081521A KR 20037011945 A KR20037011945 A KR 20037011945A KR 20030081521 A KR20030081521 A KR 20030081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movement
lid
container
col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8647B1 (ko
Inventor
이안 데이빗 우드
Original Assignee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106164A external-priority patent/GB2367353B/en
Priority claimed from GB0118281A external-priority patent/GB2368898B/en
Application filed by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어플라이드 디자인 앤드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GB2002/001139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73107A1/en
Publication of KR2003008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other guiding mechanisms, e.g. scissor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7Pressure equal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0Quick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면을 형성하는 상부 개방형 절연 용기와, 이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절연 뚜껑과, 용기의 내부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냉각수단과, 용기, 뚜껑 및 냉각수단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냉장 저장장치에 있어서, 용기는, 용기를 개방하여 그 내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용기를 밀폐하기 위해서, 구조체와 뚜껑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조체에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서랍 저장장치{DRAWER STORAGE}
본 발명은 W0 01/20237호에 공개된 본 발명자의 출원 계류중의 국제특허출원번호 제PCT/GB00/03521호의 각종 특징을 개발 및 부가한 것이고, 이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GB 2367353호에 공개된 영국 특허 출원 제0106164.7호에서 파생되고, 그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고, 특히 본 출원은 이를 우선권 주장한다. 이들 명세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가운 환경 내에 모든 품목을 보관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기구" 라 함은 고정된 가정용 장치를 넘어서 산업용, 과학용 및 이동용 장치로 연장하는 것으로 폭넓게 해석된다. 그러나, 본원은 특히 식료품을 저장하는 가정용 또는 상업용 냉장 저장장치를 설명한다.
WO 01/20237 의 도입부를 간략히 요약하면, 냉장 및 분리된 상태에서 식료품 및 그외 썩기 쉬운 품목을 보관하는 주요한 이유로는, 이들 식료품의 퇴화를 지연시키고 분리에 의해 상호 오염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효과적인 것은 아니지만, 냉장고와 냉동고와 같은 현대 냉장 저장장치는, 통상, 사용자가 유사한 종류의 식품을 각각의 구획실에 보관할 수 있다. 이런 장치는 그 에너지 효율을 최대화하는 추가적인 목적을 갖는다.
본원 발명과 WO 01/20237호 및 GB 2367353호의 발명은 종래 냉장저장장치의 배경에 대해 고안되고, 이들 대부분은 그 정면에 수직방향으로 밀봉된 힌지식 도어 각각을 부착하는 하나 이상의 직립형 캐비넷을 포함한다. 캐비넷의 내부의 거의 전부는 보관된 식료품을 지지하는 선반 또는 서랍에 의해 가장 일반적으로 구분되는 보관 체적을 형성한다. 도어를 개방하여 캐비넷의 모든 선반 또는 서랍에 접근한다.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내부 보관공간의 측면 둘레에서 냉장고의 바닥부에 가라 앉고, 또 그 공기가 따뜻해짐에 따라, 공기가 내부의 중심을 통과해 상승하고, 이것이 냉각된 냉각장치로 복귀하는 대류 루프로서 순환한다. 또한 캐비넷 내에 또는 캐비넷과 연통하는 팬에 의해 공기를 강제로 순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선반 또는 서랍은, 이러한 공기의 순환에 거의 저항을 제공하지 않도록 통상적으로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직립형 냉장고와 냉동고는, 냉장고가 캐비넷의 상반부를 점유하고, 냉동고가 하반부를 점유하거나, 혹은 그 반대의 점유 구성을 갖는 단일 캐비넷'프릿지(fridge) 냉장고' 로서 흔히 조립 및 판매되고 있다. 2개의 구획실에 상이한 온도가 요구되는 경우, 견고한 분할벽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구획실에는 전용의 도어와, 종래의 증발기 형태의 냉각장치를 갖고 있다.
가정용 냉장고는 대개 하나의 압축기를 갖고 냉장고 증발기가 냉동고 증발기와 직렬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온도 제어와 계측은 일반적으로 냉장실에 한정된다. 온도 제어가 양 구획실에 요구되는 경우, 증발기가 병렬로 놓이고 각 솔레노이드밸브와 각 구획실에 대한 온/오프 냉각량 제어를 제공하는 온도 스위치를 갖는다. 그러나, 이들 경우중, 하나의 구획실은 쌀쌀한 상태이므로, 다른 구획실 보다 절연이 덜 되고 그 온도가 섭씨 0도 이상의 범위 내로 조정될 수 있는 반면, 다른 구획실은 냉동 상태이므로, 다른 구획실 보다 절연이 더 되고 그 온도가 섭씨 0도 이하의 범위내로 적어도 조정될 수 있으므로, 어느 각 구획실 내의 온도가 똑같게 설정될 수 없다. 어느 구획실이 다른 구획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WO 01/20237 에서 지적된 직립형 냉장고와 냉동고가 갖는 주요한 문제점, 즉 도어 개방시 차가운 공기는 자유롭게 캐비넷에서 유출되고, 상부에 흐르는 따뜻한 공기에 의해 대체되는 이른바 직립형 도어의 문제점을 개시한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될 때마다, 주위 공기가 캐비넷으로 유입하고, 그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므로, 이 상승 만큼, 냉각장치를 운전하여 추가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다. 또한 유입하는 주위 공기중의 오염물과 수분도 캐비넷 내에서 응축과 빙결을 유발한다. 특히 상업용 냉장 저장장치와 같이, 캐비넷을 보다 자주 빈번하게 개방하면, 이들 문제점은 더 악화된다.
직립형 도어 구성에서, 수직방향 시일의 제한은, 차가운 공기의 손실과 따뜻한 공기의 유입이 도어 밀폐시에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차가운 공기는 보다 따뜻한 공기보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도어와 캐비넷 사이에 시일이 불안전한 경우, 캐비넷의 바닥부에 모여진 가장 차가운 공기는 밀봉 경계면을 통해 누설된다.
또한 본 발명과 WO 01/20237호는,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힌지된 상향 개방식 뚜껑으로 통상적으로 닫히는 상부가 개방된 수납상자 형태의 공지된 수납상자 냉동고(chest freezer)의 내재된 문제점을 개시한다. 이런 수납상자 냉동고는 그 뚜껑을 개방하기 때문에 냉장고 바로 위의 공간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불편하고 공간이 비효율적이다. 상향으로 개방하는 뚜껑 대신에 슬라이드식 뚜껑이 사용되어도, 뚜껑의 상부에 품목을 편리하게 배치할 수 없다. 또한 대형 수납상자 냉장고는 그 내용물에 접근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고, 냉동고 구획실의 바닥에 있는 상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구부려서, 여러 무겁고, 힘든 냉동제품을 이동시킬 수고가 필요하다는 것도 잘 알려져 있다.
결국, 본 발명과 WO 01/20237호는 상호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상이한 종류의 식료품 또는 다른 썩기 쉬운 품목을 분리하는 문제점을 개시한다. 통상적인 냉장 저장장치에서, 식품의 분리는, 대부분의 냉장고에서 이용되고 있는 대류방식 및/또는 강제 공기 냉각에 의해 구성된다. 구획실 사이에 공기의 대류 순환을 촉진하기 위해서 설계된 거의 개방된 바구니 또는 선반은, 수분의 순환 및 유해한 세균오염도 촉진한다. 게다가, 생고기로부터 흘러내리거나 누설될 수 있는 즙과 같은 액체가, 개방형 바구니 또는 선반에 수용될 수 없게 된다.
직립형 냉장고와 수납상자형 냉장고로 예시된 종래 냉장 저장장치만을 관심의 종래 기술로 개시하지 않는다. 예컨대, 냉장고를 전용의 도어와 뚜껑을 구비한 구획실로 분할하는 기술이 수 년 동안 알려져 있다. 이런 생각은, 캐비넷형 냉장고를 개시하는, 이얼레(Earle)의 영국 특허번호 GB 602,590, GB 581,121, GB 579,071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이얼레 문헌에서, 캐비넷의 정면에는 서랍을 수납하는 다수의 직사각형 개구부가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서랍은, 서랍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중복부의 주위에 수직 시일이 형성되도록 각각의 개구부보다 큰 전면 패널을 갖고 있다. 서랍과 그 내용물은, 기술한 종류의 냉장고와 공통적으로, 캐비넷 내의 차가운 공기를 대류에 의해 순환시키는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된다. 모든 서랍 사이에서의 이 공기의 순환을 촉진하기 위해서, 서랍은, 상부가 개방되고, 그 바닥부에 개구를 갖는다. 또한, 서랍은 단차(stepped) 구성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서랍의 후방부가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된 공기의 하방으로의 흐름에 노출되도록, 냉장고 상부의 서랍은 하방의 서랍보다 캐비넷 내에서 휠씬 후방으로 보다 짧게 연장한다.
한 번에 개방할 필요가 있는 것은 하나의 서랍이지만, 바닥의 개구부는 개방된 서랍으로부터 차가운 공기가 자유롭게 흐르도록 하여, 따뜻한 습윤한 주위 공기로 대체되어, 에너지 효율을 희생하는 동시에 상호 오염의 가능성이 증가한다. 실제로, 서랍 개방시, 그 서랍의 높이보다 위의 캐비넷 내의 차가운 공기가 누출하여, 주위 공기를 캐비넷으로 유입한다. 게다가, 서랍은, 개방시 주위 공기를 냉장고 캐비넷의 내부로 유입하는 피스톤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주위 공기를 냉장고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일단 캐비넷 내에 유입된, 따뜻한 공기는 거기에 있는 차가운 공기와 가능한 자유롭게 순환할 수 있다.
닫힌 경우에도, 캐비넷 바닥부를 향한 차가운 공기의 축적은, 가장 낮은 서랍의 수직 시일에 압력을 증가시키므로, 시일이 불완전하면 누설의 가능성이 증가한다.
상기 종류의 냉장고의 추가적 실시예로는, 또한 이얼레의 영국 특허번호 GB 602,32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냉장고는 상기의 문제점을 갖지만, 절연된 측부 및 베이스로 이루어지는 단일의 서랍이 캐비넷 내의 냉각된 내부에 구비되는 점에서 중요하다. 전술한 각종 변형예와 대조적으로, 측부 및 베이스는 공기가 통과하지 않는 격벽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서랍이 닫히면, 캐비넷 내부의 수평부재가 서랍과 결합하여, 구획실을 형성하고, 해당 수평부재는 서랍에 대한 뚜껑이 된다. 이 구획실에는 수평부재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전용의 냉각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수평부재가 서랍의 후벽과 밀접하게 고정하는 가압된 엣지를 구비한 하방으로 돌출하는 후단부를 갖는 것 이외에, 서랍과 수평부재 사이에 형성된 시일에 관해 상세히 기술되어 있지 않다. 서랍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수평부재에 대해 '상당히 정확하게(fairly snugly)' 고정하도록 되는 일반적인 진술을 제외하곤, 서랍과 수평부재 사이의 접합부에 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 서랍과 수평부재가 단지 서로 인접하고 있다는 것만을 추론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서랍의 내외로의공기의 유출입의 통과를 방해하지만, 불투과성 시일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는 증기 시일이 아니기 때문에, 서랍이 닫혀 있어도 성에와 상호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서랍 장치는 냉장고의 나머지의 본질적으로 공통 온도와 비교하여, 다른 온도를 설정할 수 있는 구획실을 형성한다. 특히, 서랍이 냉동실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 구성의 불리한 점, 즉 냉장 서랍이 닫혀 있을 때, 냉동고의 서랍이 냉각된 내부에 있기 때문에, 캐비넷 내부의 서랍의 외표면이 냉장고의 온도까지 냉각되는 것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서랍을 개방할 때, 이들 냉각된 외표면은 주위 공기에 노출되어, 이 공기가 냉각된 표면상에 응축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수분의 축적을 유도한다. 응축은 잠열을 수증기에서 서랍으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므로, 서랍이 캐비넷 내의 닫힌 위치로 복귀할 때 다시 서랍을 냉각하는 부담이 증가한다.
게다가, 응축된 수분은, 서랍이 닫혀질 때 냉장고의 내부로 전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의 존재는 세균의 활동을 촉진한다. 물을 냉장고 내부로 도입하는 다른 단점은 이 물이 결빙될 수 있고, 이런 얼음의 형성은 서랍을 영구적으로 밀폐 위치에 고정하는 시일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밀봉된 구획실의 서랍이 절연된 상부와 접촉할 때에 특별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서랍과 상부 사이의 경계면에 걸쳐 습기 이동에 의해 얼음이 형성된다. 이얼레의 제안에는, 얼음을 파괴하기 위해서 영국 특허 GB602,329에 언급한 바와 같이 서랍의 런너(runner) 또는 다른 지지면 또는 시일에 형성된 캠 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이 불리한 점은 이얼레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얼음의 형성이, 맞물리는 시일링 표면이 올바르게 맞물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시일의 밀봉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물론, 서랍 기구의 이동부상의 얼음의 축적도, 서랍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추가로 관심 있는 종래 문헌으로서, WO 01/20237에 대한 기술적 배경으로 인용되는, 에웬(Ewen)에게 특허 허여된 미국 특허 제1,337,696호이다. 에웬은 에워싸는 캐비넷에 포함된 냉장된 서랍 사이의 분리를 언급하고 상기 서랍이 상기 냉장부에 대해 효과적으로 밀폐되도록 각 서랍 위에 상당히 밀접하게 놓여지는 냉장부를 사용한다. 그러나, 서랍이 개방될 경우 서랍과 냉장부 사이에 간격이 존재한다. 이얼레와 같이, 캐비넷 내의 습윤한 공기가 서랍속으로 이동하고 수증기가 응축 및 냉동하므로 간격은 결빙을 촉진한다. 간격이 작을수록, 서랍 이동을 방지하는 얼음 축적이 빨라진다. 대신에 커다란 간격이 시도되면, 공기의 누설이 보다 커지므로 냉장고의 열효율이 저하하여 보다 상호 오염되기 쉽다.
이와는 별개로, 에웬의 차가운 공기의 누설은 서랍 주위 캐비넷 내의 온도를 저하시키므로, 개방시 서랍에 응축의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런 방식으로 누설된 차가운 공기가 캐비넷 내의 서랍 후방으로 자유롭게 내려갈 수 있고 서랍의 외부를 실질적으로 대기 온도 이하의 공기에 노출된다는 것에 주목할 것이다. 에원의 특정 설계는 이 효과를 악화한다. 예컨대, 에원 장치의 바닥벽은 서랍의 표면 온도를 상당히 감소하는 효율적인 절연체이다. 또, 서랍 사이의 내부 분할판은 서랍으로 대기 열전달을 허용하지 않고 서랍 사이의 열전달만을 허용하므로, 수 시간동안서랍간 온도 균형을 촉진한다. 장기간, 또는 밤새도록 남져져, 각 서랍 외표면의 대부분이 대기 이슬점 이하로 상당히 온도 저하한다. 따라서 서랍을 개방하자 마자 응축 또는 결빙이 이들 표면에 형성한다. 동일하게, 서랍이 분리되어 장치 외부에 놓여지면, 응축과 함께 '발한(sweat)' 하기 시작한다.
이얼레와 같이, 에원의 밀봉된 캐비넷 내의 서랍의 개방과 밀폐는 피스톤과 같이 동작하고, 선택적으로 부압과 정압 모두가 인접한 영역에 인가된다. 이는 캐비넷의 전면에 서랍 개구를 통한 공기 전달을 촉진하고, 캐비넷 차체 내에 서랍에 차갑게 처리된 공기를 이동한다. 과다 크기의 캐비넷이 피스톤 효과를 감소하지만 또한 공간을 낭비하게 된다. 역으로, 보다 공간 효율의 밀폐 고정 캐비넷이 차갑게 처리된 공기의 이동을 감소시키므로, 발생하는 따뜻한 공기의 냉각의 부담을 감소시키지만, 서랍을 열고 닫는 저항을 증가시키게 된다.
차가운 공기 유출 이외에, 종래 기술 구성에서 서랍과 그 연관된 뚜껑 사이에 남겨진 불가피한 간극이 효소, 포자 및 다른 풍매 오염물을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크기이다. 또한, 에원은 일반적인 상호 접속 배수관을 개시하고 이는 또한 각 서랍 사이, 특히 전술한 피스톤 작용 하에서 오염물의 자유 전달을 허용한다.
에웬은 상이한 서랍에서 상이한 온도를 개시하지만, 다수의 냉각 뚜껑이 직렬로 접속되고 각 서랍에서 별도의 온도 제어를 위한 수단을 갖지 않는다. 일부 서랍에 보다 냉각하는 요소를 구비함으로써 상이한 온도를 설계하지만, 사용시 이들 온도의 계측이나 제어를 할 수 없다. 또한, 보다 종래 기술의 구획실과 같이, 에웬의 각 서랍은 고정된 기능, 즉 냉장고 또는 냉동고를 갖는다.
장치에서 분리시에도, 에원의 서랍은 그 서랍 정면과 런너에 부착 유지된다. 이는 서랍이 일시적인 저장 또는 운반을 허용하지 않는다. 게다가, 어엘레와 같이, 에웬의 서랍은 완전히 개방될 수 없다. 장치의 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동안 반 정도 이하로만 개방될 수 있다. 이는 내용물에 대한 접근, 가시성과 조도를 손상한다.
본 발명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식료품 및 그외의 썩기 쉬운 물건을 저장하는 냉장고 및 냉동고 등과 같은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냉장 저장장치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용도로는 화학품과 의료용이나 생물학적 시편의 저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동 용도, 예컨대 썩기 쉬운 물건의 운반과 저장에 이용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서랍의 이용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저장, 특히 무거운 하중을 지지하고 밀폐시 밀봉될 필요가 있는 서랍에 이용한다.
도 1은 수납용기(bin)를 각각 포함하는 수직방향 배열의 서랍을 도시하는 본 출원인의 출원 계류중인 국제특허출원 PCT/GB00/03521(WO 01/20237)에 개시된 냉장고/냉동고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서랍의 측면을 볼 수 있도록, 측면 패널의 하부가 분리되는 도 1의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서랍이 밀폐된 상태에서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뚜껑을 수납용기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수납용기가 단일 개방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조체에 관해서 뚜껑이 이동가능한 본 발명의 장치의 두 개의 서랍이 확대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도 6a는 뚜껑에 밀봉된 그 수납용기가 밀폐된 서랍을 도시하고, 도 6b는 뚜껑에서 수직방향으로 분리된 수납용기를 (실선으로) 부분적으로 개방한 후, 그 내부로 접근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미끄럼 전진하는 수납용기를 (점선방향으로) 완전히 개방한 서랍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a 및 도 6b의 장치의 일부인 수납용기 이송수단의 정면부 단면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6a, 도 6b, 및 도 7의 장치의 일부인 수납용기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a, 도 6b, 및 도 7에 도시한 휠 하우징의 상세 측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휠 하우징의 작동시 개략적인 상세 측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서랍의 개방과 밀폐를 돕는 레버의 추가된 개선을 갖는 도 6a와 도 6b에 도시한 도면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서랍의 측면도.
도 12는 도 6a 및 도 6b 또는 도 11a 및 도 11b의 서랍을 수납하도록 구성된 장치의 서랍 오목부 내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밀봉, 냉각 및 배수시설을 상세히 도시하는 뚜껑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14는 별개의 배수 구성을 도시하는 도 13a 및 도 13b의 다수의 뚜껑의 개략도.
도 15a 및 도 15b는 팬 코일 냉각 시스템에 사용하는 뚜껑의 저면도 및 측단면도.
도 16a, 도 16b, 및 도 16c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변형 구성을 갖는 벤치형 냉장저장장치의 정면 단면도, 측단면도 및 부분 확대 단면 상세도.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추가의 수납용기 이송기구의 부분 단면도, 정면도 및 확대 정면도로서, 도 17a는 도 17b의 선 Y-Y에 놓이고, 도 17b 및 도 17c는 도 17a의 선 X-X에 놓이는 도면.
도 18a, 도 18b, 및 도 18c는 이송판에 부착된 휠 브라켓의 부분 단면 상세도로서, 도 18a는 도 18b의 선 X-X 단면에 놓이고, 도 18b는 도 18c의 선 Y-Y 단면에 놓이고, 도 18c는 평면도.
도 19는 도 18a, 도 18b 및 도 18c에 도시한 휠 브라켓에 고정된 이송판의 측면도.
도 20은 도 19의 이송판을 이용하는 수납용기 지지 프레임의 측면도.
도 21은 도 20의 수납용기 지지 프레임에 부착되는 휠 하우징 요소의 개략적인 상세 측면도.
도 22a, 도 22b, 도 22c, 도 22d는 도 17a, 도 17b, 및 도 17c의 수납용기 이송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로서, 도 22a는 밀봉된 수납용기와 수납용기의 추를 휠에 유지되는 것을 도시하고, 도 22b는 휠에 유지되는 수납용기의 추를 도시하지만 밀봉에서 해제된 수납용기를 도시하고, 도 22c는 수납용기 지지프레임과 이송판의 맞물림을 도시하며, 도 22d는 수납용기가 수평 개방 이동을 실행할 때 수납용기의 추가 런너에 유지되도록 이송판에 하중 전달을 도시한다.
도 23a 및 도 23b는 슬라이딩 블록을 사용하는 다른 수납용기 이송기구의 부분 단면도 및 정면도로서, 도 23a는 도 23b의 선 Y-Y에 있고 도 23b는 도 23a의 선 X-X에 있다.
도 24a, 도 24b, 도 24c는 도 23a, 도 23b의 수납용기 이송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로서, 도 24a는 밀봉된 수납용기를 도시하고, 도 24b는 그 밀봉에서 해제된 수납용기를 도시하고, 도 24c는 수납용기가 수평 개방 이동을 실행할 때 수납용기 지지 프레임과 이송판의 맞물림을 도시한다.
도 25는 도 26의 선 Y-Y를 따라 절취한 추가의 수납용기 이송기구의 부분 단면도.
도 26은 도 30a의 선 X-X를 따라 절취한 도 25의 수납용기 이송기구의 단면도.
도 27은 도 25 및 도 26의 수납용기 이송기구에 사용된 휠 램프의 측면도.
도 28은 도 25 내지 도 27의 수납용기 이송기구에 사용된 휠 조립체의 정면도.
도 29는 도 28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휠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30a 내지 도 30f는 도 25 내지 도 29의 수납용기 이송기구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측단면도.
도 31은 도 25 내지 도 30의 수납용기 이송기구에 사용된 댐퍼의 측단면도.
도 32a 내지 도 32f는 도 25 내지 도 30의 수납용기 이송기구에 사용된 변형 댐퍼의 연속적인 측단면도.
도 33a 내지 도 33e는 추가의 변형 수납용기 이송기구의 동작을 도시하는 연속적인 측단면도.
도 34, 도 35 및 도 36은 구속기구의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도 36의 정면도는 도 35의 선 X를 따라 절취한 도면.
도 37a 내지 도 37f는 도 34, 도 35 및 도 36에 도시한 구속기구를 포함하는수납용기 이송기구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도시하는 측단면도.
본 발명이 고안된 것은 이런 배경을 감안한 것이다. 일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외면을 형성하는 상부 개방형 절연 용기와, 이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절연 뚜껑과, 용기의 내부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냉각수단과, 용기, 뚜껑 및 냉각수단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냉장 저장장치에 있어서, 용기는, 용기를 개방하여 그 내부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용기를 밀폐하기 위해서, 구조체와 뚜껑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조체에 장착되어 있고, 개방시 용기가 뚜껑으로부터 자유롭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밀폐시 상기 용기와 뚜껑을 함께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구조체와 용기에 대해 이동하도록 용기는 구조체에 장착되어 있는 냉장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관점에서, 뚜껑은 용기 이동에 자유롭게 이동한다. 기술하는 간단한 구성에 있어서, 뚜껑은 구조체와 용기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예컨대, 뚜껑은 구조체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뚜껑이 용기로부터 완전히 들어 올려지도록 힌지는 용기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피봇 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일반적으로, 뚜껑이 용기의 이동방향에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이바람직하다.
유리하게는, 뚜껑이송수단은 상기 이동동안 용기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용기 또는 지지수단의 이동에 대응한다. 개방시 용기가 움직이기 시작하기 이전과 밀폐시 용기가 정지하기 시작한 후에 뚜껑이송수단은 뚜껑을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수단은 상기 이동 동안 용기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뚜껑이송수단은 지지수단과 뚜껑 사이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뚜껑을 이동하기 위해 지지수단의 이동에 대응한다.
뚜껑이송수단이 지지수단과 용기 사이의 상대 이동,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이동이 정지한 후 지지수단의 연속된 이동에 대응하는 경우, 지지수단은 용기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변형 구성에서, 뚜껑이송수단은 개방시 용기의 초기 이동 동안 밀폐시 용기의 최종 이동 동안 뚜껑을 이동한다.
본 발명은 또한 외면을 형성하는 상부 개방형 절연 용기와,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절연 뚜껑과, 용기의 내부를 냉각하도록 구성된 냉각수단과, 용기, 뚜껑 및 냉각수단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냉장 저장장치에 있어서, 용기를 개방하여 그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용기를 밀폐하기 위해서 구조체와 뚜껑에 대해 이동하도록 용기가 구조체에 장착되며, 용기의 상기 이동은 용기를 개방하여 그 내부로 접근할 수 있고 또는 용기를 밀폐하는 주 요소와, 이 주 요소에 횡방향으로, 개방시 상기 주 요소의 시작시에 용기를 뚜껑에서 자유롭게 하고 또는 밀폐시 상기 주 요소의 말기에 용기와 뚜껑을 함께 이동하는 부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관점에서, 용기의 두 요소 이동은 용기를 뚜껑에서 제거하는 기능한다. 용기와 뚜껑 사이의 시일에 와이핑 작용을 피하기 위해, 개방시 주 요소 이전에 밀폐시 주 요소 이후에 부 요소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개방시 주 요소의 방향으로 초기 이동동안 밀폐시 주 요소의 방향으로 최종 이동동안 부 요소가 발생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관점에서, 지지수단은 주 요소 동안 용기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부 요소를 발생하기 위해 지지수단의 이동에 대응하기 위해 용기이송수단은 지지수단과 용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수단이 용기와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경우, 용기이송수단은 지지수단과 용기 사이의 상대 이동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용기의 이동의 주 요소가 완료된 후 용기지지수단은 지지수단의 연속된 이동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이송수단은 지지수단에 대해 고정되는 제1 부분과 용기에 대해 고정되는 제2 부분을 적절하게 포함하며, 이들 부분 사이의 상대 이동은 지지수단의 상기 연속된 이동을 수용한다. 이 경우, 이들 부분 사이의 상대 이동은 용기의 이동의 부 성분을 유발한다. 예컨대, 일 부분은 램프를 포함하고 다른 부분은 휠과 같은 램프 종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는 램프 종동부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정지부 또는 버퍼에 추가로 연관되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수단은 또한 주 성분의 이동 동안 용기의 측방향 흔들림에 대항하기 위해 안정기구에 고정되어도 된다. 이 안정기구는 지지수단에 이동가능한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피니언은 주 요소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측방향으로 이격된 랙에 맞물리고 있다.
본 발명이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출원인의 출원 계류 중의 국제 특허 출원 번호 PCT/GB00/03521(W0 01/20237)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고, W0 01/20237의 도 1 내지 도 4는 본원에 첨부된 도면으로 재현되고 본 발명의 전후 문맥을 돕도록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4는 W0 01/20237에 따른 냉장/냉동장치(2)를 도시한다. 이 장치(2)는 직립형 직육면체의 구성으로, 상부(8), 하부(10), 측면(12) 및 후부(14) 패널로 이루어지는 캐비넷(6)에 수납되어 서로에 대해 배열되는 5개의 직사각형 정면 서랍(4)을 구비한다. 다른 지지 구조체 사이에 간격을 갖는 장치(2)를 구성하기를 소망하면 이들 패널 중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특히, 이웃하는 식기장이 지지를 위해 놓여지거나 측면 패널(12)의 기능을 수행하면 측면 패널(12)은 생략될 수 있다. 프레임(도시 생략)이 장치의 각종 부분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경우 패널(8, 10, 12, 14)은 구조적으로 이룰 수 있고 이루지 않을 수 있다. 프레임을 구비하면, 패널을 구조적으로 갖을 필요는 없다.
서랍(4)은 이하 상세히 후술하는 서랍(4) 측면의 트랙 또는 런너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캐비넷(6) 내외부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다. 후부 패널(14)이 없으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방향 이상으로 캐비넷(6)에서 서랍(4)을 제거하는 것이 이론상 가능하다.
각각의 서랍(4)은 절연된 상부 개방형 버킷식 용기(16)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용기(16)(이 경우, 중앙 서랍(4))는 다른 내부 용적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용기(16)와 상이한 깊이를 갖는다. 이들 용기(16)는 본 명세서에서 저장 수납용기 또는 간단히 수납용기(16)로 언급한다. 하부 수납용기(16)는 캐비넷(6)의 하부 패널(10)에 좁은 간격만을 남기는 반면, 상부 수납용기(16)는 상부 패널(8) 아래 장치(2)의 상부에 상당한 공간을 남기므로, 당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예컨대 응축수단과 압축수단을 포함하는 냉장고 엔진(20)을 수납하는 구획실(18)의 공간을 허용한다.
중앙 서랍(4)의 상대적으로 깊은 수납용기(16)는 병과 그외 비교적 길다란 품목을 직립으로 저장 유지하지만, 그외의 비교적 얕은 수납용기(16)은 얕은 품목에 대응한다. 종래 직립형 냉장 저장장치의 주요 저장 용적을 형성하는 선반과 다른 구획실에 비해, 모든 수납용기(16)는 구획실의 깊이에 비해 접근 개구의 실질적 폭의 관점에서 유리한 종횡비를 가지므로 접근이 용이하다. 따라서 서랍(4)을 개방시 수납용기(16)의 내부의 모든 부분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캐비넷(6)의 내부는 각 서랍(4)에 대해 하나씩, 거의 평면으로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는 5개의 절연 뚜껑(22)으로 분할되어 있다. 서랍(4) 밀폐시, 연관된 수납용기(16)의 개방 상부는 기술한 방법으로 적절한 하나의 뚜껑(22)으로 밀폐된다. 뚜껑(22)은 각 뚜껑(22)의 하부면(26)에 놓여지는 공지 형태의 증발기 부재를 이루는 냉각수단(24)을 포함하여 그 뚜껑(22)에 의해 밀폐된 수납용기(16)의 내용물을 냉각한다.
각각의 수납용기(16)는 서랍(4) 밀폐시 노출되는 일반적으로 평탄한 정면(28)을 갖고 있다. 정면(28)은 공지된 장식용 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서랍(4) 밀폐시, 수납용기(16)의 정면(28)은 수납용기(16) 전용의 제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30)에 의해 상부와 경계를 이루고, 패널(30)은 정면(28)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패널(30)은 적절한 뚜껑(22)의 정면 가장자리(32)에 지지되고, 이 패널(30)은 뚜껑(22)의 정면 가장자리(32) 오목부에 놓여진다.
제어 및 디스플레이 패널(30)은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스위치 및 가청 알람을 포함하므로, 각 수납용기(16)에 대해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는 수납용기(16)가 냉각되는 온도를 선택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또한 온도 디스플레이, 온/오프 및 급속냉동스위치, 서랍(4) 개방을 지시하는 라이트 및 서랍(4)이 소정 시간 보다 길게 개방되거나 수납용기(16) 내부 온도가 상한치 또는 하한치에 도달할 때를 지시하는 오디오 알람을 포함한다.
둥근 핸들(34)은 정면(28)의 상부의 전체 폭을 거의 횡단하여 연장하므로 수납용기(16)의 내부로의 접근이 요구될 때 서랍(4)을 당길 수 있다.
각각의 수납용기(16)의 정면(28) 하부는 이하 설명하는 슬롯(36)으로 경계를 이루고, 외부공기의 캐비넷(6)으로 유입을 허용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슬롯(36)은 각각의 수납용기(16) 아래에 유지된 공극(42)에 만나도록 연관된 수납용기(16)의 전체 하부면(40) 아래를 연장하는 공기 간극(38)과 연통하고, 공극(42)은 캐비넷(6)의 후부 패널(14)과 측면 패널(12)의 내면 및 수납용기(16)의 뒷면(44)으로 형성된다. 특히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극(42)은 캐비넷(6)의 하부 패널(10)에서 각각의 수납용기(16)을 지나 연장하므로 캐비넷(6)의 상부에서 냉장고 엔진부(18)와 연통한다.
수납용기(16) 아래 공기 간극(38) 및 수납용기(16)를 지난 공극(42)은 수납용기(16)의 측면(48)과 공기 간극(38)으로 연통한다. 선택적으로, 벤트(46)를 수납용기(16)에 인접한 캐비넷(6)의 측면 패널(12)에 구비하여 이를 통해 대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간극(38)은 각각의 수납용기(16)의 상부면 모든 바아 주위를 연장하므로, 슬롯(36)을 통해 캐비넷(6)으로 유입하는 대기 공기가 각각의 수납용기(16)의 측면(48), 하부(40) 및 후부(44) 주위를 자유롭게 순환할 수 있다. 또한, 대기 공기가 각각의 뚜껑(22)의 상부면(50) 위를 자유롭게 순환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것이다. 위에 수납용기(16)을 갖지 않는 최상위 뚜껑(22) 위에 이런 기류를 허용하기 위해, 냉장고 엔진부(18)의 정면(52) 아래 슬롯(36)을 구비하고 있다.
서랍(4)을 개방하여 장치(2) 내부로 대기 공기를 흡입하는 피스톤 작용은 본 발명에서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 것에 주목할 것이다. 실제로, 이 작용은 캐비넷(6) 내의 대기 공기의 순환을 촉진할 때 유리하다.
도 4는 냉장고 엔진부(18)의 정면(52)에 설치된 관통공(56)를 통해 배출하는 임펠러(54)를 포함하는 냉장고 엔진부(18)를 도시한다. 도 1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개구(56)는 정면(52)의 폭을 횡단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한다. 임펠러(54)는 수납용기(16)를 지나 공극(42)과 흐름 소통하여 공극(42)에서 공기를 배출하므로, 슬롯(36)과 선택적인 측면 벤트(46)를 통한 대기 공기의 도입을 연속적으로 촉진한다. 냉장고 엔진부(18)로 공기 유입시, 응축기의 열교환 매트릭스(58)를 통해 공기가 흡입된다.
따라서, 정면 슬롯(36)을 통한 캐비넷(6)으로 대기 공기가 유입되고, 필요한 경우, 냉장고 엔진부(18)의 정면(52)에 설치된 개구(56)를 통해 캐비넷(6)을 통과하는 측면 벤트(46)를 구비하므로, 대기 공기가 캐비넷(6)을 통해 순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 공기가 수납용기(16)의 외측면(40, 44, 48)과 바로 접촉하는 장치(2)로 유입하여, 공극(42)을 향해 배출되기 이전에 대기 온도(거의 동등하게 수납용기 벽 두께를 가로질러 온도 기울기에 의해 대개 경계층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하는 표면 저항 효과)로 따뜻하게 한 다음 공기의 순환에 의해 공간(42)을 통해 위로 향한다. 도 4의 화살표는 장치(2)를 통한 공기의 순환을 도시한다. 따라서, 캐비넷(6)의 내부는 대기 온도에 대해 밀폐 유지되며, 각각의 수납용기(16) 내부만이 냉각된다.
내부보다 공기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 수납용기(16)의 외부면(28, 40, 44, 48)을 노출함으로써, 외부면(28, 40, 44, 48)에 응축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수납용기(16)로의 잠열 전달 또는 캐비넷(6)으로 유입하는 응축수의 결빙과 상호 오염의 어려운 문제는 없다.
어느 경우든, 서랍(4)을 밀폐시 각각의 수납용기(16)가 단단하게 밀봉되기 때문에 상호 오염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세균이 캐비넷(6)으로 들어가는 경우에도, 다른 수납용기(16)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없다. 또한 두 개의 수납용기(16)가 주어진 시간에 서로 개방되는 일은 없다. 이를 강요하는 수단, 예컨대 안티 틸트(anti-tilt) 목적을 위한 파일링 캐비넷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기구를 이용하여, 한 번에 하나 이상의 서랍(4)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기구는 후술한다.
수납용기(16)를 개방시, 그 개방 상부는 냉각공기가 상당히 누출되지 않으며, 수납용기(16) 밀폐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평방향 시일(60)은 직립형 냉장고와 냉동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직방향 시일보다 차가운 공기의 밀봉성에서 본질적으로 우수하다. 수평방향 시일은 박스형 냉장고로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은 대신에 더욱 대중적인 직립형 장치에 관해 유사한 박스형 냉장고의 불편함과 공간 문제를 경험하지 않는다.
각각의 수납용기(16)의 냉각된 내측면(62)과 그 외측면(28, 40, 44, 48) 사이에 큰 온도 기울기가 존재하므로, 수납용기(16)는 효율적인 절연재로 구성되므로, 또는 대기 온도에 근접하게 유지하는 외측면(28, 40, 44, 48)에 의해 온도 기울기가 용이하게 유지된다. 페놀 거품(phenolic foam) 또는 폴리우레탄 거품(선택적으로 복합 구조로 GRP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덮혀짐) 등의 물질이 수납용기(16)의 구조에 특히 바람직하다.
특정 수납용기(16)의 내용물의 분리가 필요하다면, 그 수납용기(16)은 분리형 인서트(64)에 고정되어도 좋다. 인서트(64)는 다양한 형상과 치수를 가지며 다양한 형태의 구획실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인서트(64)는 내부에 수납되는 수납용기(16)의 길이 또는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얇은 분할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인서트(64)는 뚜껑이 마련되거나 뚜껑이 없는 박스가 될 수 있고, 또는 인서트(64)는 병을 적소에 유지하기 위한 클립 또는 계란 등을 유지하기 위한 트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인서트(64)는 또한 와이어 바구니 또는 선반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수납용기(16)가 장치(2)로부터 제거되고 절연된 이송커버(6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수납용기(16)는 장치(2)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그 절연 구조는 제한된 시간 주기 동안 그 내용물을 냉장 유지하도록 한다. 예컨대, 수납용기(16)는 가능한 오랜 시간 동안 내부를 냉장하는 아이스팩과 함께 냉장박스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변형예로, 추가의 일시 냉장 저장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이송 커버(66)가 마련된 수납용기(16)는 장치(2)를 밀폐 유지하여도 좋고, 이 경우 장치(2)에 수납용기(16)이 고정된다. 이송 덮개 구성은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송커버(66)에는 내부적으로 배터리나 가스공급 또는 외부적으로 주전원 또는 차량전원공급에 의해 전원 공급되는 냉장고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일반적인 도면에 도시하지 않지만, 출원인의 출원 계류중의 국제특허출원 PCT/GB00/03521(WO 01/20237) 에는 수납용기(16)의 내부에 접근하기 위해 이동의 수평 주 요소와, 이 접근 이동 동안, 또한 뚜껑(22)을 제거하기 위해 수직방향 부 요소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후속 전개에서, 발명자는 뚜껑(22)을 제거하고 수납용기(16)에 접근하는 다른 방법을 고안하였다. 발명자는 또한 WO 01/20237 에 대한 다른 기술적 변화와 개선안을 고안하였다. 그 새로운 요지는 나머지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고, 전술한 참조번호가 가능하다면 동일 부분에 사용된다.
도 5에서, 예컨대, 뚜껑(22)을 수납용기(16)에서 분리하기 위해 구조체에 관해서 뚜껑(22)이 이동가능하므로, 수납용기(16)가 밀폐된 뚜껑(22)의 일반 평면에 평행한 단일 개방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즉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 이동의 수평방향 요소만을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매우 간단한 실시예에서, 수평방향 힌지(68)에 의해 뚜껑(22)의 후방 가장자리를 지나 뚜껑(22)이 구조체에 부착되어 상기 수납용기(16)에 의해 한정된 범위로 그 전방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뚜껑(22)이 피봇 지지되도록 한다. 뚜껑(22)의 이런 상방 이동은 압축성 자기시일(60)이 수납용기(16)의 상부 가장자리(70)에서 올려져 수납용기(16)가 단일 런너에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하므로, 개방 및 밀폐시 수납용기(16)의 수직 이동을 유발하기 위해 WO 01/20237 에 다양하게 개시되는 크랭크, 롤러, 램프 등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승된 뚜껑(22)은 평형추(72), 또는 뚜껑(22)을 상승 위치로 가압하고 또한 수납용기(16)가 복귀하여 뚜껑(22)이 수납용기(16)의 상부 가장자리(70)로 다시 하강할 때 수납용기(16)의 상부에 아래 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 보상기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지된다.
수납용기(16)의 후방 가장자리를 지나 힌지(68)의 위치는 최후방 시일(60)이 수납용기(16)로부터 확실하게 올려지거나 수납용기(16)의 상부 가장자리(7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적어도 수납용기(16)가 수평 이동에 자유롭게 하는 정도까지 감소하도록 보장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5의 간단한 구성은 이동 뚜껑(22)의 개념을 단지 예시하기 위해 도시되고 뚜껑(22)을 상승하는 다른 방법이 명료하게 고안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예컨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캠 또는 크랭크의 구성은 전체 뚜껑(22)을 그 하강 위치에 대략 평행한 상승 위치까지 상승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납용기(16)를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시일(60)을 뚜껑(22)을 향해 상방으로 또는 수납용기(16)를 향해 하방으로 후퇴할 수 있다.
뚜껑(22)의 이동은 또한 연관된 수납용기(16) 또는 그 수납용기(16)에 대한 이동가능한 지지의 이동에 연계될 수 있으므로, 수납용기(16) 또는 그 지지의 초기 개방 이동은 뚜껑(22)을 수납용기(16)와 별개로 이동가능하며, 그 반대로 수납용기(16) 또는 그 지지의 밀폐 이동의 후기를 향해 이동가능하다. 당업자는 각종 실시예를 인식할 것이다.
뚜껑(22)을 제거하고 수납용기(16)로 접근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본 발명자는 수납용기(16)의 수평이동과 수직이동을 분리하는 잠재적 이득을 실현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자는 수납용기(16)와 뚜껑(22)이 서로 접촉할 때, 접촉은 장시간의 빈번한 이용에 대해 시일(60)이 마모와 악화될 수 있는 슬라이딩운동이나 와이핑운동을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을 알았다. 또한 수납용기(16)와 뚜껑(22)을 별개로 당길 때 시일(60)을 교차하는 이런 슬라이딩운동이나 와이핑운동은 방지되어야만 한다. 도 5의 이동가능한 뚜껑 변형예는 이후 기술하는 도 6a 및 도 6b의 고정된 뚜껑 변형예와 같은 이런 장점을 갖는다.
도 6a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랍(4)은 뚜껑(22)에 대해 상승시킴으로써 연관된 뚜껑(22)에 밀봉된 수납용기(16)에 밀폐되어 수평방향 원주 시일(60)을 압축한다. 도 6b는 두 개의 추가 위치에서 동일 서랍(4)을 도시한다. 도 6b의 좌측에 실선으로, 시일(60)을 제거하기 위해 수납용기(16)가 뚜껑(22)에서 수직방향 분리되지만, 수납용기(16)는 수평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서랍(4)이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도 6b의 우측에 점선으로, 서랍(4)이 완전히 개방되고, 수납용기(16)가 절첩식 런너(74)에 수평으로 이동되어 그 내부에 접근하게 된다.
절첩식 런너(7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부재 또는 세 부재 구성이다. 외측 레일(76)은 캐비넷의 인접한 측판(78)에 부착되므로 사용시 고정 상태를 유지하지만, 서랍(4)이 개방 및 밀폐될 때 하나 이상의 내측 레일(80)이 전후로 이동한다. 레일(76, 80)이 외부 온도로 또는 외부 온도에 근접하게 유지되는 캐비넷의 내부에 존재할 때, 레일(76, 8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짖누르는 결빙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6a 및 도 6b는 절첩식 런너에 연관된 수납용기 이송기구를 도시한다. 이 기구는 전방부 상세 단면도로 도 7에 도시된다. 특히, 수납용기(16)의 각 측면에 수납용기 이송기구는 각 절첩식 런너에 고정된 이송판(82)을 포함한다. 도 7에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송판(82)은 수납용기(16) 옆에 수직방향으로 일반적으로 놓여지고 그 수직방향 상부(84)는 그 자체와 수납용기(16) 사이에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 수납용기(16)로부터 펼쳐진다. 그 오목부는 수평방향 스핀들(88)에 의해 상부(84)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수직방향 지향된 이동 전달 휠(86)을 수용한다. 도 6a 및 도 6b는 수납용기(16)의 각 측면의 각 이송판(82)에 한 쌍의 이동 전달 휠(86)이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것을 도시한다.
각 이동 전달 휠(86)은 각 휠 하우징(90)에 수용되고 이동이 구속된다. 각 휠 하우징(90)은 이동 전달 휠(86) 각각의 상부를 수용하고 측방 이동에 대해휠(86)을 구속하도록 하방으로 개방하는 역 U자 단면의 휠 채널(92)을 포함한다. U자 단면의 베이스는 수납용기(16)의 벽과 일체의 오버행 플랜지(94) 아래 수평방향 쇼울더 표면에 대해 유지 및 지지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 채널이 플랜지(94)의 각 대향 단부 아래에 위치하고 플랜지(94) 아래에 또한 놓이는 평탄한 바아(96)의 길이로 연결된다. 수납용기(16)가 장치(2)로부터 분리시 휠 하우징(90) 사이의 플랜지(94)의 중앙부는 사용시 편리한 리프팅 핸들을 형성하기 위해 바아(96) 위에 걸쳐친다.
각각의 이동 이송 휠(86)이 연관된 휠 하우징(90) 내에 수납용기(16)에 관해서 한정된 범위까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휠 하우징(90)은 수납용기(16)에 관해서 각 이동 이송 휠의 이동을 구속하고 제어하는 휠 채널과 연관된 형성부를 갖는다. 이들 형성부는 도면의 도 9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먼저, 수납용기(16)에 관해서 이동 이송 휠의 전후이동은 전후 버퍼(98, 100)에 의해 각각 제한된다. 각 버퍼(98, 100)는 이동 이송 휠(96) 각각의 정지 위치를 형성하므로 이동 이송 휠(96)이 전방 버퍼(98)에 대하여 놓일 때, 휠(96)은 전방 정지 위치에 놓이고 휠(96)이 후방 버퍼(100)에 대하여 놓일 때, 휠(96)은 후방 정지 위치에 놓인다.
편리하게, 후방 휠 하우징(90)의 후방 버퍼(100)는, 수납용기(16)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적절한 고정 배리어(도시 생략)에 대해 지지하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표면에 탄성 백 스톱(102)을 갖는다.
두번째로, 구속 핑거(104, 106)는 휠 채널(92)의 베이스에 거의 평행하게 버퍼(98, 100)에서 연장한다. 핑거(104, 106), 버퍼(98, 100) 및 휠 채널(92)은 각 정지 위치에서 이동 이송 휠(86)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을 형성하고 탄성 핑거(104, 106)는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을 때 휠 채널에서 휠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전방 구속 핑거(104)는 전방 버퍼(98)에서 후방으로 연장하고 후방 구속 핑거(106)는 후방 버퍼(100)에서 전방으로 연장한다. 전방 구속 핑거(104)는 연관된 이동 이송 휠(86)의 직경보다 좁은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휠 채널(92)을 향해 절곡된 자유단부(108)의 추가적 특징을 갖는다. 전방 구속 핑거(104)는 이동 이송 휠(96)이 개구를 통해 전방 정지 위치로 통과하도록 탄성의 가요성이고, 휠(86)은 전방 구속 핑거(104)의 탄성으로 맞물림 유지된다. 전방 구속 핑거(104)의 탄성을 압도할 때에만 전방 정지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 이송 휠(86)을 이동할 수 있다.
세번째로, 트랙은 이동 이송 휠(86)의 작동면을 형성하기 위해 버퍼판(98, 100)을 연결한다. 트랙은 휠 채널(92)의 베이스에 부착된 전방 단부(110)와 휠 채널(92)의 베이스에서 이격된 후방 단부(112)로 이루어지는 휠 채널(92)의 베이스에 평행한 평탄 단부(110, 112)를 갖는다. 이들 단부(110, 112)는 이동 이송 휠(86)의 전후 정지 위치에 일치하고 램프(114)에 의해 연결된다.
이동 이송 휠(86)이 후방 정지 위치로부터 벗어난 후 램프(114)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 후방 단부(112)와 램프(114) 사이의 연결점에 탄성 스터드(116)는 극복해야만 하는 장애물을 유발한다. 따라서, 스터드(116)는 이동 이송 휠(86)을 서랍(4)이 밀폐되고 수납용기(16)가 뚜껑(22)에 밀봉되는 그 후방 정지 위치에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이동 이송 휠(86)이 스터드(116)를 넘을 때 서랍 이동의 감각은 사용자에게 서랍(4)과 수납용기(16)가 그 밀폐와 밀봉 상태에 도달했을 때의 분명한 지시를 제공한다.
우아하게, 버퍼(98, 100), 트랙(110, 112, 114) 및 구속 핑거(104, 106)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 챔버(92)의 베이스와 측벽 내에 간단히 고정되는 단일 요소로 접혀지거나 조립된다. 휠 채널(92)은 사용시 트랙(110, 112, 114), 버퍼(98, 100) 및 구속 핑거(104, 106)에 인가된 하중을 확산하고, 그 하중을 플랜지(94)를 통해 수납용기(16)로 인가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런너(74)에 관해서 수납용기(16)의 높이가 휠 하우징(90) 내에 이동 이송 휠(86)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동 이송 휠(86)이 후방 버퍼(100)에 대해 후방 정지 위치에 놓일 때, 휠 채널(92) 즉 수납용기(16)가 상승되는 반면, 이동 이송 휠(86)이 램프(114)를 따라 전방 버퍼(98)에 대해 전방 정지 위치로 이동할 때, 휠 채널(92) 즉 수납용기(16)가 하강하는 것이 도 10a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작동시 수납용기 이송 기구를 보기 위해 도 6a 및 도 6b로 되돌아가면, 도 6a는 연관된 뚜껑(22)에 대해 상승되고 밀봉된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이 실례에서, 부착된 이송판(82)을 갖는 런너(74)로서 수납용기(16)는 최후 범위까지 슬라이드한다. 런너(74)는 진행할 수 있는 한 서랍(4)의 부착된 전방 패널(118)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범위까지 후방으로 슬라이드한다. 결과적으로, 이송판(82)에 의해 지지된 이동 이송 휠(86)은, 휠 채널(92) 즉 수납용기(16)가 상승되는 위치에,각 휠 하우징(90)에 관해서 후방 정지 위치로 강제된다.
실선의 도 6b의 좌측부는 먼저 런너(74)를 당기고 부착된 이송판(82)이 전진하는 정면 패널(118)에 핸들(120)을 당김으로써 서랍(4)을 개방하는 것을 도시한다. 수납용기(16)는 정면 패널(118)과 런너(74)의 초기 전방 이동 동안 전진하지 않는 대신에, 이송판(82)에 의해 지지된 이동 이송 휠(86)이 전방 정지 위치로 이동한다. 이는 수납용기(16)가 뚜껑(22)에서 수직방향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전방 정지 위치에 도달할 때, 각 이동 이송 휠(86)이 각 전방 버퍼(98)에 대해 유지하고 연속된 수평 서랍 개방력이 수납용기(16)에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납용기(16)가 시일(60)을 제거할 때, 서랍(4)은 도 6b의 우측에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완전 개방될 수 있어, 수납용기(16)의 내부로 완전히 접근할 수 있다. 이 이동 동안, 전방 유지 핑거(104)의 상방으로 절곡된 자유단부(108)는 전방 정지 위치에 탄성적으로 이동 이송 휠(86)을 유지하므로 수납용기(16)가 런너(74)에 관해서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는다. 수납용기(16)의 이 개방 이동은 시일(60)을 횡단하는 슬라이딩작용이나 와이핑작용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주목할 것이다.
서랍이 완전히 개방될 때, 수납용기(16)는 장치(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바아(96)에 의애 연결된 휠 하우징(90)은 수납용기(16)가 이런 방법으로 분리될 때 후방에 유지한다. 그러나, 휠 하우징(90)이 이동 이송 휠(86)을 들어올리도록 수납용기(16)를 휠 하우징(90)과 함께 상승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서, 유지 핑거(104, 106)의 자유단부 사이의 간격은수납용기(16)를 이런 방식으로 들어올릴 때 이동 이송 휠(86)을 통과하도록 크게 형성되는 것이 도 9로부터 명백해진다. 이 간격에 도달하기 위해, 전방 정지 위치에서 전방 유지 핑거(104)의 상향 절곡 자유단부(108)를 지나 이동 이송 휠(86)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6a 및 도 6b와 유사하지만 이동의 초기 범위에 걸쳐 서랍(4)의 밀폐와 개방이 레버 보조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런 보조는 특히 서랍 밀폐 이동의 최종부에 약간 위에 수납용기(16)를 상승할 필요가 있는 것을 명심하고, 무겁게 짐을 적재한 서랍(4)을 밀폐시 유용하다. 우아하게, 피봇 축(122)이 정면 패널(118)의 중간점 바로 아래에 수평방향으로 놓이도록 서랍(4)의 정면 패널(118)은 런너(74) 및/또는 이송판(82)에 피봇 이동되는 축레버로 기능한다. 결과적으로, 정면 패널(118)의 상부에 핸들(120)이 서랍(4) 개방시 당겨질 때, 정면 패널(118)은 피봇 축(122)을 중심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피봇 운동하고 이는 정면 패널(118)의 하부 가장자리(124)가 수납용기(16)의 하부 정면부에 대해 가압되도록 한다. 이 압력은 수납용기(16)가 뚜껑(22)에서 분리되는 것이 필요한 런너(74)와 수납용기(16) 사이의 상대 이동을 보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면 패널(118)의 하부 가장자리(124)는 수납용기(16)의 정면에 고정된 하방으로 개방된 후크(128)에 맞물리는 바아(126)에 연관되어 있다. 후크(128)가 하방으로 개방될 때, 시일을 형성하거나 파손할 때 수납용기(16)가 상하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이송 휠(86)을 상승함으로써 수납용기(16)가 장치(2)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그러나, 서랍(4)이 밀폐되고 정면패널(118)의 상부 가장자리(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 패널(118)이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되도록)에 밀폐 압력이 핸들(120)에 인가될 때, 수납용기(16)에 관해서 후방으로 런너(74)를 가압하는 동안 바아(126)는 수납용기(16)를 유지하기 위해 후크(126)를 통해 수납용기(16)에 힘을 인가한다. 이 상대 이동은 뚜껑(22)에 대해 수납용기(16)를 상승하고 레버에 의한 기계적 장점을 얻는다.
도 6a와 도 6b 및 도 11a와 도 11b로부터 명백한 추가 특징은 주 목적이 개방과 밀폐시 런너(74)에 의해 지지된 서랍(4)의 측방향 흔들림에 저항하는 랙과 피니언 기구(130)이다. 랙과 피니언 기구(130)는 도 12에 평면도로 도시한다. 이 기구에서, 아암(132)은 이송판(82)으로부터 후방과 하방으로 수납용기(16)의 각 측면에 의지하고(도 12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윤곽선) 수납용기(16)의 후방면 아래 후방의 수평방향 회전축선을 정의하는 베어링(134)에 종료한다. 도 12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아암(132)의 베어링(134)이 아암(132) 사이의 간격을 이격하는 수평방향 스핀들(136)을 지지하도록 정렬 및 협동한다.
스핀들(136)은, 차례로, 스핀들(136)에 고정된 한 쌍의 피니언(138)을 지지하여 하나의 피니언(138)이 스핀들(136)의 각 단부에, 스핀들(136)을 지지하는 각 베어링(134)의 내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피니언(138)은 서랍(4) 아래 뚜껑(22)의 상부 또는 수평면(특히 베이스 패널의 상부면)에 놓이는 대응 이격된 한 쌍의 평행 랙(140)에 맞물리고, 적어도 서랍(4)의 개방 이동이 가능한 멀리 지시하는 스핀들(136)에 뚜껑(22)의 정면에서 배면 또는 표면까지 직교 연장한다.
사용시, 서랍(4)이 개방되거나 밀폐시, 피니언(138)은 서로 회전하도록 상호접속 스핀들(136)에 의해 구속된다. 서랍(4)에 의해 경험하는 측방향 흔들림이 랙(140)과 그 직교 관계로부터 스핀들(136)을 이동하며, 랙(140)을 따라 이동할 때 피니언(138) 사이에 속도 차이를 발생시킨다. 이런 충돌은 하나의 피니언(138)이 스핀들(136)을 통해 다른 피니언(138)에 토오크를 인가하도록 한다. 이 토오크는 초기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적어도 대항하기 쉽다. 스핀들(136)은 인가된 토오크의 결과로 약간 비틀릴 수 있지만 어느 하나의 피니언(138)이 랙(140)과의 맞물림으로부터 즉 서로에 대한 정렬로부터 뛰어 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12는 또한 하나의 랙(140)의 후단 부근의 리미트 스위치(142)와, 리미트 스위치(142)의 약간 전방에 위치하지만 랙(140)과 연관되는 록킹 솔레노이드(144)를 도시한다. 록킹 솔레노이드(144)의 목적은, 이송판(82)에 종속하는 아암(132)의 전방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연관된 서랍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리미트 스위치(142)는 이송판(82)의 아암(132)과 상호작용하거나, 또는 아암(132)에 의해 지지되는 스핀들(136)에 의해, 서랍(4)의 개방과 밀폐를 감지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후측 위치에 의하여, 이송판(82)과 그 연관된 아암(132)이 뚜껑(22)에 대해 수납용기(16)를 밀봉하는 최후측 위치로 이동될 때 리미트 스위치(142)가 기동된다. 수납용기(16)가 이런 방식으로 밀봉되지 않는 경우, 리미트 스위치(142)에 의해 감지되고 최후측 위치의 전방에 놓이는 이송판(82)과 그 연관된 아암(132)으로 지시된다. 이 경우, 리미트 스위치(142)는 알람 신호(바람직하게는 타임아웃 시간이 결과한 후)를 유발하고/유발하거나 개방 또는밀폐되지 않은 서랍(4)이 그 밀폐 위치로 복귀하고 그 수납용기(16)가 연관된 뚜껑(22)에 대해 밀봉될 때까지 다른 서랍의 대응하는 솔레노이드(144)가 그 서랍(4)을 밀폐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번에 하나의 서랍(4)이 개방되므로 파일링 캐비넷과 유사한 안티 틸트 설비를 제공하고, 냉장저장의 의미에서, 다른 서랍(4)에 저장된 품목 사이의 상호 오염을 제한하는 특이한 장점을 갖는다.
록킹 솔레노이드(144)도 리미트 스위치와 독립적으로, 예컨대 모든 멀티 서랍 장치(2)의 솔레노이드(144)를 모든 서랍(4)의 중앙 록킹되도록 연결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공통 키이 작동식 스위치(도시생략)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너지 소모의 장점을 위해, 솔레노이드(144)는 기동시 그 서랍(4)을 해제하고 기동 해제시 서랍(4)을 체결한다. 이런 구성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서랍(4)이 예컨대 솔레노이드(144)를 기동하기 위해 적절한 버튼을 가압하거나 서랍(4)의 핸들에 연관된 대응하는 접촉 스위치를 접촉함으로써 해제될 때까지 모든 서랍(4)은 기동 해제된 그 솔레노이드(144)와 체결 상태를 유지한다. 일단 기동되면, 다른 서랍(4)이 개방되도록 선택될 때까지 솔레노이드(144)는 일정하게 기동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나, 사용자가 한 번 더 서랍(4)을 해제하도록 선택할 때까지 솔레노이드(144)는 서랍(4)을 체결하는 타임아웃 기간 이후에 기동 해제된다.
전기 록킹 솔레노이드(144)가 언급되지만, 다른 액츄에이터 또는 유압, 공기압 또는 기계적 원리로 작동하는 록킹 기구가 대신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라면 명백할 것이다.
장치(2) 자체로 되돌아가면, 도 13a 및 도 13b는 장치(2)에 끼워질 때 수납용기(16)를 밀봉하는 뚜껑(22)의 바람직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3a는 뚜껑(22)이 평면도에서 직사각형인 것을 도시한다. 뚜껑(22) 아래 특징의 직사각형 점선 윤곽이 또한 명백하다. 내향으로 시작해서 외향으로 이동하면, 이런 특징은 뚜껑(22)의 아래 중앙에 배치되는 증발기(194), 이 증발기(194)에서 낙하나는 물을 포획하기 위해 증발기(194) 아래에 배치되는 배수 팬(196), 이 배수 팬(196)과 증발기(194) 모두를 수용하는 뚜껑(22)의 아래에 오목부(198)로 이루어진다.
도 13a의 선 A-A의 단면도인 도 13b로부터 가장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오목부(198)는 뚜껑(22)에 독립한느 원주 스커트(200)에 의해 에워싸여 있다. 한 쌍의 직사각형 압축성 시일(60)이 스커트(200)의 하단면(202)에 서로에 대해 내부에 배치된다. 이들 시일(60)은 배수 팬(196)에서 후방으로 이어지는 직사각형 단면 배수덕트(204)를 수용하는 개구에 연속적인 절약이다. 배수 팬(196)은 배수 덕트(204)를 향해 물을 인도하는 경사진 베이스(206)를 갖고, 배수덕트(204)로부터 물이 도 14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뚜껑(22)에서 홈을 따라 흐른다. 온도센서(도시생략)가 시일(60) 위의 스커트(200)를 관통하여 수납용기(16)와 뚜껑(22)에 의해 밀봉된 공동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4는 멀티 수납용기 장치(2)의 각 배수 팬(196)으로부터 흐르는 배수 덕트(208)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도시한다. 이는 상호 오염의 위험을 최소화한다. 각 덕트(208)는 밀봉 배수기를 형성하는 U자 절곡부(210)를 포함하고 공통 트레이(212)에 별개로 배수한다. 이 트레이(21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2)의 압축기(214) 위에 놓여져, 상당 시간에 걸쳐, 물이 트레이(212)에 축적되는 대로 압축기(214)에서 발산하는 열이 트레이(212)로부터 물을 증발하여도 된다. 변형 실시예로서, 장치(2)(도시 생략)의 응축기 팬은 그 증발을 촉진하기 위해서 트레이(212)에서 물의 표면에 걸쳐 송풍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원격 팬 코일 유닛을 통해 수납용기(16)로부터 추출되는 공기가 수납용기(16)로 공급되는 팬 코일 냉각 시스템에 사용하는 추가의 뚜껑 설계를 도시한다. 이런 시스템은 또한 강제 공기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고, 도 15a 및 도 15b의 뚜껑(22)은 중공이고 이런 시스템이 의존하는 공기의 흐름을 지배하기 위해 분할되어 있다. 이처럼, 열교환기(도시생략)에 의해 냉각된 차가운 공기가 팬(도시생략)에서 뚜껑(22) 내의 원주로 배치된 공급공기 충만실(216)로 소정 압력하에 공급되고, 공기가 뚜껑(22)의 아래를 형성하는 베이스 패널(220) 둘레에 공급공기 분산 슬롯(218)을 통해 수납용기로 유입한다. 따뜻한 공기가 수납용기(16)로부터 중앙으로 배열된 복귀 공기 충만실(222)에서 추출되고 이 복귀 공기 충만실은 베이스 패널(220)에서 중앙 구멍(224)을 통해 수납용기(16)와 연통하고 에워싸는 공급공기 충만실(216)을 통해 연장하는 파이프(226)를 통해 팬과 연통한다. 따뜻한 공기가 팬에 의해 발생된 저압하에서 복귀 공기 충만실(222)로 유도된 다음, 공급공기 충만실(26)을 통해 냉각되고 재순환되는 열교환기로 보내진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공통된 서랍(4)의 수직방향 배열과 별개로, 서랍(4)의 나란한 구성이 도 16a, 도 16b 및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려된다. 도 16a의 정면도는 서랍(4)이 두 개의 서랍(4) 각각의 두 인접한 기둥으로 놓이는 네개 서랍벤치형 장치(268)(도 23 및 도 24에 또한 언급)를 도시한다. 이처럼, 장치(268)는 두 기둥의 다리로 버티는 서랍(4) 위에 상부작업대(270)를 갖는 정도로 충분히 낮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냉장 식품 준비 및/또는 식기 유니트로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서랍(4)의 깊이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268)의 일측면에 냉장고 엔진(272)과 제어 패널(274)을 탑재함으로써 제한된 이용가능한 높이 내에서 최대화 된다. 또, 도 16b의 측면도와 도 16a의 선 X-X를 따라 절취한 도 16c의 확대 상세 측단면도는 서랍(4)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작업대(270)의 정면 가장자리가 상승된 립(276)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장치(268)가 다리바퀴(278)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도시하고, 이들 다리바퀴(278)는 비평준 바닥(280)에 장치(268)를 수평으로 높이 조정할 수 있다.
이제 도 17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상기 도 6 내지 도 11의 변형예인 두 개의 추가적인 수납용기 이송기구를 도시한다. 이전에 기술한 수납용기 이송기구의 잠재적인 단점을 개시한다. 도 6 내지 도 11의 실시 형태의 서랍이 연장되고 밀폐시 날카롭게 가압될 때, 후방 서랍 이동이 완료되기 이전에 휠(86)이 램프(114)를 이동하여, 수납용기(16)를 상승하고 수납용기(16)의 후방 상부 가장자리가 뚜껑(22)의 전방 하부 가장자리에 맞주칠 때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수납용기(16)를 뚜껑(22)에 밀봉하기 위해 추가 압력이 램프(114)까지 휠(86)에 가해지기 이전에 연속운동이 서랍을 완전 밀폐된 위치까지 복귀하는데 필수적이다. 다른 단점은 휠 스핀들(88)이 수납용기(16)의 무게와 시일 압축력을 받아, 파손의 가능성이 증가한다.
먼저 도 17a 내지 도 17c을 보면, 수납용기(16)의 각 측면에 수납용기 이송기구가 절첩식 런너(410)에 고정된 이송판(408)을 포함하고, 수납용기(16) 옆에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놓이는 이송판(408)을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11의 실시 형태와 달리, 이송판(408)은 수납용기(16) 아래 하방으로 연장하여 이송판(408)에 관해 직교방향으로 놓이는 내향으로 지향된 플랜지(412)에서 종료한다. 플랜지(412)가 수납용기(16)의 아래와 수납용기 아래의 뚜껑(22) 사이 또는 등가구조 사이에 놓이고 수평방향으로 놓이는 절첩식 런너(414)를 통해 수납용기(16) 아래의 뚜껑(22), 또는 등가 구조에 연결된다. 런너(414)의 목적은 개방과 밀폐시 한 쌍의 런너(410)에 의해 지지된 서랍(4)의 측방향 흔들림을 저지하는 것이다. 이런 흔들림 저지 런너(414)가 수납용기(16)의 일측에, 수납용기(16)의 양측에 놓여지거나 수납용기(16)에 관해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직방향으로 지향된 이동 이송 휠(416)은 쌍으로 배치되고, 각 쌍은 서로에 대해 놓이는 하나의 휠(416)에서 다른 휠로 수납용기 무게와 시일 압축 하중을 전달하는 동안 휠 사이를 구름 접촉하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된다. 이동 이송 휠(416)의 쌍은 수납용기(16)의 각 측면에 각 이송판(408)의 전후방에 쌍으로 배치된다.
각 쌍의 휠(416)은 이송판(408)에 부착된 휠 브라켓(422)에 의해 형성된 포켓 내에 수직방향으로 부동하는 휠판(420)에 각 수평방향 스핀들(41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휠판(420)은 포켓 내에 수직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지만, 그 상단에 유지 플랜지(424)에 의해 포켓에서 낙하하는 것을 구속한다. 휠판(420)이 포켓내에 최하 위치에 있을 때 플랜지(424)는 포켓 상부 가장자리에서 휠 브라켓(422)에 대해 유지하는 쇼율더를 형성한다.
각 휠판(420)과 한 쌍의 휠(416)을 각각 유지하는 휠 브라켓(422)에 고정된 이송판(408)은 도 19에 도시하고 있다.
각 쌍의 상부 휠(416)은 각 휠 하우징에 의해 수납되고 이에 이동하도록 구속된다. 각 휠 하우징은 휠 브라켓(422)을 부분적으로 차폐하는 커버판(426)과, 수납용기(16)의 벽에서 돌출하는 오버행 플랜지(430) 아래 수평방향 쇼울더 표면에 대해 유지하고 지지하는 역 L자 단면(428) 사이에 형성된 휠 채널을 포함한다. 플랜지(430)는 수납용기(16)의 정면, 측면 및 후방 둘레를 연장하고 L자 단면(428)은 도 20에 도시한 수납용기 지지 프레임(432)의 부분을 형성한다. 수납용기(16) 둘레를 연장하는 플랜지(430)는 수납용기(16)가 프레임(432)으로부터 올려질 수 있도록 프레임(432)에 안착한다.
각 상부 휠(416)은 그 연관된 휠 하우징 내에 수납용기(16)에 관해 제한된 범위까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각 휠 하우징은 수납용기(16)에 관해서 상부 휠(416)의 이동을 구속하고 제어하는 휠 채널에 연관된 형성부를 갖는다. 이들 형성부는 도 21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전후방 버퍼(434, 436)는 수납용기(16)에 관해서 상부 휠(416)의 전후 이동을 제한하며, 상부 휠에 대한 동작면을 형성하기 위해 트랙(438)은 버퍼(434, 436)를 연결한다. 버퍼(434, 436)와 트랙(438)은 단일 하우징 요소(440)에 접히거나 조립된다. 트랙(438)은 휠 채널의 베이스에 평행한 전방 버퍼(434)에 인접한 전방 단부에 평탄한 단부(442)를 갖는다. 평탄한 단부(442)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트랙(438)은 하방으로 경사진 전방 램프부(444), 후방 버퍼(436)에 상방으로 경사진 후방 램프부(446), 이들 사이의 램프부(444, 446)가 역 릿지부(448)를 형성한다.
휠 하우징은 휠 채널을 형성하고 버퍼(434, 436)와 트랙(438)를 형성하는 하우징 요소(440)를 지지하는 도 20에 도시한 수납용기 지지 프레임(432)의 일부이다. 정면 하우징 요소(440)는 L자 단면(428)과 정면 하우징 요소(440) 사이에 팩킹 스트립(450)에 의해 후방 하우징 요소(440)보다 아래에 있다.
도 20은 수납용기 지지 프레임(432)의 후방이 지지 브라켓(454)을 유지하는 후방 수납용기 지지 채널(452)을 포함하는 것을 또한 도시한다. 수평방향 피봇 축을 중심으로 제한된 이동을 위해 맞물림 레버(456)는 스핀들(458)에 의해 지지 브라켓(454)에 피봇 부착된다. 레버(456)는 스핀들(458)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아암(46)과 스핀들(458)에서 후방 하방으로 종속하는 크랭크(462)를 포함하고, 크랭크(462)는 레그(464)에서 종료한다. 아암(460)의 무게와 길이는 크랭크(462)와 레그(464)의 무게와 길이에 의해 생성되는 대향 토오크를 초과하는 스핀들(458)을 중심으로 작용하는 토오크를 발생한다. 이처럼, 아암(460)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중력은 시계방향으로 피봇 이동하는 레버(456)를 가압한다. 그러나, 레버(460)는 피봇을 중심으로 밸런스의 평형 위치에 도달할 수 없다. 대신, 도 22a 내지 도 22d를 참조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수납용기(16)가아암(460)에 관해서 전방으로 이동할 때 아암(460)의 이동은 이송판(408)의 후방 연장부(466)와 마주침으로써 구속된다.
이들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 플레이트(468)가 서랍실의 후방에 장치의 구조에 고정되고 서랍이 닫힐 때 크랭크(462)의 레그(464)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468)에 대해 유지되도록 위치된다. 이것을 이송판(408)의 후방 연장부(466)와의 맞물림으로 레버의 아암(460)을 들어올린다.
수납용기(16)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 서랍이 밀폐될 때 장치의 구조체에 고정된 탄성 백스톱(470)은 지지 브라켓(454)에 대해 유지한다.
도 17c 및 도 22a 내지 도 22d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472)은 런너(410) 바로 위의 수납용기(16)의 일측에 장치의 구조체로부터 내향을 향한다. 플랫폼(474)은 휠 쌍(416)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선반(472)의 상부면에 전후방으로 하나씩 배치된다. 후방 플랫폼(474)과 선반(472) 사이의 팩킹 스트립(450)은 전방 하우징 요소(440)와 L자 단면(428) 사이의 팩킹 스트립(450)에 대응한다.
두 팩킹 스트립(450)의 목적은, 수납용기(16)가 그 런너(140)에 개방될 때 후방 쌍의 하부 휠(416)이 전방 플랫폼(474)을 제거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각 쌍의 하부 휠(416)이 플랫폼(474)을 장착하기 위해 작동할 수 있는 램프를 형성하기 위해 각 플랫폼(474)의 전방 단부가 테이퍼 경사져 있다. 수납용기(16)의 무게는 (스핀들(458)은 아무런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휠(416), 상부 휠(416)이 작동하는 트랙(438), 수납용기 지지 프레임(432)의 일부를 형성하는 L자 단면(428), 및 수납용기(16) 둘레를 연장하고 프레임(432)에 안착하는플랜지(430)을 통해 선반(472)에 의해 유지된다.
도 22a, 도 22b, 도 22c, 및 도 22d는 연관된 휠 하우징, 휠 브라켓(422) 및 휠 플레이트(420)를 갖는 휠(416)의 후방 쌍을 참조로, 작동시 수납용기 이송기구를 도시한다. 연관된 휠 하우징에 관해 휠(416)의 전방 쌍의 이동은 이들 도면에 도시한 휠(416)의 후방 쌍의 이동에 대응한다.
도 22a는 연관된 뚜껑(22)에 대해 상승되고 밀봉된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런너(410)가 부착된 이송판(408)을 갖을 때 수납용기(16)는 탄성 백스톱(470)을 갖는 지지 브라켓(454)의 인접으로 형성된 최후방 범위까지 슬라이드한다. 결과적으로, 휠 브라켓(422)과 휠 플레이트(420)를 통해 이송판(408)에 의해 지지된 휠(416)읜 쌍은 상부 휠(416)의 쌍이 릿지(448) 부근 후방 램프부(446)에 놓이는 위치에 그 휠 하우징에 관해서 후방 위치로 강제된다. 동시에, 수납용기(16)와 플랫폼(474)을 유지하는 선반(472) 사이에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 하부 휠(416)의 쌍은 플랫폼(474)에 의해 지지된다. 이처럼, 휠 채널 즉 수납용기(16)가 상승하여, 수납용기(16)와 뚜껑(22) 사이에 시일(도시생략)을 압축한다. 크랭크(462)의 레그(464)가 레버(456)의 아암(460)을 상승하는 스트라이커 플레이트(468)에 대해 유지하는 것에 또한 주목할 것이다.
도 22b는, 쌍의 휠(416)이 휠 하우징에 관해서 전방 위치에 적합하도록 이송판(408)이 전방으로 당겨지는 다음 단계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상부 휠(416)의 쌍은 릿지(448)를 정복하고, 전방 램프부(444)를 따라 전방 버퍼(434)에 인접한 트랙(438)의 평탄한 단부(442) 위를 구른다. 릿지(448)는 밀폐된 서랍을 유지하는개구에 대해 멈춤쇠로 작용하지만, 개방시 최소 효과로 극복될 수 있다.
도 22b에 도시한 단계에서, 하부 휠(416)의 쌍이 플랫폼(474)에 의해 계속 지지되어 수납용기(16)의 무게를 유지하지만, 수납용기(16)가 개방방향으로 이동하기 이전에 시일을 파손하여 트랙(438)의 평탄한 단부(442)에서 상부 휠(416)의 위치는 수납용기(16)가 뚜껑(22)에서 떨어지도록 한다. 그렇지 않으면, 수납용기(16)는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 위치에 유지한다. 특히, 크랭크(462)의 레그(464)는 스트라이커 플레이트(468)에 대해 유지하고, 레버(456)의아암(460)을 유지한다.
수납용기(16)의 개방 이동이 시작할 때, 도 2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56)의 피봇(458)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468)에서 분리 이동하여, 레버(456)의 아암(460)이 이송판(408)의 후방 연장부(466)와 맞물린다. 그 맞물림이 유지되고, 밀폐시 서랍이 다시 그 밀폐 위치로 접근할 때까지 이송기구가 록킹한다. 이 단계에서, 크랭크(462)의 레그(464)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468)에 대해 유지되고 다시 이송기구를 자유롭도록 이송판(408)의 후방 연장부(466)와의 맞물림으로부터 아암(460)을 상승한다.
서랍을 추가로 개방할 때, 수납용기(16)의 무게는 일부 단계에서 서랍 구획실 내의 선반(472)에서 서랍 구획실 외부로 연장하는 런너(410)로 전달하여야 한다. 이는 수납용기(16)가 이송판(408)의 바닥에 내향으로 향하는 플랜지(412)와 접촉하도록, 도 2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휠(416)이 플랫폼(474)의 램프된 전방 단부를 제거할 때 달성된다. 이송판(408)이 런너(410)에 의해 지지될 때, 하중이 런너(410)로 전달된다. 반면에, 휠 플레이트(420)가 유지 플랜지(424)에 의해 허용되는 범위까지 낙하하여, 트랙(438)에서 상부 휠(416)을 제거한다. 휠(416)은 수납용기(16)의 무게를 더 이상 지지하지 않는다.
서랍이 다시 밀폐될 때, 하부 휠(416)은 플랫폼(474)의 램프된 전방 단부에 마주치고, 휠 플레이트(420)를 상승하고 즉 상부 휠(416)을 트랙(438)과 접촉하도록 상승한다. 이는 수납용기(16)의 하중을 다시 트랙(438), 휠(416)과 플랫폼(474)을 통해, 서랍 구획실 내의 선반(472)으로 전달한다.
도 23a와 도 23b 및 도 24a 내지 도 24c의 변형예는 휠(416)과 그 연관된 구조체를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고 수납용기(16)에 소망 운동과 연속의 운동을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대향 블록(476)의 쌍으로 대체한다. 그외, 동일 참조번호가 동일 부품에 사용된다.
각 블록(476)은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예컨대 PTFE로 도포되거나 침적된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다. 확실히, 각 블록(476)은 경사에 의해 연계된 두 개의 수평방향부를 포함하는 접촉면을 형성하고, 수평방향부는 다른 높이로 이루어진다. 특히, 모든 블록은 장치의 정면을 향해 상승하는 접촉면을 갖는다. 이처럼, 후방 수평방향부(478)는 각 접촉면의 전방 수평방향부(480)보다 아래에 놓이고 이들 수평방향부(478, 480) 사이의 경사부(484)가 전방으로 상승 이동한다.
각 쌍의 하부 블록(476)은 이송판(408)에 부착되고 그 접촉면은 일반적으로 상향으로 향하는 반면, 각 쌍의 상부 블록(476)은 수납용기(16)의 플랜지(430)를 지지하는 L자 단면(428)에 부착되고 그 접촉면은 일반적으로 하방을 향한다. 하부블록(476)의 가장 두꺼운 부분은 전방 수평방향부(480)에 의해 형성된 전방 단부에 놓이는 반면 상부 블록(476)의 가장 두꺼운 부분은 후방 수평방향부(478)에 의해 형성된 후방 단부에 놓인다. 이처럼, 한 쌍의 상하 블록(476)의 접촉면이 상보적으로 대향하는 형상이다. 실제로, 한 쌍의 블록(476)이 정렬될 때 각 접촉면은 서로 맞물린다.
러그(484)는 상부 블록(476)의 전방 단부에서 독립하여 서랍이 개방될 때 상부 블록(476)을 지나 하부 블록(476)의 전방 이동을 방지한다.
서랍이 밀폐되고 수납용기(16)가 도 2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22)에 밀봉될 때, 이송판(408)과 즉 하부 블록(476)은 완전히 후방에 놓인다. 이는 하부 블록 접촉면의 전방 수평방향부(480)가 상부 블록 접촉면의 후방 수평방향부(478)와의 정렬하도록 한다. 다시말해, 블록(476)의 가장 두꺼운 부분이 일치하고 즉 블록(476) 쌍의 집합적인 두께가 최대가 된다. 시일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납용기(16)가 뚜껑(22)과의 밀봉 접촉하도록 강제로 상방으로 이동한다.
도 24b를 참조하면, 런너(410)와 이송판(408)이 서랍의 초기 개방 이동의 일부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할 때, 하부 블록(476)은 상부 블록(476)에 관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은 하부 블록(476)이 상부 블록(476)의 전방 단부에 종속하는 러그(484)에 마주할 때까지 계속되고 서랍 개방 동안 블록(476)의 추가적인 상대적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 블록(476)이 정렬되고 그 대향하는 상보적 접촉면이 서로 맞물린다. 이 효과는 각 블록(476)의 가장 두꺼운 부분이 다른 블록(476)의 가장 얇은 부분과 일치하는 것이므로, 블록(476)의 쌍의집합적 두께가 최소이다. 이는 수납용기(16)가 뚜껑(22)에서 낙하하도록 하여 시일을 파손한다.
상부 블록(476)의 전방 단부에 종속하는 러그(484)가 서랍 개방 동안 블록(476)의 추가적인 상대 이동을 방지할 때, 이송판(408)을 통해 하부 블록(476)에 인가된 수평방향 힘이 상부 블록(476)에 전달되어 그 지지 프레임(432) 내에 수평방향으로 수납용기(16)를 당긴다. 이는 도 24c에 도시하고, 상기 도 22c와 같이 서랍이 개방될 때 레버(456)의 아암(460)이 이송판(408)의 후방 연장부(466)와 맞물리고 레버(456)의 피봇(458)이 서랍 구획실 내의 스트라이커 플레이트(468)에서 분리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4a, 도 24b, 도 24c는 그 진행에서 도 22a, 도 22b, 및 도 22c와 유사하지만 수납용기(16)의 무게가 이송판(408)과 블록(476)을 통해 런너(410)에 의해 항상 유지되고, 휠(416)이 수납용기(16)의 연결을 분리하는 도 22d의 방법으로 이송판(408)의 플랜지(412)에 하강할 필요가 없다.
서랍이 갖는 다른 결점은, 개방과 밀폐시 발생하는 바와 같이, 속도의 신속한 변화(즉, 급가속과 급감속) 동안 서랍 내용물에 대한 영향이다. 서랍이 갑자기 이동되거나 갑자기 정지될 때, 민감한 품목 및/또는 액체의 누설에 손상을 유발하는 주위에 서랍의 내용물에 던져진다. 서랍에 따라서, 케이크와 구운과자, 꿀단지나 병의 액체, 설 익은 샘플과 인공물 등의 품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유발된 손상은 저렴한 품목의 번거로운 낭비와 엉망진창에서 대제거, 대체할 수 없는 샘플 또는 인공물에 손실 또는 대체할 수 없는 손상까지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서랍이송 시스템은 서랍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해서 개방과 밀폐 동안 가속과 감속 또는 제동을 제어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25와 그 연관 단면도, 도 26을 보면, 이들 도면은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부품에 사용되는 추가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 서랍 뚜껑(22)은 구조체에 고정되고 분리형 서랍 저장 수납용기(16)가 뚜껑(22)과 구조체에 관해서 이동가능하다. 수납용기(16)는 수납용기(16)에 형성된 상부 플랜지(500)에서 지지된다. 플랜지(500)는 차례로 서랍 지지 프로파일(502)에 안착하고, 도 27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휠 램프(504)에 고정된다. 휠 램프(504)가 절첩식 서랍 런너(510)의 상부 단면(508)에 부착되고, 자유롭게 회전하는 부하 유지 휠(506)에 안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랍 프로파일(502)의 휠 램프(504)와 런너(510)에 고정된 휠(506)을 통해 수납용기(16)에 지지하는 것은 수납용기(16)가 런너(510)와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 27은 도 17 내지 도 24의 실시 형태와 같이, 휠 램프(504)가 휠 하우징(51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휠 하우징(512)은 수납용기(16)에 관해서 휠(506)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전후방 버퍼(514, 516)와, 휠(506)에 대한 작동면을 형성하기 위해 버퍼(514, 516)를 연결하는 트랙(518)을 포함한다. 버퍼(514, 516)와 트랙(518)은 단일 요소로 다시 접혀지거나 조립된다.
트랙(518)은 전방 버퍼(514)에 인접한 전방 단부에서 상방 전방으로 경사진 전방 단부(520)를 갖는다. 전방 단부(520)의 후방 단부는 트랙(518)에서 릿지(522)를 형성한다. 후방으로 이동하여, 트랙(518)은 대향하는 상향으로 경사진 램프부(524, 526) 사이에 정지 위치를 형성하고, 추가 릿지(528) 이후, 후방 버퍼(516)에 인접한 상방 후방으로 경사진 후방 단부(530)에서 종료한다.
교차하는 램프부(524, 526)의 정점(532)에서 정지 위치는 릿지(522, 528)의 높이 위에 놓인다. 하우징(512)이 역으로 놓이면, 이 정점(532)은 릿지(522, 528) 사이에 홈이 형성된다.
도 25는 후방 버퍼(516)에 인접한 하우징(512)의 후방 단부에 각 휠(506)을 갖는 수납용기(16)가 상승하여 수평시일(도시생략)이 압축되어 서랍이 밀폐되는 것을 도시한다. 휠(506)의 반경은 후방 버퍼(516)에서 후방 릿지(528)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작다는 것에 주목할 것이다. 이처럼, 휠(506)의 중앙은 후방 릿지(528)의 후방 변두리에 놓이므로, 휠(506)은 수납용기(16)의 무게 하에서 트랙(518)의 후방 단부(530)를 후방으로 가압한다. 이는 용이하게 극복될 수 있는 오버센터 록킹(over-centre locking) 효과를 제공한다.
도 28 및 도 29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하중 지지 휠(506)(여기서 반대로 도시)은, 휠(506)과 휠 하우징(512)의 트랙(518) 사이의 구름 접촉의 지점에 대향하는 휠(506)의 스핀들(536)을 중심으로 모서리져 이격된 한 쌍의 보조 롤러(534)에 연관되어 있다. 보조 롤러(534)는 휠(506)과 구름 접촉하여 수납용기(16)의 하중을 유지하는 것을 돕고, 휠(506)을 걸쳐 전달된 하중을 취한다.
도 25에서 수납용기(16)를 지나 런너(510)의 추가의 수평방향 이동하도록 서랍 런너(510)는 수납용기(16)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수납용기(16)에 관해서 런너(510)의 이런 추가적인 수평방향 이동은 서랍의 초기 개방과 최종 밀폐시 발생한다. 서랍 개방시, 이 별도 런너 동작은 휠(506)을 그 트랙(518)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수납용기(16)가 수직방향으로 낙하하여 초기 개방시 시일을 감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납용기(16)가 런너(510)와 함께 후퇴될 때 휠은 그 트랙(518)의 정점 또는 부근에 중간 위치를 취한다. 수납용기(16)와 런너(510)가 밀폐 위치로 복귀할 때, 수납용기(15)는 완전 밀폐 위치에서 정지부를 타격하여, 각 휠(506)은 그 트랙(518)의 정점(532)에 계속 유지한다. 최종 밀폐 동작은 트랙(518)을 따라 후방으로 휠(506)을 도 25에 도시한 오버센터 록킹 지점까지 가압하여, 수납용기(16)를 상승하고 뚜껑(22)에 대해 시일을 압축한다.
전체 서랍 이송 순서는 도 30a 내지 도 30f에 도시한다. 도 30a는, 휠 하우징(512)의 후방 단부에 휠(506)이 마련되고, 수평방향 시일(도시생략)을 압축하기 위해 올려진 수납용기(16)와 밀폐된 서랍을 도시하는 도 25에 대응한다. 도 30b는, 휠(506)이 각 트랙(518)을 따라 정점(532)의 중간 위치까지 이동되어 시일을 해제하며, 수납용기(16)가 쓰러지지만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는 서랍 런너(510)를 도시한다. 도 30c는 반 개방 위치에서 런너(510)와 수납용기(16)를 도시하는 반면, 도 30d는 완전 개방 위치에서 런너(510)와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도 30e는 반 밀폐 위치에서 런너(510)와 수납용기(16)를 도시하는 반면, 도 30f는 수납용기(15)의 밀폐를 도시하지만 밀폐 위치의 약간 전방에 런너(510)를 갖는 낙하 위치를 도시하고, 수납용기(16)를 상승하고 시일을 압축하기 위해서 트랙(518)을 따라후방으로 휠(506)을 가압하는 최종 밀폐 동작의 준비를 갖추고, 순서는 도 30a의 그 시작점으로 복귀한다.
상기 구성의 변형예는, 휠(506) 대신에 런너(510)에 고정된 적절한 PTFE 또는 PTFE로 도포된 프로파일으로, PTFE 또는 PTFE 도포된 물질과 같은 저마찰 물질로부터 휠 트랙(518)을 제조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30의 실시 형태는 또한 런너(510)의 이동을 수납용기(16)의 이동과 부분적으로 격리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수납용기(16)에 가해진 가속력과 제동력을 감소시킨다. 수납용기에 관해 고정된 휠 하우징(512)의 시스템과, 휠 하우징(512) 내에 부유하지만 런너에 고정된 휠(506)은 수납용기(16)와 런너(510) 사이에 제한된 독립 이동을 허용한다. 이처럼, 런너(510)에 급가속과 급감속은 수납용기(16)의 제한된 독립 이동에 의해 부분적으로 흡수될 수 있고, 수납용기 속도의 변화율 즉 수납용기(16)에 저장된 품목에 의해 경험하는 관성 효과를 감소한다.
수납용기(16)와 런너(510)의 가속이 거의 평형상태일 때, 휠(506)은 휠 트랙(518)의 정점(532)에 중앙 정지 위치 주위에 유지한다는 것이 주목될 것이다. 런너 가속이 급속도로 변화할 때, 예컨대 단부 정지부를 타격하거나 서랍이 갑자기 개방될 때, 수납용기(16)의 방향과 운동은 휠이 하나의 릿지(522, 528)를 향해 정점(532)에서 트랙(518)을 따라 이동할 때 계속된다. 적재된 수납용기(16)의 무게에 대한 상향으로 경사진 램프부(524, 526)까지의 이런 수직방향 이동은 수납용기(16)에서 일부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며, 부드럽게 천천히 정지한다.
도 25 내지 도 30의 실시 형태의 추가 개선은 컨트롤 댐퍼이다. 도 31은,서랍 런너의 가속과 제동을 제한하기 위해 간단한 피스톤 작동식 에어 댐퍼를 도시한다. 이 댐퍼는 장치의 구조체 후단에 고정되는 후단부가 핀(542)에서 종료하는 실린더(540)를 갖는다. 로드(544)는 실린더(540) 내를 미끄럼이동하고 실린더(540) 내의 미끄럼가능하게 밀봉되고, 일단부에 피스톤(546)을 갖고, 도 30a 내지 도 30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런너(510)의 바닥 단면(548)에 부착하는 타단부에 다른 핀(542)을 갖는다. 로드(544)와 피스톤(546)이 실린더(540)에서 당겨질 때, 작은 오리피스(550)를 통해 실린더(540)의 막다른 단부에 공기가 공급된다. 오리피스(550)는, 제한하는 피스톤 속력 이하로, 오리피스(550)를 통해 공기 통로가 거의 저항(즉, 오리피스(550)에 대해 차압)이 없고 로드(544)가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546)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로드(544)를 연장하거나 후퇴하는 것을 보다 어렵게 하는 오리피스(550)에 대한 저항이 증가한다. 역제곱법칙을 적용하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544)의 속력 제어가 달성되어, 오리피스(550)를 통한 기류의 제곱은 로드(544)의 저항을 네 배로 증가시킨다.
댐퍼(538)의 목적은 중간지점에서 완전 개방까지, 또한 중간지점에서 완전 밀폐까지 런너(510)의 속력을 제어하여, 양 방향으로 삐꺽거리는 정지를 방지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댐퍼(538)는 전체 런너(510)의 주행에 대해 속력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런너(510)의 양 단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0a 내지 도 30f를 다시 참조하면서, 댐퍼 제어 순서를 설명한다. 도 30a는 런너(510)와 댐퍼(538)가 완전 후퇴되는 밀폐위치에서의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도 30b는 런너(510)의 상부 단면(508)이 연장되고 댐퍼(538)에 의해런너(510)의 바닥 단면(548)이 구속되는 시일로부터 해제되는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도 30c는 런너(510)의 상부 단면이 완전 연장되고 댐퍼(538)에 의해 계속 구속된 런너(510)의 바닥 단면(548)으로 개방시 대략 중간 지점에서의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도 30d는, 댐퍼(538)가 수납용기 개방 이동의 마지막 부분에 대해 제어하는 것을 지시하는, 양 런너 단면(508, 548)과 댐퍼(538)가 완전 연장되어 완전 개방된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도 30e는 런너(510)의 상부 단면(508)이 완전 후퇴되고 런너(510)의 바닥 단면(548)이 댐퍼(538)에 의해 완전 연장 및 구속되고 밀폐시 대략 중간지점에서의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도 30f는 런너(510)와 댐퍼(538)의 바닥 단면(548)에 의해 런너(510)의 상부 단면이 완전 후퇴되고 댐퍼(538)가 상당히 후퇴된 수납용기(16)를 도시하고, 댐퍼(538)는 수납용기 밀폐 이동의 마지막 부분에 대해 제어한다.
도 32a 내지 도 32f는 댐퍼 개념의 개선을 도시하고, 피스톤(552) 그 자체가 외측 실린더(554) 내에서 동심원으로 슬라이드하는 실린더이다. 외측 실린더(554)는 오리피스를 갖지 않고 피스톤(552)과 외측실린더(554)의 개방 단부 부근의 외측 실린더(554) 사이에 실링 눌림쇠(556)에 의해 피스톤(552)에 밀봉된다. 한편, 피스톤(552)은 피스톤(552)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일련의 오리피스(558)를 갖는다.
피스톤(552)이 외측 실린더(554)에 강제될 때, 피스톤(552)은 외측 실린더(554) 내에 포획된 공기를 압축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 압축된 공기가 외측 실린더(554) 내에 놓이는 하나 이상 오리피스(558)와 외측 실린더(554) 내에 놓이는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558)를 통해 외측 실린더(554)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그러나, 피스톤(552)이 도 3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실린더(554) 내에 완전 후퇴될 때, 모든 오리피스(558)는 외측 실린더(554) 내에 놓인다. 오리피스(558)는 외측 내에 소통하지 않으므로, 외측 실린더(554)에서 순수 흐름 또는 공기가 나오지 않는다. 댐퍼가 완전 후퇴 상태로 접근할 때 쿠션닝 효과를 제공하는 압축된 공기를 포획한다.
역으로, 댐퍼가 도 32c 또는 도 32d에 실시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 연장 또는 반 후퇴 상태에 있을 때,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558)가 외측 실린더(554) 내에 놓이고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558)가 외측에 놓인다. 이는 기류에 대한 최소 저항을 나타내고 댐퍼가 중간 스트로크에 있을 때 댐핑 효과를 최소화한다. 그러나, 댐퍼가 도 32f에 도시한 완전 연장된 상태에 근접할 때, 하나의 오리피스(558)만이 외측 실린더(554) 내에 있지만 다수의 오리피스(558)가 외측에 놓이고, 이를 통한 기류가 단일 오리피스(558)를 통한 기류에 의해 내부에 제한된다. 이는 기류에 대한 저항을 보다 크게 나타내므로 댐퍼가 스트로크의 말기로 접근할 때 댐핑 효과를 최대화한다. 결국, 댐퍼가 완전 연장될 때(도시 생략), 모든 오리피스(558)는 외측 실린더 외부에 놓이고, 다시, 기류가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댐퍼의 연속된 연장이 다시 쿠션 방법으로 외측 실린더(554) 내의 저압에 의해 강하게 저항된다.
서랍 이송 시스템에 대한 추가의 향상을 기술한다. 런너와 수납용기 사이의 독립적인 이동을 제한하는 방법과, 주행 구속의 변형 단부를 포함한다.
도 25 내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런너(510)가 중간 주행으로 신속하게가속될 때 휠 램프와 휠을 적용한 시스템은 수납용기(16)를 상승하는 것이 명백하다. 이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도 33a 내지 도 3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제한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3a는, 휠 트랙(518)의 후단부의 평면부(602)에 대기된 휠(506)에 의해 지지되고, 뚜껑(22)에 대해 압축된 그 시일(66)로 밀폐된 수납용기(16)에 의한 서랍 이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시일을 개방하고 파손하기 위해 수납용기(16)를 낙하하기 위해서, 휠(506)은 대기 위치에서 휠 트랙(518)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휠 트랙(518)에 도시한 3개의 점선원은 전후 주행 한계와 휠(506)의 통상 중앙 위치를 지시한다. 런너(510)에 대해 후방 수납용기 이동은 휠 트랙(518)의 정면에 전방 버퍼(514)에 마주치는 휠(506)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의해 제한된다.
피봇팅 맞물림 레버(604)가 휠 트랙(518)으로 주행하고 런너(150)에 대해 이동하는 지지판(608)에 스핀들(606)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레버(604)는 통상 수납용기 이동 동안 런너(510)에 대해 수납용기(16)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피봇 이동한다. 특히, 서랍이 개방될 때, 레버(604)의 전단부가 중력으로 하강하고 런너(510)에 부착된 스톱판(610)에 맞물린다. 레버와 스톱판 사이의 맞물림은 런너(510)에 대해 수납용기(16)의 전방 운동을 제한하므로, 대기 위치(602)로 트랙(518)의 전체 길이를 주행하는 휠(506)을 방지하여, 수납용기(16)가 상승한다.
스톱판(610)에서 레버(604)를 해제함으로써 전방 제한을 제거하기 위해서, 수납용기(16)가 그 최종 수평방향 밀폐 위치에 도달할 때 맞물림 레버(604)의 후단은 구조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12)를 타격한다. 이와 같이, 휠(506)이대기 위치(602)로 트랙(518)의 전체 길이를 주행하도록 레버(604)는 수납용기(16)가 자유롭게 전방 이동하도록 대향 의미로 피봇 운동하고, 수납용기(16)가 상승되고 시일(600)은 서랍의 최종 밀폐 운동 동안 압축된다.
도 33a는 압축된 시일(600)에 의해 밀폐되고 상승 위치에서의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레버(604)의 후방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12)에 대해 견고하므로 레버(604)는 스톱판(610)에서 분리되고 휠(506)이 트랙(518)의 전체 길이를 자유롭게 이동한다.
도 33b는 밀폐 위치에서의 수납용기(16)를 도시하지만 시일(600)이 해제되도록 하강한다. 레버(604)의 후방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12)에 대해 계속해서 견고하므로 레버(604)가 해제되고 수납용기 이동이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런너(510)와 수납용기(16) 사이의 상대 이동은 휠(506)이 휠 트랙(518)의 중간 지점에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도 33c는 시일(600)이 해제된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에서의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레버(604)의 후방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12)에서 분리되므로 레버(604)의 전방은 낙하에 자유롭고 정지판(61)에 맞물리므로, 수납용기 이동이 제한된다. 휠(506)이 전방 또는 후방의 휠 트랙(518)의 경사부를 따라 주행할 때(보다 정확하게, 트랙이 휠에 관해서 주행할 때), 휠(506)은 휠 트랙(518)의 중간지점에 계속 놓이고 수납용기(16)는 런너(510)에 대해 제한된 양으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수납용기(16)의 하중과 그 내용물은 휠(506)을 트랙(518)의 중간 지점으로 가압한다.
도 33d는, 서랍이 밀폐될 때, 런너(510)에 대해 수납용기(16)의 전방 이동으로 부분적으로 개방 위치에서의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휠(506)은 휠 트랙(518)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수납용기(16)는 런너(510)에 관해서 추가의 전방 이동을 방지한다. 사실상, 레버(604)의 후방 단부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12)와 마주치고 런너(510)에 관해서 추가의 전방 이동에 대해 수납용기(16)를 해제할 때까지, 수납용기(16)와 런너(510)는 서랍의 계속된 밀폐 이동 동안 서로 체결된다.
도 33e는, 서랍이 삐거덕 개방되는 경우, 런너(510)에 대해 수납용기(16)의 후방 이동으로 부분적으로 개방 위치에서의 수납용기(16)를 도시한다. 휠(506)은 휠 트랙(518)의 전방 한계에 위치되고 수납용기(16)는 전방 버퍼(514)를 타격하는 휠 조립체(506)에 의해 런너(510)에 관해서 추가의 후방 이동을 방지한다.
도 33d 및 도 33e는, 수납용기(16)의 속도를 제동하는, 런너(510)에 대한 수납용기(16)의 이동이 휠 트랙(514)의 수직방향 이동을 유발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때, 수납용기(16)의 독립적인 수평방향 이동은 발생하는 속도의 변화에 허용되는 시간을 증가하여, 매끄러운 수납용기 스톱을 유발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사용시 서랍이 거칠게 사용되는 여부에 따라, 수납용기(16)는 저장된 대상을 분배하고 수납용기(16) 내의 액체를 흘릴 수 있는, 밀폐 대 개방 또는 개방 대 밀폐 어느 하나의 주행의 각 단부에서 갑자기 정지하게 된다.
주행의 각 단계에서 수납용기(16)의 신속한 감속을 감소하기 위해서, 주행 구속의 단부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수납용기(16)가 최종 밀폐 위치에 도달할 때, 런너의 유연한 구속하는 판이 구조체의 스트라이커 플레이트를 타격할 수 있으므로 런너를 일시적으로 천천히 하고 해제한다. 런너를 천천히, 수납용기가 아니라, 수납용기가 런너에 독립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수납용기의 운동량의 일부를 흡수하므로 수납용기가 일시 멈출 때 저장된 제품에 관성 효과를 감소한다.
도 34 내지 도 36은 힌지(616)에 의해 런너(510)의 아래에 부착된 가요성 스프링 각도 구속판(614)을 도시한다. 이 판은 본질적으로 직각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상호 직교하는 레그(618, 620) 사이의 정점에 힌지된 스트립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레그(618)가 런너(510)의 아래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놓이고 다른 레그(620)가 균형추(622)의 도움으로 수직방향으로 현가된다.
도 34는 구조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를 강제로 지날 때 구속판에서 구속판 저항 이동을 도시한다.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에 대해 통과하기에 충분하게 편향되기까지 런너(510)의 연속된 이동은 레그(점선으로 도시함)를 편향하여, 구속 위상을 종료한다. 도 35는 대향 방향으로 복귀하는 런너(510)를 도시한다. 이 경우, 레그(620)가 스트라이커 플레이트에 도달할 때, 전체 구속판(614)은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힌지(616)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피봇 운동한다. 이처럼, 이 방향으로, 구속판(614)은 서랍 이동에 대한 아무런 저항을 제공하지 않는다.
실제로, 도 37a 내지 도 37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속판(614)과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는 대향된 쌍으로 사용된다. 이들 도면은 런너(510)의 아래에 전후구속판(614)과 구조체에 위치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의 위치를 도시한다. 전방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는 개방하는 구속 단부 정지를 시작하고 후방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는 밀폐하는 구속 단부 정지를 시작한다.
서랍 개구가 도 37a에 도시한 중간 지점에 놓일 때, 구속판(614)은 연관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와 마주치지 않는다. 도 37b는 전방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 둘레에 맞물리고 편형하는 전방 구속판(614)에 의해 거의 완전하게 개방된 서랍을 도시한다. 도 37c는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에 대해 통과하는 전방 구속판(614)에 의해 완전 개방된 서랍을 도시한다. 역으로, 도 37d는 밀폐 이동의 단부 부근에 수납용기 이동을 천천히 후방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와 맞물리는 후방 구속판(614)에 의해 거의 완전히 밀폐된 서랍을 도시하며, 도 37e는 완전 밀폐되지만, 완전 상승하지 않은 수납용기(16)에 의한 서랍을 도시하며, 후방 구속판(614)은 후방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에 대해 통과한다. 도 37f는 수납용기(16)가 상승되고 시일이 압축되어 완전히 밀폐된 서랍을 도시한다. 다시, 구속판(614)은 연관된 스트라이커 플레이트(624)에 마주 치지 않는다.
본 발명 개념 내에 각종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컨대, 뚜껑의 이동이 연관된 수납용기의 이동에 연결되거나 수납용기에 대한 가동 지지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수납용기 또는 그 지지의 초기 개방 이동은 뚜껑이 수납용기와 별개로 이동하며, 그 반대로, 수납용기 또는 그 지지의 밀폐 이동의 말기를 향해서 별개로 이동한다는 것을 이미 기술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수납용기 이송 기구가 채택되고 수납용기의 수직방향 이동 대신에 수납용기 자체보다 수납용기를 오버행하는 뚜껑의 연장에 작용함으로써, 뚜껑의 수직방향 이동을 구동하도록 역전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라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올바른 조건에서, 특히,
단지 냉각보다 가열을 포함할 수 있는 정확한 가변 온도와 습도 제어,
저장된 품목의 기계적 보호,
상호 오염의 최소 가능성으로 무균 저장,
부분 진공 상태에서 저장의 선택,
가스 환경을 유지하는 방부제에서 저장의 선택,
진동과 교반에 대한 저장된 품목의 분리, 및
방사 및 바이오 위험에 대한 억제, 또는 보호로,
품목을 저장, 취급, 분배, 운반 및 이송하는 광범위한 장치와 장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지시할 때 전술한 특정의 설명보다 첨부된 청구범위와 다른 일반적인 설명을 참조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해석시, 도시한 실시예의 특징이 서로에 대한 조합으로 기술하고 이런 조합이 그 자체의 장점을 갖지만, 여러 특징이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당업자는 도 32a 내지 도 32f의 댐퍼가 냉장저장장치 또는 다른 저장장치와 별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 표현된 본 발명 개념 내에 또는 본 발명 개념의 범위 내에서, 이들 특징은 독립적으로 특허 허여될 수 있다.

Claims (51)

  1. 상부 개방형 서랍과,
    상기 서랍의 개방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과,
    서랍과 뚜껑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냉장 저장장치에 있어서,
    서랍을 개방하여 그 내부로 접근하기 위해 또는 서랍을 밀폐하기 위해 서랍은 구조체와 뚜껑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조체에 장착되며, 상기 서랍의 이동은,
    서랍을 개방하여 그 내부로 접근하기 위해 또는 서랍을 밀폐하는 주 요소와,
    이 주 요소에 횡방향으로, 개방시 상기 주 요소의 시작시에 서랍을 뚜껑에서 자유롭게 하고 밀폐시 상기 주 요소의 말기에 서랍과 뚜껑을 함께 이동하는 부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서랍을 이루는 상부 개방형 절연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 상부를 밀폐하는 절연 뚜껑과,
    용기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각수단과,
    상기 용기, 뚜껑 및 냉각수단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냉장 저장장치로서 구현되며,
    서랍을 개방하여 그 내부로 접근하기 위해 또는 서랍을 밀폐하기 위해 서랍은 구조체와 뚜껑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조체에 장착되며, 상기 서랍의 이동은,
    용기를 개방하여 그 내부로 접근하기 위해 또는 용기를 밀폐하기 위한 주 요소와,
    이 주 요소에 횡방향으로, 개방시 상기 주 요소의 시작시에 용기를 뚜껑에서 자유롭게 하고 밀폐시 상기 주 요소의 말기에 용기와 뚜껑을 함께 이동하는 부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방시 주 요소 이전에 그리고 밀폐시 주 요소 이후에 부 요소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방시 주 요소의 방향으로 초기 이동 동안 그리고 밀폐시 주 요소의 방향으로 최종 이동 동안 부 요소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5. 선행항 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 요소 동안 서랍을 지지하도록 이동가능한 지지수단과, 부 요소를 유발하기 위해 지지수단의 이동에 대응하는 서랍과 지지수단 사이의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부 요소의 방향으로 서랍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수단을 해제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주 요소의 방향으로 서랍의 위치에 대응하고 주 요소의 방향으로 지지수단의 이동의 범위 중 일부 동안 이송수단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개방시 주 요소의 방향으로 초기 이동 동안 그리고 밀폐시 주 요소의 방향으로 최종 이동 동안, 이송수단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서랍에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송수단은 지지수단과 서랍 사이에 상대 이동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서랍의 이동의 주 요소가 시작하기 이전에 지지요소의 이동에 대응하거나 또는 지지수단의 이동과 서랍의 이동의 주 요소가 완료한 후에 지지수단의 연속된 이동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지지수단에 이동가능한 제1 부분과 서랍에 이동가능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이들 부분 사이의 상대 이동은 지지수단의 상기 계속된 이동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이들 부분 사이의 상기 상대 이동은 서랍의 이동의 부 요소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일 부분은 램프를 포함하고 다른 부분은 램프 종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램프 종동부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톱이나 버퍼에 연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종동부는 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램프와의 구름 하중 전달 접촉(rolling load-transmitting contact)하는 제1 휠과, 제1 휠과 구름 하중 전달 접촉하는 동시에 구조체와 구름 하중 전달 접촉하는 제2 휠의 한 쌍의 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램프에 대향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 롤러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18.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주 요소의 방향으로 이동 동안 램프 사이의 상대적인 미끄럼 이동이 서랍의 이동의 부 요소를 유발하도록 상기 램프 종동부는 대향하는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램프는 일단부에 피크(peak)와 타단부의 골(trough)에서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램프 사이의 상대 이동은 서랍과 뚜껑이 함께 이동하도록 램프의 피크가 서로에 대해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램프 사이의 상대 이동은 서랍을 뚜껑에서 분리하기 위해 대향하는 골과 램프의 피크가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수단의 일부에서 다른부분으로 주 요소의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기 위해 램프 사이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23. 제1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품은 지지수단으로부터 서랍을 제거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24. 제5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개방시 주 요소의 방향으로 초기 이동 동안과 밀폐시 주 요소의 방향으로 최종 이동 동안 이외의 서랍의 이동동안 서랍의 무게를 지지하고, 구조체가 상기 초기와 최종 이동 동안과 서랍 밀폐시 직접적으로 서랍의 무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25. 제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조체에 관해서 지지수단의 이동에 대응하여 연장가능하고 후퇴가능한 댐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지지수단의 이동에 대한 가변 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저항은 지지수단의 이동 속력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저항은 그 스트로크의 적어도 일단부에 접근하면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29. 제25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제한된 오리피스를 통해 펌프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지지수단의 이동에 대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30. 제25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외측 실린더 내의 공기를 가압하고 감압하도록 외측 실린더 내에 이동가능한 중공의 길다란 피스톤에 밀봉된 외측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의 중공 내부를 통해 서로 연통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다수의 오리피스를 포함하므로, 피스톤이 외측 실린더의 내부에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에 노출되는 동시에 외측 실린더 외부의 공기에 상기 다수의 오리피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노출되도록 외측 실린더 내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31. 제5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조체에 관해서 지지수단 또는 서랍의 이동을 느리게 하도록 구속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하는 수단은 실제로 단일 방향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지지수단 또는 서랍이 구조체에 관해서 그 이동 범위에서의 하나 이상의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구속하는 수단은 지지수단 또는 서랍을 천천히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수단 또는 서랍이 상기 범위 또는 이동의 말단에 접근할 때 상기 구속하는 수단은 지지수단 또는 서랍을 천천히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하는 수단은 구조체에 대해 고정된 제1 부분과, 지지수단 또는 서랍에 대해 고정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이들 부분은 구조체와 지지수단 사이의 상대 이동 동안 서로 마주 치고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계속된 상대 이동 동안 탄성적으로 서로 통과하도록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36. 제5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주 요소의 이동 동안 서랍의 측방향 흔들림에 대항하는 안정수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수단은 구조체에 부착되어 지지수단에 보조적으로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연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주 요소는 일반적으로 수평방향이고 상기 연장부재는 주 요소의 방향에 횡단하는 일반적인 수평방향으로 비교적 견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각 연장부재는 주 요소의 방향에 관해서 측방향으로 상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40.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절첩식 런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수단은 상기 지지수단에 이동가능한 피니언을 포함하고, 이 피니언은 주 요소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각 측방향으로 이격된 랙크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저장장치.
  42. 상부 개방형 서랍과,
    상기 서랍의 개방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과,
    서랍과 뚜껑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저장장치에 있어서,
    서랍을 개방하여 그 내부로 접근하기 위해 또는 서랍을 밀폐하기 위해 서랍은 구조체와 뚜껑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조체에 장착되며, 개방시 서랍의 상기 이동 이전에 뚜껑을 서랍에서 분리하기 위해 또는 밀폐시 서랍의 상기 이동 이후에 서랍과 뚜껑을 함께 이동하기 위해 서랍은 구조체와 서랍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조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서랍을 이루는 상부 개방형 절연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 상부를 밀폐하는 절연 뚜껑과,
    용기의 내부를 냉각하는 냉각수단과,
    용기, 뚜껑 및 냉각수단을 지지하는 구조체를 포함하는 냉장 저장장치로 구현되며,
    용기를 개방하여 그 내부로 접근하기 위해 또는 용기를 밀폐하기 위해 용기는 구조체와 뚜껑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조체에 장착되며, 뚜껑은 구조체와 용기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조체에 장착되고, 개방시 용기의 상기 이동 이전에 용기를 뚜껑에서 자유롭게 하고 또는 밀폐시 용기의 상기 이동 이후에 용기와 뚜껑을 함께 이동하도록 뚜껑은 구조체와 용기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조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구조체와 서랍에 대해 경사질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구조체에 힌지 결합되고, 이 힌지는 서랍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피봇 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46. 제42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서랍의 이동의 방향에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47. 제42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동안 서랍을 지지하기 위해 이동가능한 서랍 또는 지지수단의 이동에 응답하는 뚜껑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송수단은 개방시 서랍이 이동하기 시작하기 이전에 그리고 밀폐시 서랍이 이동을 정지하기 이후에 뚜껑 이송수단이 뚜껑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49. 제47항 또는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동안 서랍을 지지하도록 이동가능한 지지수단과, 지지수단과 뚜껑을 이동하기 위해 지시수단의 이동에 응답하는 뚜껑 사이에 뚜껑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서랍에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뚜껑이송수단은 지지수단과 서랍 사이에 상대 이동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이송수단은 서랍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 지지수단의 계속된 이동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장치.
KR1020037011945A 2001-03-13 2002-03-13 저장장치 KR100898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106164A GB2367353B (en) 2000-09-13 2001-03-13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GB0106164.7 2001-03-13
GB0118281.5 2001-07-26
GB0118281A GB2368898B (en) 2000-09-13 2001-07-26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GB0129853.8 2001-12-13
GBGB0129853.8A GB0129853D0 (en) 2001-12-13 2001-12-13 Drawer transport systems
PCT/GB2002/001139 WO2002073107A1 (en) 2001-03-13 2002-03-13 Drawer sto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1521A true KR20030081521A (ko) 2003-10-17
KR100898647B1 KR100898647B1 (ko) 2009-05-22

Family

ID=992756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947A KR20030080257A (ko) 2001-03-13 2002-03-13 냉장 저장 장치
KR1020037011946A KR100855402B1 (ko) 2001-03-13 2002-03-13 냉장 저장 장치
KR1020037011945A KR100898647B1 (ko) 2001-03-13 2002-03-13 저장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947A KR20030080257A (ko) 2001-03-13 2002-03-13 냉장 저장 장치
KR1020037011946A KR100855402B1 (ko) 2001-03-13 2002-03-13 냉장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3) KR20030080257A (ko)
GB (2) GB0129853D0 (ko)
IL (1) IL157833A (ko)
WO (1) WO2003049577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64B1 (ko) * 2007-08-02 2010-02-22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EP2453191A3 (de) * 2010-11-10 2015-07-22 Mobil Invest GmbH Schubkastenkühlbox
CN111096580A (zh) * 2019-12-05 2020-05-05 北京晶品赛思科技有限公司 一种试剂安全管理柜系统
EP4191175A1 (en) * 2021-12-06 2023-06-07 Whirlpool Corporation Mechanism for appliance dra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7582C5 (de) * 2005-12-07 2018-10-31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schienenanordnung und Kühlschranklagerbehälterauszugs-/-Einschubvorrichtung mit derselben
WO2009123813A1 (en) * 2008-03-03 2009-10-08 Vioguard Corporation Ultraviolet treatment device
KR100971006B1 (ko) * 2008-06-24 2010-07-20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 살균 건조기
DE102010039644A1 (de) * 2010-08-23 2012-02-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m ausziehbaren Kühlgutbehälter
CN106196867B (zh) * 2016-06-30 2018-12-1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DE102017208450A1 (de) * 2017-05-18 2018-11-22 Schock Metallwerk Gmbh Führungsvorrichtung
WO2020135976A1 (en) * 2018-12-24 2020-07-02 Arcelik Anonim Sirketi A drawer of a cooling appliance having tilt prevention structure
CN109751829B (zh) * 2019-01-09 2024-05-1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及冰箱
US11679171B2 (en) 2021-06-08 2023-06-20 Steribi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infecting substances as they pass through a pipe
EP4202327A1 (de) * 2021-12-21 2023-06-28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KR102452796B1 (ko) * 2022-05-04 2022-10-07 김은재 구조 개선된 밀폐형 팽창탱크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4181A (en) * 1938-11-05 1939-09-26 Remington Rand Inc Overtravel drawer support
US2223234A (en) 1939-05-27 1940-11-26 Charles A Stemme Temperature controlled container
US2338889A (en) * 1942-09-11 1944-01-11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Refrigeration apparatus
US2675277A (en) * 1950-09-26 1954-04-13 Meilink Steel Safe Company Cabinet and drawer extension
US2894845A (en) 1955-04-18 1959-07-14 Gen Electric Methods of preserving fresh foods
US3857618A (en) * 1973-03-21 1974-12-31 M Hagen Synchronization and precision sequencing of ball retainer relationship to one-half of slide movement
US3875618A (en) * 1973-12-10 1975-04-08 Fastway Fasteners Bundling tie
IT8220627A0 (it) * 1982-04-07 1982-04-07 Lorenzo Gasperin Dispositivo a doppia slitta con trasmissione cinematica per lo scorrimento ed il supporto a sbalzo di elementi estraibili in genere ed in specie di cassetti, cestelli e simili di mobili.
JPS63180061A (ja) 1987-01-20 1988-07-25 株式会社デンソー 冷蔵装置
DE3834688A1 (de) * 1988-05-18 1989-11-30 Schock Metallwerk Synchronisierte vollauszugfuehrung
JP2696233B2 (ja) * 1988-10-28 1998-01-14 株式会社ニフコ スライダの繰出し装置
JP2667516B2 (ja) * 1989-06-19 1997-10-27 日本トムソン株式会社 有限直動案内ユニット
IT1238452B (it) 1990-02-01 1993-08-18 Eurodomestici Ind Riunite Frigorifero, congelatore o similare con contenitore amovibile in cui e' realizzato il vuoto a chiusura ed apertura automatica
GB2285838B (en) * 1994-01-12 1997-12-24 Titus Int Ltd Rolling bearing devices
JPH08271132A (ja) * 1995-03-29 1996-10-18 Toshiba Corp 冷蔵庫
JP3751075B2 (ja) * 1996-06-06 2006-03-01 松下冷機株式会社 冷蔵庫
JPH10318657A (ja) 1997-05-21 1998-12-04 Hitachi Ltd 冷蔵庫
GB2354061B (en) 1999-09-13 2001-08-08 Ian David Wood Cold-storage appliance
ATE423950T1 (de) 2001-03-13 2009-03-15 Applied Design & Eng Ltd Verwendung von wärme in kühllagervorrichtung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64B1 (ko) * 2007-08-02 2010-02-22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EP2453191A3 (de) * 2010-11-10 2015-07-22 Mobil Invest GmbH Schubkastenkühlbox
CN111096580A (zh) * 2019-12-05 2020-05-05 北京晶品赛思科技有限公司 一种试剂安全管理柜系统
EP4191175A1 (en) * 2021-12-06 2023-06-07 Whirlpool Corporation Mechanism for appliance dra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257A (ko) 2003-10-11
KR100898647B1 (ko) 2009-05-22
IL157833A (en) 2006-10-05
KR20030081522A (ko) 2003-10-17
KR100855402B1 (ko) 2008-08-29
WO2003049577A3 (en) 2003-12-31
GB2387530A (en) 2003-10-22
GB0229167D0 (en) 2003-01-22
WO2003049577A2 (en) 2003-06-19
GB0129853D0 (en) 200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8602B1 (en) Drawer storage
AU2002242831A1 (en) Drawer Storage
JP3857918B2 (ja) 冷蔵庫及び/または冷凍庫
KR100898647B1 (ko) 저장장치
AU2002241089A1 (en) Airflow management in cold storage appliances
RU22905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ZA200307075B (en) Drawer storage.
AU2004200357B2 (en) Cold-storage appliance
GB236735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ld storage
GB2368898A (en) A cold storage appliance
EP2364422A2 (en)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vegetabl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