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448A - 스크린 뒷면에 기능 버튼이 추가된 정보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스크린 뒷면에 기능 버튼이 추가된 정보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448A
KR20030080448A KR1020020019057A KR20020019057A KR20030080448A KR 20030080448 A KR20030080448 A KR 20030080448A KR 1020020019057 A KR1020020019057 A KR 1020020019057A KR 20020019057 A KR20020019057 A KR 20020019057A KR 20030080448 A KR20030080448 A KR 20030080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formation
buttons
butt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9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0448A/ko
Publication of KR2003008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4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정보통신 단말기에 관해 개시되어 있다. 정보가 표시되는 스크린이 구비된 정보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구비된 면과 이웃한 뒷면에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하는데 사용되는 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면서 보다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뒷면의 사용되지 않은 영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공간 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면서 투입 비용은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표시된 정보(메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터치 스크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린 뒷면에 기능 버튼이 추가된 정보통신 단말기{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ditionally having function buttons on back side of screen}
본 발명은 정보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자세하게는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스크린 뒷면에 기능 버튼을 추가한 정보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통신분야의 발전에 의해 단말기 이용에 있어서의 공간적 제약이급격히 개선됨과 아울러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정보통신 단말기가 출시되면서 그 이용자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정보통신 단말기는 기능과 형태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지만, 휴대폰으로 지칭되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이 대표적이고, 최근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라고 하는, 셀룰러 폰에 비해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어 이동형 개인용 컴퓨터에 비유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종래의 셀룰러 폰 및 PDA를 개략적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셀룰러 폰(10)은 정보(메뉴)가 표시되는 스크린(12a)이 구비된 덮개(12)와 스크린(12a)에 표시되는 정보(메뉴)를 이용할 때 및 스크린(12a)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되는 키 그룹(16)이 구비된 본체(14) 및 본체(14)의 키 그룹(16)과 마주하는 면에 장착된 전원(14a)으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PDA(20) 앞면에 정보(메뉴) 표시용 스크린(22)이 구비되어 있다. PDA(20) 스크린(22) 면적은 셀룰러 폰(10)의 스크린(12a)에 비해 훨씬 크다. 따라서, PDA(20) 스크린(22)에는 셀룰러 폰(10)의 스크린(12a)에 비해 훨씬 많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참조부호 R1 내지 R7는 PDA(20) 스크린(22)에서 정보들(메뉴)이 표시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때문에, 도 2는 스크린(22)에 7개의 정보(메뉴)가 표시되는 것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정보통신 단말기의 경우, 스크린에 표시되는 정보(메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본체에 구비된 키 그룹(셀룰러 폰)만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지시 펜(PDA)만을 이용하는 등 신호를 일 방향에서만 받기 때문에, 이용이 불편하다. 특히, 정보통신 단말기의 이용 분야가 넓어지면서 보다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위해서는 여러 키를 조합해야하기 때문에, 회로 구성이나 이용이 복잡하고 불편함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면서도 그 이용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이용하기 때문에 원가도 절감할 수 있는 정보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셀룰러 폰 및 개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에 대한 사시도로써, 도 3은 덮개가 열린 형태를, 도 4는 덮개가 닫힌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덮개 뒷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3을 6-6'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덮개 일부에 대한 사시도로써, 스크린이 원형인 형태로 구비된 앞면을 보여준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덮개의 뒷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덮개 뒷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를 10-10'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인 휴대 단말기를 스크린이 포함된 앞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개인 휴대 단말기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개인 휴대 단말기에서 뒷면에 원형의 버튼이 구비된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0:휴대 전화기 42:본체
44, 92:덮개 46:스크린
46a:원형 스크린 46L, 70L:제1 및 제2 연결선
46b, 46c:스크린 접점 48:윈도우
50, 72:탄성부재 52:하우징
54:누름 스위치 B1 내지 B6, 70, 106:제1 내지 제8 버튼
70a 내지 70h:제1 내지 제8 접점
90:개인 휴대 단말기 90a:앞면
90b:뒷면 94, 96, 98, 100, 102:정보(메뉴) 표시 영역들
110, 112, 114, 116:접점들 94a, 96a, 98a, 100a, 102a:복수 버튼들
104:기울기 센서 P:전원 S:스피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보가 표시되는 스크린이 구비된 정보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구비된 면의 뒷면에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하는데 사용되는 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스크린 및/또는 상기 버튼은 부유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버튼은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나 외부 작용에 의해 상기 스크린에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일 때 원래의 기능과 전혀 다른 기능을 하는 복수의 버튼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린과 상기 복수의 버튼들사이에 각각 상기 스크린 및/또는 버튼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과 상기 복수의 버튼들사이에 각각 상기 누름 스위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뒷면의 상기 복수의 버튼들 가운데 또는 마주하는 쪽에 간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가 더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버튼은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나 외부 작용에 의해 상기 스크린에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일 때 원래의 기능과 전혀 다른 기능을 하는 단일 버튼이되, 상기 단일 버튼의 이면에 상기 스크린과 접촉되는 복수의 접점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뒷면의 상기 단일 버튼과 이웃한 영역에 간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일 버튼의 이면과 상기 스크린의 이면사이에 양자의 중심부분과 접촉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종래의 정보통신 단말기에는 부여되지 않은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보다 간편하게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뒷면에 구비된 다기능 버튼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표시된 정보(메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터치 스크린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보통신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 단말기(40)는 본체(42)와 이것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본체(42)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44)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42)의 상면에 덮개(44)에 구비된 스크린(46)을 통해 표시되는 정보들을 이용하고, 스크린(46)에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키 그룹(key group)(42a)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42)의 이러한 상면과 마주하는 뒤편에 전원(P)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42)의 키 그룹(42a) 아래쪽에 송화용 내장 마이크(M)구비되어 있다. 이에 대응해서, 덮개(44)의 스크린(46) 위쪽에 수화용 스피커(S)가 구비되어 있다. 참조번호 48은 덮개(44)의 스크린(46)이 구비된 면(이하, 앞면이라 한다)의 뒤쪽(이하, 뒷면이라 한다)에 구비된 윈도우를 나타낸다. 윈도우(48)는 정보통신 단말기(40)의 덮개(44)를 닫았을 때 보이는 간이 스크린으로써, 덮개(44)를 닫은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최소 정보, 예를 들면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영역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윈도우(48)는 사용자에게 간단한 컴퓨터 게임을 제공하는 영역이 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참조부호 B1 내지 B6는 덮개(44) 뒷면의 스크린(46)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된 버튼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버튼들(B1 내지 B6)의 구비된 위치는 덮개(44)가 닫힌 상태의 정보통신 단말기(40)를 보여주는 도 4를 참조함으로써 보다 명확해진다. 곧, 버튼들(B1 내지 B6)은 윈도우(48) 아래쪽에 구비되어 있다. 이때, 버튼들(B1 내지 B6)은 스크린(46)의 메뉴들이 표시되는 영역에 일대 일로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비됨으로써, 메뉴 선택을 위한 스크린(46)의 터치 영역과 이에 대응되는 버튼이 일치하게 된다.
버튼 수를 여섯 개로 한정한 것은 설명과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덮개(44) 뒷면에 구비되는 버튼 수를 여섯 개로 한정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다. 버튼은 스크린(46)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 또는 메뉴의 최대 수 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스크린(46)에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 또는 메뉴의 최대 수가 네개 인 경우, 덮개(44) 뒷면에 구비되는 버튼의 수는 네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홉개인 경우 버튼의 수는 아홉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참조부호 A는 안테나를 나타낸다.
한편, 버튼들(B1 내지 B6)은 분할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5는 그 일 예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윈도우(48)를 중심으로 제1 내지 제3 버튼들(B1, B2, B3)은 위쪽에, 제4 내지 제6 버튼들(B4, B5, B6)은 아래쪽에 구비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크린(46)과 제1 내지 제3 버튼들(B1, B2, B3)은 탄성부재(50), 예를 들면 스프링을 매개로 해서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곧, 양쪽은 탄성부재(50)를 중심으로 부유된 상태와 유사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린(46)과 버튼들(B1 내지 B6)은 탄성 부재(50), 예를 들면 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46) 및 버튼들(B1 내지 B6) 중에서 스크린(46)에 표시된 메뉴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압력이 가해진 영역이 눌려져서 해당 메뉴가 선택된다. 메뉴 선택이 완료되고 상기 외부 압력이 해제되면서 스크린(46)의 눌려진 영역은 탄성부재(50)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일 예로써, 스크린(46)을 통해서 스크린(46)에 표시된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 예컨대 "전화번호부" 메뉴를 직접 또는 별도의 선택 도구(예컨대, 펜 등)를 사용하여 선택하는 경우, 스크린(46)의 "전화번호부" 메뉴에 대응되는 영역만이 눌러져서(압력을 받아) 스크린(46)에 표시된 메뉴들 중에서 "전화번호부" 메뉴만 선택되게 된다. 버튼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1 버튼(B1)이 스크린(46)의 "전화번호부" 메뉴가 표시되는 영역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이라고 하면, 제1 버튼(B1)을 누름으로써 "전화번호부" 메뉴만 선택되게 된다.
한편, "전화번호부" 메뉴는 이것이 표시된 스크린(46)의 소정 영역과 제1 버튼(B1)을 함께 눌러 선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스크린(46)의 "전화번호부" 메뉴가 표시된 영역 및 제1 버튼(B1)은 선택과정에서 가해진 압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탄성부재(50)에 의해 원래의 위치 상태로 복원된다.
도 6에서 참조번호 52는 하우징을 나타낸다. 하우징(52)은 스크린(46) 및 버튼들(B1 내지 B6)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들이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52)의 스크린(46) 및 버튼들(B1 내지 B6) 둘레는 케이스(C)로 덮여 있다. 버튼들(B1 내지 B6)과 스크린(46)사이에는 버튼들(B1 내지 B6) 중 선택된 어느 것이 눌려지거나 스크린(46)에 표시되는 메뉴들 중 선택된 어느 한 영역이 눌려질 때 작동되어 눌려진 버튼과 이에 대응되는 스크린의 영역(특정 메뉴가 표시된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사용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누름 스위치(54)가 구비되어 있다. 탄성부재(50)는 이러한 누름 스위치(54)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스크린(46)은 액정표시장치(LCD)를 구성하는 한 요소로써, 스크린(46)과 누름 스위치(54)사이에 메뉴 등과 같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들을 스크린(46)에 표시하는 액정 패널이 구비되어 있으나, 도시의 편의 상 생략하였다.
스크린(46) 뒷면에 마련된 버튼들(B1 내지 B6)은 정보통신단말기의 사용 상태에 따라 동일한 버튼이라도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1 버튼(B1)의 경우를 예로 들면, 핸드폰으로 지칭되는 휴대 전화기나 개인 휴대 단말기(PDA) 등과 같은 정보통신단말기가 사용 중일 때, 제1 버튼(B1)은 단말기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메뉴 중 하나, 예를 들면 "전화번호부" 메뉴를 선택하여 오픈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정보통신단말기가 사용 중이 아닐 때, 도 3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40)의 경우에 있어서 덮개(44)가 덮인 상태일 때, 곧 윈도우(48)가 활성(active) 상태일 때, 제1 버튼(B1)은 메뉴 선택 기능이 아닌 윈도우(48)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기능을 갖거나 윈도우(48)를 통해서 휴대 전화기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간단히 확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윈도우(48)를 통해 간단한 게임을 실시하는 경우에 커서 또는 캐릭터를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지시용 화살표 기능 또는 간단한 계산에 사용되는 특정 연산자(예컨대, 더하기 연산자(+))기능이나 전화가 수신될 때 사용하기 위한 수신 키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기능들은 제1 내지 제6 버튼들(B1 내지 B6) 각각에 부여할 수도 있고, 각 버튼에 분산시키는 방식으로 부여할 수도 있다. 버튼들(B1 내지 B6)이 갖는 이러한 이중적 성격의 기능간의 전환은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센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컨대 휴대 전화기의 경우, 덮개가 열리고 닫히는 것을 감지하는 내장된 센서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개인 휴대 단말기의 경우, 앞면 또는 뒷면 일 영역에 마련된 기울기 센서(도 11의 104 참조)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휴대 전화기(40)에서 스크린(46) 형태는 사각형외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스크린(46a)이 될 수있다. 도 8 및 도 9는 이러한 원형 스크린(46a)이 구비된 덮개(44)를 후방(D)에서 본 결과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뒷면에는 원형 스크린(46a)에 대응하도록 한 개의 버튼(70, 이하, "제7 버튼"이라 한다)이 구비되어 있다. 제7 버튼(70)은 앞서 기술한 제1 내지 제6 버튼들(B1 내지 B6)과 동등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체적인 형태는 원형이되, 둘레를 올록볼록하게 하여 반지름이 주기적으로 달라지게 한 형태일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7 버튼(70)의 이면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접점들(70a 내지 70h)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8 접점들(70a 내지 70h)은 필요에 따라 더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제7 버튼(70)은 원형 스크린(46a) 뿐만 아니라 상기한 사각형의 스크린(도 3의 46)과도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7 버튼(70) 이면에 구비된 접점들의 수는 결국 제1 내지 제6 버튼들(B1 내지 B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형 스크린(46a) 또는 사각형 스크린(46)에 표시되는 메뉴들의 영역 수에 비례하게 된다. 다만, 제1 내지 제6 버튼들(B1 내지 B6) 또는 제7 버튼(70)이 키 그룹(42a) 중의 어느 한 키가 함께 사용되는 경우, 덮개(44)의 뒤쪽에 구비된 버튼들의 수나 제7 버튼(70) 이면에 마련된 접점들의 수는 스크린(46, 46a)에 표시되는 메뉴들의 수보다 적을 수 있다.
계속해서, 도 9을 10-10'방향으로 절개한 면을 보여주는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 대로, 제7 버튼(70)은 원형 스크린(46a)과 대응되도록 구비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제3 및 제7 접점들(70c, 70g)을 통해서 제7 버튼(70)의 이면에 마련된 접점들(70a 내지 70h) 모두는 원형 스크린(46a)의 정해진 영역과 대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대응을 위해, 원형 스크린(46a)에는 제7 버튼(70) 이면에 마련된 제1 내지 제8 버튼들(70a 내지 70h)과 마주하는 영역에 접점들이 구비되어 있다. 제7 버튼(70)과 원형 스크린(46a) 이면에 마련된 접점들 사이는 미소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제7 버튼(70)의 이면과 원형 스크린(46a)의 이면사이에 양쪽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72)가 구비되어 있다. 탄성부재(72)는 스프링으로써 양자의 이면 중심 영역과 접촉된 상태로, 제7 버튼(70) 또는 원형 스크린(46a)이 사용되지 않을 때, 양자의 접점들 사이의 간격을 상기한 미소 간격으로 유지한다. 원형 스크린(46a)의 이면에 마련된 접점들(46b, 46c)은 각 접점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연결선(46L)으로, 제7 버튼(70)의 이면에 마련된 접접들(70a 내지 70h)은 각 접점들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연결선(70L)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선(70L)은 탄성부재(72)의 중심을 통해서 원형 스크린(46a)측으로 확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의 다른 예로써 개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으로써, 도 11은 스크린이 보이는 앞면을 기준으로 한 사시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버튼이 마련된 뒷면을 기준으로 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개인 휴대 단말기(90)에는 다양한 정보(메뉴)들이 표시되는 스크린(92)이 마련되어 있다. 참조 번호들 94, 96, 98, 100, 102는 스크린(92)의 상기 다양한 정보들이 표시되는 영역이 된다. 따라서, 이 영역들(94, 96, 98, 100, 102)을 마우스 펜이나 기타 메뉴 선택용 펜을 이용하여 선택함으로써, 스크린(92)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이용할 수 있다. 개인 휴대 단말기(90)의 뒷면(90b)에 복수의 버튼들(94a, 96a, 98a, 100a, 102a)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들은 스크린(92)에 표시된 정보들을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스크린(92)에 표시된 상기 정보들을 선택함에 있어, 스크린(92)을 통하는 대신에 복수의 버튼들(94a, 96a, 98a, 100a, 102a) 중 선택하고자 하는 정보에 대응되는 버튼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들(94a, 96a, 98a, 100a, 102a)은 스크린(92)의 정보 표시 영역 수에 비례하여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나, 각 버튼이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함으로써, 뒷면(90b)에 구비되는 버튼 수는 상기 정보 표시 영역 수보다 줄일 수 있다. 스크린(92) 둘레의 일 영역에 기울기 센서(104)가 구비되어 있다. 기울기 센서(104)는 개인 휴대 단말기(90)에서 사용자를 향하는 면이 스크린(92)이 포함된 앞면(90a)인지, 아니면 그 뒷면(90b)인지를 감지한다. 이러한 기울기 센서(104)의 감지 결과에 따라 개인 휴대 단말기(90) 뒷면(90b)에 구비된 복수의 버튼들(94a, 96a, 98a, 100a, 102a)의 기능은 달라진다. 예를 들어 기울기 센서(104)에 의해 스크린(92)의 방향이 사용자를 향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되면, 복수의 버튼들(94a, 96a, 98a, 100a, 102a)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되고, 기울기 센서(104)에 의해 스크린(92)의 방향이 사용자를 향하고 있지 않은 것이 감지되면, 복수의 버튼들(94a, 96a, 98a, 100a, 102a)이 다른 상기한 바와 다른 기능을 하게 되거나 전혀 기능을 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기능과 함께 기울기 센서(104)는 정보의 표시 방식에 따라 복수의 버튼들(94a, 96a, 98a, 100a, 102a)의 기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들 중에서 스크린(92)의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것과 세로방향으로 표시되는 것을 구분하여, 가로방향으로 표시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복수의 버튼들(94a, 96a, 98a, 100a, 102a)이 상기한 기능을 그대로 수행하게 하는 반면, 세로방향으로 표시되는 정보, 예컨대 게임에 대해서는 복수의 버튼들(94a, 96a, 98a, 100a, 102a)이 상기 게임을 진행하는데 사용되는 키의 기능을 하게 한다.
한편, 복수의 버튼들(94a, 96a, 98a, 100a, 102a)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뒷면(90b)에 구비되는 하나의 버튼(106, 이하 "제8 버튼"이라 한다)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제8 버튼(106)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전체는 원형이면서 가장자리가 올록볼록하여 반지름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제8 버튼(106) 이면에는 제7 버튼(70)과 동등한 성격의 접점들(110, 112, 114, 116)이 마련되어 제8 버튼(106)의 테두리 일 측을 누름으로써 스크린(92)에 표시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제8 버튼(106)과 스크린(92)사이의 관계는 상기한 휴대 전화기의 원형 스크린(46a)과 제7 버튼(70)의 관계와 동일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정보통신 단말기는 정보(메뉴)들이 표시되는 스크린이 포함된 앞면과 대응되는 뒷면에 상기 정보(메뉴)들을 선택하거나 필요시 데이터 입력 기능이나 별도의 다른 기능을 갖는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정보통신 단말기의 스크린에 표시된 정보(메뉴)를 이용하는 방법에는 1. 스크린의 메뉴가 보이는 영역을 마우스 펜이나 기타 선택 도구를 사용해서 누르는 방법, 2. 스크린 뒤편에 마련된 상기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스크린의 상기 정보(메뉴)가 표시된 영역과 상기 버튼을 동시에 눌러 정보(메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그들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예들 들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휴대 전화기 덮개 뒷면에 윈도우 형태가 아닌 스크린과 동등한 형태의 제2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고, 개인 휴대 단말기의 뒷면에도 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크린 및 그 뒷면에 구비된 버튼 모두를 부유 상태로 구비하는 대신, 어느 하나 만을 부유 상태로 구비하는 정보통신 단말기를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보통신 단말기는 종래에 비해 스크린에 표시된 정보(메뉴)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한다. 아울러, 스크린과 마주하는 뒷면에 구비된 버튼에는 스크린이 구비된 앞면에 구비된 정보 이용 키에 부여된 기능외의 다른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공간 부족 등의 이유로 종래의 정보통신 단말기에는 부여되지 않은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정보통신 단말기가 종래의 정보통신 단말기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경우라 하더라도, 종래의 경우, 부여된 기능 중 일부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복수의 키를 조합하여야 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일부 기능을 상기 버튼에 부여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 간편하게 정보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버튼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표시된 정보(메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터치 스크린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Claims (10)

  1. 정보가 표시되는 스크린이 구비된 정보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구비된 면의 뒷면에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정보를 이용하는데 사용되는 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부유 상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부유 상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나 외부 작용에 의해 상기 스크린에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일 때 원래의 기능과 전혀 다른 기능을 하는 복수의 버튼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과 상기 복수의 버튼들사이에 각각 상기 스크린 및/또는 버튼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과 상기 복수의 버튼들사이에 각각 상기 누름 스위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의 상기 복수의 버튼들 가운데 또는 마주하는 쪽에 간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나 외부 작용에 의해 상기 스크린에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일 때 원래의 기능과 전혀 다른 기능을 하는 단일 버튼이되, 상기 단일 버튼의 이면에 상기 스크린과 접촉되는 복수의 접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뒷면의 상기 단일 버튼과 이웃한 영역에 간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윈도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버튼의 이면과 상기 스크린의 이면사이에 양자의 중심부분과 접촉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 단말기.
KR1020020019057A 2002-04-08 2002-04-08 스크린 뒷면에 기능 버튼이 추가된 정보통신 단말기 KR20030080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057A KR20030080448A (ko) 2002-04-08 2002-04-08 스크린 뒷면에 기능 버튼이 추가된 정보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057A KR20030080448A (ko) 2002-04-08 2002-04-08 스크린 뒷면에 기능 버튼이 추가된 정보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448A true KR20030080448A (ko) 2003-10-17

Family

ID=3237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057A KR20030080448A (ko) 2002-04-08 2002-04-08 스크린 뒷면에 기능 버튼이 추가된 정보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04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349B1 (ko) * 2007-03-29 2010-10-18 임승엽 후면 키 패드 휴대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5784A (ja) * 1996-04-17 1998-03-06 Lucent Technol Inc 可動キーパッドを有する携帯電話器
JPH10304033A (ja) * 1997-04-25 1998-11-13 Nec Corp 携帯無線情報端末装置
KR20000011205U (ko) * 1998-11-27 2000-06-26 조용호 모니터링 폴더 휴대용 무선전화기
JP2001136251A (ja) * 1999-11-05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2001326710A (ja) * 2000-05-17 2001-11-22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KR20030019015A (ko) * 2001-08-31 2003-03-06 홍지명 투과형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46891A (ko) * 2001-12-07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5784A (ja) * 1996-04-17 1998-03-06 Lucent Technol Inc 可動キーパッドを有する携帯電話器
JPH10304033A (ja) * 1997-04-25 1998-11-13 Nec Corp 携帯無線情報端末装置
KR20000011205U (ko) * 1998-11-27 2000-06-26 조용호 모니터링 폴더 휴대용 무선전화기
JP2001136251A (ja) * 1999-11-05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2001326710A (ja) * 2000-05-17 2001-11-22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KR20030019015A (ko) * 2001-08-31 2003-03-06 홍지명 투과형 유기 전계발광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폴더형이동통신 단말기
KR20030046891A (ko) * 2001-12-07 2003-06-1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349B1 (ko) * 2007-03-29 2010-10-18 임승엽 후면 키 패드 휴대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5910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EP1156643B1 (en)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CA2634098C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US2005009143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50125570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WO2008004219A1 (en) A variably displayable mobile device keyboard
WO2002031807A1 (en) Data entry device
KR20010098792A (ko) 회전조작스위치장치 및 통신단말장치
US20050277448A1 (en) Soft buttons on LCD module with tactile feedback
KR20160131489A (ko)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20060090293A (ko) 이동 통신 장치용 피봇 가능 디스플레이
GB2364173A (en) Key assembly
JP2008225541A (ja) 入力装置および情報機器
CN101669351A (zh) 旋转式便携终端
JP2002132445A (ja) 入力装置
JP2002341997A (ja) 携帯端末用の入力装置
WO2005033883A2 (en) Directional pad having integrated acoustic system and lighting system
JP3776655B2 (ja) 入力装置
KR20030080448A (ko) 스크린 뒷면에 기능 버튼이 추가된 정보통신 단말기
US8941594B2 (en) Interface, circuit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JP2004295716A (ja) 表示機能付電子機器
KR100605839B1 (ko) 휴대용무선단말기키입력장치및방법
CN101388921B (zh) 手持电子设备
KR20070001447A (ko) 배면 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2000156135A (ja) キート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