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489A -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489A
KR20160131489A KR1020150063969A KR20150063969A KR20160131489A KR 20160131489 A KR20160131489 A KR 20160131489A KR 1020150063969 A KR1020150063969 A KR 1020150063969A KR 20150063969 A KR20150063969 A KR 20150063969A KR 20160131489 A KR20160131489 A KR 2016013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bezel
rotation
ball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456B1 (ko
Inventor
김상은
권기영
김경환
박지훈
안태윤
엄태원
오인호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3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456B1/ko
Priority to US15/145,914 priority patent/US10013073B2/en
Publication of KR2016013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3/00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independent of other time-pieces and in which the movement is maintained by electric means
    • G04C3/001Electromechanical switches for setting or display
    • G04C3/005Multiple switch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눌림 부재를 포함하며, 회전되게 구비되는 베젤부와, 베젤부의 회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상기 눌림 부재에 맞물려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게 구비되고, 눌리거나 눌림의 해제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온/오프되어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APPARATUS FOR RECOGNIZING ROTATION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스위치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최근의 전자 장치는 신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안경이나 시계 등의 다양한 형상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도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에는 다양한 형태의 회전 인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인식 장치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오프모드(off mode) 상태의 전자 장치의 전원을 온/오프하거나, 전원만 온(on)되어 있는 슬립모드(sleep mode) 상태의 전자 장치를 실행시키거나, 전자 장치의 기능을 실행시켜 구동 모드(driving mode) 상태의 전자 장치에 입력을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인식 장치는 버튼 키와 같이 가압 등에 따라 입력을 구현하는 물리적인 회전 인식 장치, 터치나 접근을 통해 입력을 구현하는 터치 회전 인식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회전 인식 장치의 경우 입력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 여부를 터치 감으로는 느낄 수 없으므로, 이에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손 등의 터치감을 제공하여 기존의 물리적인 회전 인식 장치와 같은 느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햅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더불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경우,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그 크기의 소형화로 인해, 회전 인식 장치를 실장하기 위한 한계가 발생한다. 즉, 물리적인 회전 인식 장치를 실장하기 위한 공간이 매우 협소할 수 밖에 없으며, 터치 회전 인식 장치를 실장하여도 그 크기가 매우 작아 다양한 방식의 입력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또한, 스마트 위치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경우, 스마트 워치 본체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의 주변부(이하 '베젤 영역'이라 함.)에 회전하는 베젤부와, 베젤부의 회전을 인식하도록 센서부를 구비하여 센서부가 베젤부의 회전을 인식함에 따라 입력을 구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센서 방식의 회전 인식을 통해 입력 구현하는 경우, 센서부와 별도로 베젤부의 회전을 감지하거나, 센서부가 베젤부의 회전에 따라 입력 구현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조작감을 제공하는 별도의 기구 구조물을 필요로 한다.
또한, 센서부가 베젤부의 회전을 인식 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회로나 회로 기구물을 필요로 한다.
또한, 센서부가 마그네틱 센서로 구비되는 경우, 메그네틱 센서의 특성 상 마그네틱 센서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금속 재질을 베젤부나 전자 장치에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센서부가 광 센서로 구비되는 경우, 베젤부의 회전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광 센서로 유입되는 광의 반사율을 달리해야 하므로, 베젤부에 광의 반사율을 달리할 수 있는 별도의 플레이트가 추가되거나, 광의 반사율을 달리하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 구체적으로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주변 둘레의 베젤 영역으로 회전되는 베젤부 및 온/오프 방식의 스위치 구조를 통해 베젤부의 회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인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베젤부의 회전을 인식하고, 인가된 신호 입력을 통해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간단한 온/오프의 스위치 구조를 통해 전자 장치에 신호 입력을 인가할 수 있는 회전 인식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베젤부의 회전에 따라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면서 온/오프의 스위치 방식의 입력 신호를 제공하면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눌림 부재를 포함하며, 회전되게 구비되는 베젤부; 및 상기 베젤부의 회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상기 눌림 부재에 맞물려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게 구비되고, 눌리거나 눌림의 해제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온/오프되어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을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는, 베젤부의 회전 시 적어도 하나 이상, 구체적으로 세 개의 스위치부 가압 상태에 따라 베젤부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주변에 구비되는 베젤부와, 베젤부에 맞물려 신호가 온/오프되는 복수개의 포고 타입의 스위치부를 통해 제한되는 실장 공간 안에서 베젤부의 회전에 따른 신호 입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회전 감지 값에 따라 다양한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베젤부의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의 회전으로 포고 타입 스위치부의 온/오프 구조를 통해 간단하며 용이하게 슬립모드(sleep mode) 상태의 전자 장치를 실행시키거나, 전자 장치의 기능을 실행시켜 구동 모드(driving mode) 상태의 전자 장치에 입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포고 타입의 스위치부에 차폐부를 구비하여, 포고 타입의 스위치부의 눌림에 따라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될 수 있고,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베젤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베젤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제어부와 스위치부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스위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베젤부의 회전에 따른 스위치부의 눌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베젤부의 시계 방향 회전에 따른 스위치부의 눌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베젤부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른 스위치부의 눌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스위치부의 눌림에 따른 물리적 사용자 환경의 실행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스위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스위치부의 눌림에 따른 물리적 사용자 환경의 실행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단말,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신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일 수 있으며,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앞서 설명한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 장치와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버 등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또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동 또는 셀룰러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소지역 통신망(Small Area Network: SAN) 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에서, 베젤부(11)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에서, 베젤부(11)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에서, 제어부(15)와 스위치부(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는 베젤부(11)와 스위치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또한, 상기 회전 인식 장치(11, 100)는 전자 장치(10)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10)는 와치 타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전 인식 장치(11, 100)는 스마트 폰이나 신체 장착형 전자 장치(10) 등에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와치 타입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는 앞서 언급한 회전 인식 장치(11, 100) 및 본체부(110)와 제어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2)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본체부(1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테두리에는 베젤부(11)가 회전 가능하게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베젤부(11)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후술하나,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주변부에서 직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제어부(15)는 후술하는 베젤부(11)의 회전에 따라 스위치부(100)의 눌림 또는 눌림 해제되면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 값에 따라 상기 본체부(110)의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을 구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는 후술하나, 새 개의 스위치부(100) 중 제1스위치(100a)가 온되어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고, 제2,3스위치(100b, 100c)는 오프된 신호 값에 의해 본체부(110)에 실장된 기능, 구체적으로 카메라 기능이 본체부(110)를 통해 구현되거나, 사용자 신체 정보 측정 기능이 본체부(110)를 통해 구현되거나, 메뉴 설정이 설정되도록 구현되는 등 베젤부(11)의 회전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환경이 구현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베젤부(11)는 본체부(11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테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베젤부(11)의 내측면에는 상기 베젤부(11)의 내측면에서 상기 스위치부(100) 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눌림 부재(11a)가 구비될 수 있다(도 5 및 도 6 함께 참조). 또한, 상기 베젤부(11)는 눌림 부재(11a)가 구비되어 상기 베젤부(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100)를 가압하는 제1영역(X)과, 가압된 상기 스위치부(100)가 복원되는 제2영역(Y)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젤부(11)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주변 둘레와 이웃하여 둥근 형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도 1참조). 이 경우 후술하는 눌림 부재(11a)는 베젤부(11)의 하면에서 스위치부(100)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도시되진 않았으나, 베젤부(11)의 내측면에서 중앙부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베젤부(11)의 형상이나 실장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베젤부(11)가 본체부(110)의 측면 테두리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도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눌림 부재(11a)는 베젤부(11)의 내주연에서 중앙부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달리 도 3과 같이 베젤부(11)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주변 영역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주변 베젤 영역에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가이드부(11c)에 눌림 부재(11a)를 구비한 베젤부(11)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눌림 부재(11a)는 베젤부(11)의 내측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베젤부(11)의 실장 위치나 구조 등에 따라 눌림 부재(11a)는 베젤부(11)의 내주연에서 중앙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눌림 부재(11a)는 베젤부(11)의 내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가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눌림 부재(11a)와 눌림 부재(11a)와 이웃한 눌림 부재(11a)의 간격은 스위치부(10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스위치부(100)가 제공되는 경우, 눌림 부재(11a)와 눌림 부재(11a)와 이웃한 눌림 부재(11a)의 간격은 하나의 간격을 사이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영역(X)과 제2영역(Y)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와 같이 세 개의 스위치부(100)가 제공되는 경우, 눌림 부재(11a)와 눌림 부재(11a)와 이웃한 눌림 부재(11a)의 간격은 두 개의 간격을 사이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영역(Y)은 제1영역(X)의 두 배의 간격을 가지도록 구비될 것이다.
눌림 부재(11a)는 본체부(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위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눌림 부재(11a)는 세 개의 스위치부(100) 중 하나만 가압하거나 하나만 제외하고 가압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X)의 표면, 구체적으로 눌림 부재(11a)의 표면과 제2영역(Y)의 표면에는 후술하는 스위치부(100)의 볼(131)이 안착될 수 있고 내측으로 인입되는 홈 형상의 개구(11b)가 구비될 수 있다.
베젤부(11)가 회전하여 이동되면, 눌림 부재(11a)와 맞물리는 스위치부(100)의 눌림 및 스위치부(100)의 볼(131)이 서로 이웃한 개구(11b) 측으로 안착되어 걸림에 따라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에서, 스위치부(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위치부(100)는 본체부(110)의 내측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부(100)는 베젤부(11)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 검출된 전기적 신호 값에 따라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실행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내측에 세 개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스위치부(100)는 상기 베젤부(11)의 회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상기 눌림 부재(11a)에 맞물려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부(100)가 베젤부(11)의 회전에 따라 눌림 부재(11a)에 눌리거나 눌림의 해제되면서 전기적 신호가 온/오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부(100)가 온, 오프되면서, 온/오프의 신호가 제어부(15)로 인가되고, 인가된 전기적 신호 값에 따라 제어부(15)는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00)는 본체부(110)의 내측면으로 서로 순차적으로 인접하게 구비되는 세 개의 제1,2,3스위치(100a, 100b, 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100a)와 제3스위치(100c) 사이로 제2스위치(100b)가 구비되며, 제1스위치(100a)가 제1영역(X)에 위치되어 눌림 부재(11a)에 눌리면, 제2,3스위치는 제2영역(Y)에 위치되어 눌림이 해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도 6의 Ⅰ번 및 Ⅳ 상태).
제2스위치(100b)는 상기 제1스위치(100a)와 이웃하게 구비되며, 베젤부(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스위치(100a) 및 제3스위치(100c)와 교차되어 눌리게 구비될 수 있다. 제2스위치(100b)가 제1영역(X)에 위치되어 눌림 부재(11a)에 눌리면, 제1스위치(100a)와 제3스위치(100c)는 제1영역(X)의 양측으로 제2영역(Y)에 위치되어 눌림이 해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도 6 의 Ⅱ상태).
제3스위치(100c)는 상기 제2스위치(100b)와 이웃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스위치(100a) 및 상기 제2스위치(100b)와 교차되어 눌리게 구비될 수 있다. 제3스위치(100c)가 제1영역(X)에 위치되어 눌림 부재(11a)에 눌리면, 제1스위치(100a)와 제2스위치(100b)는 제2영역(Y)에 위치되어 눌림이 해제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도 6의 Ⅲ 상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부(100)(제1,2,3 스위치부(100a, 100b, 100c)의 구조나 구성은 같으므로 이에 통합적으로 설명함.)는 하우징(110)과, 핀부(120)와 볼부(130) 및 차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그 내측으로 핀부(12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핀부(120)는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공간부에 안착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핀부(120)는 탄성적으로 눌릴 수 있도록 구비되며, 핀부(120)의 상부는 공간부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핀부(120)의 상부는 후술하는 차폐부(140)의 가압부(142)와 대면되어 가압부(142)가 탄성적으로 눌림에 따라 가압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핀부(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핀(121)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신호 핀(121)들은 상기 핀부(120)가 가압부(142)에 의해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연결이 끊겨 온/오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부(130)는 상기 핀부(12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을 커버하는 차폐부(140) 상부에 실장될 수 있다. 볼부(130)는 볼(131)과, 볼 하우징(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볼(131)은 회전되는 베젤부(11)의 내측면에 접촉되며 베젤부(11)의 이동 시 회전하여 베젤부(1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볼(131)은 베젤부(11)의 회전에 따라 베젤부(11)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베젤부(11)가 회전함에 따라 볼(131)이 제1영역(X)의 눌림 부재(11a)에 맞물리면 눌림 부재(11a)의 표면에 형성된 개구(11b)에 인입될 수 있다. 또한, 베젤부(11)가 회전함에 따라 볼(131)이 제2영역(Y)에 위치되면 제2영역(Y)의 베젤부(11) 내측 표면에 구비된 개구(11b)에 안착될 수 있다.
볼(131)이 제1영역(X) 및 제2영역(Y)의 베젤부(11) 내측 표면을 따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핀부(1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개구(11b)에 안착됨에 따라 베젤부(11)의 회전 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볼(131)은 후술하는 차폐부(140), 구체적으로 가압부(142) 상에 위치되어, 볼(131)의 눌림에 따라 가압부(142)를 상, 하 방향으로 누를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볼 하우징(132)은 볼(131)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볼(131)의 일부는 볼 하우징(132)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볼(131)이 볼 하우징(132)에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볼 하우징(132)은 후술하는 차폐부(140)의 상부에 밀착 가능하게 적층될 수 있다.
차폐부(140)는 볼부(130)와 상기 하우징(110) 사이에 구비되며, 볼부(130)와 하우징(110) 사이를 실링하여 외부 이물질이 하우징(110)의 내측, 구체적으로 핀부(120)가 구비된 공간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140)는 상기 볼부(130)의 눌림에 따라 상기 핀부(120)를 가압하여 핀부(120)가 전기적으로 온/오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차폐부(140)는 실링 플레이트(141)와 가압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플레이트(141)는, 기 본체부(110)와 상기 볼 하우징(132) 사이에 구비되며, 구체적으로 본체부(110)의 공간부를 커버하여 실링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142)는 실링 플레이트(141)의 일면, 구체적으로 실링 플레이트(141)의 하면에 위치되고, 가압부(142)의 상부는 볼(131)과 접촉되고, 가압부(142)의 하부는 핀부(120)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젤부(11)의 회전에 따라 볼(131)이 제1영역(X) 및 제2영역(Y)에 위치되면서 제1영역(X)의 눌림 부재(11a)에 눌리거나 제2영역(Y)에서 복원되면서 가압부(142)는 핀부(120)를 누르거나 누름을 해제하게 구비된다. 차폐부(140)는 실리콘 재질, 우레탄 재질 또는 러버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볼부(130)가 상기 눌림 부재(11a)의 접촉으로 눌리면, 상기 베젤부(11)의 회전 그립감이 제공됨은 물론 상기 핀부(120)가 탄성적으로 가압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되어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에서, 베젤부(11)의 회전에 따른 스위치부(100)의 눌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에서, 베젤부(11)의 시게 방향 회전에 따른 스위치부(100)의 눌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에서, 베젤부(11)의 반시계 방향 회전에 따른 스위치부(100)의 눌림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11, 100)를 구비한 전자 장치(10)에서, 스위치부(100)의 눌림에 따른 물리적 사용자 환경의 실행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서로 인접하게 실장된 상기 제1,2,3스위치(100a, 100b, 100c)는 상기 베젤부(11)의 시계 방향 회전 또는 반 시계 방향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따라 상기 눌림 부재(11a)에 순차적으로 눌려 각각의 고유 전기적 신호 값을 생성하게 된다. 제어부(15)는 제1,2,3스위치(100a, 100b, 100c)의 눌림에 따라 고유의 전기적 신호 값을 인가받아 베젤부(11)의 회전 방향을 인식함은 물론 각 고유의 전기적 신호 값에 설정된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젤부(1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설명할 수 있다. 스위치부(100)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된 상태를 '1'로 표현하고,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0'으로 표시할 수 있다.
먼저 도 9나 도 11을 참조하여 베젤부(1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를 인지하는 구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베젤부(11)가 회전되어 제1스위치(100a)가 눌림 부재(11a)와 맞물리고 제2,3스위치는 제2영역(Y)에서 원래의 상태로 구비된 상태에서, 제1스위치(100a)에는 전기적 신호가 온되어 '1'의 전기적 신호를 가지고, 제2,3스위치(100b, 100c)에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0'의 신호 값을 가진다. 이에, 제1스위치(100a)가 눌리고 제2,3스위치(100b, 100c)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100'의 신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베젤부(1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스위치(100a)는 눌림 부재(11a)에서 이탈되어 눌림 부재(11a)의 일측에 위치된 제2영역(Y)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스위치(100b)는 눌림 부재(11a) 측으로 이동되어 눌림 부재(11a)에 의해 눌려지고, 제3스위치(100c)는 눌림 부재(11a)의 타측에 위치된 제2영역(Y)에 위치된다. 이에, 제2스위치(100b)에는 전기적 신호가 온되고, '1'의 전기적 신호 값을 가지고, 제1,3스위치(100a, 100c)에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0'의 신호 값을 가진다. 이에, 제2스위치(100b)가 눌리고 제1,3스위치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010'의 신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시 한번 베젤부(1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스위치(100a)는 제2영역(Y)의 반시계 방향 측으로 이동되고, 제2스위치(100b)는 눌림 부재(11a)에서 이탈되어 제1스위치(100a)가 위치된 눌림 부재(11a)의 일측에 위치된 제2영역(Y)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3스위치(100c)는 눌림 부재(11a) 측으로 이동되어 눌림 부재(11a)에 의해 눌려진다. 이에, 제3스위치(100c)에는 전기적 신호가 온되고, '1'의 전기적 신호 값을 가지고, 제1,2스위치(100a, 100b)에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0'의 신호 값을 가진다. 이에, 제3스위치(100c)가 눌리고 제1,2스위치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001'의 신호 값을 가질 수 있다.
베젤부(1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100', '010', '001'의 신호 값은 그 순서대로 제어부(15)로 인가된다. 제어부(15)는 상기의 신호 값을 인가받아 베젤부(1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베젤부(11)의 반 시계 방향 회전 및 제1,2,3스위치(100a, 100b, 100c)의 전기적 신호 값에 따라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100'의 신호 값이 제어부(15)로 인가되면, 제어부(15)는 본체부(110)의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제어하여 다양한 어플을 구동할 수 있는 메뉴바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010'의 신호 값 '001'의 신호 값이 제어부(15)로 인가되면 제어부(15)는 본체부(110)의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상기 고유 값에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 스피커 기능, 신체 측정 기능, 비디오 기능, mp3 기능 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베젤부(11)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를 인지하는 구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베젤부(11)가 회전되어 제1스위치(100a)가 눌림 부재(11a)와 맞물리고, 제2,3스위치(100b, 100c)는 제2영역(Y)에서 원래의 상태로 구비된 상태에서, 제1스위치(100a)에는 전기적 신호가 온되어 '1'의 전기적 신호를 가지고, 제2,3스위치(100b, 100c)에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0'의 신호 값을 가진다. 이에, 제1스위치(100a)가 눌리고 제2,3스위치(100b, 100c)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100'의 신호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베젤부(1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스위치(100a)는 제2영역(Y)의 반시계 방향 측으로 이동되고, 제2스위치(100b)는 눌림 부재(11a)에서 이탈되어 제1스위치(100a)가 위치된 눌림 부재(11a)의 일측에 위치된 제2영역(Y)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3스위치(100c)는 눌림 부재(11a) 측으로 이동되어 눌림 부재(11a)에 의해 눌려진다. 이에, 제3스위치(100c)에는 전기적 신호가 온되고, '1'의 전기적 신호 값을 가지고, 제1,2스위치에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0'의 신호 값을 가진다. 이에, 제3스위치(100c)가 눌리고 제1,2스위치(100a, 100b)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001'의 신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시 한번 베젤부(1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스위치(100a)는 눌림 부재(11a)에서 이탈되어 눌림 부재(11a)의 일측에 위치된 제2영역(Y)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스위치(100b)는 눌림 부재(11a) 측으로 이동되어 눌림 부재(11a)에 의해 눌려지고, 제3스위치(100c)는 눌림 부재(11a)의 타측에 위치된 제2영역(Y)에 위치된다. 이에, 제2스위치(100b)에는 전기적 신호가 온되고, '1'의 전기적 신호 값을 가지고, 제1,3스위치(100a, 100c)에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지 않아 '0'의 신호 값을 가진다. 이에, 제2스위치(100b)가 눌리고 제1,3스위치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010'의 신호 값을 가질 수 있다. 베젤부(11)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100', '001', '010'의 신호 값은 그 순서대로 제어부(15)로 인가된다. 제어부(15)는 상기의 신호 값을 인가받아 베젤부(11)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베젤부(11)의 반 시계 방향 회전 및 제1,2,3스위치(100a, 100b, 100c)의 전기적 신호 값에 따라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앞서서도 언급하였듯이 예를 들어 '100'의 신호 값이 제어부(15)로 인가되면, 제어부(15)는 본체부(110)의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제어하여 다양한 어플을 구동할 수 있는 메뉴바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010'의 신호 값 '001'의 신호 값이 제어부(15)로 인가되면 제어부(15)는 본체부(110)의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상기 고유 값에 실행하고자 하는 어플,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 스피커 기능, 신체 측정 기능, 비디오 기능, mp3 기능 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스위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서, 스위치부의 눌림에 따른 물리적 사용자 환경의 실행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구성 설명이나 동작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이나 동작 설명은 앞선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구성이나 동작에서 차이점이 있는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눌림 부재(11a)는 베젤부(11)의 내측면에 하나가 실장될 수 있으며, 베젤부(11)의 내측면에서 하면 방향(스위치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눌림 부재(11a)는 베젤부(11)의 내측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복수개가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눌림 부재(11a)는 베젤부(11)의 회전에 따라 본체부(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위치부(100)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눌림 부재(11a)는 베젤부(11)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되, 돌출된 일면의 표면 즉 도 6과 같이 제1영역(X)의 표면에는 스위치부(200)의 볼(131)이 안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인입되는 홈 형상의 개구(11b)가 구비될 수 있다. 베젤부(11)가 회전하여 이동되면, 후술하는 이웃한 스위치들은 각각 순서대로 눌림부재에 의해 눌리게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눌림 부재(11a)의 표면에 개구(11b)가 구비되는 경우, 스위치부(100)의 볼(131)이 개구(11b)에 안착되어 걸림에 따라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부들(200)은 본체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내측에 복수개가 서로 이웃하여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부(200)는 베젤부(11)의 회전을 검출 할 수 있으며, 검출된 전기적 신호 값에 따라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실행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내측으로 서로 이웃하여 소정 간격을 가지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부들(200)은 각각의 스위치부 개별적으로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이 설정되어, 눌림부재(11a)에 눌려지는 스위치부에 기 설정된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전자 장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스위치부들(200)이 서로 이웃하여 구비됨에 따라 눌림부재(11a)에 의해 눌리는 순서에 따라 베젤부(11)의 회전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개의 스위치부들(200)은 본체부(110)의 테두리를 따라 8개의 제1 내지 제8스위치부(200a~200h)가 실장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눌림부재(11a)가 제1 내지 제8스위치부(200a~200h)의 눌리는 순서에 따라 베젤부(11)의 회전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눌림부재(11a)가 제1스위치부(200a)의 위치에 놓여진 것을 기준으로 하여, 눌림부재(11a)가 제1스위치부(200a)를 누른 후, 제8스위치부(200h)를 누르고, 제8스위치부(200h)를 누른 후, 제7스위치부(200g)를 누르게 되면, 스위치부(200a~200h)는 반시계 방향을 따라 눌림부재(11a)에 의해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베젤부(1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인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눌림부재(11a)가 제1스위치부(200a)의 위치에 놓여진 것을 기준으로 하여, 눌림부재(11a)가 제1스위치부(200a)를 누른 후, 제2스위치부(200b)를 누르고, 제3스위치부(200c)를 순서대로 누르게 되면, 스위치부(200a~200h)는 시계 방향을 따라 눌림부재(11a)에 의해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베젤부(1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인식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베젤부의 회전 방향으로 인해, 상, 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좌, 우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물리적 사용자 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스위치부들(200)은 각각의 스위치부 개별적으로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베젤부(11)의 회전에 따라 스위치부들(20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눌림부재(11a)와 맞물려 눌려지게 되는데, 눌림부재(11a)에 눌려지는 상기 스위치부들(200) 중 하나는 각각 자신에게 설정된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위치부(200a) 내지 제8스위치부(200h)는 각각 메뉴 실행과 관련된 물리적 사용자 환경이 설정될 수 있고, 설정과 관련된 물리적 사용자 환경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카메라나, 사진, 음악과 같은 멀티 플레이어 관련 어플 실행이나, 신체 검출과 관련한 어플 실행 등 다양한 어플과 관련한 물리적 사용자 환경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스위치부(200c)가 메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경우, 베젤부(11)의 회전으로 눌림부재(11a)가 제1스위치부(200a)를 누르면 전자 장치의 화면 상으로 메뉴가 실행될 수 있도록 물리적 사용자 환경이 구현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전자 장치 11: 베젤부
11a: 눌림 부재 11b: 개구
12: 디스플레이 장치 100: 스위치부
100a: 제1스위치 100b: 제2스위치
100c: 제3스위치 110: 하우징
120: 핀부 130: 볼부
131: 볼 132: 볼 하우징
140: 차폐부 15: 제어부

Claims (15)

  1. 회전 인식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눌림 부재를 포함하며, 회전되게 구비되는 베젤부; 및
    상기 베젤부의 회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상기 눌림 부재에 맞물려 눌리거나 눌림이 해제되게 구비되고, 상기 베젤부의 눌리거나 눌림의 해제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온/오프되어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회전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고, 탄성적으로 눌리는 핀부;
    상기 핀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볼부; 및
    상기 볼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볼부의 눌림에 따라 상기 핀부를 전기적으로 온/오프되게 가압하며,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볼부 사이를 실링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회전 인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신호 핀들은 상기 핀부의 눌림에 따라 전기적으로 온/오프되는 회전 인식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는,
    상기 눌림 부재와 접촉되는 볼; 및
    상기 볼을 감싸며, 상기 차폐부 상측에 구비되는 볼 하우징을 포함하는 회전 인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볼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 플레이트; 및
    상기 실링 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핀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회전 인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실리콘 재질, 우레탄 재질 또는 러버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회전 인식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베젤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스위치부 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눌림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베젤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를 가압하는 제1영역과, 가압된 상기 스위치부를 복원하는 제2영역이 구비되는 회전 인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와 이웃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스위치와 교차되어 눌리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와 이웃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스위치 및 상기 제2스위치와 교차되어 눌리는 제3스위치를 포함하는 회전 인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스위치부는 상기 베젤부의 시계 방향 회전 또는 반 시계 방향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에 따라 상기 눌림 부재에 순차적으로 눌려 상기 베젤부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는 회전 인식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부가 상기 눌림부재의 접촉으로 눌리면, 상기 베젤부의 회전 그립감이 제공되면서, 상기 핀부가 탄성적으로 가압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촉되거나 접촉이 해제되어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회전 인식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하우징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는 회전 인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들은 개별적으로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이 설정되어, 상기 베젤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눌림부재와 맞물려 눌리는 상기 스위치부는 설정된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을 구현하는 회전 인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눌리는 순서에 따라 상기 베젤부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는 회전 인식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스위치부의 전기적 신호에 따라 물리적 사용자 환경(Physical User Interface, PUI)을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회전 인식 장치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0150063969A 2015-05-07 2015-05-07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353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969A KR102353456B1 (ko) 2015-05-07 2015-05-07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15/145,914 US10013073B2 (en) 2015-05-07 2016-05-04 Rotary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dop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969A KR102353456B1 (ko) 2015-05-07 2015-05-07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489A true KR20160131489A (ko) 2016-11-16
KR102353456B1 KR102353456B1 (ko) 2022-01-21

Family

ID=5722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969A KR102353456B1 (ko) 2015-05-07 2015-05-07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13073B2 (ko)
KR (1) KR102353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53A1 (ko) * 2016-12-15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타입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898B1 (ko) * 2015-02-27 202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장치
WO2017121480A1 (en) * 2016-01-14 2017-07-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n electronic device
KR102425464B1 (ko) * 2016-03-25 202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가능한 환형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55149B1 (ko) * 2017-04-25 2022-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분리형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687843B (zh) * 2018-05-07 2020-03-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穿戴式裝置、及其通知系統與通知方法
JP6591003B1 (ja) * 2018-06-29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20008990A (ja) * 2018-07-04 2020-01-1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スイッチシステム
CN111338203B (zh) * 2020-02-27 2021-07-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CN113219810B (zh) * 2021-05-20 2022-07-29 读书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电话手表控制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8361A (ko) * 2014-11-07 2014-12-03 이용재 루프 형태의 택타일 멀티터치 입력장치, 제스처와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299B2 (ja) 1985-02-14 1994-06-22 セイコー電子工業株式会社 電子時計用回転スイッチ
JPH11211862A (ja) * 1997-11-19 1999-08-06 Seiko Epson Corp 情報処理装置
JP4072365B2 (ja) 2002-03-27 2008-04-0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密封型のプッシュスイッチ
US8961191B2 (en) 2013-03-15 2015-02-24 Garmin Switzerland Gmbh Electrical connector for pedal spindle
KR102313898B1 (ko) * 2015-02-27 2021-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8361A (ko) * 2014-11-07 2014-12-03 이용재 루프 형태의 택타일 멀티터치 입력장치, 제스처와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53A1 (ko) * 2016-12-15 2018-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타입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13073B2 (en) 2018-07-03
KR102353456B1 (ko) 2022-01-21
US20160327916A1 (en)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1489A (ko) 회전 인식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CN107533346B (zh) 合并有生物测定传感器的输入设备
US8717199B2 (en) Configurable button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104141B1 (ko) 플럭스 분수
US8941614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key pad thereof
US20140247246A1 (en) Tactile to touch input device
CN106155188B (zh) 电子组件
US9729184B2 (en) Case for electronic device
CN104258565A (zh) 游戏控制器套件
KR20170051532A (ko) 전자 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CA2866058A1 (en) Display actuator
US20190036529A1 (en) Touch and force sensitive rocker switch
US20110254788A1 (en) Movable touch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TW200526306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N102221916A (zh) 可动式触控模块及应用其的电子装置
JP2006086099A (ja) ボタン構造、携帯型電子装置
KR20130081923A (ko) 휴대 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기능키 수행 방법
KR20180126923A (ko) 스마트 컨트롤러
KR20150112436A (ko) 입력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CN105339878A (zh) 用于具有误触摸保护的电子设备的触摸敏感表面
US20110297524A1 (en) Multiple-pole single-throw dome switch assemblies
KR20110113243A (ko) 이동 단말기
CN205263766U (zh) 一种移动终端
TW201615248A (zh) 遊戲控制器套件
KR100632114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