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0266A -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0266A
KR20030080266A KR1020020018680A KR20020018680A KR20030080266A KR 20030080266 A KR20030080266 A KR 20030080266A KR 1020020018680 A KR1020020018680 A KR 1020020018680A KR 20020018680 A KR20020018680 A KR 20020018680A KR 20030080266 A KR20030080266 A KR 20030080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 time
dac
lamp life
lamp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80266A/ko
Publication of KR2003008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26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 전류값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의 변화를 고려하여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마이콤으로부터의 램프 조절용 DAC 출력에 의해 램프 전류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최소 DAC일 때의 램프수명시간 및 최대 DAC일 때의 램프수명시간을 각각 측정하고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실제 DAC를 계측하고, 상기 산출한 램프수명시간 변화량을 참조하여 기 측정된 DAC에 따른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실제 램프수명시간 및 현재까지 사용한 실제 램프사용시간을 소정식에 적용하여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Method for Displaying Remained Life Time of Lamp in Real Time}
본 발명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램프 전류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의 변화를 고려하여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므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램프수명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에서는 패널 스팩(PANEL SPEC)상에 명시된 램프 전류를 기준으로 화면의 밝기가 초기치의 50% 이하로 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램프수명시간으로 정하고 있다.
이러한 램프수명시간은 상기 램프 전류와 함께 패널 스팩상에 표시된다.
그리고, LCD 모니터에 내장된 마이콤(Micom)에서는 모니터가 사용된 시간을카운트(Count)하고 이 카운트된 모니터 사용시간을 OSD(On-Screen Display) 화면상에 "ELAPSED TIME"로 표시하고 있다.
즉, 램프 수명에 관련하여 사용자가 모니터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는 패널 스팩에 표시된 램프수명시간과, OSD 화면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모니터 사용시간이 있다.
따라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램프수명시간으로부터 모니터 사용시간을 일일이 감산하여 산출해야 한다.
다음 표 1은 LCD 모니터 패널 스팩의 일예이다.
Parameter Symbol Values Units Notes
Min Typ. Max
MODULE:Power Supply Input VoltagePower Supply Input CurrentDifferential ImpedancePower ConsumptionRush Current VccIccZmPcIRUSH 11.4-90-- 12.00.451005.364.6 12.60.711108.526.0 V(DC)AOhmWattsA 1213
LAMP:Operating VoltageOperating CurrentEstablished Starting Voltageat 25℃at 0℃Operating FrequencyDischarge Stabilization TimePower Consumption(6CCFL's)Life Time VBLIBLVS--FBLTSPBL- 630(8.0)3.0--45--30,000 650(7.0)7.0--55-27.30- 755(3.0)8.01,0001,30065330.03- VRMSmARMSVRMSVRMSKHzMinutesWattsHrs 456789
상기 표 1의 패널 스팩에 따르면, 램프수명시간은 30,000 시간(Hrs)이므로, 만약 마이콤에서 카운트된 모니터 사용시간(ELAPSED TIME)이 2,5000 시간이라면, 잔여 램프수명시간은 5,000시간이 될 것이다.
하지만, 램프수명시간은 램프 전류에 반비례하므로 램프 전류를 낮춰서 사용하는 경우 즉, OSD상에서 밝기(Brightness)를 낮춰서 사용할 경우 실제 램프수명시간은 상기 패널 스팩상에 명시된 램프수명시간보다 길어지게 된다.
실제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눈의 피로를 줄이기 위하여 모니터 사용시에 램프의 밝기를 낮춰서 사용하고 있으므로, 실제 사용되는 램프 전류는 패널 스팩상에 명시된 램프 전류보다 작은 값을 갖는다. 그러므로, 실제 램프수명시간은 패널 스팩상에 명시된 램프수명시간보다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램프수명시간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패널 스팩상에 명시된 램프수명시간으로부터 도출하고 있으나, 상기 패널 스팩상에 명시된 램프수명시간은 실제 램프수명시간과 차이를 갖게 되므로 상기 잔여 램프수명시간은 실질적인 값이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니터의 램프 교체시기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게 되므로, 잦은 램프 교체로 인하여 램프 교체 비용이 증가된다.
둘째,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알기 위해서는 스팩상의 램프수명시간과 모니터 사용시간을 모두 알아야 하고 이 시간 정보를 가지고 사용자가 일일이 연산을 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파악하기가 불편하다.
셋째,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알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연산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파악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램프 전류의 변동에 따른 램프수명시간의 변화를 고려하여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므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한 램프수명 정보를 제공하여 잦은 램프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램프 전류 조절용 DAC값에 따른 램프수명시간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 램프수명시간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 램프수명시간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마이콤으로부터의 램프 조절용 DAC 출력에 의해 램프 전류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최소 DAC일 때의 램프수명시간 및 최대 DAC일 때의 램프수명시간을 각각 측정하고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실제 DAC를 계측하고, 상기 산출한 램프수명시간 변화량을 참조하여 기 측정된 DAC에 따른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실제 램프수명시간 및 현재까지 사용한 실제 램프사용시간을 소정식에 적용하여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최대 DAC일 때의 램프수명시간으로부터 최소 DAC일 때의 램프수명시간을 감산한 값을 상기 최대 DAC에서 최소 DAC를 감산한 값으로 나누어서 산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DAC와 최소 DAC의 차를 상기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과 승산하고, 이 값을 상기 최소 DAC에서의 램프수명시간에 가산하여 산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DAC와 최대 DAC의 차를 상기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과 승산하고, 이 값을 상기 최대 DAC에서의 램프수명시간으로부터 감산하여 산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DAC에서의 램프수명시간을 100%로 설정하고, 이에 대하여 상기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백분율로 환산한 값을 바(Bar)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램프 전류 조절용 DAC값에 따른 램프수명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잔여 램프수명시간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잔여 램프수명시간의 표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음 표 2는 램프 전류(Ilamp)에 따른 램프 전류 조절용 DAC 및 램프수명시간(Life Time)을 나타낸다.
Ilamp(mA) 6 4.5 3
DAC 0 128 255
Life Time(Hrs) 30000 40000 50000
상기 표 2와 도 1에 따르면, 상기 램프 전류(Ilamp)는 램프 전류 조절용 DAC와 램프수명시간(Life Time)에 반비례하고, 상기 램프 전류 조절용 DAC는 램프수명시간(Life Time)에 비례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램프 전류(또는 램프 전류 조절용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를 고려하여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고, 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램프 전류 조절용 DAC가 최소 즉, DACmin(또는 램프 전류가 최대)일 때의 램프수명시간(A)과, 상기 램프 전류 조절용 DAC가 최대 즉, DACmax(또는 램프 전류가 최소)일 때의 램프수명시간(B)을 계측한다(S1).
상기 표 2의 예에서는 DACmin(DAC=0)일 때 램프수명시간(A)은 30,000 시간이고, DACmax(DAC=255)일 때의 램프수명시간(B)은 50,000 시간이다.
이어, 상기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램프 전류 조절용 DAC 변화에(또는 램프 전류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의 변화량을 산출한다(S2).
즉, DACmin과 이때의 램프수명시간(A), DACmax와 이때 측정된 램프수명시간(B)을 다음 수학식 1에 대입하여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Slop)을 산출한다.
->Slop
상기 표 2의 데이터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하면,=이 된다.
이어, 상기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Slop)을 마이콤에 저장한다.
이어, 마이콤으로부터의 실제 DAC 출력을 계측하고, 상기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Slop)을 고려하여 실제 DAC에서의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한다(S3).
상기 실제 램프수명시간의 산출은 임의의 DAC를 기준으로 이 DAC에서 실제 DAC로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른 램프수명시간의 차감분을 상기 임의의 DAC에서의 램프수명시간에 반영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DACmin을 기준으로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경우와 DACmax를 기준으로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경우의 예를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DACmin을 기준으로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은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DACmin에서의 램프수명시간 + Slop× (실제 DAC - 최소 DAC)
-> 실제 램프수명시간
상기 표 1의 데이터를 상기 수학식 2에 대입하면, 실제 램프수명시간은 30,000+×(실제 DAC-0)이 된다.
그리고, 상기 DACmax를 기준으로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은 다음 수학식 3과 같다.
DACmax에서의 램프수명시간 - Slop×(DACmax- 실제 DAC)
->실제 램프수명시간
상기 표 1의 데이터를 상기 수학식 3에 대입하면, 실제 램프수명시간은 50,000 -×(255-실제 DAC)가 된다.
여기서, 상기 DACmin을 기준으로 산출한 실제 램프수명시간인 30,000+×(실제 DAC-0)과, 상기 DACmax를 기준으로 산출한 실제 램프수명시간인 50,000 -×(255-실제 DAC)은 서로 동일하다.
이어, 마이콤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카운트되는 모니터 사용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실제 램프수명시간으로부터 모니터 사용시간을 감산하여 잔여 램프 수명시간을 구한다(S4).
이것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 수학식 4와 같다.
실제 램프수명시간 - 모니터 사용시간 -> 잔여 램프수명시간
이어, 상기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OSD 화면상에 표시한다(S5).
예를들어, 도 3과 같이 최대 DAC에서의 램프수명시간(B)을 100%로 설정하고 이에 대하여 현재 잔여 램프수명시간의 백분율을 바(Bar) 형태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램프 전류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의 변화를 고려하여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기 때문에 잘못된 램프수명 정보에 따른 잦은 램프 교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된다.
둘째, 사용자가 램프 교체 등을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인 잔여 램프수명시간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므로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마이콤으로부터의 램프 조절용 DAC 출력에 의해 램프 전류 조절이 가능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최소 DAC일 때의 램프수명시간 및 최대 DAC일 때의 램프수명시간을 각각 측정하고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
    실제 DAC를 계측하고, 상기 산출한 램프수명시간 변화량을 참조하여 기 측정된 DAC에 따른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한 실제 램프수명시간 및 현재까지 사용한 실제 램프사용시간을 소정식에 적용하여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최대 DAC일 때의 램프수명시간으로부터 최소 DAC일 때의 램프수명시간을 감산한 값을 상기 최대 DAC에서 최소 DAC를 감산한 값으로 나누어서 산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DAC와 최소 DAC의 차를 상기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과 승산하고, 이 값을 상기 최소 DAC에서의 램프수명시간에 가산하여 산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램프수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DAC와 최대 DAC의 차를 상기 DAC 변화에 따른 램프수명시간 변화량과 승산하고, 이 값을 상기 최대 DAC에서의 램프수명시간으로부터 감산하여 산출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DAC에서의 램프수명시간을 100%로 설정하고, 이에 대하여 상기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백분율로 환산한 값을 바(Bar)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20020018680A 2002-04-04 2002-04-04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20030080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680A KR20030080266A (ko) 2002-04-04 2002-04-04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8680A KR20030080266A (ko) 2002-04-04 2002-04-04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266A true KR20030080266A (ko) 2003-10-17

Family

ID=32377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680A KR20030080266A (ko) 2002-04-04 2002-04-04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802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09B1 (ko) * 2004-03-29 2007-08-07 아주조명공업주식회사 형광등 수명 자동 표시 장치
US8884625B2 (en) 2009-10-26 2014-11-11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calculating a used time of a light source, method of displaying lifetime of a light source us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90076112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사이언 백라이트 수명 관리 lcd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09B1 (ko) * 2004-03-29 2007-08-07 아주조명공업주식회사 형광등 수명 자동 표시 장치
US8884625B2 (en) 2009-10-26 2014-11-11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calculating a used time of a light source, method of displaying lifetime of a light source using the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90076112A (ko) * 2017-12-22 2019-07-02 주식회사 사이언 백라이트 수명 관리 lcd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08641B (zh) 显示装置及色彩校正方法
JP4393433B2 (ja) 液晶表示装置、輝度測定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954934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U2014371874B2 (en) Life prediction method, life prediction program, and life prediction device
US8937587B2 (en) Temperature estimat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2009003359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060208670A1 (en) Light module with control of luminan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luminance
KR102533412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00049963A (ko) 광원 모듈의 구동 장치, 이 구동 장치를 갖는 광원 장치, 광원 모듈의 구동 방법 및 이 구동 장치를 갖는 표시 장치
EP3010009A1 (en) Multi-monitor system, and computer program and display device used in multi-monitor system
JP2005189795A (ja) ディスプレイの輝度調整方法
US8850714B2 (en) Chromaticity correction device, chromaticity correc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JP4372733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30080266A (ko) 실시간으로 잔여 램프수명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US202103493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overdrive look-up table (lut) for response time compensation of a display device
JP5354699B2 (ja) 色度補正回路、表示装置、及び色度補正方法
KR20080061223A (ko)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02116741A (ja) 液晶表示素子の表示輝度の調整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3597536A (zh) 液晶监视装置、显示系统及背光源控制方法
JP2014219630A (ja) 液晶マルチ画面表示装置および液晶マルチ画面制御装置
KR100832289B1 (ko) 액정디스플레이의 시야각 전환 구동회로 및 시야각 전환방법
JP2013097115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01172820A (ja) 液晶パネル付pos端末装置
CN101529990B (zh) 显示装置及亮度控制方法
JP5665147B2 (ja) 色度補正回路、表示装置、及び色度補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